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네스토리우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스토리우스는 4~5세기 동로마 제국의 신학자로,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이 분리된 두 개의 독립된 존재라는 주장을 펼쳤다. 그는 콘스탄티노폴리스 대주교를 역임하며, 마리아를 "신의 어머니"로 칭하는 것에 반대하고 "그리스도의 어머니"로 부를 것을 주장했다. 그의 주장은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를 중심으로 한 알렉산드리아 학파와 대립을 일으켰고, 431년 에페소스 공의회에서 이단으로 정죄되어 파면당했다. 이후 동방으로 널리 퍼져나가 경교라는 이름으로 융성했으며, 현대에는 아시리아 동방 교회가 그를 성인으로 존경한다. 최근에는 그의 교설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알렉산드리아 학파와의 정치적, 신학적 갈등이 이단 정죄의 배경이 되었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451년 사망 - 배송지
    배송지는 동진과 유송 시대의 인물로, 진수의 《삼국지》에 대한 방대한 주석 작업인 '배송지주'를 완성하여 《삼국지》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정치적 역량도 발휘하며 역사 연구에 기여했다.
  • 451년 사망 - 장손도생
    장손도생은 북위의 인물로, 탁발사를 섬기며 군사적 업적을 세우고 송나라의 침공을 막아냈으며, 사공과 시중을 역임하고 상당왕에 봉해졌으며 82세로 사망했다.
  • 386년 출생 - 동진 공제
    동진 공제는 동진의 11대 황제이자 유유의 괴뢰 황제였으며, 환현의 난과 유유의 권력 장악으로 정치적 입지를 잃고 유유에게 선양을 강요당해 동진이 멸망한 후 암살되었다.
  • 386년 출생 - 모용책
    모용책은 후연의 황족으로 복양왕에 봉해졌으며 모용보의 총애를 받았고, 황태자로 책봉되었으나 난한의 반란으로 살해당했으며 사후 헌애라는 시호가 증정되었다.
  • 초기기독교 7대 공의회에서 결의된 이단자 - 오리게네스
    3세기 중반 알렉산드리아에서 활동한 초기 그리스도교 신학자이자 성서학자인 오리게네스는 헬라어 문학과 철학을 가르치며 생계를 유지하고 알렉산드리아 교리학교에서 교리학자로 활동하며 방대한 저술을 남겼으나, 일부 논란적인 주장으로 사후 이단으로 정죄받았음에도 그의 성경 해석학과 신학적 업적은 후대 교회와 성서 연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초기기독교 7대 공의회에서 결의된 이단자 - 교황 호노리오 1세
    교황 호노리오 1세는 앵글로색슨 선교 지원과 기독교 건축물 재건에 힘썼으나, 단의론 논쟁에 휘말려 사후 파문되었고, 이슬람의 부상을 인지했다.
네스토리우스
기본 정보
네스토리우스의 이미지
네스토리우스의 초상 (17세기 네덜란드 조각가가 상상하여 그림)
존칭 접두사마르
이름네스토리우스
출생 연도기원후 386년경
사망 연도기원후 451년경 (64세 또는 65세)
기념일10월 25일, 덴하의 다섯 번째 금요일, 마르 테오도로스와 마르 디오도로스와 함께
숭배 대상아시리아 동방교회
고대 동방교회
출생지게르마니키아, 시리아 속주, 로마 제국 (현재의 카흐라만마라슈, 튀르키예)
사망지그레이트 오아시스 오브 히비스 (알-카르가), 이집트
직함콘스탄티노폴리스 대주교, 그리스 교회 교부
관심사기독론, 테오토코스
신학
기독론테오토코스

2. 생애

381년 시리아 게르마니키아(현재 터키 카흐라만마라슈)에서 태어난 네스토리우스는 모프수에스티아의 테오도로스에게서 안티오키아 신학을 배우고, 안티오키아에서 사제, 수도사, 설교자로 활동하다 428년 콘스탄티노폴리스 대주교로 임명되었다.[3] 그는 키릴로스를 중심으로 한 알렉산드리아 학파와 신학적 견해 차이로 대립했다.

네스토리우스는 주교가 된 후, 그리스도의 어머니 마리아에게 "신의 어머니" 테오토코스(theotokos)라는 칭호를 사용하는 것에 반대하며, "그리스도의 어머니" 크리스토토코스(Christotokos)라는 칭호를 제안했다. 그는 마리아가 인간과 신적 존재 모두를 포함하는 "그리스도"를 낳았다고 주장했다.[2]

네스토리우스는 예수 그리스도의 인성과 신성이 완전히 독립된 두 개의 자립 존재(휘포스타시스)로 병존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그의 주장은 그리스도론 논쟁을 일으켰고, 플라톤주의에 기반한 알렉산드리아 학파와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에 기반한 안티오키아 학파 간의 격렬한 대립으로 이어졌다.

동로마 제국 황제 테오도시우스 2세서로마 제국 황제 발렌티니아누스 3세431년 에페소스 공의회를 소집하여 이 논쟁을 해결하려 했다. 그러나 네스토리우스는 키릴로스와 에페소스 주교 멤논의 음모로 인해 이단으로 선언되고 주교직에서 파면되었다. 키릴로스 역시 소동의 책임을 지고 일시 파면되었으나 후에 복직했다.

이후 네스토리우스는 이집트로 망명하여 상 이집트 이비스의 수도원에서 은둔 생활을 했다. 450년에는 『다마스쿠스의 헤라클레이데스의 논』을 저술하여 자신의 신학을 변호했는데, 이 책은 1910년에 재발견되어 네스토리우스 연구에 큰 영향을 주었다. 네스토리우스는 451년 이집트에서 사망했다.

2. 1. 탄생과 초기 활동

381년시리아 속주에서 태어나 안티오키아에서 몹수에스티아의 테오도로스에게 안티오키아 신학을 배웠다.[3][4] 그는 안티오키아에서 사제이자 수도사, 설교자로 활동하며 명성을 얻었다. 설교를 통해 점차 세간의 명성을 얻으면서 428년 테오도시우스 2세에 의해 콘스탄티노폴리스 대주교로 임명되었다.

2. 2. 콘스탄티노플 대주교

428년 테오도시우스 2세에 의해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로 임명되었다.[3] 그는 성벽 근처의 유프레피우스 수도원에서 사제이자 수도사로 생활하며 설교로 명성을 얻었고, 이로 인해 시시니우스 1세가 사망한 후 총대주교가 되었다.

네스토리우스는 마리아에게 「테오토코스(theotokos)」라는 칭호를 붙이는 것을 반대하였다. 그는 「테오토코스」를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신을 낳는 자"가 되어, 생성·변화를 겪지 않아야 할 신에게 탄생을 귀속시키게 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대신 그는 「그리스도의 어머니(Christotokos)」라는 칭호를 쓸 것을 제안하며, 마리아는 인간적 존재와 신적 존재 양쪽을 포함하는 "그리스도"를 낳은 자라고 주장했다.

2. 3. 그리스도론 논쟁

네스토리우스는 예수 그리스도가 '신'으로서의 예수와 '인간'으로서의 로고스 인격을 가지고 있다는 주장을 인정하지 않았다. 그는 신성과 인성이 한 몸 안에 유기적, 기계적으로 연합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네스토리우스는 그리스도가 완전한 인간으로 도덕적으로만 이어져 있으며, 예수는 신인(神人)이라기보다는 신을 담당하는 사람이었다고 보았다. 이러한 주장은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를 중심으로 한 알렉산드리아 학파와 격렬한 대립을 일으켰다.

5~7세기 기독론 스펙트럼


알렉산드리아 학파는 플라톤 철학의 영향을 받았고, 안티오키아 학파는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영향을 받았다. 네스토리우스는 성육신한 그리스도 안에 두 개의 뚜렷한 위격이 있다고 주장했는데, 하나는 신성이고 다른 하나는 인간이었다. 그러나 에페소스 공의회를 받아들이는 교회는 성육신한 그리스도 안에 하느님과 인간이 동시에 존재하는 단일 위격이 있다는 위격적 연합 교리를 가르친다.[1]

네스토리우스의 반대자들은 그가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을 두 인격으로 분리하여 성육신의 실체를 부인했다고 비난했다. 네스토리우스를 이단으로 처음 고발한 사람은 평신도 도릴라이움의 에우세비우스였지만, 가장 강력한 반대자는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루스 총대주교였다.[1]

키릴루스는 교황 첼레스티노 1세에게 결정을 요청했고, 첼레스티노는 키릴루스에게 네스토리우스가 10일 안에 자신의 가르침을 바꾸지 않으면 파문할 권한을 위임했다. 430년, 네스토리우스는 황제와 공의회를 소집하기로 합의했고, 431년 테오도시우스 2세 황제는 에페소스에서 공의회를 소집했다. 황제와 그의 아내는 네스토리우스를 지지했지만, 교황 첼레스티노는 키릴루스를 지지했다.[1]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루스는 에페소스 공의회를 주관하여 네스토리우스를 이단으로 선언하고 폐위시켰다. 안티오키아의 요한 1세와 동방 주교들은 뒤늦게 도착하여 키릴루스가 이미 네스토리우스를 정죄했다는 소식에 분노하여 자체 회의를 소집하고 키릴루스를 폐위시켰다. 양측은 황제에게 호소했고, 황제 정부는 처음에는 네스토리우스와 키릴루스 모두를 폐위하고 추방하라고 명령했다. 네스토리우스는 안티오키아의 수도원으로 돌아갔고,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막시미아누스 대주교가 콘스탄티노폴리스 대주교로 축성되었다. 키릴루스는 결국 뇌물을 주고 돌아갈 수 있었다.[1]

네스토리우스는 주교가 된 후, 그리스도의 어머니 마리아의 명칭으로 "신의 어머니" 테오토코스(theotokos)라는 말을 사용하는 것에 반대하는 설교를 했다. 대신 그는 "그리스도의 어머니" 크리스토토코스(Christotokos)라는 말을 제안하며, 마리아는 인간적 존재와 신적 존재의 양쪽을 포함하는 "그리스도"를 낳은 자라고 주장했다.[2]

결국 431년 에페소스에서 열린 공의회에서 네스토리우스 및 안티오키아 학파는 키릴로스와 에페소스의 주교 멤논의 음모로 인해 이단으로 선언되었고, 네스토리우스는 주교직에서 파면되었다.[2]

2. 4. 에페소스 공의회 (431년)

동로마 제국테오도시우스 2세서로마 제국발렌티니아누스 3세431년 에페소스 공의회를 소집하여 논쟁을 해결하려 했다. 이 공의회에서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와 에페소스 주교 멤논에 의해 네스토리우스의 교리는 이단으로 정죄되었고, 네스토리우스는 주교직에서 파면되었다. 키릴로스도 소동의 책임을 물어 일시 파면되었으나 후에 복직하였다.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루스는 431년 에페소스 공의회를 주관하여, 오랫동안 연기되었던 안티오키아 출신 동방 주교들이 도착하기 전에 논쟁을 시작했다. 공의회는 네스토리우스를 폐위시키고 그를 이단으로 선언했다.

네스토리우스의 말에 따르면,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루스의 추종자들은 황제의 격렬함을 보고, 마치 황제가 하느님에게 반대하는 것처럼 사람들에게 소란과 불화를 일으켰다고 한다. 또한, 그들은 삶과 이상한 행동 때문에 수도원에서 분리되고 추방된 사람들과, 이단 종파에 속한 모든 사람들을 데려갔다고 한다.

공의회가 진행되는 동안, 안티오키아의 요한 1세와 동방 주교들이 도착했고 네스토리우스가 이미 정죄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분노했다. 그들은 자체 종교 회의를 소집했고, 거기서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루스가 폐위되었다. 그러자 양측은 모두 황제에게 호소했다.

처음에는 황제 정부가 네스토리우스와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루스 모두를 폐위하고 추방하라고 명령했다. 네스토리우스는 안티오키아의 수도원으로 돌아가게 되었고, 그의 자리에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막시미아누스 대주교가 콘스탄티노폴리스 대주교로 축성되었다. 키릴루스는 결국 여러 측근에게 뇌물을 준 후 돌아갈 수 있었다.

2. 5. 망명과 죽음

435년 국외로 추방된 네스토리우스는 페트라를 거쳐 이집트의 이비스로 망명하여 수도원에서 은둔생활을 하였다. 451년 그곳에서 사망했다. 죽기 1년 전인 450년 네스토리우스는 자서전적인 책 《다마스코의 헤라클레이데스론》을 저술했는데, 이 책은 1910년에 재발견되어 네스토리우스 연구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네스토리우스가 망명했던 수도원은 사막 강도들의 공격을 받았고, 네스토리우스는 그러한 습격으로 부상을 입었다.[1] 네스토리우스는 적어도 450년까지 그곳에서 생존한 것으로 보이며, [1] 451년 칼케돈 공의회 직후 이집트의 테바이드에서 사망했다.[2]

3. 네스토리우스파

451년 칼케돈 공의회알렉산드리아 학파를 이단으로 규정하고, 예수는 완전한 인간이자 참 하나님이며, 그의 신성과 인성은 분리되지 않는다는 칼케돈 신조를 채택했다. 칼케돈 공의회는 네스토리우스의 파면을 사면했지만, 그가 이단이라는 사실은 변하지 않았다.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 대주교, 1897년 촬영


네스토리우스가 이단으로 정죄된 후, 그의 지지자들은 네스토리우스파를 형성하여 각지에서 활동했다. 이들은 주류 기독교의 박해를 피해 북아프리카(이집트)와 아랍 세계 일부 지역, 이슬람교 지배 지역, 중국 대륙, 몽골까지 퍼져나갔다.[12]

네스토리우스 분열 이후, 많은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인들은 페르시아로 이주했다. 그러나 이 교회는 '네스토리우스 교회'로 잘못 알려졌는데, 네스토리우스는 이 교회의 주요 인물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페르시아 영내의 기독교 교회는 네스토리우스 문제가 일어나기 전인 410년셀레우키아크테시폰의 주교가 야즈데게르드 1세의 보호 아래 개최된 회의에서 "동방의 모든 기독교도의 장" 칭호를 받았고, 426년에는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의 관할에서 벗어나 "카톨리코스"(나중에 "총대주교")를 칭하기로 결의했다.

3. 1. 동방 선교

네스토리우스파페르시아를 거쳐 중국 까지 전파되어 경교라는 이름으로 한때 융성하였다.[12] 알로펜 신부는 경교 선교사로 당나라에서 고승 대덕(大德)으로 불렸다.[13]

개신교 신학자 김양선 목사는 불국사에서 발견되었다고 하는 돌십자가를 근거로 이때 네스토리우스파가 신라에도 들어왔다고 주장했다. 김양선 목사의 주장이 사실이라면 한국교회사에서 처음으로 전래된 기독교 교파는 천주교가 아니라 경교가 되지만, 성물 몇 가지만 확인될 뿐 실제 신앙이 전래되었는지는 현재 분명하게 파악할 수 없다.

3. 2. 이슬람 세계와 르네상스

이슬람 지배 지역으로 넘어간 경교는 아랍 세계에 고대 그리스로마의 문명을 전해주었고, 훗날 르네상스 시기 유럽에서는 이미 소멸되어 버린 고대 그리스-로마의 문명을 다시 유럽에 전달하는 역할을 했다.[3]

3. 3. 현대의 네스토리우스파

현재 경교는 이라크, 이란, 인도 남부 등지에 칼데아 가톨릭교회, 아시리아 동방교회 등의 이름으로 남아 동방 교회의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 아시리아 동방교회는 네스토리우스를 성인으로 존경하지만, 현대 교회는 서방에서 전통적으로 이해되어 온 네스토리우스 교리의 전체를 따르지 않으며, 서방이 그의 신학을 오해하고 잘못 표현했고, 네스토리우스가 어떤 이단도 가르치지 않았다고 믿는다. 총대주교 마 딘카 4세는 1976년 즉위식에서 "네스토리우스"라는 명칭을 거부했다.

4. 네스토리우스에 대한 재평가

최근에는 네스토리우스의 교설이 기독교 교리의 근간을 흔드는 것이 아니며, 아리우스파나 아폴리나리우스주의와 같은 이단과는 다르다는 연구가 있다.[4] 네스토리우스가 이단으로 정죄된 배경에는 알렉산드리아 학파안티오키아 학파 간의 정치적 대립, 신학 및 철학 용어 사용의 차이 등이 있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4]

현대에는 네스토리우스의 신학을 재평가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아시리아 동방 교회는 네스토리우스를 성인으로 존경하며, 그의 신학이 서방에서 오해받았고 그가 어떤 이단도 가르치지 않았다고 믿는다. 총대주교 마 딘카 4세는 1976년 즉위식에서 "네스토리우스"라는 명칭을 거부했다.

참조

[1] 서적 Gorgias Encyclopedic Dictionary of the Syriac Heritage https://gedsh.bethma[...]
[2] 서적 Nestorius and His Teaching
[3] 서적 The Lesser Eastern Churches https://books.google[...] AMS Press 1913
[4] 웹사이트 Nestorius | Biography, Beliefs, Heresy,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5] 웹사이트 Early Church Fathers – Additional Works in English Translation unavailable elsewhere online http://www.tertullia[...]
[6] 문서 이 시대 콘스탄티노플에는 총주교 제도가 성립되어 있지 않았다.
[7] 서적 기독교대사전 교문관 1981
[8] 서적 헤라클레이데스의 바자르 AMS Press 1978
[9] 서적 동방 기독교의 세계 ちくま学芸文庫 2022
[10] 서적 동방 기독교 여러 교회 연구 안내와 기초 데이터 明石書店 2017
[11] 웹사이트 고대 기독교론의 발자취 http://www.ic.nanzan[...]
[12] 백과사전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13] 웹인용 기획연재- 이장식의 교회 역사 이야기(34) https://veritas.kr/a[...] 베리타스 2010-1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