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우티케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우티케스는 5세기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수도사로, 그리스도의 인성이 제한적이거나 불완전하다고 주장하여 논란을 일으켰다. 그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시노드와 에페소스 공의회에서 이단으로 비난받았으며, 칼케돈 공의회에서 단죄되었다. 그의 주장은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에 대한 논쟁을 촉발했고, 칼케돈 공의회를 거부한 이들은 단성론자로 불리며 오리엔트 정교회로 발전했다. 에우티케스는 유배지에서 사망했으며, 그의 사상은 '에우티케스주의'라는 용어로 비칼케돈주의를 비판하는 데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세기 기독교 성직자 - 디오니시우스 엑시구스
    디오니시우스 엑시구스는 6세기 수도승이자 학자로, 성서학과 교회법에 능통했으며, 서기 연대표를 고안하고 부활절 계산법을 통해 교회 간의 논쟁을 해결하는 데 기여하여 서방 교회의 법 체계와 달력 체계 확립에 큰 영향을 미쳤다.
  • 450년대 사망 - 테오도레토스
    테오도레토스는 393년경 안티오크에서 태어나 457년경 사망한 시리아의 신학자이자 키루스의 주교로, 안티오키아 학파의 전통을 따라 성경 해석과 기독론에서 독자적인 견해를 보였으며 교회사, 성경 주석, 신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폭넓은 저작을 남겼다.
  • 450년대 사망 - 아퀴테인의 프로스퍼
    아퀴테인의 프로스페르는 5세기 서방 교회의 신학자이자 작가, 펠라기우스주의 반대 운동가로서 아우구스티누스의 가르침을 옹호하고 펠라기우스주의를 비판했으며, 교황 레오 1세의 비서로 활동하며 신학적 논쟁 참여, 역사적 사건 기록, 서구 사회 역사 의식 고취에 기여했다.
에우티케스
기본 정보
비잔틴 총대주교 십자가
비잔틴 총대주교 십자가
출생378년경
사망454년경
존경동방 정교회
축일4월 6일
주요 직책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국적로마
활동 시기5세기
직업수도사
사제
거주지콘스탄티노폴리스
기타 정보
업적에우티케스주의 창시

2. 생애

그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성 밖에서 존경받는 대수도사제로서 300명의 수도사를 다스렸으며, 테오도시우스 2세의 궁정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환관인 크리사피우스(Chrysaphius)의 대부였다.[7][2]

3. 논란

에우티케스를 둘러싼 논란은 381년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이후 그리스도의 신성에 대한 이견에서 시작되었다. 라오디케이아의 아폴리나리스가 처음 제기한 이 문제는 안티오키아 학파네스토리우스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 간의 논쟁으로 이어졌다. 네스토리우스는 마리아를 '하느님의 어머니'가 아닌 '그리스도의 어머니'라고 불러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단순한 호칭 문제가 아니라 예수의 신성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이었다. 네스토리우스는 그리스도가 마리아에게서 인간적인 본성과 인격만을 가지고 태어났으며, 신적인 본성과 인격은 마리아에게서 오지 않았다고 주장하여 431년 에페소스 공의회에서 이단으로 단죄되었다.

이후 그리스도의 본성에 대한 논쟁은 알렉산드리아 학파와 안티오키아 학파 사이에서 다시 불거졌다.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수도원장이었던 에우티케스는 그리스도가 성부와는 동일본질이지만 인간과는 동일본질이 아니라고 주장하며 논란을 일으켰다. 그는 예수 그리스도는 인간과 신적인 요소의 혼합된 존재라고 보았고, 451년 칼케돈 공의회에서 이단으로 단죄되었다.[8]

3. 1. 칼케돈 공의회와 단성론 논쟁

그리스도의 본성에 관한 에우티케스의 단성론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네스토리우스마리아를 "하느님의 어머니"(그리스어로 ''테오토코스'')라고 칭하는 것을 거부하여 이단으로 비난받았다.[3] 네스토리우스에 대항하여 에우티케스는 그리스도가 "인간적 요소와 신성적 요소의 융합"이라고 주장하여[3] 448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시노드와 451년 칼케돈 공의회에서 이단으로 비난받았다.

네스토리우스는 그리스도의 인간적인 경험과 속성은 하느님 말씀과 구별되는 인격적 주체로서 '그 사람'에게 귀속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콘스탄티노폴리스 시노드의 교부들은 에우티케스가 반대로 인간 본성과 신성한 본성이 변형, 흡수 또는 혼합 없이 그리스도의 단일 본성으로 결합되었다고 주장했다고 말했다. 이는 성육신하신 말씀의 본성이었다. 에우티케스는 그리스도가 "우리와 동일본질"이라는 것을 부정함으로써, 그리스도의 완전한 인간성을 부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라, 그의 독특성을 강조하기 위해 키릴로스보다 더 나아갔다고 비난받았다.

에우티케스는 그리스도의 인성이 제한적이거나 불완전하다는 것을 부인했다. 448년 안티오키아의 돔누스 2세와 도릴라이움의 주교 에우세비우스는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플라비아누스가 주재한 시노드에서 에우티케스를 이단으로 고발했다. 공의회는 그의 해명이 불만족스럽다고 여겨 그를 성직에서 해임하고 파문했다.

449년, 알렉산드리아의 디오스코루스가 에우티케스가 단성론을 포기했다고 생각하여 제2차 에페소스 공의회를 소집했다. 공의회는 에우티케스를 복직시켰을 뿐만 아니라 그의 주요 반대자인 에우세비우스, 돔누스, 플라비아누스를 해임했다. 이 결정은 레오 1세의 의견과 충돌했는데, 레오 1세는 두 본성과 한 인격의 교리를 지지하는 플라비아누스에게 편지를 썼다.

테오도시우스 2세 황제가 사망하고, 그의 후계자 마르키아누스는 테오도시우스의 누이인 풀케리아와 결혼했다. 451년 10월, 마르키아누스와 풀케리아는 제4차 에큐메니컬 공의회를 소집했다. 에페소스 시노드는 "강도 시노드"라고 불렸고, 디오스코루스는 정죄받았다. 이전 시노드의 절차는 무효화되었고, 알렉산드리아의 키릴의 가르침에서 더 단성론적인 경향에 따라, 두 본성은 그리스도 안에서 결합된다고 선언되었다(어떠한 변화, 흡수 또는 혼동 없이). 에우티케스는 유배지에서 죽었지만, 그의 말년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칼케돈 공의회를 승인하지 않은 사람들은 "단성론자"로 고발되었고, 오늘날에는 "오리엔트 정교회"로 알려져 있다.

참조

[1] 백과사전 Eutyches https://www.britanni[...] 2022-01-01
[2] 웹사이트 Chapman, John. "Eutyches." The Catholic Encyclopedia. Vol. 5.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 1909. 21 Jan. 2014 http://www.newadvent[...] 2014-01-21
[3] 웹사이트 The Great Heresies http://www.catholic.[...] 2007-07-03
[4] 서적 Claiming the Mantle of Cyril: Cyril of Alexandria and the Road to Chalcedon Peeters
[5] 학술지 The trial of Eutyches: A new interpretation https://www.academia[...]
[6] 학술지 Eutychianorum furor! Heresiological Comparison and the Invention of Eutychians in Leo I's Christological Polemic https://er.ceres.rub[...] 2022-01-25
[7] 웹인용 Chapman, John. "Eutyches." The Catholic Encyclopedia. Vol. 5.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 1909. 21 Jan. 2014 http://www.newadvent[...] 2018-04-10
[8] 웹인용 통시성경공부 http://www.seejesus.[...] 2018-04-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