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코미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코미우스는 콥트어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318년경 이집트 타벤니시에 최초의 수도원을 세운 인물이다. 그는 이전의 은둔자적 수도 생활에서 벗어나 수도자들이 함께 생활하며 재산을 공유하는 공동체 수도 생활을 창시했다. 파코미우스는 성서에 근거한 규칙서로 공동체의 질서를 유지했으며, 그의 규칙은 기도와 노동, 공동생활과 고독의 균형을 목표로 했다. 그의 규칙은 서방의 성 베네딕토 규칙과 유사하며, 348년 사망 당시 8개의 수도원과 수백 명의 수도자들이 그의 지도를 따랐다. 파코미우스의 공동 수도원 생활 방식은 이집트에서 팔레스타인, 시리아, 북아프리카를 거쳐 서유럽으로 확산되었고, 성인으로 추앙받으며 여러 전례력에서 기념되고 있다.
"파코미우스"라는 이름은 콥트어에 기원을 두고 있다.[4][36] 콥트어 ⲡⲁϧⲱⲙ|pakhōmcop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독수리 또는 매"를 의미하는 ⲁϧⲱⲙ|akhōmcop에 콥트어 정관사 ⲡ|pcop가 붙은 형태이다. ⲁϧⲱⲙ|akhōmcop은 더 거슬러 올라가면 중기 이집트어 ꜥẖm|ꜥẖmegy "매"에서 유래했으며, 원래 의미는 "신성한 이미지"였다. 그리스어로는 Παχούμιοςgrc와 Παχώμιοςgrc로 채택되었다. 그리스 민간 어원에서는 이 이름이 "두껍다, 크다"를 뜻하는 παχύς|파키스grc와 "어깨"를 뜻하는 ὦμος|오모스grc에서 유래했다고 보아 "넓은 어깨"로 해석하기도 했다.
이교도 가정에서 태어난 파코미우스는 서기 292년경 테바이드(오늘날 룩소르, 이집트 근처)에서 태어났다.[5][21] 성인전에 따르면, 21세 때 당시 혼란과 내전 시기에 흔했던 로마 군대 징집에 본인의 의사와 관계없이 휘말렸다.[12][22] 다른 젊은이들과 함께 나일 강을 따라 배에 태워져 저녁에 테베(이집트)에 도착했는데, 여기서 징집된 군인들에게 매일 음식과 위로를 가져다주는 지역 기독교인들을 처음 만났다.[12][22] 이 만남은 그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고, 파코미우스는 군 복무를 마치면 기독교에 대해 더 알아보기로 다짐했다.[12] 그는 전투에 참여하지 않고 군대를 나올 수 있었으며, 상 이집트의 셰네셋(케노보스키온) 마을로 이주하여 314년에 기독교로 개종하고 세례를 받았다.[12]
이교도 가정에서 태어난 파코미우스는 기독교인들의 자선 활동에 영향을 받아 기독교인이 되었다. 군대에서 나온 후 세례를 받은 그는 사회 선교[37]에 힘썼다. 320년경 수도원을 세웠으며, 이 공동체는 성서에 근거한 규칙으로 질서를 유지하였다. 파코미우스 수도원은 예배와 식사를 공동으로 하는 특징을 가졌고, 수사들은 노동을 통해 스스로 생계를 유지했다.
순수한 콥트 문학의 예로는 안토니우스 대수도원장과 파코미우스의 저작, 그리고 신우테 대수도원장의 설화와 설교 등이 있다. 이들은 모두 콥트어만을 사용하여 작품 활동을 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2. 이름
3. 생애
이후 파코미우스는 여러 유명한 고행자들과 교류했으며, 317년경 팔레몬이라는 은수자의 지도를 받아 고행의 길을 따르기로 결정했다.[23] 당시 유행했던 수행법 중 하나는 팔을 십자가 형태로 뻗고 기도하는 것이었다.[23] 팔레몬 밑에서 7년간 공부한 후, 파코미우스는 안토니우스 대제 근처에서 은수자 생활을 시작했으며, 그의 수행 방식을 모방했다.[6][24] 그러던 중 타벤니시의 버려진 마을에서 기도하던 파코미우스는 "파코미우스야, 파코미우스야, 힘써 이곳에 살면서 수도원을 지어라. 많은 이들이 너에게 와서 수도사가 될 것이며, 그들의 영혼에 이로움을 줄 것이다"라는 음성을 들었다고 전해진다.[7] 또한 다른 날 밤 기도 중에는 천사로부터 "파코미우스야, 파코미우스야, 주님의 뜻은 네가 인간을 섬기고 그들을 그분께 하나로 묶는 것이다"라는 말을 세 번 들었다고 한다.[7]
파코미우스는 318년에서 323년 사이에 이집트 타벤니시에 첫 번째 수도원을 세웠다.[8][25] 그의 형 요한이 합류했고, 곧 100명이 넘는 수도사들이 근처에 모여 살게 되었다.[25] 파코미우스는 이들을 공식적인 조직으로 구성하기 시작했다. 이전까지 기독교 고행주의는 개별 오두막이나 동굴에서 남성 또는 여성 수도자들이 고독하게 살면서 가끔 예배를 위해 모이는 '은수적' 형태가 일반적이었다. 파코미우스는 남성 또는 여성 수도자들이 함께 살며 수도원장의 지도 아래 재산을 공유하는 공동체적(코이노니아) 조직을 만들었다.[37] 그는 은수 생활에 익숙했던 이들이 공동체 생활에 갑자기 적응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그들이 영적 훈련에 집중할 수 있도록 공동체의 모든 행정 업무를 직접 처리했다. 공동체 구성원들은 파코미우스를 "아바"(Abba, 아람어로 '아버지')라고 불렀으며, 여기서 '수도원장'(Abbot)이라는 말이 유래했다. 파코미우스 수도원은 예배와 식사를 공동으로 하는 밥상 공동체였으며, 수사들은 노동을 통해 자급자족했다.[37]
타벤니시의 수도원은 여러 차례 확장되었으나 곧 공간이 부족해졌고, 포우(파바우)에 두 번째 수도원이 세워졌다.[6][26] 포우 수도원은 상 이집트 나일 강변에 생겨나는 수도원들의 중심지가 되었다.[9] 이 두 곳 모두 처음에는 버려진 마을이었으며, 파코미우스의 수도원 네트워크 구상에 따라 용도가 변경된 것으로 추정된다.[10] 336년 이후 파코미우스는 대부분의 시간을 포우에서 보냈다.[6][26] 그는 때때로 근처 양치기들을 위해 독서자 역할을 했지만, 그 자신이나 그의 수도사들 중 누구도 사제가 되지는 않았다. 333년 성 아타나시우스가 방문하여 그를 서품하려 했으나, 파코미우스는 이를 피했다.[11][27] 아타나시우스의 방문은 파코미우스가 아리우스주의에 맞서 정통 신앙을 열렬히 옹호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11][27] 카이사리아의 바실리우스는 파코미우스의 수도원을 방문한 후 그의 많은 아이디어를 받아들여 카이사리아에서 적용하고 실행했다. 파코미우스가 성서에 근거하여 만든 이 수도 규칙(아스케티카)은 오늘날 동방 정교회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서방 교회의 성 베네딕토 규칙에 비견된다.[37]
4. 파코미우스 수도원
4. 1. 파코미우스 규칙
파코미우스는 최초로 수도 규칙을 기록으로 남겼다.[12][28] 처음 만들어진 규칙은 주기도문과 같이 널리 알려지고 사용되는 기도문들로 이루어졌으며, 수도자들은 매일 이 기도문들을 바쳐야 했다.[29] 공동체가 점차 발전하면서, 규칙은 성경에서 가져온 교훈들을 바탕으로 더욱 상세해졌다.[6]
파코미우스의 규칙은 기도와 노동, 공동생활과 개인적인 고독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것을 목표로 했다.[6][29] 하루 일과는 전례를 중심으로 짜여졌고, 수작업과 묵상하며 성경을 읽는 시간이 주어졌다.[29] 또한, 규칙은 경험이 적은 수도자들에게는 비교적 쉬운 기준을 적용하면서도, 경험 많은 수도자들이 추구하는 극단적인 금욕주의를 제한하지 않는 유연성을 보였다.[6][29]
금식과 노동은 각 수도자의 능력에 맞게 조절되었다.[13][30] 모든 수도자는 동일한 음식과 의복을 받았지만,[13][30] 공동 식사에 참여하기를 원하지 않는 경우, 각자의 방에서 빵과 소금, 물을 제공받을 수 있었다.[13][30] 이처럼 파코미우스 수도원에서는 각 수도자가 자신의 성향에 따라 식사 시간이나 금식의 정도 등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상당한 자율성을 부여했다.[8][31]
파코미우스가 만든 규칙은 이후 히에로니무스에 의해 라틴어로 번역되었다.[14][32] 레랭의 호노라투스는 이 규칙을 따랐으며, 바실 대제와 베네딕토 역시 파코미우스 규칙의 일부를 받아들여 자신들의 수도 규칙에 통합하고 발전시켰다.[14][32]
5. 죽음과 유산
파코미우스는 약 30년 동안 수도원장으로 활동했다. 흑사병으로 추정되는 전염병이 유행하는 동안 파코미우스는 수도사들을 불러 그들의 믿음을 강화했고, 후임자를 지명하지 못했다. 파코미우스는 그 후 파숀 14일(348년 5월 9일)에 사망했다.
파코미우스가 사망할 당시, 8개의 수도원과 수백 명의 수도사들이 그의 지도를 따랐다.[8][33] 한 세대 만에 공동 수도원 생활 방식은 이집트에서 팔레스타인과 유대 광야, 시리아, 북아프리카로 퍼져나갔고 결국 서유럽으로 확산되었다.[15] 수도원의 수보다는 수도사의 수가 7,000명에 달했을 것으로 보인다.[16][17][34]
그의 성자로서의 명성은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여러 전례력에서 파코미우스를 기념한다. 파코미우스에게 부여된 많은 기적 중에는, 그가 그리스어 또는 라틴어를 배운 적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때때로 기적적으로 그 언어들을 구사했다는 이야기가 있다.[11][35] 파코미우스는 또한 묵주(콤보스끼니온)를 최초로 사용하고 이를 권장한 기독교인으로 여겨진다.
6. 콥트 문학
특히 파코미우스가 세운 수도원 체계에서는 종교 문학을 주로 단순한 서면 형태의 훈계로 다루는 경향이 있었다.
7. 참조
참조
[1]
서적
Christianity and Monasticism in Upper Egypt
https://books.google[...]
American Univ in Cairo Press
[2]
웹사이트
Ὁ Ὅσιος Παχώμιος ὁ Μέγας
http://www.synaxario[...]
[3]
웹사이트
15/28 Мая. Православный календарь.
http://days.pravosla[...]
[4]
서적
A Coptic Dictionary
http://www.greeklati[...]
Clarendon Press
1939
[5]
웹사이트
Saint Pachomius the Great
http://www.fatherale[...]
2018-03-17
[6]
웹사이트
St. Pachomius
http://www.newadvent[...]
Catholic Encyclopedia
2018-03-17
[7]
서적
Pachomian Koinonia: The life of Saint Pachomius and his disciples (volume 1)
Cistercian Publications
1980
[8]
웹사이트
Monasticism
http://www.newadvent[...]
Catholic Encyclopedia
2018-03-17
[9]
서적
Ascetics, Society, and the Desert: Studies in Early Egyptian Monasticism
Trinity Press International
[10]
서적
The Monastic Landscape of Late Antique Egypt: an Archaeological Reconstr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웹사이트
St. Pachomius
http://www.ewtn.com/[...]
2018-03-17
[12]
웹사이트
"St. Pachomius", Faith ND
http://faith.nd.edu/[...]
[13]
웹사이트
"Venerable Pachomius the Great, Founder of Coenobitic Monasticism", Orthodox Church in America
https://www.oca.org/[...]
[14]
웹사이트
Duffy, Patrick. "St Pachomius (292–346) founder of communities for monks", ''Catholic Ireland'', May 5, 2012
https://www.catholic[...]
[15]
간행물
The World of Byzantium
[16]
서적
The World of Late Antiquity: AD 150–750
Norton
[17]
서적
Pachomius: the Making of a Community in Fourth-Century Egyp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18]
서적
Christianity and Monasticism in Upper Egypt
https://books.google[...]
American Univ in Cairo Press
[19]
웹사이트
Ὁ Ὅσιος Παχώμιος ὁ Μέγας
http://www.synaxario[...]
[20]
웹사이트
15/28 Мая. Православный календарь.
http://days.pravosla[...]
[21]
웹사이트
Saint Pachomius the Great
http://www.fatherale[...]
2018-03-17
[22]
웹사이트
St. Pachomius
http://www.ewtn.com/[...]
2018-03-17
[23]
웹사이트
St. Pachomius
http://www.ewtn.com/[...]
2018-03-17
[24]
웹사이트
St. Pachomius
http://www.newadvent[...]
Catholic Encyclopedia
2018-03-17
[25]
웹사이트
Monasticism
http://www.newadvent[...]
Catholic Encyclopedia
2018-03-17
[26]
웹사이트
St. Pachomius
http://www.newadvent[...]
Catholic Encyclopedia
2018-03-17
[27]
웹사이트
St. Pachomius
http://www.ewtn.com/[...]
2018-03-17
[28]
웹사이트
"St. Pachomius", Faith ND
http://faith.nd.edu/[...]
2022-01-14
[29]
웹사이트
St. Pachomius
http://www.newadvent[...]
Catholic Encyclopedia
2018-03-17
[30]
웹사이트
"Venerable Pachomius the Great, Founder of Coenobitic Monasticism", Orthodox Church in America
https://www.oca.org/[...]
2022-01-14
[31]
웹사이트
Monasticism
http://www.newadvent[...]
Catholic Encyclopedia
2018-03-17
[32]
웹사이트
Duffy, Patrick. "St Pachomius (292–346) founder of communities for monks", ''Catholic Ireland'', May 5, 2012
https://www.catholic[...]
2022-01-14
[33]
웹사이트
Monasticism
http://www.newadvent[...]
Catholic Encyclopedia
2018-03-17
[34]
서적
The World of Late Antiquity: AD 150–750
Norton
[35]
웹사이트
St. Pachomius
http://www.ewtn.com/[...]
2018-03-17
[36]
서적
A Coptic Dictionary
http://www.greeklati[...]
Clarendon Press
1939
[37]
문서
사회선교는 예수의 사랑을 실천하는 교회의 사회복지활동을 말한다. 일부 교회에서는 사회선교를 전도로 여기는 경향이 있으나, 봉사대상자에게 신앙생활을 하도록 권하지는 않는 것이 사회선교의 원칙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