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고 독립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콩고 독립국은 벨기에 국왕 레오폴드 2세가 헨리 모턴 스탠리의 탐험을 지원하여 자이르강 유역을 사유지로 확보한 국가이다. 1885년 베를린 회의에서 레오폴드의 사유지로 공식 인정되었으며, 상아와 고무 채취를 강요하며 규정량 미달 시 손발을 절단하는 등 잔혹한 통치를 했다. 국제 사회의 비난과 벨기에 정부의 압력으로 1908년 벨기에에 합병되었고, 이후 벨기에령 콩고를 거쳐 1960년 콩고 민주 공화국으로 독립했다. 콩고 독립국 시절의 인권 유린은 21세기에도 비판받고 있으며, 레오폴드 2세의 동상이 철거되는 등 벨기에 내에서도 논란이 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콩고 민주 공화국의 정치사 - 콩고 국제 협회
콩고 국제 협회는 1880년대 콩고 지역에서 활동하며 레오폴 2세의 영향력 아래 콩고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인정받고 독립국으로 승인받은 단체이다. - 벨기에의 옛 식민지 - 르완다
아프리카 중부 내륙에 위치한 르완다 공화국은 '천 개의 언덕의 나라'로 불리는 구릉 지형 국가이며, 1994년 집단학살의 아픔을 딛고 경제 성장을 이루어 '아프리카의 기적'으로도 불리며, 대통령 중심제의 공화국으로 폴 카가메 대통령이 이끌고 있다. - 벨기에의 옛 식민지 - 콩고 국제 협회
콩고 국제 협회는 1880년대 콩고 지역에서 활동하며 레오폴 2세의 영향력 아래 콩고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인정받고 독립국으로 승인받은 단체이다. - 벨기에-콩고 민주 공화국 관계 - 콩고 국제 협회
콩고 국제 협회는 1880년대 콩고 지역에서 활동하며 레오폴 2세의 영향력 아래 콩고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인정받고 독립국으로 승인받은 단체이다. - 벨기에-콩고 민주 공화국 관계 - 벨기에령 콩고
벨기에령 콩고는 레오폴드 2세의 사적 통치 하에 있던 콩고 자유국이 벨기에 왕국에 합병되어 형성된 식민지로, 독립 후 콩고 민주 공화국의 전신이 되었으며 현재까지 벨기에의 영향을 받는다.
콩고 독립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콩고 자유국 |
현지 명칭 | (프랑스어) (네덜란드어) |
상태 | 벨기에와 개인 연합을 이룬 국가 |
시대 | 신 제국주의 |
![]() | |
![]() | |
표어 | (노동과 진보) |
국가 (國歌) | Vers l'avenir |
수도 | 비비 (1885–1886) 보마 (1886–1908) |
통화 | 콩고 프랑 (1887–1908) |
종교 | 가톨릭교 (사실상) |
![]() | |
정치 | |
정부 형태 | 절대 군주제 |
군주 | 레오폴드 2세 |
통치 기간 | 1885–1908 |
총독 | F. W. 드 윈턴 (최초) 테오필 와히스 (마지막) |
총독 임기 | 1885–1886 1900–1908 |
역사 | |
주요 사건 | 콩고 아랍 전쟁 (1892–1894) |
주요 전투 | 레자프 전투 (1897) |
건립 | 건립 (1885년 7월 1일) |
벨기에 합병 | 벨기에 합병 (1908년 11월 15일) |
면적 | |
총 면적 | 2,345,409 km² |
수면 면적 | 77,867 km² |
수면 비율 | 3.32% |
인구 | |
추정 인구 | 9,130,000 (1907년) |
인구 밀도 | 3.8 명/km² |
현재 국가 | |
현재 국가 | 콩고 민주 공화국 |
언어 | |
공용어 | 프랑스어 (사실상) 네덜란드어 200개 이상의 토착어 |
2. 역사
레오폴 2세는 헨리 모턴 스탠리에게 자이르강 유역 탐험을 지시했다. 국왕의 지원을 받은 탐험이었기에 그 성과는 국왕에게 귀속되었고, 1882년 콩고 국제 협회에 위탁 통치하게 했으며, 1885년 베를린 회의에서 공식적으로 국왕의 사유지가 되었다.
국왕의 사유지가 된 콩고 자유국에서는 경작지도 모두 국왕 소유가 되었고, 주민들은 상아와 고무 채취를 강요받았다. 규정량에 도달하지 못하면 손발을 절단하는 잔혹한 형벌이 가해졌고, 전대미문의 압제와 착취가 이루어졌다. 콩고 자유국의 '자유국'이란, "주민이 자유로운 나라"라는 의미가 아니라, ''자유 무역의 나라''라는 의미를 비꼬아 이르는 영어 속칭(Congo Free State)이며, 프랑스어 정식 국호는 '''콩고 독립국'''이었다.
당시 억압적인 식민지 정책을 펼치고 있던 구미 열강 각국에서도 인도주의 입장에서 콩고 자유국에 대한 비난이 쇄도했다. 특히 영국은 영사에게 실태 조사를 하게 했다.
국제 사회의 비난이 거세지자 벨기에 정부는 1908년 10월, 식민지 헌장을 제정했고, 레오폴 2세는 벨기에 정부로부터 보상금을 받고 콩고 자유국을 넘겨주었다. 같은 해 11월, 콩고 자유국은 벨기에 정부 직할 식민지 벨기에령 콩고가 되었다. 이로 인해 통치 상황은 다소 개선되었고, 초등 교육 등이 도입되었다.
2. 1. 성립 배경
1877년부터 1884년까지 영국 웨일스 태생의 미국 탐험가 헨리 모턴 스탠리는 벨기에 국왕 레오폴 2세의 후원 하에 지금의 콩고 민주 공화국 일대를 탐험했다. 스탠리는 킨샤사에 레오폴드빌이라는 탐험 기지를 건설하고, 벨기에의 영유권을 확립했다.[12]레오폴 2세는 이 지역을 자신의 사유지로 선포하고, 국제아프리카협회를 운영하며 식민지 건설을 준비했다. 이후 '콩고 독립국'을 건설하고 벨기에와 동군연합을 결성했으며, 이는 1884년 베를린 회의에서 공인되었다.[13]
디에고 카오는 1482년 콩고강 어귀를 탐험하여[12] 포르투갈 왕국의 영유권 주장을 이끌었다. 19세기 중반까지 콩고는 독립 아프리카의 중심부였고, 유럽 식민주의자들은 열대 우림, 늪지, 말라리아, 아프리카 수면병 등의 질병과 격렬한 저항으로 인해 내륙 진출에 어려움을 겪었다. 서방 국가들은 초기 경제적 이점이 없어 식민지화를 꺼렸다.
1876년, 벨기에의 레오폴드 2세는 브뤼셀 지리학 회의를 개최하여 중앙 아프리카의 "인도주의적" 사업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원주민의 삶을 "개선"하고 "문명화"하려 했다.[13] 레오폴드는 국제 아프리카 협회를 조직하고 의장으로 선출되었으며, 이 협회를 통해 중앙 아프리카 점령 계획을 추진했다.
1871년 아프리카에서 데이비드 리빙스턴과 연락한 것으로 유명한 헨리 모턴 스탠리는 1876년부터 1877년까지 콩고를 탐험했고, 1878년 저서 《암흑의 대륙을 통과하며》에 여정을 기록했다.[14] 콩고에 대한 영국의 관심을 끌지 못한 스탠리는 레오폴드 2세에게 고용되어 콩고 지역의 발판 마련과 합병을 도왔다.[19]
1879년 8월부터 1884년 6월까지 스탠리는 콩고 분지에 머물며 하류 콩고에서 스탠리 풀까지 도로를 건설하고 상류 강에 증기선을 띄웠다. 스탠리는 콩고를 탐험하며 현지 족장 및 원주민 지도자들과 조약을 체결했고,[19] 이 문서들은 해당 토지의 모든 권리를 레오폴드에게 넘기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스탠리의 도움으로 레오폴드는 콩고 강을 따라 광대한 지역을 확보하고 군사 기지를 설립했다.
카탕가 주에서 레오폴드를 섬긴 프랑스 탐험가 크리스티앙 드 봉샹은 유럽인들이 공유하는 조약에 대한 태도를 다음과 같이 표현했다. "이 작은 아프리카 폭군들과의 조약은 일반적으로 그들이 한 마디도 이해하지 못하는 네 페이지에 달하며, 평화를 얻고 선물을 받기 위해 십자가를 서명한다. 이 조약은 영토 분쟁 발생 시 유럽 강대국에게만 중요한 문제이며, 그 조약을 잠시 서명하는 흑인 군주에게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15]
레오폴드 2세는 스탠리에게 자이르강 유역을 탐험하게 했다. 국왕의 지원을 받은 탐험의 성과는 국왕에게 귀속되었고, 1882년 콩고 국제 협회에 위탁 통치하게 했으며, 1885년 베를린 회의에서 공식적으로 국왕의 사유지가 되었다.
2. 2. 레오폴 2세의 통치와 인권 유린
1885년 콩고 독립국이 세워진 뒤, 레오폴 2세는 국영 플랜테이션을 대거 신설하였다. 이곳은 사실상 벨기에 왕실 중심의 전제 군주국이었기에 국왕의 명령은 절대적이었고, 주민들은 엄청난 강제노역에 시달려야 했다. 주요 생산물은 고무였고, 주민들에게 할당된 고무 채취량을 채우지 못하면 신체 일부를 절단하는 만행이 벌어져 국내외에서 격렬한 비난을 받았다.[55] 선교사들은 이러한 잔혹 행위를 기록하고 폭로했다.[57] 조지 워싱턴 윌리엄스는 1890년 7월 18일 "벨기에 국왕 레오폴 2세에게 보내는 공개 서한"에서 콩고 주민에게 저질러진 범죄와 학대를 상세히 설명했다.[64]
1882년 레오폴 2세는 콩고 국제 협회를 통해 콩고를 위탁 통치하게 했으며, 1885년 베를린 회의에서 공식적으로 국왕의 사유지가 되었다. 콩고 자유국에서 경작지는 모두 국왕 소유였고, 주민들은 상아와 고무 채취를 강요받았다. 규정량을 채우지 못하면 손발을 절단하는 잔혹한 형벌이 가해졌고, 전대미문의 압제와 착취가 이루어졌다. '콩고 자유국'의 '자유국'은 "주민이 자유로운 나라"가 아니라, ''자유 무역의 나라''라는 의미를 비꼬는 영어 속칭(Congo Free State)이며, 프랑스어 정식 국호는 '''콩고 독립국'''이었다.
조지프 콘래드의 소설 ''어둠의 심장''은 레오폴드의 착취에 대한 국제적 반대를 촉발시켰다.[58] 1900년 에드먼드 데인 모렐은 콩고에서 엄청난 양의 고무를 싣고 오는 배들이 공공군을 위한 총과 탄약만 싣고 돌아온다는 사실을 알고 레오폴드 정권을 비판했다.[59] 영국 영사 로저 케이스먼트는 콩고 자유국을 조사하여 1904년 케이스먼트 보고서를 통해 상세한 내용을 폭로했다. 케이스먼트는 모렐에게 콩고 개혁 협회 설립을 설득했고, 이 협회는 레오폴드의 통치를 종식시키기 위해 노력했다.[60][61][62] 영국 의회는 베를린 협정 검토 회의를 요구했고, 벨기에 의회는 레오폴드가 조사 위원회를 구성하도록 강요했다.[63]
국제 사회의 비난이 높아지자 벨기에 정부도 침묵할 수 없었다. 1908년 10월, 벨기에 정부는 식민지 헌장을 제정했고, 국왕은 보상금과 교환으로 콩고 자유국을 넘겨주었다. 같은 해 11월, 콩고 자유국은 벨기에 정부 직할 식민지 벨기에령 콩고가 되었다.
2. 3. 국제 사회의 비판과 벨기에의 합병
국제 사회와 콩고 독립국 본국, 심지어 벨기에 내에서도 레오폴 2세의 인권 침해를 비난하는 여론이 거세졌다. 이에 벨기에 의회는 콩고 독립국을 벨기에에 합병하고, 정부가 파견한 총독이 통치하는 체제로 전환하는 법률을 통과시켰다. 이 법률은 콩고 독립국 주민들의 인권을 보호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65] 그러나 레오폴 2세는 콩고 독립국에서 얻는 막대한 수입 때문에 소유권을 포기할 수 없다며 법률 제정에 반대했다. 하지만 결국 자신을 비난하는 여론에 밀려 콩고 독립국의 통치권을 포기하고 왕실 감독관들을 모두 철수시켰다.[66]1908년 콩고 독립국은 정식으로 벨기에에 합병되었고, 이 지역 내 인권 침해는 엄격히 금지되었다. 또한 많은 사회 간접 자본이 설치되었다. 이후 1960년 벨기에령 콩고라는 이름으로 존속하던 콩고 독립국 지역 전체가 벨기에로부터 독립하여 콩고 민주 공화국이 되었다.[65]
국제적 압력에 굴복한 벨기에 의회는 1908년 11월 15일 콩고 자유국을 합병하고 벨기에령 콩고 식민지로서 그 행정부를 인수했다. 벨기에령 콩고의 통치는 1908년 식민지 헌장에 요약되어 있었다. 실질적으로 권력을 잃었음에도 불구하고, 국제적인 감시는 1909년 12월 17일 브뤼셀에서 사망한 레오폴드 2세나 콩고의 양보 회사들에게 큰 손실이 아니었다. 그 무렵 동남아시아와 라틴 아메리카는 고무의 저비용 생산자가 되었다. 콩고의 자원 고갈의 영향과 함께, 국제적인 상품 가격이 콩고 추출이 수익성이 없는 수준으로 떨어졌다. 콩고 자유국에 대한 주권을 넘기기 직전에, 레오폴드는 재무부와 내무부의 기록을 포함하여 콩고 자유국에서 자신의 활동에 대한 모든 증거를 파기했다.[66]
국제 사회의 비난이 거세지자 벨기에 정부도 국왕의 자의적인 폭정에 침묵할 수 없었다. 1908년 10월, 벨기에 정부는 식민지 헌장을 제정했고, 국왕은 벨기에 정부로부터 보상금을 받고 콩고 자유국을 넘겨주었다. 같은 해 11월, 콩고 자유국은 벨기에 정부의 직할 식민지 벨기에령 콩고가 되었다. 이로 인해 통치 상황은 다소 개선되었고, 초등 교육 등이 도입되었다.
3. 경제
레오폴 2세는 콩고 자유국을 운영하면서 재정적 어려움에 직면했다. 1890년대 존 보이드 던롭이 발명한 고무 자전거 튜브와 자동차의 사용 증가는 고무에 대한 세계적인 수요를 크게 늘렸다. 이에 레오폴 2세는 콩고의 고무 자원을 독점하기 위해 원주민을 강제 노동에 동원했다.
지역 관리들의 급여는 삭감되었고, 그들이 콩고에서 레오폴 2세에게 돌려주는 수익에 따른 수수료로 보충되었다. 광범위한 비판 이후, 이 시스템은 '퇴직 수당'으로 대체되었지만, 실질적인 변화는 없었다.[38] 콩고 주민들은 국가 외에는 누구에게도 물품을 판매하는 것이 금지되었고, 고정 가격으로 고무와 상아를 할당량만큼 국가에 제공해야 했다.
베를린 조약에 따른 자유 무역 약속을 위반하면서, 국가는 상업적 실체가 되었고 레오폴 2세는 고무 무역을 독점했다. 인프라 측면에서는 마타디-킨샤사 철도가 1898년에 완공되었다.
레오폴 2세의 사설 군대인 Force Publique(FP)는 고무 할당량을 강제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FP는 원주민을 강제 노동자로 착취하고, 인질을 잡거나 고문하고, 콩고 사람들을 매질하고 강간하는 등 잔혹 행위를 저질렀다.[38] 또한 말을 듣지 않는 마을을 불태우고, 콩고 원주민의 손을 자르는 만행을 저질렀다. 인간의 손은 탄약이 낭비되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트로피로 수집되었다.[39]
3. 1. 초기 경제와 양보 제도
레오폴드 2세는 콩고 자유국 운영비를 감당하기 어려워 수입을 극대화하는 시스템을 도입했다. '비어 있는' 토지, 즉 거주지나 경작지가 없는 모든 토지를 국가 소유로 간주하여 이를 착취하도록 장려했다.[26] 브뤼셀 노예 반대 회의 이후에는 아프리카인들이 수확한 상아와 고무를 국가에만 판매하도록 하는 법령을 발표하여 국가 통제 독점 체제를 만들었다. 지역 엘리트들은 현물 세금을 통해 이 시스템에서 새로운 기회를 얻었다.[26]무역 회사들은 자유 무역 제약에 분노하여 레오폴드 2세가 다른 방법을 사용하도록 만들었다.[26] 1892년 법령으로 사기업에 광범위한 양보를 허용하고, 다른 지역에서는 제한적 거래와 세금을 부과했다. 도메인 시스템은 콩고인들에게 현물 세금을 부과했고, 지역 통치자들은 강제로 고무, 상아, 식량을 수집하게 했다. 자유국은 상승하는 시장 가격보다 낮은 가격을 지불했다.[27] 1892년 10월, 레오폴드 2세는 여러 회사에 양보를 허가하여 유럽 판매용 고무와 상아 수집 권한을 주었다. 이 회사들은 아프리카인들을 구금하고 감시하며 숲의 모든 제품을 가져갈 수 있었다. 회사는 자유국에 연간 배당금을 지불했고, 1901~1906년 고무 붐 시기에는 왕실 금고도 채웠다.[28]
콩고 자유 무역 지대는 유럽 기업가에게 개방되어 10년, 15년 독점 임대권을 구매할 수 있었다. 콩고의 거의 3분의 2는 국가 사유 재산인 ''Domaine Privé''가 되었다. 1893년, 레오폴드 2세는 자유 무역 지대의 259000km2를 ''Domaine de la Couronne''로 선포하고 고무 수입을 직접 챙겼다.[29] 1896년 고무 수요 급증으로 콩고 고무 부문은 막대한 돈을 벌었지만, 지역 인구에게는 큰 대가가 따랐다.[30]
19세기 마지막 10년 동안, 존 보이드 던롭의 고무 자전거 튜브(1887년)와 자동차 사용 증가는 고무 수요를 폭발적으로 증가시켰다. 레오폴드 2세는 1891년과 1892년에 원주민을 농노로 만드는 법령을 발표, 수확한 상아와 고무를 국가 관료에게 인도하도록 강요하여 독점을 완성했다. 콩고 노동자들은 덩굴을 베고 몸에 고무 래텍스를 발라 추출했는데, 굳으면 머리카락과 함께 고통스럽게 떼어냈다.[38]
레오폴드 2세의 사설 군대 Force Publique(FP)는 고무 할당량을 강제했다. 초기에는 상부 콩고에서 아랍 노예 무역에 맞서 싸우고, 경제적 이익을 보호하며, 봉기를 진압했다. 장교단은 백인 유럽인으로 구성되었고, 잔지바르, 서아프리카, 콩고 출신 병사들이 포함되었다. 레오폴드 2세는 노예 무역을 장려하여 FP 병력을 채웠다. 1890년대 FP의 주요 역할은 원주민을 강제 노동자로 착취하는 것이었다.
하마 가죽 채찍 ''chicotte''로 무장한 ''Force Publique''는 인질을 잡고 고문, 학살, 매질, 강간했다. 탈출한 난민은 "항상 숲 속에 있었고... 실패하면 병사들이 죽였다. 총에 맞거나 귀가 잘리고, 밧줄에 묶여 끌려갔다"고 증언했다.[38] 마을을 불태우고, 콩고 원주민의 손을 잘랐다. 인간의 손은 탄약이 낭비되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트로피로, 병사들은 사용한 총알마다 한 손을 제출해야 했다.[39]
3. 2. 고무 붐과 강제 노동
1885년에 '콩고 독립국'이 세워진 뒤, 레오폴 2세는 이곳에 국영 플랜테이션을 대거 신설하였다. 콩고 독립국은 사실상 벨기에 왕실 중심의 전제 군주국이었기 때문에, 국왕의 명령은 절대적이었고, 주민들은 엄청난 강제노역에 시달려야 했다. 주요 생산물은 고무였고, 레오폴 2세는 주민들에게 각자 할당된 목표량에 해당하는 고무를 채취해 오도록 시켰는데, 목표량을 채우지 못하면 신체의 일부를 절단하기도 하여, 현지 주민들은 물론, 국내외에서 격렬한 비난을 받게 되었다.[26] 또한, 레오폴 2세는 이러한 인권 침해 행위에 대하여 반성의 기미를 보이지 않고, 콩고 독립국에서 얻어진 수입으로 사치스러운 생활을 하여 콩고 독립국의 주민들과 국내외의 인도주의자들을 더욱 격분케 했다.레오폴드는 콩고 자유국 운영 비용을 감당할 수 없어 수입을 극대화하기 위한 시스템을 시작했다. 첫 번째 변화는 "비어 있는" 토지("terres vacantes") 개념을 도입한 것이었는데, 이는 거주지나 경작된 정원이 없는 모든 토지가 국가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브뤼셀 노예 반대 회의 (1889–1890) 직후, 레오폴드는 자유국의 아프리카인들이 수확한 제품(주로 상아와 고무)을 국가에만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법령을 발표했다. 국가는 가격을 설정하여 콩고인들이 노동에 대해 받을 수 있는 수입을 통제할 수 있었다.
1892년 법령은 ''terres vacantes''를 특정 사유지에서 고무 채취 권한을 국가에 귀속시키는 도메인 시스템으로 나누어, 레오폴드가 사기업에 광범위한 양보를 허용하도록 했다. 1892년 10월, 레오폴드는 여러 회사에 양보를 허가했다. 각 회사에는 유럽에서 판매할 고무와 상아를 수집할 수 있는 콩고 자유국의 광대한 토지가 주어졌다. 이 회사들은 충분히 열심히 일하지 않는 아프리카인들을 구금하고, 그들이 적합하다고 판단하는 대로 광대한 지역을 감시하며, 숲의 모든 제품을 자체적으로 가져갈 수 있었다. 고무 붐이 최고조에 달했던 1901년부터 1906년까지 이 배당금은 왕실 금고도 채웠다.[28]
1893년, 레오폴드는 자유 무역 지대의 가장 접근하기 쉬운 259000km2 부분을 잘라내어 "왕관의 봉토"(''Domaine de la Couronne'')로 선포했다. 고무 수입은 레오폴드에게 직접 갔으며, 그는 착취의 높은 비용을 자유국에 지불했다.[29] 1896년, 고무에 대한 세계적인 수요가 급증했다. 그해부터 콩고 고무 부문은 지역 인구에게 엄청난 대가를 치르면서 막대한 양의 돈을 벌어들이기 시작했다.[30]
19세기 마지막 10년 동안, 존 보이드 던롭의 1887년 발명품인 고무 자전거 튜브와 자동차의 사용 증가는 고무에 대한 세계적인 수요를 극적으로 증가시켰다. 콩고 자유국의 모든 자원을 독점하기 위해, 레오폴드는 1891년과 1892년에 원주민을 농노로 전락시키는 세 가지 법령을 발표했다. 고무는 나무에서 채취하는 브라질의 고무(''Hevea brasiliensis'')와 달리 정글의 야생 덩굴에서 나왔다. 고무를 추출하기 위해 덩굴을 두드리는 대신, 콩고 노동자들은 덩굴을 베어내고 고무 래텍스로 몸을 발랐다. 래텍스가 굳으면 고통스럽게 피부를 긁어냈는데, 머리카락도 함께 떼어냈다.
레오폴드의 사설 군대인 ''Force Publique''(FP)는 고무 할당량을 강제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Force Publique''의 장교단은 백인 유럽인만으로 구성되었다. 콩고에 도착했을 때, 군대에는 잔지바르, 서아프리카, 그리고 결국 콩고 출신의 사람들이 포함되었다. 1890년대 동안, FP의 주요 역할은 고무 무역을 증진하기 위해 원주민을 강제 노동자로 착취하는 것이었다.
하마 가죽으로 만든 채찍인 ''chicotte''로 무장한 ''Force Publique''는 정기적으로 인질을 잡고 고문했으며, 반란군의 가족을 학살하고, 콩고 사람들을 매질하고 강간했다. 그들은 또한 말을 듣지 않는 마을을 불태웠고, 어린이들을 포함한 콩고 원주민의 손을 잘랐다. 인간의 손은 탄약이 낭비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그들의 장교의 명령에 따라 트로피로 수집되었다. 장교들은 부하들이 스포츠를 위해 동물을 사냥하는 데 탄약을 낭비할 수 있다고 우려했기 때문에, 병사들에게 사용한 총알마다 한 손을 제출하도록 요구했다.[39] 이러한 신체 훼손은 또한 콩고인들을 굴복시키기 위해 공포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기여했다.



3. 3. 경제적 유산
레오폴드 2세는 콩고 자유국에 대한 개인적인 통제를 강화하면서 막대한 부채를 짊어졌다. 콩고 자유국의 대부분은 지도가 없는 정글이었고, 재정적, 상업적 수익이 거의 없었다.[24] 1890년대에 존 보이드 던롭이 발명한 고무 자전거 튜브와 자동차의 사용 증가는 고무에 대한 세계적인 수요를 극적으로 증가시켰다. 레오폴드는 원주민에게 수확한 상아와 고무를 국가 관료에게 인도하도록 강요하여 독점을 완성했다.[39]레오폴드의 사설 군대인 ''Force Publique''(FP)는 고무 할당량을 강제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Force Publique''는 정기적으로 인질을 잡고 고문했으며, 반란군의 가족을 학살하고, 콩고 사람들을 매질하고 강간했다.[38] 그들은 또한 말을 듣지 않는 마을을 불태웠고, 어린이들을 포함한 콩고 원주민의 손을 잘랐다. 인간의 손은 탄약이 낭비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트로피로 수집되었다.[39]
1886년에서 1908년 사이에 자유국은 다수의 우표를 발행했다. 이 우표는 일반적으로 야생 동물, 풍경, 원주민의 모습을 담고 있었다.[67][68] 동전은 벨기에 표준을 사용하여 1887년부터 1908년까지 주조되었다. 동전의 종류는 구리 1 상팀에서 은 5 프랑까지 다양했다.[69]


4. 콩고 자유국의 유산
레오폴드 2세는 헨리 모턴 스탠리에게 자이르강 유역 탐험을 지시했고, 1885년 베를린 회의에서 콩고 자유국을 국왕의 사유지로 인정받았다. 콩고 자유국 주민들은 상아와 고무 채취를 강요받았으며, 규정량을 채우지 못하면 손발이 절단되는 잔혹한 형벌을 받았다. 콩고 자유국의 '자유국'은 "주민이 자유로운 나라"가 아니라 ''자유 무역의 나라''라는 의미를 비꼬는 영어 속칭(Congo Free State)이었다.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구미 열강 각국에서도 비난이 쏟아졌다. 영국은 영사에게 실태 조사를 맡겼고, 저널리스트 에드먼드 모렐은 저서 『붉은 고무』를 통해 가혹한 형벌 아래에서의 고무 채취 실상을 폭로했다.
국제 사회의 비난이 거세지자 1908년 10월, 벨기에 정부는 식민지 헌장을 제정했고, 국왕은 콩고 자유국을 벨기에 정부에 양도했다. 같은 해 11월, 콩고 자유국은 벨기에 정부의 직할 식민지인 벨기에령 콩고가 되었다.
콩고 자유국을 압제적으로 통치한 레오폴드 2세에 대한 비판은 21세기에도 이어지고 있다. 2020년 6월, 반인종차별 시위가 벨기에로 확산되면서 앤트워프 시내에 있던 레오폴드 2세의 동상이 공격받아 철거되기도 했다.
원래 1897년에 창설된 크라운 훈장은 콩고 자유국에서 복무 중 달성한 영웅적인 행위와 공로에 대한 포상이었다. 이 훈장은 1908년 콩고 자유국이 폐지되면서 벨기에 국가 훈장으로 바뀌어 오늘날까지 수여되고 있다.
1886년에서 1908년 사이에 자유국은 다수의 우표를 발행했다. 이 우표는 일반적으로 야생 동물, 풍경, 원주민의 모습을 담고 있었다.[67][68]
동전은 벨기에 표준을 사용하여 1887년부터 1908년까지 주조되었다. 동전의 종류는 구리 1 상팀에서 은 5 프랑까지 다양했다. 낮은 액면가의 동전은 앞면에 별이 있고 구멍이 뚫려 있었으며, 높은 액면가의 동전은 레오폴드 2세의 흉상이 새겨져 있었다.[69]
4. 1. 인구 감소와 인권 유린의 상흔
1885년 '콩고 독립국'이 세워진 뒤, 레오폴 2세는 이곳에 국영 플랜테이션을 대거 신설하였다. 이곳은 사실상 벨기에 왕실을 중심으로 한 전제 군주국이었기 때문에 국왕의 명령은 절대적이었고, 콩고 독립국 주민들은 엄청난 강제노역에 시달려야 했다. 주요 생산물은 고무였고, 레오폴 2세는 주민들에게 할당된 목표량만큼 고무를 채취해 오도록 시켰는데, 목표량을 채우지 못하면 신체 일부를 절단하기도 하여 현지 주민은 물론 국내외에서 격렬한 비난을 받았다. 레오폴 2세는 인권 침해 행위에 대해 반성하기는커녕 콩고 독립국에서 얻은 수입으로 사치스러운 생활을 하여 콩고 독립국 주민과 국내외 인도주의자들을 더욱 격분케 했다.
고무 할당량을 채우지 못하면 사형으로 처벌했다. 무력부대는 누군가를 사살했을 때 희생자의 손을 증거로 제시해야 했는데, 그렇지 않으면 유럽에서 수입한 탄약을 사냥에 사용할 것이라고 믿었기 때문이다.[39] 그 결과 고무 할당량은 부분적으로 잘린 손으로 지불되었다. 때로는 무력부대 군인들이, 때로는 마을 사람들이 직접 손을 수집했다. 고무 할당량을 채우기 어려워 마을들이 손을 모으기 위해 이웃 마을을 공격하는 작은 전쟁도 있었다.
한 젊은 장교는 항의한 마을을 처벌하기 위한 습격을 묘사했다. 지휘관은 "남자들의 머리를 잘라 마을 울타리에 걸어놓고, 여자와 아이들은 십자가 형태로 울타리에 매달아 놓으라"고 명령했다. 콩고인을 처음 살해하는 것을 본 덴마크 선교사는 "군인은 '우리가 고무를 가져오지 않으면 그들이 우리를 죽입니다. 사령관은 우리가 손을 많이 가져오면 복무 기간을 단축시켜주겠다고 약속했습니다.'"라고 썼다.
포바스에 따르면 절단된 손 바구니는 유럽 전초 기지 지휘관의 발 앞에 놓여 콩고 자유국의 상징이 되었다. 손 수집은 그 자체가 목적이 되었다. ''무력부대'' 군인들은 고무 대신 손을 기지로 가져왔고, 심지어 고무 대신 손을 수확하러 나가기도 했다. 손은 일종의 통화가 되었다. 손은 고무 할당량 부족을 메우고, 강제 노동 부대에 필요한 사람들을 대체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무력부대'' 군인들은 수집한 손의 양에 따라 보너스를 받았다.
이론적으로 각 오른손은 살인을 증명했다. 실제로는 탄약을 절약하기 위해 군인들은 손만 자르고 희생자를 살리거나 죽게 내버려두는 방식으로 "속임수"를 썼다. 살아남은 사람들 중 상당수는 마치 죽은 척하며, 손이 잘려나갈 때도 움직이지 않고, 군인들이 떠날 때까지 기다렸다가 도움을 구함으로써 학살에서 살아남았다고 말했다. 일부 경우에는 병사가 다른 병사보다 더 많은 손을 가져옴으로써 복무 기간을 단축할 수 있었고, 일부 역사가들에 따르면 이로 인해 광범위한 신체 절단과 사지 절단이 발생했다.

식인 풍습은 자유국의 일부 지역에서 국가가 설립되었을 때 널리 퍼져 있었다. 콩고-아랍 전쟁 동안 벨기에 지휘관 프랜시스 다니스의 바테텔라 동맹국들이 패배한 전투원들의 시신을 광범위하게 식인했다는 보고가 있었다. 다니스의 군의관 시드니 랭퍼드 힌드 대위에 따르면, 냥그웨 정복 이후 수백 명이 식인한 "식인 축제"가 며칠 동안 이어졌으며, 머리만 기념품으로 보관되었다. 바테텔라 지도자 공고 루테테는 "수천 명의 사람들이 인간의 손과 갈비를 캠프파이어에서 구워 먹는 것을 보고 충격을 받아 며칠 동안 군대를 먹일 수 있을 정도로 숙소에 숨었다."
정부의 과도한 고무 할당량을 이행할 의지가 없거나 할 수 없는 마을에 대해 "징벌적 원정대"를 보낼 때, 자유국 관리들은 죄인으로 간주된 사람들의 임의적인 살인과 때때로 뒤따르는 원주민 군인들의 "식인 축제"에 대해 반복적으로 눈을 감았다. 유아와 노인을 포함한 포로를 군인이나 지역 동맹국에게 넘겨주어 암묵적으로 또는 명시적으로 그들을 죽이고 먹도록 허용하기도 했다.
콩고 인구 감소는 레오폴드 2세 통치 시작(1885년)과 벨기에 통치 시작(1908년) 때의 콩고를 비교한 모든 사람들이 주목하지만, 사망자 수 추정치는 다양하다. 일부 동시대 관찰자들은 이 기간 인구가 절반으로 감소했다고 추정한다. 에드먼드 D. 모렐에 따르면 콩고 자유국 인구는 "2천만 명"이었다. 마크 트웨인은 천만 명의 사망자 수를 언급했다.[43] 아일랜드 외교관 로저 케이스먼트는 "무차별 전쟁", 기아, 출생 감소, 질병의 네 가지 주요 원인으로 인구가 감소했다고 밝혔다. 수면병 또한 주요 사망 원인이었다. 레오폴드 2세 통치 반대자들은 행정부 자체가 전염병 확산에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
콩고 자유국 시작 당시 지역 인구 규모에 대한 초기 아이디어조차 제공하는 인구 조사가 없었기 때문에(최초 조사는 1924년 실시),[44] 이 기간 인구 변화를 정량화하기는 불가능하다. 1977년 포바스는 손실이 최소 5백만 명이라고 주장했다. 아담 호흐쉴드와 얀 반시나는 1천만 명을 사용한다. 호흐쉴드는 인류학자 얀 반시나 등이 현지 자료(경찰 기록, 종교 기록, 구전, 족보, 개인 일기)를 검토하는 여러 독립적인 조사 방식을 인용하는데, 이는 1919년 벨기에 정부 위원회 평가와 대체로 일치한다. 즉, 자유국 시대에 인구의 약 절반이 사망했다. 벨기에 당국 첫 공식 인구 조사가 1924년 약 1천만 명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다양한 접근 방식은 총 1천만 명 사망자에 대한 대략적인 추정을 제시한다.
얀 반시나는 총인구 감소 정량화 문제로 돌아가 콩고 전체에 고무 지역 50% 사망자 수를 추정했다는 이유로 호흐쉴드를 비판하며 이전 입장을 수정했다. 그는 쿠바 인구(콩고 인구 중 하나)가 레오폴드 2세 통치 초기 20년 동안 증가했으며, 1900년부터 1919년까지 주로 질병으로 25% 감소했다고 결론지었다.[45][46][47] 다른 사람들은 식민 통치 초기 40년 동안(1924년 인구 조사까지) 20% 감소했다고 주장했다.[48] 콩고 역사가 이자도르 은다이웰 에 은지엠은 1300만 명이 사망했지만, 《레오폴드의 유령》 출판 후 1000만 명으로 변경했다.[49] 1900년 아프리카 전체 인구는 9천만 명에서 1억 3300만 명 사이였다.[50][51]
최근 광범위한 인구 통계 연구는 호흐쉴드의 1천만 명 주장에 대한 비판에서 반시나와 일치한다. 1885년 인구 추정치는 약 1150만 명이다. 레오폴드 2세 통치 이후 첫 인구 조사는 1000만 또는 1030만 명으로, 약 120만 또는 150만 명 감소했다. 감소 원인은 다요인이었으며 출산율 감소, 질병, 기아, 무력 충돌, 대량 이민이 포함되었다.[52]
그러나 검증 가능한 완전한 기록은 존재하지 않는다. 루이스와 스텐거스는 레오폴드 통치 시작 시 인구 수치는 "추측"일 뿐이며, E. D. 모렐 등의 인구 손실 수치 산출 시도를 "상상력의 산물"이라고 부른다.[53] 신뢰할 수 있는 인구 통계 데이터 부재를 지적하는 저자들은 전자를 미니멀리스트이자 불가지론자라고 부르는 다른 사람들에게 질문받고 있으며,[54] 이러한 질문들이 여전히 격렬한 논쟁 대상임을 입증한다.
4. 2. 국제적 인식과 역사적 평가
벨기에의 레오폴드 2세는 1876년 브뤼셀 지리학 회의를 개최하여 중앙 아프리카에 대한 "인도주의적" 사업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원주민의 삶을 "개선"하고 "문명화"하려 했다.[13] 회의에서 레오폴드는 국제 아프리카 협회를 조직하고 의장으로 선출되어, 이를 통해 독립적인 중앙 아프리카를 점령하려는 계획을 추진했다.헨리 모턴 스탠리는 1876년부터 1877년까지 콩고 지역을 탐험했으며,[14] 1879년 8월부터 1884년 6월까지 콩고 분지에 머물면서 도로를 건설하고 현지 족장들과 조약을 체결하여 레오폴드에게 영토에 대한 권리를 넘겼다.[19] 카탕가 주에서 레오폴드를 섬긴 크리스티앙 드 봉샹은 이러한 조약에 대해 "이 작은 아프리카 폭군들과의 조약은 일반적으로 그들이 한 마디도 이해하지 못하는 네 페이지에 달하며, 평화를 얻고 선물을 받기 위해 십자가를 서명한다."라고 표현했다.[15]

레오폴드는 자신의 활동이 자선적인 "협회"라는 이름 아래 원주민들에게 이익이 된다는 가면을 유지하며, 다른 유럽 열강들에게 자신의 주장의 정당성을 설득하기 위한 계획을 세웠다. 그는 영국에는 최혜국 지위를, 독일에는 특별 지위를 부여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프랑스에는 콩고 북쪽 강둑 전체에 대한 프랑스의 소유권을 지원하고, 자신의 개인적 재산으로 콩고 전체를 유지하기에 부족할 경우 프랑스에 귀속되어야 한다는 제안을 했다. 1884년 4월 23일, 국제 협회의 콩고 남부 분지에 대한 주장은 프랑스에 의해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15]
레오폴드는 미국에 지원을 요청하여, 체스터 A. 아서 대통령에게 스탠리가 협상했다고 주장하는 조약의 편집된 사본을 보내고, 협회가 원주민에게 권력을 넘겨줄 것을 제안했다. 그는 미국 사업가 헨리 셸턴 샌포드의 도움을 받아 아서 대통령을 설득했고, 미국은 콩고를 합법적인 주권 국가로 인정한 최초의 국가가 되었다.[16]
1879년 이후 국제 아프리카 협회가 붕괴된 후, 레오폴드의 활동은 "상부 콩고 연구 위원회"(Comité d'Études du Haut-Congo프랑스어)의 후원 아래 진행되었지만, 이 위원회도 결국 해체되었다.
레오폴드는 1879년부터 1882년 사이에 국제 콩고 협회 (Association internationale du Congo프랑스어, 약칭 AIC)를 만들어 획득한 영토들을 하나의 주권 국가로 통합하고자 했고, 1884년 4월 22일 미국의 체스터 A. 아서 대통령은 콩고 지역에 대한 국제 콩고 협회의 주장을 인정하여 최초로 이를 인정한 국가가 되었다.[16]
미국이 레오폴드의 식민지를 인정한 후, 다른 서방 열강들은 이 소식을 놓고 심사숙고했다. 영국은 프랑스의 팽창에 불안감을 느꼈고, 독일의 오토 폰 비스마르크는 경쟁국인 영국과 프랑스가 식민지에서 배제되는 것을 기뻐했다.[3]
1885년, 콩고 분지에 벨기에의 영향력을 확립하려는 레오폴드의 노력은 ''콩고 자유국''(CFS)으로 보상받았다. 벨기에 의회에서 통과된 결의안에 따라 레오폴드는 콩고 자유국의 ''roi souverain'', 즉 주권 국왕이 되었고, 그는 거의 절대적인 통제권을 누렸다.[19]

레오폴드는 콩고 자유국의 통치자로서 '콩고 자유국 주권자'라는 칭호를 사용했다. 그는 내무, 외무, 재무의 세 부처의 장을 임명했다. 각 부처는 사무총장(''secrétaire-général'')이 이끌었는데, 이들은 주권자의 정책을 시행하거나 사임해야 했다.
조지프 콘래드의 소설 ''어둠의 심장''은 레오폴드의 착취 활동에 대한 조직적인 국제적 반대를 촉발시켰다. 1900년, 에드먼드 데인 모렐은 콩고에서 엄청난 양의 고무를 실어 나르는 배들이 ''공공군''을 위한 총과 탄약만 싣고 돌아온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58] 모렐은 언론인이자 출판인이 되어 레오폴드의 정권을 비판했다.
콩고 자유국에서의 만행에 대한 대중의 항의가 거세지자 영국 정부는 공식 조사를 시작했다. 1903년, 하원 의원들은 영국 정부가 베를린 협정 위반 혐의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도록 요구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로저 케이스먼트는 콩고 자유국으로 파견되어 조사를 진행했고, 1904년 상세한 목격자 보고서인 케이스먼트 보고서를 출판했다.


모렐은 케이스먼트와 함께 콩고 개혁 협회를 설립하고 운영하여 콩고 자유국에 대한 레오폴드의 통치를 종식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콩고 개혁 운동의 회원으로는 아서 코난 도일 경, 마크 트웨인, 조지프 콘래드, 부커 T. 워싱턴, 버트런드 러셀 등이 있었다.
영국 의회는 1885년 베를린 협정 검토를 위한 회의를 요구했다. 벨기에 의회는 레오폴드가 독립 조사 위원회를 구성하도록 강요했고, 1905년에 케이스먼트의 보고서를 확인했다.


조지 워싱턴 윌리엄스는 1890년 7월 18일에 보낸 "벨기에 국왕이자 콩고 독립국 국왕 폐하 레오폴드 2세에게 보내는 공개 서한"에서 콩고 거주민에게 저질러진 범죄와 전반적인 학대에 대해 자세히 설명했다.[64]
1998년 아담 호흐쉴드의 저서 《레오폴드 왕의 유령》이 출판된 후, 그는 "콩고에서의 살해는 집단학살의 규모였지만, 엄밀히 말하면 집단학살은 아니었다"고 썼다.[70]
2006년 영국 의회에 제출된 초동 의안은 "레오폴드 왕의 정권의 비극"을 집단학살로 묘사하고 벨기에 정부의 사과를 요구했다. 이 안은 48명의 국회의원의 서명을 받았다.[72]
레오폴드 2세는 스탠리에게 자이르강 유역을 탐험하게 했고, 1885년 베를린 회의에서는 콩고 자유국이 국왕의 사유지가 되었다.
콩고 자유국에서는 주민들이 상아와 고무 채취를 강요받았고, 규정량에 도달하지 못하면 손발을 절단하는 잔혹한 형벌이 가해졌다. 콩고 자유국의 '자유국'이란, "주민이 자유로운 나라"라는 의미가 아니라, ''자유 무역의 나라''라는 의미를 비꼬아 이르는 영어의 속칭(Congo Free State)이다.
인도주의 입장에 따라 구미 열강 각국에서도 비난이 쇄도했다. 영국은 영사에게 실태 조사를 하게 했고, 저널리스트 에드먼드 모렐은 『붉은 고무』라는 저서를 통해 가혹한 형벌 아래에서의 고무 채취 실상을 폭로했다.
국제 사회의 비난이 높아지자 1908년 10월, 벨기에 정부는 식민지 헌장을 제정했고, 국왕은 콩고 자유국을 벨기에 정부에 넘겨주게 되었다. 같은 해 11월, 콩고 자유국은 벨기에 정부의 직할 식민지 벨기에령 콩고가 되었다.
콩고 자유국을 압제로 지배한 레오폴드 2세에 대한 비판은 21세기에도 계속되고 있다. 2020년 6월, 반인종차별 시위가 벨기에로 확산되었을 때, 앤트워프 시내에 있던 레오폴드 2세의 동상이 공격을 받아 철거되었다.
4. 3. 벨기에와의 관계
레오폴 2세의 인권 침해를 규탄하는 여론이 벨기에를 포함한 국외와 콩고 독립국 본국에서 거세어지자, 벨기에 의회는 콩고 독립국을 벨기에에 합병하고 정부 파견 총독이 통치하는 체제로 전환하는 법률을 통과시켰다.[65] 그러나 레오폴 2세는 콩고 독립국에 대한 소유권 포기를 거부하며 법률 제정에 반대했다. 하지만 결국 비난 여론에 굴복하여 콩고 독립국의 통치권을 포기하고 왕실 감독관들을 철수시켰다.1908년 콩고 독립국은 벨기에에 정식으로 합병되었고, 인권 침해가 엄금되고 많은 사회 간접 자본이 설치되었다.[66] 이후 1960년 벨기에령 콩고라는 이름으로 존속하던 콩고 독립국 지역 전체가 벨기에로부터 독립하여 콩고 민주 공화국이 되었다.
국제 여론은 콩고 자유국의 정권 개혁 제안에도 불구하고 국왕 통치 종식을 지지했으며, 벨기에는 콩고 자유국 병합을 위한 유럽 국가였다. 2년간의 토론과 선거를 거쳐 벨기에 의회는 1908년 11월 15일 콩고 자유국을 합병하고 벨기에령 콩고 식민지로서 행정부를 인수했다. 벨기에령 콩고의 통치는 식민지 헌장에 요약되어 있었다.[65]
콩고 자유국 주권 이양 직전, 레오폴 2세는 재무부와 내무부 기록을 포함한 콩고 자유국 활동 증거를 파기했다. 레오폴 2세는 절대적 권력을 잃었지만, 인구는 벨기에 식민지 정권을 갖게 되었고, 교회, 국가, 사기업은 주민 복지를 감독하게 되면서 온정주의적이 되었다.[66]
1908년 10월, 벨기에 정부는 식민지 헌장을 제정했고, 국왕은 보상금과 교환으로 콩고 자유국을 넘겨주었다. 같은 해 11월, 콩고 자유국은 벨기에 정부 직할 식민지 벨기에령 콩고가 되었다. 이로 인해 통치 실상은 다소 개선되었고, 초등 교육 도입 등이 이루어졌다.
참조
[1]
백과사전
personal union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023-07-11
[2]
서적
Political Awakening in the Congo: The Politics of Fragmentation
https://books.google[...]
Univ of California Press
2023-04-28
[3]
서적
France and Britain in Africa. Imperial Rivalry and Colonial Rule
Yale University Press
[4]
간행물
"It didn't happen at Berlin: Politics, economics and ignorance in the setting of Africa's colonial boundaries."
Pinter
[5]
간행물
"Stanley au service de Léopold II: La fondation de l'Etat Indépendant du Congo (1878–1885)"
Royal Museum for Central Africa
[6]
서적
The Berlin West African Conference, 1884–1885
Longmans Green
[7]
웹사이트
De koning in Kinshasa die nooit in Congo was [Slot]
https://www.mo.be/we[...]
2024-02-19
[8]
웹사이트
Congo Free State
https://www.britanni[...]
Britannica
2021-04-22
[9]
뉴스
Massacre in Congo State
https://timesmachine[...]
1900-01-05
[10]
뉴스
Being Colonized. The Kuba Experience in Rural Congo, 1880–1960
https://www.theguard[...]
2010
[1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From the earliest times to c. 500 BC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서적
World Exploration From Ancient Times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13]
서적
European atrocity, African catastrophe : Leopold II, the Congo Free State and its aftermath
Routledge
[14]
서적
Through the Dark Continent
https://archive.org/[...]
Harper and Brothers
[15]
웹사이트
L'Expédition du Katanga, d'après les notes de voyage du marquis Christian de Bonchamps
http://collin.franco[...]
Edouard Charton (editor): Le Tour du Monde magazine
2007-05-05
[16]
뉴스
Sanford Was Pawn In Congo Plot
https://www.orlandos[...]
2018-12-01
[17]
웹사이트
US Navy Congo River Expedition of 1885
https://www.history.[...]
[18]
서적
Above the fray: The Red Cross and the making of the humanitarian NGO sector
https://press.uchica[...]
Univ. of Chicago Press
2020
[19]
문서
New International Encyclopedia
[20]
학술지
The blurred lines of legality. Customs and contraband in the Congolese M'Bomu Region (1889–1908)
https://www.academia[...]
2014
[21]
서적
Colonialism in Africa, 1870–1914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
웹사이트
Congo's brutal regime under King Leopold II of Belgium : Western Civilization II Guides
http://westerncivgui[...]
2012-03-27
[23]
서적
Beyond the Bend in the River. African Labor in Eastern Zaïre, 1865–1940
Ohio University Press
[24]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1985
[25]
서적
With Captain Stairs to Katanga
Sampson Low, Marston & Co
[26]
학술지
The Trouble with Tariffs: Customs Policies and the Shaky Balance between Colonial and Private Interests in the Congo (1886–1914)
https://www.academia[...]
2015
[27]
간행물
"The Economics of the Kwango rubber trade c. 1900"
Lembeck
[28]
서적
Colonial Exploit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The Belgian Congo and the Netherlands Indies Compared
Routledge
[29]
서적
"Combien le Congo à-t-il coûté à la Belgique"
Académie Royale des Sciences Coloniale
[30]
학술지
The end of red rubber: a reassessment
1975
[31]
문서
Chapter X–XI
[32]
웹사이트
L'Expédition du Katanga, d'après les notes de voyage du marquis Christian de Bonchamps
http://collin.franco[...]
Edouard Charton (editor): Le Tour du Monde magazine
[33]
문서
Bennett and Brode
[34]
서적
Slavery in the Twentieth Century: The Evolution of a Global Problem
AltaMira Press
[35]
서적
Ends of British Imperialism
I.B.Tauris
[36]
서적
The Congo State: Or, The Growth of Civilisation in Central Africa
W. Thacker & Company
1898
[37]
웹사이트
Lado Enclave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1-07-19
[38]
서적
Colonial Encounters in the Age of High Imperialism
HarperCollins
[39]
서적
The World's Worst Atrocities
Octopus Publishing Group
1999
[40]
서적
King Leopold's Rule in Africa
https://archive.org/[...]
Funk & Wagnalls
1905
[41]
간행물
Light on the Dark Continent: The Photography of Alice Seely Harris and the Congo Atrocities of the Early Twentieth Century
http://www.thefreeli[...]
2002-10
[42]
서적
The Troubled Heart of Africa: A History of the Congo
St. Martin's Press
2002
[43]
서적
King Leopold's soliloquy a defense of his Congo rule
P. R. Warren Co.
1905
[44]
서적
Encyclopedia of Genocide and Crimes Against Humanity
Macmillan
[45]
문서
Jan Vansina is an anthropologist that made quantitative estimates based on qualitative research.
[46]
서적
Being Colonized: The Kuba Experience in Rural Congo, 1880–1960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2010
[47]
서적
Belgium and the Congo, 1885–198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8]
Webarchive
http://www.congo2005[...]
2017-08-31
[49]
서적
Histoire générale du Congo: De l'héritage ancien à la République Démocratique
[50]
간행물
What Went Wrong with Africa?
[51]
문서
World Population Prospects: The 2006 Revision
[52]
문서
Amandine Lauro et al., Le Congo colonial: une histoire en questions, Polis, 2020, chapter 7 [page 107-117]
[53]
서적
E. D. Morel's History of the Congo Reform Movement
Clarendon Press
1968
[54]
간행물
Towards a History of Mass Violence in the Etat Indépendant du Congo, 1885–1908
http://eprints.white[...]
[55]
서적
African Americans in Africa: Black Missionaries and the Congo Atrocities 1890–1910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56]
서적
The Congo from Leopold to Kabila
https://archive.org/[...]
Zed Books
2002
[57]
서적
The Ivory Leg in the Ebony Cabinet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2001
[58]
간행물
Slave Cocoa and Red Rubber: E. D. Morel and the Problem of Ethical Consumption
2013
[59]
간행물
"Reviewed Work: AFFAIRS OF WEST AFRICA by E. D. Morel"
https://www.jstor.or[...]
1969-06
[60]
서적
Martial Frindéthié: Francophone African Cinema: History, Culture, Politics and Theory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4-01-10
[61]
Webarchive
Exemplifying the Horror of European Colonization:Leopold's Congo
http://www.Hawaii.ed[...]
2020-11-19
[62]
뉴스
Belgium exhumes its colonial demons
https://www.theguard[...]
2002-07-13
[63]
Webarchive
The Congo From Leopold to Lumumba
https://web.stanford[...]
2020-07-28
[64]
웹사이트
George W. Williams – Ohio History Central
http://www.ohiohisto[...]
2018-12-01
[65]
서적
Léopold II et la Charte Coloniale
Editions Mols
2009
[66]
문서
Manning, Patrick, The African Diaspora, pg. 227.
[67]
문서
Stamps of Congo Free State – Wikimedia Commons
[68]
뉴스
Congo Free State #24 (1894)
https://stampaday.wo[...]
2017-08-16
[69]
웹사이트
Let's Go to Africa
https://www.pcgs.com[...]
2017-12-10
[70]
간행물
The King, the Cardinal and the Pope: Leopold II's genocide in the Congo and the Vatican
[71]
간행물
In the Heart of Darkness
http://www.nybooks.c[...]
2005-10-06
[72]
웹사이트
Early day motion 2251 – COLONIAL GENOCIDE AND THE CONGO
http://www.parliamen[...]
2017-12-10
[73]
서적
レオポルド王の独白 彼のコンゴ統治についての自己弁護
[74]
웹사이트
ベルギーで元国王像が撤去される 植民地時代の圧政象徴 米黒人暴行死受け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20-06-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