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패럴림픽 탁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패럴림픽 탁구는 패럴림픽에서 진행되는 탁구 종목이다. 1960년 로마 패럴림픽에서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이후, 매 하계 패럴림픽 대회에서 진행되고 있다. 중국이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으며, 역대 다회 메달리스트로는 장 샤오링, 토미 테일러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계 패럴림픽 경기 종목 - 패럴림픽 사이클
    패럴림픽 사이클은 1984년 하계 패럴림픽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장애 유형에 따라 분류되며, 도로 경기와 트랙 경기로 나뉘어 진행되고 오스트레일리아가 역대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다.
  • 하계 패럴림픽 경기 종목 - 패럴림픽 배드민턴
    패럴림픽 배드민턴은 2020년 하계 패럴림픽에서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고, 남자 단식, 여자 단식, 복식, 혼합 복식으로 구성되며, 각 종목은 장애 등급에 따라 세분화된다.
  • 패럴림픽 경기 종목에 관한 - 휠체어 농구
    휠체어 농구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선수들이 참가하는 장애인 스포츠로, 제2차 세계 대전 후 상이군인들에 의해 시작되어 국제 휠체어 농구 연맹의 관리하에 일반 농구와 유사하지만 휠체어 사용에 맞춘 규칙과 클래스 분류를 적용하여 전 세계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다양한 매체에서도 활용된다.
  • 패럴림픽 경기 종목에 관한 - 패럴림픽 사이클
    패럴림픽 사이클은 1984년 하계 패럴림픽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장애 유형에 따라 분류되며, 도로 경기와 트랙 경기로 나뉘어 진행되고 오스트레일리아가 역대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다.
패럴림픽 탁구
패럴림픽 탁구
패럴림픽 탁구 픽토그램
패럴림픽 탁구 픽토그램
남자 종목16
여자 종목13

2. 역대 패럴림픽 탁구

패럴림픽 탁구는 1960년 로마 하계 패럴림픽에서 처음 시작된 이후 매 대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초기에는 종목 수가 적었지만, 점차 증가하여 2020년 도쿄 하계 패럴림픽에서는 31개 종목이 진행되었다.

역대 패럴림픽 탁구 대회에서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둔 국가는 중국이다. 중국은 2004년 아테네 하계 패럴림픽부터 2020년 도쿄 하계 패럴림픽까지 5회 연속 종합 1위를 차지했다.[1]

2. 1. 대회별 요약

대회연도종목최고 성적 국가
1회1960년11
2회1964년12
3회1968년15
4회1972년19
5회1976년27
6회1980년32
7회1984년36
8회1988년38
9회1992년36
10회1996년28
11회2000년30
12회2004년28
13회2008년24
14회2012년29
15회2016년29
16회2020년31


2. 2. 종합 메달 순위

2020년 하계 패럴림픽까지의 국가별 메달 획득 현황은 다음과 같다.[1]

국가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中國|중국중국어783120129
독일 연방 공화국|독일 연방 공화국de43282697
프랑스|프랑스프랑스어364554135
오스트리아|오스트리아de29232981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27363699
영국|영국영어263247105
독일|독일de25272981
네덜란드|네덜란드nl19142356
스웨덴|스웨덴sv16282367
스위스|스위스de1471031
미국|미국영어14152453
이스라엘|이스라엘he1041024
벨기에|벨기에프랑스어10101636
폴란드|폴란드pl1010929
핀란드|핀란드fi86923
슬로바키아|슬로바키아sk68923
덴마크|덴마크da65819
이탈리아|이탈리아it5121936
홍콩|홍콩중국어591125
체코|체코cs48517
헝가리|헝가리hu43613
오스트레일리아|오스트레일리아영어47314
유고슬라비아|유고슬라비아sr44311
러시아|러시아ru33814
우크라이나|우크라이나uk33814
루마니아|루마니아ro3249
일본|일본일본어35917
아일랜드|아일랜드ga35917
노르웨이|노르웨이no371020
튀르키예|튀르키예tr2349
나이지리아|나이지리아yo2035
스페인|스페인es161320
세르비아|세르비아sr1438
캐나다|캐나다영어1179
크로아티아|크로아티아hr1113
요르단|요르단ar1034
태국|태국th1045
슬로베니아|슬로베니아sl1012
페루|페루es1001
중화 타이베이04711
브라질|브라질pt0358
아르헨티나|아르헨티나es0213
멕시코|멕시코es0213
이집트|이집트ar0123
남아프리카 공화국|남아프리카 공화국af0112
몰타|몰타몰타어0101
짐바브웨|짐바브웨영어0101
독립 국가 연합|독립 국가 연합ru0101
인도|인도hi0112
아이슬란드|아이슬란드is0011
패럴림픽 러시아 선수단|패럴림픽 러시아 선수단ru0011
자메이카|자메이카영어0011
몰도바|몰도바mo0011
필리핀|필리핀tl0011
포르투갈|포르투갈pt0011
로디지아|로디지아영어0011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세르비아 몬테네그로sr0011
인도네시아|인도네시아id0011
몬테네그로|몬테네그로cnr0011
패럴림픽 독립 선수단0011


3. 참가국

국가196019641968197219761980198419881992199620002004200820122016총 참가 횟수
아르헨티나392845685324413
오스트레일리아2417276191222513
오스트리아64211214104998786414
바하마31
바레인21
벨기에11839946995533415
브라질5314551114179
불가리아11
캐나다1641910112119
칠레1123
중국112228132628309
중화 타이베이231288547
콜롬비아822
코스타리카21
크로아티아442445
쿠바242
체코914136636
체코슬로바키아11
덴마크516927953231313
이집트64134877
에티오피아212
페로 제도11
피지11
핀란드14445653211112
프랑스13861110141721292926281613
독일13322720181212119
영국101225181915917131014811131315
그리스2333
과테말라21
홍콩35111657245311
헝가리137763533610
아이슬란드311215
인도21
혼성 (IPP)31
인도네시아363115
이란43214
이라크212
아일랜드521082784424112
이스라엘161846514641242415
이탈리아94154916874751310714
자메이카522115
일본65166126512823513
요르단2243336
케냐212
쿠웨이트31
리비아21
리히텐슈타인1313
룩셈부르크41
말레이시아213
몰타132
멕시코41413652129
몰도바11
네덜란드221461019591474544415
뉴질랜드742
나이지리아3275236
노르웨이114516133322223213
오만21
페루11
필리핀112
폴란드21291012136
포르투갈112
푸에르토리코322
로디지아61
루마니아1123
러시아114995
세르비아4343
세르비아 몬테네그로21
시에라리온11
슬로바키아571010876
슬로베니아22524
남아프리카 공화국3916546
대한민국255101371412151314232213
스페인24155875699
수단21
스웨덴10113171015151410898613
스위스111013155763431112
시리아11
탄자니아11
태국32474
트리니다드 토바고11
튀르키예11694
우크라이나4267105
연합 (EUN)31
미국6265131042021129343214
서독1616172124336
베네수엘라311125
예멘11
유고슬라비아245215
짐바브웨21


3. 1. 국가별 참가 현황

국가196019641968197219761980198419881992199620002004200820122016총 참가 횟수
아르헨티나392845685324413
오스트레일리아2417276191222513
오스트리아64211214104998786414
바하마31
바레인21
벨기에11839946995533415
브라질5314551114179
불가리아11
캐나다1641910112119
칠레1123
중국112228132628309
중화 타이베이231288547
콜롬비아822
코스타리카21
크로아티아442445
쿠바242
체코914136636
체코슬로바키아11
덴마크516927953231313
이집트64134877
에티오피아212
페로 제도11
피지11
핀란드14445653211112
프랑스13861110141721292926281613
독일13322720181212119
영국101225181915917131014811131315
그리스2333
과테말라21
홍콩35111657245311
헝가리137763533610
아이슬란드311215
인도21
혼성 (IPP)31
인도네시아363115
이란43214
이라크212
아일랜드521082784424112
이스라엘161846514641242415
이탈리아94154916874751310714
자메이카522115
일본65166126512823513
요르단2243336
케냐212
쿠웨이트31
리비아21
리히텐슈타인1313
룩셈부르크41
말레이시아213
몰타132
멕시코41413652129
몰도바11
네덜란드221461019591474544415
뉴질랜드742
나이지리아3275236
노르웨이114516133322223213
오만21
페루11
필리핀112
폴란드21291012136
포르투갈112
푸에르토리코322
로디지아61
루마니아1123
러시아114995
세르비아4343
세르비아 몬테네그로21
시에라리온11
슬로바키아571010876
슬로베니아22524
남아프리카 공화국3916546
대한민국255101371412151314232213
스페인24155875699
수단21
스웨덴10113171015151410898613
스위스111013155763431112
시리아11
탄자니아11
태국32474
트리니다드 토바고11
튀르키예11694
우크라이나4267105
연합 (EUN)31
미국6265131042021129343214
서독1616172124336
베네수엘라311125
예멘11
유고슬라비아245215
짐바브웨21


4. 다회 메달리스트

패럴림픽 탁구에서 두 개 이상의 금메달 또는 다섯 개 이상의 메달을 획득한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현역 선수들은 '''굵은 글씨'''로 표시되어 있다.[1]

순위선수국가연도출전성별합계
1장 샤오링1988-2008791212
2토미 테일러1960-198068019
3요헨 볼메르트1992-2012652310
4나탈리아 파르티카2004-201645117
5바루크 하가이1964-197645016
이레너 스밋1972-198035016
7얀 리아포시2004-201234105
8마이클 뎀프시1972-2000834310
9라이너 퀴샬1972-198443126
10켈리 판존2008-202043113
11크리스토프 뒤랑1996-200842136
12제임스 로슨1992-200852125
13헤르다 베커르1976-198022114
마티 앤젤1960-198042114
홀거 니켈리스2004-201232114
16캐롤 브라이언트1968-197222103
17피터 로젠마이어2004-201642024
18닐 로빈슨1992-200851416
19투 캄카솜푸2000-201651236
20즐라트코 케슬레르
1992-201261225
21호세 마누엘 루이스 레예스2000-201650325


4. 1. 주요 선수 목록

세르비아1992-20126남122521호세 마누엘 루이스 레예스스페인2000-20165남03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