맨위로가기

캐러밴서라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캐러밴서라이는 고대 페르시아 제국 시대부터 존재했던 대상(隊商) 숙소로, 실크로드를 따라 동서양 교역이 활발해지면서 발전했다. 이슬람 시대에는 중동, 북아프리카, 오스만 제국 등 이슬람 세계 전역에서 중요한 시설로 자리 잡았으며, 건축 양식은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벽으로 둘러싸인 구조에 넓은 입구를 갖추고, 상인과 가축을 위한 숙소, 마구간, 상점, 모스크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었다. 캐러밴서라이는 '칸', '푼두크', '위칼라'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었으며, 현재는 호텔 등으로 현대적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란의 건축 - 아파다나
    아파다나는 고대 페르시아 건축에서 기둥이 있는 석조 구조의 궁전 또는 알현실을 의미하며, 페르세폴리스와 수사에 존재했고, 알렉산드로스 대왕에 의해 파괴되었지만 발굴을 통해 구조와 특징이 밝혀졌으며, 우마이야 왕조 건축에도 영향을 미쳤다.
  • 이란의 건축 - 페르시아 정원
    페르시아 정원은 기원전 4000년경부터 시작되어 아케메네스 왕조 시대에 확립된 정원 양식으로, 울타리 안에서 물, 그늘, 식물을 조화롭게 배치하며, 이슬람 정복 후에는 4등분된 "차르바그" 양식이 등장하여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고 타지마할 등 다른 문화권 정원 디자인에도 영향을 주었다.
  • 페르시아어 낱말 - 티아라
    티아라는 고대부터 높은 신분을 나타내는 머리 장식에서 유래하여, 현대에는 왕족과 귀족 여성들이 공식 행사에서 착용하는 반원형 형태의 장신구이다.
  • 페르시아어 낱말 - 사프란
    사프란은 크로커스 사티부스의 암술머리를 건조해 만든 향신료로, 독특한 색과 향으로 요리, 의약품, 염료 등에 사용되며, 특히 고급 향신료로 취급받고, 이란이 최대 생산국이며, 노동 집약적인 수확 과정으로 인해 세계에서 가장 비싼 향신료 중 하나이다.
  • 이슬람 건축 - 무굴 건축
    무굴 건축은 16세기부터 19세기 인도 아대륙에서 무굴 제국이 후원한 건축 양식으로, 인도 이슬람, 페르시아, 중앙아시아, 힌두 건축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모스크, 묘소, 궁전, 정원, 요새 등 다양한 건축물을 남겼고, 붉은 사암과 흰색 대리석을 사용하여 기하학, 꽃무늬, 비문 등으로 장식되었으며 후대 인도 및 주변 지역 건축에 영향을 미쳤다.
  • 이슬람 건축 - 무카르나스
    무카르나스는 이슬람 건축에서 셀 형태의 요소들을 기하학적으로 결합하여 돔, 아치 등을 장식하는 기법이며, 우주론적, 상징적 의미를 담고 있다.
캐러밴서라이
기본 정보
튀르키예의 셀주크 캐러밴서라이
튀르키예의 셀주크 캐러밴서라이
유형여관
다른 이름카르반사라이 (kārvānsarā, 페르시아)
케르반사라이 (kervansaray, 튀르키예)
판 (khan)
푼두크 (funduq, 아랍)
역사적 맥락
기원페르시아 제국 시대
실크로드 시대
목적상업
숙박
무역
정보 교환
주요 위치아시아
북아프리카
중동
실크로드
건축적 특징
디자인벽으로 둘러싸인 안뜰
단일 입구
편의 시설마구간
우물
예배 장소
상점
문화적 중요성
역할실크로드의 상업 촉진
문화 교류 촉진
보존 노력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캐러밴서라이
현대적 관련성
중요성역사적, 건축적 중요성
관광역사적인 장소로 보존
관광 명소
어원
어원 설명"카라반(kārvān)" + "사라이(sarāi)" 의 합성어

2. 역사

대상 숙소는 실크로드뿐만 아니라 아케메네스 제국의 왕의 길을 따라서도 흔히 볼 수 있었다. 헤로도토스사르디스에서 수사까지 2500km 길이의 고대 고속도로인 왕의 길 전체에 왕실 역과 훌륭한 대상 숙소가 있다고 기록했다.[25] 다른 중요한 도시 대상 숙소는 인도 아대륙그랜드 트렁크 로드를 따라, 특히 무굴 제국델리벵골 수바 지역에 건설되었다.

이슬람 시대 (7세기 이후) 대부분 동안 대상 숙소는 중동, 북아프리카, 오스만 제국 전역의 시골과 도시에 흔했다.[5] 12세기에서 13세기에는 셀주크 제국 전역에 많은 대상 숙소 또는 ''한''이 건설되었으며, 오늘날 터키 (예: 악사라이 주의 술탄 한)과 이란(예: 호라산 주의 샤라프의 리바트)에 많은 사례가 남아 있다.[26][27] 도시의 대상 숙소는 이슬람 세계 여러 도시에서 경제 활동의 중심지였으며, 바자르 지역 근처에 집중되었고, 다마스쿠스, 알레포, 카이로, 이스탄불, 페스 등에 많은 사례가 남아 있다.[28][29][30][31][16]

14세기 무슬림 여행가 이븐 바투타는 중국 지역의 대상 숙소(푼두크)에 대해, 모든 역마다 말과 보병 부대를 거느린 책임자가 있어 여행자의 안전을 보장했다고 묘사했다. 책임자는 해 질 녘이나 밤에 서기와 함께 푼두크로 가서 밤을 보낼 여행자들의 이름을 적고 봉인한 뒤 문을 잠갔다. 아침에는 모든 사람의 이름을 부르고 기록을 적었으며, 다음 역까지 안내할 사람을 보내 도착 확인 증명서를 받아왔다. 이러한 절차는 중국 내 모든 역에서 진행되었으며, 여행자에게 필요한 모든 것이 제공되었다.

무슬림 세계의 많은 지역에서 대상 숙소는 와크프라는 이슬람 율법에 따른 보호 협정을 통해 관리되었으며, 자선 또는 종교적 기능이나 건물을 지원하는 데 사용되는 수입을 제공했다.[32][33] 예를 들어 오스만 제국맘루크 제국의 많은 주요 종교 단지는 대상 숙소 건물을 포함하거나(이스탄불의 쉴레이마니예 모스크의 ''퀴리에''와 같이) 그 지역 건물에서 수입을 얻었다(예: 카이로의 알-구리 와칼라는 인근 술탄 알-구리 단지에 수입을 기여하기 위해 건설되었다).[31][30][34]

3. 건축

캐러밴서라이는 일반적으로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벽으로 둘러싸인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중앙에는 넓은 안뜰(중정)을 두고, 안뜰을 둘러싼 벽 안쪽에는 마구간, 창고, 객실 등 다양한 용도의 공간이 배치되었다. 건물 입구는 낙타와 같은 큰 짐승이 쉽게 드나들 수 있도록 넓게 만들어졌다.

캐러밴서라이는 사람과 동물이 씻을 수 있는 시설을 갖추고 있었고, 상점에서 물이나 동물 먹이를 보충하거나 중요 물품을 보관하는 역할도 했다.[36] 때로는 함맘이나 세빌/사빌과 같은 부속 시설을 갖추기도 했다.[36] 많은 캐러밴서라이에는 작은 모스크가 갖춰져 있기도 했다.[31][37][30]

카이로에서는 부르지 맘루크 시대부터 위칼라(도시 캐러밴서라이)가 종종 여러 층으로 높았으며, 상인의 숙소가 아래층을 차지하고 저소득 임대 아파트 단지인 라브가 위층에 위치하기도 했다.[38][29] 이는 와크프 시스템을 통해 관리되는 건물의 두 가지 수입원을 제공했다.[33][39] 이스파한에서는 원거리 무역 상인을 타제르, 현지 도매상을 보나쿠다르라고 불렀으며, 현지 도매상은 팀 또는 تیمچه|팀체fa라고 부르는 거래장이나 다르란(통로)에서 거래를 했다.[41]

일반적으로 중정이 있는 2층 건물로, 1층은 거래소, 창고, 마구간, 관리인이나 사용인의 거처로 사용되었고, 2층은 상인들의 숙박 시설이었다. 아가, 짐꾼 감독, 야경 등의 직책이 상주했다. 보따리상은 도매상에게서 상품을 구입하여 근교 농촌이나 유목민 지역을 방문했다.[41]

현재는 숙박 시설로서의 기능은 없어지고 사무실, 창고, 도매상점으로 사용되고 있다.

3. 1. 구조 및 기능

캐러밴서라이는 보통 바깥쪽을 벽으로 둘러싸고 사각형 형태로 지었다. 짐을 가득 실은 낙타도 쉽게 드나들 수 있도록 입구는 넓게 만들어졌다. 지붕이 없는 중앙 정원을 중심으로 칸막이된 마굿간과 방들이 배치되어 상인과 동료, 동물들이 짐과 함께 머물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사람과 동물이 씻을 수 있는 시설이 갖춰져 있었고, 상점에서 물이나 동물 먹이를 보충하거나 중요 물품을 보관하는 일도 이루어졌다.[5] 아케메네스 제국 시대 사르디스에서 수사까지 뻗어 있던 2500km 길이의 왕의 길을 비롯하여, 인도 아대륙그랜드 트렁크 로드, 특히 무굴 제국델리벵골 수바 지역 등 실크로드뿐만 아니라 여러 지역에서 캐러밴서라이를 흔히 볼 수 있었다.[25] 12~13세기 셀주크 제국 시대에는 터키 (악사라이 주의 술탄 한 등)와 이란 (호라산 주의 샤라프의 리바트 등)에 많은 대상 숙소가 건설되었다.[26][27] 도시에서는 주요 바자르 지역 근처에 대상 숙소가 집중되어 경제 활동의 중심지 역할을 했으며, 다마스쿠스, 알레포, 카이로, 이스탄불, 페스 등 역사적인 지역에 많은 사례가 남아 있다.[28][29][30][31][16]

이븐 바투타는 중국 지역의 대상 숙소(푼두크)에 대해 "여행자에게 가장 안전하고 좋은 국가"라고 묘사하며, 모든 역마다 책임자가 여행자의 이름을 기록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41]

사파비 왕조 시대 이란 카라지에 있는 캐러밴서라이 평면도


일반적으로 캐러밴서라이는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벽으로 둘러싸여 있었고, 크거나 짐을 많이 실은 짐승이 들어갈 수 있는 넓은 입구가 하나 있었다. 안뜰은 하늘이 트여 있었고, 벽 안쪽에는 상인, 하인, 동물, 상품을 수용할 수 있는 동물 마구간, 칸, 틈새, 방 등이 갖춰져 있었다.[35]

캐러밴서라이는 사람과 동물을 위한 식수, 세척, 우두구슬 같은 의례적 정화를 위한 물을 제공했다. 때로는 함맘이나 분수, 사빌/세빌 같은 부속 시설도 갖추고 있었다. 동물을 위한 사료를 비축하고 여행자들이 물품을 구할 수 있는 상점도 있었으며, 일부 상점에서는 여행 상인에게서 상품을 구입하기도 했다.[36] 터키의 셀주크 및 오스만 캐러밴서라이와 같이 작은 모스크가 갖춰진 곳도 많았다.[31][37][30]

카이로에서는 부르지 맘루크 시대부터 도시 캐러밴서라이(위칼라)가 여러 층으로 이루어진 경우가 많았는데, 아래층은 상인 숙소, 위층은 저소득 임대 아파트(라브)로 구성되어 와크프 시스템을 통해 관리되는 두 가지 수입원을 제공했다.[38][29][33][39]

일반적으로 중정이 있는 2층 건물로, 1층은 거래소, 창고, 마구간, 관리인이나 사용인의 거처로 사용되었고, 2층은 상인들의 숙박 시설이었다. 아가, 짐꾼 감독, 야경 등의 직책이 상주했다.

캐러밴서라이는 원거리 무역 상인 외에도 현지 도매상의 사무실이나 창고로도 사용되었다. 이스파한에서는 전자를 타제르, 후자를 보나쿠다르라고 불렀다. 현지 도매상은 팀 또는 تیمچه|팀체fa라고 부르는 거래장이나 다르란(통로)에서 거래를 했다. 보따리상은 도매상에게서 상품을 구입하여 근교 농촌이나 유목민 지역을 방문했다.[41]

현재는 숙박 시설로서의 기능은 없어지고 사무실, 창고, 도매상점으로 사용되고 있다.

3. 2. 지역별 특징



일반적으로 캐러밴서라이는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벽으로 둘러싸인 건물로, 낙타와 같이 크거나 짐을 많이 실은 짐승이 들어갈 수 있도록 충분히 넓은 단일 입구를 가지고 있었다. 안뜰은 거의 항상 하늘이 트여 있었으며, 울타리의 내부 벽에는 상인과 하인, 동물, 상품을 수용하기 위해 여러 개의 동일한 동물 마구간, 칸, 틈새 또는 방이 갖춰져 있었다.[35]

캐러밴서라이는 사람과 동물의 식수, 세척, 그리고 ''우두''와 ''구슬''과 같은 의례적 정화를 위한 물을 제공했다. 때로는 정교한 공중 목욕탕(함맘)이나 분수 또는 사빌/세빌과 같은 다른 부속 시설을 갖추기도 했다. 그들은 동물을 위한 사료를 비축했고 여행자들이 새로운 물품을 얻을 수 있는 상점을 가지고 있었다. 일부 상점은 여행 상인으로부터 상품을 구입했다.[36] 터키의 셀주크 및 오스만 캐러밴서라이처럼 작은 모스크가 갖춰져 있는 경우도 많았다.[31][37][30]

카이로에서는 부르지 맘루크 시대부터 ''위칼라''(도시 캐러밴서라이)는 종종 여러 층으로 높았으며, 상인의 숙소가 아래층을 차지하는 동안 저소득 임대 아파트 단지인 ''라브''가 종종 위층에 위치해 있었다.[38][29] 이는 혼잡한 도시에서 제한된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와크프'' 시스템을 통해 관리되는 건물의 두 가지 수입원을 제공했다.[33][39]

4. 어원

'캐러밴서라이'(Caravanserai)는 페르시아어 '카르반사라'(کاروانسرای)에서 유래한 단어이다. '카르반'(کاروان)은 '대상'을, '사라'(سرای)는 '궁전' 또는 '안뜰이 있는 건물'을 의미한다.[6] '칸'(خانfa)은 𐭡𐭩𐭲𐭠|xānag|집pal에서 온 말이다.[8][5]

4. 1. 다양한 명칭

페르시아어 ''카라반사라''는 ''카르반'' (대상)에 ''사라'' (마당을 둘러싼 집이 있는 곳)를 합치고, 어미 ''이''를 붙인 복합어다. 카르반(캐러밴)이란 장거리를 함께 여행하는 무역상, 유랑자, 여행객 등을 뜻하는 말이며, 캐러밴서라이는 영어판 위키낱말 사전에 ''khan''(خانfa), 튀르키예어로 ''han'', 아랍어 ''فندقar'' (그리스어 ''판도케이온'' -여관에서 유래), 베니스에서 ''푼다코'' 등으로 알려져 있다.[6]

카라반세라이(کاروانسرای|''kārvānsarāy''fa)는 "카라반"과 "-사라이" ("궁전", "폐쇄된 안뜰이 있는 건물")를 결합한 페르시아 복합어이다.[6] 여기서 "카라반"은 장거리 여행을 하는 상인, 순례자 및 여행객 그룹을 의미한다. "카라반사리", "카라반사레이", "카라반세레이", "카라반사라", "카라반사라이"로도 표기된다.[4] 학술 자료에서는 여관이나 숙소와 유사한 여러 유형의 상업 건물을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되지만, 실제 이러한 건물들은 지역과 현지 언어에 따라 다양한 이름을 가지고 있었다.[5] 그러나 이 용어는 일반적으로 도시 성벽 밖의 도로를 따라 건설된 시골 여관에 더 많이 사용되었다.[7]

'칸'(خانfa)은 𐭡𐭩𐭲𐭠|xānag|집pal의 줄임말에서 유래되었다.[8][5] 이는 도시나 마을 안에 세워진 도시형 캐러밴서라이[5][9] 또는 시골이나 사막 길을 따라 건설된 캐러밴서라이를 포함한 모든 캐러밴서라이를 지칭할 수 있다.[10] 터키어에서는 '한'으로 표현되며,[5] 보스니아어와 불가리아어에서도 오스만 제국의 정복을 통해 유입되어 같은 단어가 사용되었다. 터키어와 페르시아어 외에도, 아랍어에서도 널리 사용되었으며, 우마이야 칼리파조 시대부터 중동 전역에서 이러한 건물의 예가 발견된다.[5][9] '한'은 오스만 터키어에서 차용되어 루마니아어에서도 사용된다.

''funduq''(فندق|lit=ar; 때로는 프랑스어 번역에서 ''foundouk'' 또는 ''fondouk''으로 표기)는 마그레브 지역의 역사적인 여관에 자주 사용되는 용어이다.[5][11][12] 이 단어는 에서 유래되었으며,[13][5] 베네치아에서는 פונדק|pundaqhe, ''fundaco''로, 제노바에서는 ''fondaco''로, 스페인에서는 ''alhóndiga''[14] 또는 ''fonda''로 나타난다. 이 지역의 도시에서 이러한 건물들은 장인의 작업장 주거지로도 자주 사용되었다.[15][11][16]

''wikala''(وكالةar; ''wakala'' 또는 ''wekala''로 표기)는 상인과 그들의 상품을 수용하고 무역, 보관, 거래 및 기타 상업 활동의 중심지 역할을 했던 도시의 대상 숙소에 대해 역사적인 카이로에서 자주 사용되는 아랍어 단어이다.[17] ''wikala''는 아랍어로 대략 "대행사"를 의미하며,[17] 이 경우 상업 대행사이며, 수입 상품을 처리하기 위해 여기에 위치할 수 있는 관세 사무소를 지칭할 수도 있다.[18] 이집트에서는 이 유형의 건물에 ''khan''이라는 용어도 자주 사용되었다.[5]

"오켈레"(okelle) 또는 "오칼레"(okalle)는 아랍어 단어 "위칼라"(wikala)를 이탈리아어로 표현한 것으로, 19세기 이집트, 특히 알렉산드리아에서 사용된 대규모 도시 건축물의 한 유형을 지칭한다. 이집트의 오래된 "위칼라"는 이탈리아 건축가 프란체스코 만치니에 의해 이탈리아 건축 양식으로 재해석되었다. 무함마드 알리의 지시를 받아 그는 영사관, 유럽식 호텔, 증권 거래소 등으로 사용된 ''Place des Consuls'' (알렉산드리아 유럽 지구의 중심 광장)을 묘사하는 여러 "오켈레"를 설계하고 건설했다.[19]

카트라 (কাটরাbn)는 벵골 지역에 무굴 제국이 건설한 대상 숙소에 붙여진 이름이다. 바라 카트라 (বড় কাটরা|Baṛa Kāṭrā|Great Caravanserai|links=nobn)와 초타 카트라 (ছোট কাটরা|Chōṭa Kāṭrā|Small Caravanserai|links=nobn)는 방글라데시 다카에 있는 2개의 웅장한 무굴 제국 카트라를 지칭한다.[20][21][22][23][24]

일반적으로는 중정이 있는 2층 건물로, 1층은 거래소, 창고, 마구, 관리인이나 사용인의 거처로 사용되었고, 2층은 손님인 대상의 상인들의 숙박 시설이었다. 아가라고 불리는 책임자나, 짐꾼 감독, 야경 등 직책이 상주하고 있었다.

캐러밴서라이는 원거리 무역 상인 외에도, 현지 도매상인의 사무실이나 창고로도 사용되었다. 이스파한에서는 전자를 타제르, 후자를 보나쿠다르라고 불러 구별했다. 현지 도매상은 팀 또는 라고 부르는 거래장이나 다르란(통로)에서 거래를 했다. 보따리상은 도매상에게서 상품을 구입하여 근교의 농촌이나 유목지를 돌았다.[41]

현재는 숙박 시설로서의 기능은 없어지고, 사무실, 창고, 도매상점으로 사용되고 있다.

5. 갤러리

이란 카즈빈에 있는 사달살테네 캐러밴서라이 내부


아제르바이잔 사키에 있는 캐러밴서라이


이란 네예스타낙에 있는 버려진 캐러밴서라이


참조

[1] 웹사이트 Dictionary.com – caravansary http://dictionary.re[...] 2016-01-31
[2] 간행물 Caravanserai
[3] 웹사이트 'Caravanserais: cross-roads of commerce and culture along the Silk Roads {{!}} Silk Roads Programme' https://en.unesco.or[...] 2020-06-17
[4] 웹사이트 Caravanserai http://www.nationalg[...]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019-07-23
[5] 서적 The Grove Encyclopedia of Islamic Art and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caravanserai {{!}} Origin and meaning of caravanserai by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s://www.etymonli[...] 2020-06-17
[7] 웹사이트 'Caravansary {{!}} building' https://www.britanni[...] 2020-06-17
[8] 문서 'xān' Oxford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Khan {{!}} architecture' https://www.britanni[...] 2020-06-17
[10] 서적 Dictionary of Islamic architecture Routledge
[11] 서적 Le Maroc andalou : à la découverte d'un art de vivre Ministère des Affaires Culturelles du Royaume du Maroc & Museum With No Frontiers
[12] 서적 La médina de Marrakech: Formation des espaces urbains d'une ancienne capitale du Maroc L'Harmattan
[13] 웹사이트 "Strong's Greek: 3829. πανδοχεῖον (pandocheion) -- an inn" http://biblehub.com/[...] 2015-02-19
[14] 웹사이트 alhóndiga in the Diccionario de la Real Academia Española http://lema.rae.es/d[...] 2015-04-25
[15] 서적 A practical guide to Islamic Monuments in Morocco The Baraka Press
[16] 서적 Fès avant le protectorat: étude économique et sociale d'une ville de l'occident musulman Société Marocaine de Librairie et d'Édition
[17] 서적 The Arab Lands under Ottoman Rule: 1516-1800 Routledge
[18] 서적 Cairo: Histories of a City https://archive.org/[...]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19] 서적 'Studies in Architecture, History & Culture: Articles by the 2003-2004 AKPIA@MIT Visiting Post-Doctoral Fellows' https://web.mit.edu/[...] Aga Khan Program for Islamic Architecture at MIT 2006
[20] 서적 Dhaka: Smriti Bismritir Nagari
[21] 서적 City of an Architect Dhaka: Delvistaa Foundation
[22] 서적 Islamic Heritage of Bangladesh Ministry of Information and Broadcasting, Govern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Bangladesh
[23] 서적 'Inventory of Key Monuments. Art and Archaeology Research Papers: The Islamic Heritage of Bengal' UNESCO
[24] 서적 Muslim Monuments of Bangladesh Islamic Foundation
[25] 웹사이트 The History – Herodotus http://classics.mit.[...]
[26] 웹사이트 Seljuk Caravanserais https://archnet.org/[...] 2020-06-17
[27] 웹사이트 Seljuk Caravanserais on the route from Denizli to Dogubeyazit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20-06-17
[28] 웹사이트 Khans of Damascus https://archnet.org/[...] 2020-06-17
[29] 서적 Islamic Monuments in Cairo: The Practical Guide The American University in Cairo Press
[30] 서적 Ottoman Architecture Antique Collectors' Club
[31] 서적 Strolling Through Istanbul: The Classic Guide to the City Tauris Parke Paperbacks
[32] 서적 Encyclopaedia of Islam, Second Edition Brill
[33] 문서 Cairo of the Mamluks: A History of Architecture and its Culture The American University in Cairo Press
[34] 웹사이트 Wakala Qansuh al-Ghawri https://archnet.org/[...] 2018-01-02
[35] 문서 'Trade and Travel: Markets and Caravansary.' Thames and Hudson Ltd
[36] 웹사이트 Catalogue of Georeferenced Caravansaras/Khans http://www.ciolek.co[...] www.ciolek.com – Asia Pacific Research Online 2005-02-07
[37] 서적 Storm on Horseback: The Seljuk Warriors of Turkey I. B. Tauris
[38] 서적 The Art and Architecture of Islamic Cairo https://archive.org/[...] Garnet
[39] 서적 Le Khan al-Khalili et ses environs: Un centre commercial et artisanal au Caire du XIIIe au XXe siècle Institut français d'archéologie orientale
[40] 서적 Tourist Attractions in the USSR: A Guide Raduga Publishers
[41] 문서 坂本「イスラーム都市の市場空間とイスファハーン」 p44
[42] 웹사이트 The Persian Caravanserai https://whc.unesco.o[...] 2023-12-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