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드칼레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드칼레는 프랑스 북부에 위치한 데파르트망으로, 선사 시대부터 다양한 민족이 거쳐간 역사를 가지고 있다. 프랑스 혁명 당시 만들어진 최초의 83개 데파르트망 중 하나이며, 제1차 세계 대전의 주요 격전지였다. 지리적으로는 영국 해협과 북해에 접해 있으며, 해양성 기후를 보인다. 주요 도시로는 칼레, 아라스, 불로뉴쉬르메르 등이 있으며, 경제는 광업과 섬유 산업에 의존해 왔으나, 현재는 관광 산업이 발전하고 있다. 정치적으로는 국민연합의 지지세가 강하며, 교육 시설로는 리토랄 오팔 코스트 대학교와 아르투아 대학교가 있다. 관광 명소로는 위상의 홍합 양식장, 그리네곶, 블랑네곶, 노시카 국립해양센터, 아라스의 그랑 플라스, 캐나다 비미 기념관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드칼레주 - 샤를 오귀스탱 생트뵈브
샤를 오귀스탱 생트뵈브는 프랑스의 문학 평론가이자 작가, 시인으로, 르 글로브 신문 기고를 시작으로 낭만주의 문학 서클과 교류하며 《포르-로얄》, 《월요담론》 등의 대표작을 남겼고, 전기 비평 방법을 발전시킨 인물이다. - 오드프랑스의 주 - 노르주
노르주는 1801년부터 2017년까지 인구 변화를 나타내는 통계 자료로, 19세기 동안 크게 증가한 후 증감을 반복하여 2017년에는 2,604,361명으로 기록되었으며, 이는 노르주의 역사적 인구 변화 추이를 파악하는 데 활용된다. - 오드프랑스의 주 - 솜주
- 프랑스의 주 - 발두아즈주
발두아즈주는 프랑스 북중부 일드프랑스 지역의 주로, 샤를 드 골 국제공항과 자연공원을 갖춘 도시화된 지역이며, 농업과 베드타운 기능, 첨단 산업 지구, 역사 유적, 자연공원 등의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고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 프랑스의 주 - 보클뤼즈주
보클뤼즈주는 프랑스 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지역에 위치하며 2016년 기준 559,014명의 인구를 가진 주이다.
파드칼레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 | |
![]() | |
![]() | |
별칭 | 없음 |
현 | 아라스 |
하위 현 | 베튀느 불로뉴쉬르메르 칼레 랑스 몽트뢰유 생토메르 |
국가 | 프랑스 |
레지옹 | 오드프랑스 |
주 번호 | 62 |
아롱디스망 수 | 7개 |
캉통 수 | 39개 |
코뮌 수 | 890개 |
면적 | 6706 km2 |
인구 | 1,497,449명 |
인구 밀도 | auto |
시간대 | CET |
여름 시간대 | CEST |
ISO 코드 | FR-62 |
정치 | |
도의회 의장 | 장클로드 르루아 |
도의회 | 파드칼레 도의회 |
지리 | |
위치 | 파드칼레 해협(영국 해협)에 위치 |
인접 지역 | 노르주 |
언어 | |
지역 언어 | 피카르디어(Pas-Calés) |
기타 | |
웹사이트 | 없음 |
2. 역사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해 온 파드칼레 지역은 켈트족 벨가이, 로마인, 게르만족 프랑크족과 알레만니 등 다양한 민족과 문화가 교차하는 중요한 지점이었다. 4세기와 5세기 로마 제국의 영향 아래 게르만 부족이 군사 및 방어 역할을 수행하면서 이 지역에는 게르만어와 로망스어의 언어 경계가 형성되었고, 이는 9세기 이후 로망스어 계열인 피카르어가 우세해질 때까지 지속되었다. 이러한 언어적 영향은 오늘날 지역의 지명 등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프랑스 혁명 시기인 1790년 3월 4일, 기존의 주였던 칼레, 불로네, 퐁티외 및 아르투아의 일부를 통합하여 프랑스의 초기 83개 데파르트망 중 하나로 파드칼레주가 신설되었다.
근현대에 들어 파드칼레 지역은 두 차례의 세계 대전에서 중요한 무대가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가장 치열한 전투가 벌어진 곳 중 하나였으며, 아라스 인근에서는 비미 능선 전투가 벌어져 이를 기념하는 캐나다 국립 비미 기념관이 세워졌다.[4]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연합국이 독일군을 속이기 위해 노르망디 상륙 작전의 실제 상륙 지점이 아닌 이곳에서 작전이 벌어질 것처럼 위장한 포티튜드 작전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5]
2. 1. 고대와 중세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해 온 파드칼레 지역은 켈트족 벨가이, 로마인, 게르만족 프랑크족과 알레만니가 차례로 거쳐갔다. 4세기와 5세기 동안 로마는 게르만 부족을 끌어들여 불로뉴쉬르메르에서 쾰른에 이르는 경로에서 군사 및 방어 서비스를 제공하게 했다. 이로 인해 8세기까지 지속된 게르만어와 로망스어의 언어 경계가 이 지역에 형성되었다.5세기부터 8세기까지 색슨족이 이 지역으로 이주하면서 언어 경계는 남쪽과 서쪽으로 다소 확대되었다. 9세기에 이르러 베튄과 베르크 사이의 선 북쪽에 거주하는 대부분의 주민들은 중세 네덜란드어 방언을 사용했고, 남쪽의 주민들은 로망스어 방언의 일종인 피카르어를 사용했다.
이러한 언어 경계는 오늘날에도 이 지역의 지명과 부칭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9세기부터 언어 경계는 꾸준히 북쪽과 동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했으며, 15세기 말에는 로망스어 방언이 네덜란드어 방언을 완전히 대체하게 되었다.
2. 2. 프랑스 혁명과 그 이후
파드칼레는 1790년 3월 4일 프랑스 혁명 당시 새롭게 만들어진 최초의 83개 데파르트망 중 하나이다. 혁명 정부는 기존의 주였던 칼레, 불로네, 퐁티외, 그리고 아르투아의 일부를 합쳐 이 데파르트망을 신설했다. 특히 아르투아 지역은 과거 스페인령 네덜란드(혹은 남네덜란드)에 속해 있다가 프랑스로 편입된 역사를 가지고 있다.1815년 6월 워털루 전투에서 나폴레옹 군대가 패배하고 제7차 대프랑스 동맹이 승리한 이후, 영국군이 파드칼레 지역을 점령하였다. 이 점령은 1818년 11월까지 이어졌다.
2. 3.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 시기 파드칼레 지역은 가장 치열한 전투가 벌어진 곳 중 하나였다. 아라스에서 8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캐나다 국립 비미 기념관은 비미 능선 전투 공격을 기념하며, 유럽에서 전사한 캐나다 군인을 기리는 캐나다의 가장 중요한 기념관이다.[4]제1차 세계 대전은 당시 약 100만 명이 거주하던 이 지역에 특히 큰 시련을 안겨주었다. 대부분의 남성은 군대에 징집되거나 광산에서 일해야 했고, 많은 주민이 피난길에 오르면서 인구가 감소했다. 1918년에는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지역이나 비점령 지역을 중심으로 '난민의 모임'과 '난민 노동 조합'이 생겨났으며, 여기에는 종종 벨기에인과 프랑스인이 함께 참여했다(예: 르 포르텔, 베르크 플라주).[16] 불로뉴쉬르메르에는 무료 난민 배치 사업(Œuvre du placement gratuit des réfugiésfra)이 설치되었고, 칼레에서는 파드칼레 난민 위원회(comité des réfugiés du Pas-de-Calaisfra)가 벨기에 공식 난민 구제 위원회와 함께 활동했다. 적십자를 비롯한 수많은 자선 단체도 난민 지원에 나섰다.
1918년 봄, 해방 지역의 복구 서비스(service de reconstitution des régions libéréesfra)는 주민들의 귀환을 돕고 물자를 보호하며, 적에게 항복했던 사람들을 위한 지원을 준비하려 했으나, 장비, 소모품, 가구 등을 운송할 교통 수단이 부족하여 어려움을 겪었다.
휴전 협정이 체결되었을 때, 파드칼레는 프랑스에서 가장 황폐화된 지역 중 하나로 남았다. 랑스를 포함한 여러 코뮌은 완전히 파괴된 것처럼 보였고, 광산 지역과 인근 정착지 역시 큰 피해를 입었다. 다만, 광산 지대의 가장 서쪽 부분은 독일군의 점령을 피할 수 있었다.
2. 4. 제2차 세계 대전
파드칼레는 또한 제2차 세계 대전 중 포티튜드 작전의 대상이었는데, 이는 연합국이 독일군에게 노르망디 상륙 작전이 이곳이 아닌 노르망디에서 발생할 것이라고 속이기 위한 계획이었다.[5]3. 지리
파드칼레주는 프랑스 북부의 오드프랑스 레지옹에 위치한다. 노르주, 솜주와 육지로 접하며, 서쪽으로는 영국 해협, 북쪽으로는 북해와 만난다. 영국의 켄트주와는 도버 해협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고 있으며, 이 해협 중간 지점에서 해상 경계를 공유한다. 두 지역은 해저 터널인 채널 터널을 통해 직접 연결되어 있다.
파드칼레주의 해안선은 약 100km에 달하며, '오팔 해안'(Côte d'Opale|코트 도팔프랑스어)이라 불린다. 이 해안은 영국 해협과 북해의 경계를 이루며, 프랑스에서 가장 풍요로운 해안 지역 중 하나로 꼽힌다.
3. 1. 주요 강
- 오티
- 캉슈
- 테르누아즈
- 리안
- 상세
- 사르프
- 뒬
- 리스
- 아
3. 2. 주요 도시

파드칼레주의 주요 도시로는 해안가에 위치한 칼레와 불로뉴쉬르메르, 그리고 내륙의 아르투아 지역에 있는 아라스, 랑, 리에뱅, 베튄 등이 있다.
이 중 칼레는 파드칼레주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코뮌이며, 현청 소재지인 아라스가 두 번째로 인구가 많다. 2019년 기준으로 인구 15,000명 이상인 코뮌은 총 10개이다.[2]
코뮌 | 인구 (2019) |
---|---|
칼레 | 72,509 |
아라스 | 41,694 |
불로뉴쉬르메르 | 40,251 |
랑 | 31,461 |
리에뱅 | 30,112 |
애냉보몽 | 25,992 |
베튄 | 25,039 |
브뤼에라뷔시에르 | 21,903 |
아비옹 | 17,625 |
카르뱅 | 17,557 |
3. 3. 기후
파드칼레의 기후는 해양성 기후이다. 온도 범위가 좁고, 겨울은 온화하며, 여름은 해풍과 정기적인 강우로 인해 완화되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해양성 기후의 특징은 내륙 지역보다 해안 지역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난다. 땅의 기복은 강우로 평탄해지는 경향이 있다. 주 전체의 연간 평균 기온은 약 10°C이다.4. 인구
이 지역의 주민은 "파드칼레인"이라고 불린다.
파드칼레는 프랑스에서 인구 밀도가 가장 높은 지역 중 하나이지만, 인구 10만 명이 넘는 도시는 없다. 칼레가 약 73,000명으로 가장 인구가 많다. 나머지 인구는 주로 노르주와의 경계에 위치한 광산 지구에 집중되어 있으며, 여러 작은 마을들이 모여 약 120만 명 규모의 도시 지역을 형성한다. 지역의 중부와 남부는 상대적으로 시골 지역이지만, 많은 마을과 소도시가 있어 여전히 인구 밀집도가 높은 편이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가장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던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두 차례의 세계 대전 이후 인구는 빠르게 회복되었다. 그러나 20세기 후반부터 많은 광산 마을의 인구가 급격히 감소했으며, 일부는 인구의 절반까지 줄어들기도 했다.
제1차 세계 대전은 당시 약 100만 명이 거주하던 이 지역에 특히 큰 시련을 안겨주었다. 남성들은 대부분 징병되거나 광산에서 일해야 했고, 일부 주민들은 피난을 떠나 인구가 감소했다. 1918년에는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지역이나 독일군 비점령 지역(르 포르텔, 베르크 플라주 등)에 '난민의 모임'과 '난민 노동 조합'이 생겨났으며, 여기에는 벨기에인과 프랑스인이 함께 참여하는 경우가 많았다.[16] 부로뉴쉬르메르에는 무료 난민 배치 사업이 설치되었고, 칼레에서는 파드칼레 난민 위원회가 벨기에 공식 난민 구제 위원회와 함께 활동했다. 적십자를 비롯한 수많은 자선 단체들이 구호 활동을 지원했다.
1918년 봄, 해방 지역 복구 서비스는 주민들의 귀환을 돕고 물자를 보호하며, 적에게 항복했던 사람들을 위한 지원을 준비하려 했으나, 필요한 장비, 소모품, 가구를 운송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휴전 협정이 체결되었을 때, 파드칼레는 프랑스에서 가장 황폐화된 지역 중 하나였다. 랑스를 포함한 몇몇 코뮌은 완전히 파괴되었고, 광산 지역과 인접 정착지 역시 폐허가 되었다. 다만 광구의 가장 서쪽 지역은 독일군의 점령을 피할 수 있었다.
1801년 | 1831년 | 1841년 | 1851년 | 1856년 | 1861년 | 1866년 |
---|---|---|---|---|---|---|
534,416 | 655,215 | 685,021 | 692,994 | 712,846 | 724,338 | 749,777 |
1872년 | 1876년 | 1881년 | 1886년 | 1891년 | 1896년 | 1901년 |
761,158 | 793,140 | 819,022 | 853,526 | 874,364 | 906,249 | 955,391 |
1906년 | 1911년 | 1921년 | 1926년 | 1931년 | 1936년 | 1946년 |
1,012,466 | 1,068,155 | 989,967 | 1,171,912 | 1,205,191 | 1,179,467 | 1,168,545 |
1954년 | 1962년 | 1968년 | 1975년 | 1982년 | 1990년 | 1999년 |
1,276,833 | 1,366,282 | 1,397,159 | 1,402,295 | 1,412,413 | 1,433,203 | 1,441,568 |
5. 경제
파드칼레 주의 경제는 오랫동안 광업, 특히 1849년 석탄이 발견된 렌스 인근 탄광에 의존해 왔다.[6] 제1차 세계 대전은 이 지역 경제에 큰 타격을 주었으며, 특히 랑스를 포함한 광업 지역은 전쟁으로 황폐화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경제 다변화가 이루어졌다. 과거 주의 주요 산업이었던 광업과 섬유 산업은 현재 침체된 상태이다. 대신 관광 산업이 중요해졌으며, 특히 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발달했다. 칼레 항은 영국 도버 항과 마주하며 여객 수송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불로뉴쉬르메르 항은 프랑스의 주요 어항으로 기능한다.
한편, 일본 기업 브리지스톤은 1961년부터 베튄에서 타이어 공장을 운영해왔다. 그러나 2020년, 브리지스톤이 생산 거점 재편을 이유로 베튄 공장 폐쇄를 결정하면서 지역 사회 및 경제계와 마찰을 빚었다.[17]
6. 정치
파드칼레주는 전통적으로 사회당을 비롯한 좌파 정당의 지지 기반이 강한 지역으로 평가받아왔다. 그러나 최근 대통령 선거와 총선거에서는 극우 정당인 국민연합(RN)의 지지세가 크게 확대되는 등 정치 지형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6. 1. 지방 정치
도의회 의장은 2017년에 선출된 장-클로드 르로이이다. 파드칼레주는 사회당(PS)을 비롯한 좌파 정당들이 전통적으로 강세를 보이는 지역이다.6. 2. 전국 정치
2017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 결선 투표에서 파드칼레주는 국민연합(RN, 당시 국민전선) 후보인 마린 르 펜이 과반(52.06%)을 득표한 두 데파르트망 중 하나였다.[9] 2022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에서도 마린 르 펜은 57.49%를 얻어 에마뉘엘 마크롱 후보를 앞섰다. 이는 파드칼레주에서 극우 정당의 지지세가 강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과거 사회당(PS) 후보가 강세를 보였던 것과 대조적으로, 최근 대선에서는 국민연합 후보가 연이어 승리하였다.
선거 | 당선 후보 | 정당 | % | 2위 후보 | 정당 | % |
---|---|---|---|---|---|---|
2022년 | 마린 르 펜 | RN | 57.49 | 에마뉘엘 마크롱 | LREM | 42.51 |
2017년[10] | 마린 르 펜 | FN | 52.06 | 에마뉘엘 마크롱 | LREM | 47.94 |
2012년 | 프랑수아 올랑드 | PS | 56.18 | 니콜라 사르코지 | UMP | 43.82 |
2007년 | 세골렌 루아얄 | PS | 52.04 | 니콜라 사르코지 | UMP | 47.96 |
2002년[10] | 자크 시라크 | RPR | 77.83 | 장마리 르 펜 | FN | 22.17 |
1995년[11] | 리오넬 조스팽 | PS | 57.28 | 자크 시라크 | RPR | 42.72 |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이러한 경향이 나타난다. 2017년부터 2022년까지 제16대 국회에서는 민주운동(MoDem), 르네상스(LREM, 당시 전진하는 공화국!), 국민연합(RN), 공화당(LR) 등 다양한 정당 소속 의원들이 선출되었다.
선거구 | 2017-2022년 의원[12] | 정당 |
---|---|---|
파드칼레 제1선거구 | 브뤼노 뒤베르제 | MoDem |
파드칼레 제2선거구 | 자클린 마케 | LREM |
파드칼레 제3선거구 | 엠마뉘엘 블레리 | RN |
파드칼레 제4선거구 | 다니엘 파스켈 | LR |
파드칼레 제5선거구 | 장피에르 퐁 | LREM |
파드칼레 제6선거구 | 브리지트 부르기뇽 | LREM |
파드칼레 제7선거구 | 피에르-앙리 뒤몽 | LR |
파드칼레 제8선거구 | 브누아 포테리 | LREM |
파드칼레 제9선거구 | 마르그리트 드프레-오데베르 | MoDem |
파드칼레 제10선거구 | 미리안 우플랭 | RN |
파드칼레 제11선거구 | 마린 르 펜 | RN |
파드칼레 제12선거구 | 브뤼노 빌드 | RN |
그러나 2022년 총선 이후 구성된 제17대 국회에서는 총 12개의 선거구 중 9곳에서 국민연합(RN) 소속 의원이 당선되는 등 국민연합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르네상스(LREM)와 앙상블 연합 소속 의원은 각각 1명, 2명에 그쳤다.
선거구 | 2022년-현재 의원[12] | 정당 |
---|---|---|
파드칼레 제1선거구 | 엠마뉘엘 블레리 | RN |
파드칼레 제2선거구 | 아그네스 파니에-뤼나셰 | LREM (앙상블) |
파드칼레 제3선거구 | 브뤼노 클라베 | RN |
파드칼레 제4선거구 | 필리프 페 | Horizons (앙상블) |
파드칼레 제5선거구 | 앙투안 골리오 | RN |
파드칼레 제6선거구 | 크리스틴 앙그랑 | RN |
파드칼레 제7선거구 | 마르크 드 플뢰리앙 | RN |
파드칼레 제8선거구 | 오귀스트 에브라르 | RN |
파드칼레 제9선거구 | 캐롤라인 파르망티에 | RN |
파드칼레 제10선거구 | 티에리 프라페 | RN |
파드칼레 제11선거구 | 마린 르 펜 | RN |
파드칼레 제12선거구 | 브뤼노 빌드 | RN |
7. 교육
현재 파드칼레에는 두 개의 국립 대학교가 있다. 프랑스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파드칼레는 1991년 프랑스 정부가 두 개의 대학교를 설립하기 전까지는 대학교가 없었다. 설립된 두 대학은 다음과 같다:
8. 관광
파드칼레주는 영국 해협과 맞닿은 아름다운 해안선부터 역사적 깊이를 간직한 내륙 지역까지 다채로운 관광 명소를 자랑한다. 해안 지역에서는 그리네곶과 블랑네곶의 인상적인 절벽과 위상의 홍합 양식장 같은 독특한 풍경을 만날 수 있으며, 불로뉴쉬르메르에는 유럽 최대 규모의 수족관인 노시카가 자리 잡고 있다. 해변 휴양지로 유명한 르투케 역시 많은 방문객이 찾는 곳이다.
내륙으로 들어서면 유서 깊은 도시 아라스의 그랑 플라스와 같은 건축 유산과 루브르 랑스 박물관에서 외젠 들라크루아의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과 같은 세계적인 예술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또한, 제1차 세계 대전의 격전지였던 노트르담 드 로레트 국립 묘지와 캐나다 비미 기념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군이 건설한 에페를레크 블록하우스와 토트 포대 등 전쟁의 역사를 되돌아볼 수 있는 유적들이 곳곳에 남아 있다.
8. 1. 해안 지역

8. 2. 내륙 지역


파드칼레주의 내륙 지역에는 다양한 역사적, 문화적 명소가 자리 잡고 있다. 아라스에는 유서 깊은 건축물로 둘러싸인 그랑 플라스(Grand Place)가 있다. 또한, 제1차 세계 대전의 격전지였던 노트르담 드 로레트 국립 묘지는 전쟁의 아픔을 간직한 곳이다. 아라스에서 약 11km 떨어진 곳에는 캐나다 비미 기념관이 세워져 당시 희생된 캐나다 군인들을 기리고 있다.
문화적으로는 루브르 랑스 박물관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곳에는 외젠 들라크루아의 유명한 작품인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이 2012년부터 영구 전시되어 많은 관람객의 발길을 끌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과 관련된 유적도 남아있다. 에페를레크 블록하우스는 당시 독일군이 V-2 로켓 발사를 위해 건설했던 거대한 벙커이며, 오디앵 지역에는 해안 방어를 위해 설치되었던 토트 포대가 그 흔적을 보여준다.
참조
[1]
웹사이트
Répertoire national des élus: les conseillers départementaux
https://www.data.gou[...]
2022-05-04
[2]
간행물
Populations légales 2019: 62 Pas-de-Calais
https://www.insee.fr[...]
INSEE
[3]
웹사이트
Colt and Getlink to Deploy New Fibre Optic Network via Channel Tunnel
https://www.isprevie[...]
2021-09-01
[4]
웹사이트
Canadian National Vimy Memorial, France
http://www.greatwar.[...]
2015-03-31
[5]
서적
A History of Us: War, Peace and all that Jazz
Oxford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Discovery of Coal
https://web.archive.[...]
Ville de Lens
2015-08-01
[7]
웹사이트
Historique du Pas-de-Calais
http://splaf.free.fr[...]
[8]
웹사이트
Évolution et structure de la population en 2016
https://www.insee.fr[...]
INSEE
[9]
뉴스
Résultats élections
https://www.lemonde.[...]
Le Monde
[10]
웹사이트
Présidentielles
https://www.interieu[...]
[11]
웹사이트
Résultats de l'élection présidentielle de 1995 par département - Politiquemania
https://www.politiqu[...]
[12]
웹사이트
Assemblée nationale ~ Les députés, le vote de la loi, le Parlement français
https://www.assemble[...]
[13]
웹사이트
Décret no 91-1161 du 7 novembre 1991 portant création et organisation provisoire de l'université du Littoral
http://legifrance.go[...]
legifrance.gouv.fr
[14]
웹사이트
Décret no 91-1160 du 7 novembre 1991 portant création et organisation provisoire de l'université d'Artois
http://www.legifranc[...]
legifrance.gouv.fr
[15]
서적
[16]
간행물
Rapport
https://books.google[...]
Archives départementales du Pas-de-Calais
[17]
웹사이트
ブリヂストンの工場閉鎖案 ここまで怒るフランス政府
https://www.asahi.co[...]
2020-10-02
[18]
웹사이트
Site sur la Population et les Limites Administratives de la France
http://splaf.free.f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