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평의회공산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의회공산주의는 1918년 이후 독일과 네덜란드의 일부 공산주의자들이 러시아 혁명이 새로운 정치 엘리트 계급을 만들었다고 비판하며 등장한 사상이다. 이들은 노동자 평의회를 통해 사회주의를 실현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레닌주의 정당이나 자본주의 개혁에 의존하는 것을 거부했다. 평의회공산주의는 총파업과 같은 대중 행동을 혁명적 수단으로 보고, 노동자 평의회가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형성하고 운영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들은 권위주의적 사회주의와 혁명 정당의 아이디어를 비판하며, 반권위주의적이고 반레닌주의적인 마르크스주의로 분류된다. 평의회공산주의는 1920년대 초 코민테른과의 갈등과 내부 분열을 겪으며 쇠퇴했지만, 이후에도 소규모 집단들을 통해 명맥을 유지해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좌파공산주의 - 반레닌주의
    반레닌주의는 블라디미르 레닌의 혁명 이론과 통치 방식에 반대하는 사상 및 운동을 포괄하며, 초기에는 마르크스주의 내부의 비판과 비마르크스주의 세력의 반대로 시작되어 레닌 사후에는 소비에트 연방의 변질을 비판하며 심화되었다.
  • 좌파공산주의 - 자유지상주의적 마르크스주의
  • 평의회주의 - 바이에른 평의회 공화국
    바이에른 평의회 공화국은 제1차 세계 대전 패배 후 바이에른에서 수립된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공산주의자들이 권력을 잡았지만, 바이마르 공화국 군대에 의해 1919년 붕괴되었다.
  • 평의회주의 - 네덜란드 공산노동자당
    네덜란드 공산노동자당은 네덜란드 공산주의 운동과 관련된 인물들을 다루는 문서이다.
  • 평의회 - 국가재건최고회의
    국가재건최고회의는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 수립된 군사 정권 기구로, 헌법 일부 조항 효력 정지, 국회 해산 등 권위주의적 통치를 펼치며 경제 개발을 추진했으나 민주주의를 후퇴시켰다는 비판을 받았고, 1963년 제3공화국 출범과 함께 해산되었다.
  • 평의회 - 유럽 평의회
    유럽 평의회는 2차 세계대전 후 유럽 재건과 화해를 위해 1949년 설립되어 민주주의, 인권, 법치를 가치로 삼고 46개 회원국이 활동하며 인권 보호, 법치주의 증진, 문화 협력 등을 주요 활동으로 하는 국제기구이다.
평의회공산주의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다른 이름평의회주의
평의회 공산주의
이론적 특징
핵심 원칙노동자 평의회를 통한 사회주의 실현
주요 목표자본주의 철폐
국가 철폐
임금 노동 철폐
지향점반레닌주의
반볼셰비키주의
반의회주의
반국가주의
주요 특징계급 투쟁 강조
노동자 자치 옹호
혁명의 자발성 강조
역사적 맥락
기원20세기 초 사회민주주의의 위기 및 러시아 혁명의 영향
주요 발전독일의 11월 혁명
헝가리 소비에트 공화국
이탈리아의 공장 평의회 운동
쇠퇴1920년대 후반, 파시즘의 부상 및 스탈린주의의 강화
주요 인물
이론가안톤 판네쿡
오토 륄레
카를 코르슈
헤르만 고르터
실천가로자 룩셈부르크 (일부 견해 공유)
카를 리프크네히트 (일부 견해 공유)
주요 조직
과거 조직독일 공산노동자당 (KAPD)
네덜란드 공산노동자당 (KAPN)
현대 조직국제공산주의흐름 (ICC)
국제주의공산주의경향 (ICT)
영향상황주의 인터내셔널 (SI)
일부 자치주의 운동
관련 이론 및 사상
영향 받은 사상마르크스주의
룩셈부르크주의
무정부주의
영향을 준 사상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
좌익 공산주의
자치주의
주요 비판
비판레닌주의 정당 모델의 거부
대중 운동 참여의 소극성
지나치게 이상주의적이라는 비판
현실 정치와의 괴리

2. 역사

2. 1. 출현

평의회공산주의는 1918년 이후 독일과 네덜란드의 일부 공산주의자들이 러시아 혁명은 새로운 정치엘리트계급을 창출하여 그 엘리트계급에게 권력이 집중된 사회를 만들었다고 결론내리면서 출현했다. 출현 초기의 대표적인 이론가로는 독일의 오토 륄레, 네덜란드의 헤르만 호르터, 안톤 판네쿡이 있었다.

1918년 12월 독일공산당(KPD)이 처음 창당되었을 때, 당원의 과반수가 선거정치와 노조주의에 반대했다. 이러한 입장은 볼셰비키 주류에 비해서 더 좌익에 위치하였다. 1919년, 공산주의 인터내셔널(코민테른)이 결성되어 국제적으로 볼셰비키 노선을 진흥하였다. 1919년 10월, KPD 당수 파울 레비는 코민테른 지령에 따라, 의회선거에 참여하고 기성 노동조합에 들어가서 주도권을 잡는 새로운 노선을 채택하였다. 그러자 당원의 거의 절반이었던 당내 좌파 100,000 여명이 탈당했다. 탈당한 좌파는 1920년 4월 독일공산노동자당(KAPD)을 창당했다. 창당 당시 당원 수는 38,000 명이었다. 또한 카프 폭동에 대한 KPD의 반응이 미약하다고 여겨진 것도 부분적으로 KAPD의 탄력으로 작용했다. 같은 해, 미국의 세계산업노동자연맹(IWW)을 전범으로 삼은 혁명노조로서 독일일반노동자연합(AAUD)이 결성되었다. 일각에서는 AAUD를 KAPD 가맹 노총으로 여겼다.

1918년, 호르터는 러시아와 서유럽의 상황은 다르다고 차이점을 지적하는 『세계혁명』이라는 소책자를 작성했다. 판네쿡은 1920년 발표한 소책자 『세계혁명과 공산주의 전술』에서 서유럽에서의 공산주의 전술은 러시아에서의 것과 필연적으로 다를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판네쿡은 서유럽은 부르주아 권력이 더욱 공고하기 때문에, 서유럽에서의 계급투쟁은 의회와 기성노조를 비롯한 부르주아 제도 자체를 반대하는 것으로서 표출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판네쿡은 대중의 계급의식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볼셰비키의 전위당은 혁명을 가로막을 수 있는 잠재적 위험물로 여겼다.

KAPD는 창당된 직후 코민테른에 가맹 신청서를 냈다. 그러나 1920년 제2차 세계대회에서 블라디미르 레닌, 레프 트로츠키, 그리고리 지노비예프는 KAPD의 입장을 만장일치로 거부했다. 코민테른 집행위원회는 KPD와 KAPD의 경쟁에서 KPD를 전적으로 지지한다고 발표했다. KAPD 대표단 일부는 항의의 뜻으로 대회장을 조기에 떠났다. 레닌은 소책자 『좌익소아병』을 발표하여 KAPD와 판네쿡, 그 밖의 “좌파” 조직들이 혼란을 확산시킨다고 비난하였다. 레닌은 의회와 기성노조에 침투하기를 거부하면 노동자들이 반동적 지도자들의 영향 아래 남을 뿐이라고 주장했다. 레닌은 러시아와 서유럽 선진국 사이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은 인정했으나, 러시아혁명의 특징들은 보편적으로 타당하다고 주장했다. 호르터는 이에 대하여 레닌 앞으로 공개서한을 보내 동방과 서방의 계급구조의 차이 때문에 공산주의 전술에 차이가 있어야 한다는 주장을 되풀이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KAPD 및 유사한 성향의 단체들은 처음에는 국제공산주의 운동 내부에서 변화를 일으켜 보고자 했다. 그러나 1921년 제3차 세계대회에서 좌익 반대파의 규합이 실패하자 KAPD는 코민테른을 탈퇴했다. 이 때부터 평의회공산주의자들의 볼셰비즘에 대한 비판은 보다 근본적인 비판을 향하게 되었다. 평의회공산주의자들은 볼셰비키 혁명이 사회주의를 건설하지 않았다고 결론내렸다. 1921년, 판네쿡은 러시아혁명은 프랑스혁명과 같은 부르주아 시민혁명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호르터는 러시아혁명이 봉건제에 대항하는 자본주의 혁명이자 자본제에 대항하는 노동계급 혁명인 이중적 성격을 가지고 있었으나, 1921년의 신경제정책으로 이중상태가 해소되고 러시아는 명백하게 자본주의 국가가 되었다고 주장했다.

네덜란드 역사학자 마르셀 판 데어 린덴에 따르면, 평의회공산주의는 1921년에 이상과 같은 과정을 겪으면서 코민테른 공식노선과 완전히 결별하고 별개의 조류로서 구분되기 시작하였다.

2. 1. 1. 초기 이론가

평의회공산주의는 1918년 이후 독일과 네덜란드의 일부 공산주의자들이 러시아 혁명이 새로운 정치 엘리트 계급에게 권력이 집중된 사회를 만들었다고 비판하면서 등장했다. 초기 대표적인 이론가로는 독일의 오토 륄레, 네덜란드의 헤르만 호르터, 안톤 판네쿡이 있었다.

1918년 호르터는 러시아와 서유럽의 상황이 다르다는 점을 지적하는 『세계혁명』을 저술했다. 판네쿡은 1920년 발표한 『세계혁명과 공산주의 전술』에서 서유럽의 공산주의 전술은 러시아와 다를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서유럽은 부르주아 권력이 더욱 공고하여, 계급투쟁이 의회와 기성노조를 비롯한 부르주아 제도 자체를 반대해야 한다고 보았다. 판네쿡은 계급의식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볼셰비키의 전위당은 혁명을 가로막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독일 공산당(KPD)은 창당 초기 선거 정치와 노동조합주의에 반대하는 다수파가 존재했지만, 1919년 코민테른 결성 이후 코민테른의 노선을 따르는 파울 레비가 당권을 장악하면서, 당내 좌파 10만여 명이 탈당하여 1920년 4월 독일 공산노동자당(KAPD)을 창당했다. KAPD는 창당 직후 코민테른에 가입을 신청했으나, 1920년 코민테른 제2차 세계대회에서 블라디미르 레닌, 레프 트로츠키, 그리고리 지노비예프는 KAPD의 입장을 만장일치로 거부했다. 레닌은 『좌익소아병』에서 KAPD와 판네쿡 등을 비판하며, 의회와 기성노조에 참여하지 않으면 노동자들이 반동적 지도자들의 영향 아래 놓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호르터는 레닌에게 공개서한을 보내 동서 간 계급구조 차이 때문에 공산주의 전술에 차이가 있어야 한다고 반박했다.

KAPD는 1921년 코민테른 제3차 세계대회에서 좌익 반대파 규합에 실패하자 코민테른을 탈퇴했다. 이후 평의회공산주의자들은 볼셰비키 혁명이 사회주의를 건설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1921년 판네쿡은 러시아 혁명이 프랑스 혁명과 같은 부르주아 혁명이라고 주장했고, 호르터는 러시아 혁명이 봉건제에 대항하는 자본주의 혁명이자 자본주의에 대항하는 노동계급 혁명의 이중적 성격을 가졌으나, 1921년 신경제 정책으로 자본주의 국가가 되었다고 주장했다.

마르셀 판 데어 린덴에 따르면, 평의회공산주의는 1921년에 코민테른과 결별하고 독자적인 조류로 구분되기 시작했다.

2. 1. 2. 코민테른과의 관계

평의회공산주의는 1918년 이후 독일과 네덜란드의 일부 공산주의자들이 러시아 혁명이 새로운 정치 엘리트 계급에게 권력이 집중된 사회를 만들었다고 결론내리면서 출현했다. 초기 이론가로는 오토 륄레, 헤르만 호르터, 안톤 판네쿡 등이 있었다.

1919년 공산주의 인터내셔널(코민테른)이 결성되어 볼셰비키 노선을 국제적으로 추진했다. 1920년 4월, 독일공산당(KPD) 내 좌파는 독일공산노동자당(KAPD)을 창당했다. KAPD는 창당 직후 코민테른 가입을 신청했으나, 1920년 코민테른 제2차 세계대회에서 블라디미르 레닌, 레프 트로츠키, 그리고리 지노비예프는 KAPD의 입장을 만장일치로 거부했다. 코민테른 집행위원회는 KPD를 전적으로 지지한다고 발표했고, KAPD 대표단 일부는 항의하며 대회장을 떠났다.

레닌은 소책자 『좌익소아병』에서 KAPD와 판네쿡 등을 비판하며, 의회와 기성노조에 침투하기를 거부하면 노동자들이 반동적 지도자들의 영향 아래 남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레닌은 러시아와 서유럽 선진국 사이에 차이가 있음을 인정했지만, 러시아 혁명의 특징들은 보편적으로 타당하다고 주장했다. 호르터는 레닌에게 공개서한을 보내 동방과 서방의 계급구조 차이 때문에 공산주의 전술에 차이가 있어야 한다는 주장을 반복했다.

KAPD는 1921년 코민테른 제3차 세계대회에서 좌익 반대파 규합에 실패하자 코민테른을 탈퇴했다. 이후 평의회공산주의자들은 볼셰비키 혁명이 사회주의를 건설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1921년 판네쿡은 러시아 혁명이 프랑스 혁명과 같은 부르주아 시민혁명에 불과하다고 주장했고, 호르터는 신경제정책 이후 러시아가 명백하게 자본주의 국가가 되었다고 주장했다.

마르셀 판 데어 린덴에 따르면, 평의회공산주의는 1921년에 코민테른과 결별하고 별개의 조류로 구분되기 시작했다.

2. 2. 분화와 쇠퇴

KAPD는 창당 초기부터 내홍에 시달렸다. 당원들의 성향이 다양했고, 또한 자신들도 관료화되어 노동자계급의 혁명적 역동성을 저해할 것을 우려했기 때문에 안정적인 조직을 만들 수 없었다. 1920년대 초엽을 넘겨 바이마르 공화국이 안정되고 평의회 운동이 쇠퇴하면서 분쟁은 더욱 뚜렷해졌다.

KAPD 창당대회 때부터 오토 륄레와 프란츠 펨페르트는 여하의 중앙집권적 당조직을, 그리고 정치는 정당이, 경제는 노조가 맡는 전통적 분업을 반대하였다. 륄레는 1920년 소책자 「혁명은 당의 일이 아니다」에서 혁명운동의 목표는 생산을 장악하는 것이며, 그러므로 필연적으로 기회주의에 빠질 뿐인 정당은 필요없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륄레와 그의 지지자들은 1920년 11월 KAPD마저 탈당하였다. 또한 친KAPD파가 AAUD를 장악하고 있었기 때문에, 륄레파는 1921년 6월 AAUD-E를 설립했다. AAUD-E는 KAPD가 의회주의를 거부하는 것을 제외하면 KPD와 다를 바 없다고 비판했다. 1920년 8월에는 KAPD 제2차 당대회에서 하인리히 라우펜베르크, 프리츠 볼프하임 등 당내 국민볼셰비즘파가 제명되었다. 이들 국민볼셰비즘파는 강력한 독일 국민국가와 소련이 동맹을 맺어 서방 자본주의와 싸워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KPD파울 레비가 유대인이기 때문에 “유대-금융-자본의 카드로서 구실할 것”이라고 반유대주의 성향을 표출했다.

당내 숙정이 끝난 뒤 KAPD는 코민테른에 대항하는 대안 국제당의 건설, AAUD의 임금투쟁 참여 여부, 카를 슈뢰더 등 당 지도부의 역할 문제를 둘러싸고 논쟁이 벌어졌다. 슈뢰더파는 자본주의가 종말로 이어질 마지막 위기에 처해 있으나, 노동자들이 아직 개량주의 지도자들의 통제 하에 있어서 자본주의의 종말을 맞이할 준비가 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러므로 KAPD의 역할은 나중에 노동자들을 이끌 수 있도록 혁명적 원칙을 엄격히 고수하는 것이라고 슈뢰더파는 결론내렸다. 반슈뢰더파는 자본주의가 쇠퇴하고 있다는 것에는 동의하였지만, 오히려 그렇기에 노동자들이 투쟁에 나서야 한다고 생각했다. 반대파는 임금투쟁 참여와 같은 문제에 있어서 보다 유연하게 열려 있었고, 슈뢰더는 이것을 개량주의라고 일축했다. 1922년 3월, 이 분쟁은 결국 슈뢰더의 에센파와 반슈뢰더의 베를린파로 분열되었다. AAUD도 에센파와 베를린파로 분열되었다. 당세는 베를린파가 더 강했으나, 헤르만 호르터 등 지식인들은 대부분 에센파에 가담했다. 안톤 판네쿡은 베를린파에 동조하였으나 종파주의적 난맥상에 환멸하여 논쟁 자체로부터 거리를 두었다.

슈뢰더와 호르터 등 KAPD 당권파 지도부는 1921년 KAPD가 코민테른에서 탈퇴한 뒤로 대안 국제당 건설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많은 당원들은 이러한 움직임이 시기상조로 보고 회의적이었다. 1922년 4월, KAPD 에센파와 KAPN이 공산노동자 인터내셔널(KAI)을 결성했고, BBKP와 CWP도 여기에 합류했다. KAI는 러시아 지부도 있다고 주장했지만, 실제로는 베를린에 거류하는 러시아인 두 명 뿐이었다. KAI 강령은 호르터가 작성했다. KAI는 조직의 구조는 코민테른과 유사했지만, 그만한 영향력은 갖지 못했고 제대로 활동도 하지 못했다. 또한 각국 공산노동자당들에서 KAPD 베를린파 지지자들이 나타나면서, 네덜란드와 불가리아에서도 분열이 반복되었다.

평의회공산주의 단체들은 1922년 이후 점점 쇠퇴하여 형해화되었다. 독일에서는 1923년에 20,000 명의 지지자가 있었으나, 1933년이 되면 수백 명밖에 남지 않았다. 소수파인 에센파가 더 빠르게 쇠퇴했다. 1923년 에센파에서 이탈한 한 무리의 당원들이 평의회공산주의자동맹을 결성하고 AAUD-E에 가입했다. 1925년, 슈뢰더 등 에센파 지도자들은 평의회 운동은 쇠락하였고 혁명의 가능성은 사라졌다고 판단하고 사회민주당(SPD)에 복당했다. 1927년에 호르터가 죽었고, 1929년이 되면 에센파 잔당은 신문도 발행할 수 없게 되었다. 분열 당시 이론가들을 상실한 베를린파는 이후 몇 년 동안 봉기를 선동하고 무시당하기만 거듭했다. 1927년, AAUD 베를린파가 스스로 정당임을 선언하고 KAPD 베를린파로부터 이탈했다. AAUD-E는 빠르게 일관된 조직이라기보다 개별 집단들과 경향들의 집합체가 되었고, 이론지도자 륄레는 정세가 너무 반동적이라서 혁명정치를 할 수 없다고 결론내리고 1925년 조직을 이탈했다. AAUD-E 잔당은 1927년 KPD에서 제명된 집단 및 노조들과 합동하여 ‘좌파공산주의조직스파르타쿠스동맹’이라는 조직을 만들었고, 이 조직은 1931년 베를린파 AAUD와 합쳐서 독일공산노동자연합(KAUD)을 만들었으나 KAUD의 조직원 수는 343명에 불과했다.

1930년대 초엽이 되면 대중운동으로서의 평의회공산주의는 종막을 맞았다. 존 거버에 따르면, 평의회 운동은 1차대전 이후 전후혼란의 산물이었고, 혁명적 혼란이 잦아들고 평의회 운동이 종말을 맞으면서 평의회공산주의자들의 정치는 추상적인 것이 되었다. 평의회공산주의가 대중운동으로서 실패한 것은 평의회공산주의자들의 실책 때문이었다. 그들은 안정화된 자본주의 체제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정치를 발전시키지 못했다. 평의회공산주의자들은 평의회 운동이 쇠퇴한 이유, 그리고 레닌주의와 민주주의가 노동자들에게 미친 영향을 이해하지 못했다. 그리고 평의회공산주의자들의 교조주의와 하층 지도성의 부재로 인해 이 모든 문제점이 더욱 악화되었다.

2. 2. 1. 국민볼셰비즘 논쟁

KAPD는 창당 초기부터 다양한 성향의 당원들과 관료화에 대한 우려로 인해 안정적인 조직을 구축하지 못했다. 1920년대 초 바이마르 공화국이 안정되고 평의회 운동이 쇠퇴하면서 당내 분쟁은 더욱 심화되었다.

KAPD 창당 대회 때부터 오토 륄레와 프란츠 펨페르트는 중앙집권적 당 조직과 정치와 경제를 분리하는 전통적 분업에 반대했다. 륄레는 1920년 소책자 「혁명은 당의 일이 아니다」에서 혁명 운동의 목표는 생산 장악이므로 정당은 필요 없다고 주장했다. 륄레와 그의 지지자들은 1920년 11월 KAPD를 탈당했고, 1921년 6월 친KAPD파가 AAUD를 장악하자 AAUD-E를 설립했다. AAUD-E는 KAPD가 의회주의를 거부하는 것을 제외하면 KPD와 다를 바 없다고 비판했다. 1920년 8월 KAPD 제2차 당대회에서 하인리히 라우펜베르크, 프리츠 볼프하임 등 당내 국민볼셰비즘파가 제명되었다. 이들은 강력한 독일 국민국가와 소련의 동맹을 주장했으며, KPD의 파울 레비가 유대인이기 때문에 “유대-금융-자본의 카드로서 구실할 것”이라고 반유대주의적 주장을 펼쳤다.

당내 숙청 이후 KAPD는 코민테른에 대항하는 대안 국제당 건설, AAUD의 임금투쟁 참여 여부, 카를 슈뢰더 등 당 지도부의 역할 문제를 둘러싸고 논쟁을 벌였다. 슈뢰더파는 자본주의가 종말을 맞이할 위기에 처해 있지만, 노동자들이 아직 개량주의 지도자들의 통제 하에 있어 자본주의 종말을 맞이할 준비가 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KAPD의 역할은 혁명적 원칙을 엄격히 고수하는 것이라고 결론내렸다. 반슈뢰더파는 자본주의가 쇠퇴하고 있다는 것에 동의했지만, 그렇기에 노동자들이 투쟁에 나서야 한다고 생각했다. 반대파는 임금투쟁 참여와 같은 문제에 있어서 보다 유연하게 열려 있었고, 슈뢰더는 이것을 개량주의라고 일축했다. 1922년 3월, 이 분쟁은 결국 슈뢰더의 에센파와 반슈뢰더의 베를린파로 분열되었다. AAUD도 에센파와 베를린파로 분열되었다. 당세는 베를린파가 더 강했으나, 헤르만 고터 등 지식인들은 대부분 에센파에 가담했다. 안톤 판네쿡은 베를린파에 동조하였으나 종파주의적 난맥상에 환멸하여 논쟁 자체로부터 거리를 두었다.

슈뢰더와 고터 등 KAPD 당권파 지도부는 1921년 KAPD가 코민테른에서 탈퇴한 뒤 대안 국제당 건설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많은 당원들은 이러한 움직임이 시기상조라고 생각했다. 1922년 4월, KAPD 에센파와 KAPN이 공산노동자 인터내셔널(KAI)을 결성했고, BBKP와 CWP도 여기에 합류했다. KAI는 러시아 지부도 있다고 주장했지만, 실제로는 베를린에 거주하는 러시아인 두 명뿐이었다. KAI 강령은 고터가 작성했다. KAI는 코민테른과 유사한 구조를 가졌지만, 영향력은 미미했고 제대로 활동하지 못했다. 각국 공산노동자당들에서 KAPD 베를린파 지지자들이 나타나면서, 네덜란드와 불가리아에서도 분열이 반복되었다.

평의회공산주의 단체들은 1922년 이후 점점 쇠퇴했다. 독일에서는 1923년에 20,000명의 지지자가 있었으나, 1933년에는 수백 명밖에 남지 않았다. 소수파인 에센파가 더 빠르게 쇠퇴했다. 1923년 에센파에서 이탈한 한 무리의 당원들이 평의회공산주의자동맹을 결성하고 AAUD-E에 가입했다. 1925년, 슈뢰더 등 에센파 지도자들은 평의회 운동은 쇠락하였고 혁명의 가능성은 사라졌다고 판단하고 사회민주당(SPD)에 복당했다. 1927년에 고터가 사망했고, 1929년이 되면 에센파 잔당은 신문도 발행할 수 없게 되었다. 분열 당시 이론가들을 상실한 베를린파는 이후 몇 년 동안 봉기를 선동하고 무시당하기만 거듭했다. 1927년, AAUD 베를린파가 스스로 정당임을 선언하고 KAPD 베를린파로부터 이탈했다. AAUD-E는 빠르게 일관된 조직이라기보다 개별 집단들과 경향들의 집합체가 되었고, 이론지도자 륄레는 정세가 너무 반동적이라서 혁명정치를 할 수 없다고 결론내리고 1925년 조직을 이탈했다. AAUD-E 잔당은 1927년 KPD에서 제명된 집단 및 노조들과 합동하여 ‘좌파공산주의조직스파르타쿠스동맹’이라는 조직을 만들었고, 이 조직은 1931년 베를린파 AAUD와 합쳐서 독일공산노동자연합(KAUD)을 만들었으나 KAUD의 조직원 수는 343명에 불과했다.

1930년대 초엽이 되면 대중운동으로서의 평의회공산주의는 종말을 맞았다. 존 거버에 따르면, 평의회 운동은 1차대전 이후 전후 혼란의 산물이었고, 혁명적 혼란이 잦아들고 평의회 운동이 종말을 맞으면서 평의회공산주의자들의 정치는 추상적인 것이 되었다. 평의회공산주의가 대중운동으로서 실패한 것은 평의회공산주의자들의 실책 때문이었다. 그들은 안정화된 자본주의 체제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정치를 발전시키지 못했다. 평의회공산주의자들은 평의회 운동이 쇠퇴한 이유, 그리고 레닌주의와 민주주의가 노동자들에게 미친 영향을 이해하지 못했다. 그리고 평의회공산주의자들의 교조주의와 하층 지도성의 부재로 인해 이 모든 문제점이 더욱 악화되었다.

2. 2. 2. 에센파와 베를린파

KAPD는 창당 초기부터 다양한 성향의 당원들과 관료화에 대한 우려로 인해 내홍을 겪었다. 바이마르 공화국이 안정되고 평의회 운동이 쇠퇴하면서 분쟁은 더욱 심화되었다.

오토 륄레와 프란츠 펨페르트는 중앙집권적 당 조직과 전통적 분업(정당-정치, 노조-경제)을 반대했다. 륄레는 1920년 소책자에서 혁명 운동의 목표는 생산 장악이므로 정당은 필요 없다고 주장했고, 1920년 11월 KAPD를 탈당했다. 1921년 6월, 륄레파는 AAUD-E를 설립, KAPD가 의회주의를 거부하는 것을 제외하면 KPD와 다를 바 없다고 비판했다. 1920년 8월, KAPD 제2차 당대회에서 하인리히 라우펜베르크, 프리츠 볼프하임 등 당내 국민볼셰비즘파가 제명되었다. 이들은 강력한 독일 국민국가와 소련의 동맹을 주장했으며, 반유대주의 성향을 드러냈다.

이후 KAPD는 코민테른에 대항하는 대안 국제당 건설, AAUD의 임금투쟁 참여, 카를 슈뢰더 등 당 지도부의 역할 문제를 둘러싸고 논쟁을 벌였다. 슈뢰더파는 자본주의가 종말을 맞이할 위기에 처해 있으나, 노동자들이 아직 준비되지 않았으므로 KAPD의 역할은 혁명적 원칙을 고수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반슈뢰더파는 자본주의 쇠퇴에 동의했지만, 노동자들이 투쟁에 나서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들은 임금투쟁 참여 등에 유연한 태도를 보였고, 슈뢰더는 이를 개량주의라고 비판했다.

1922년 3월, 이 분쟁은 슈뢰더의 에센파와 반슈뢰더의 베를린파로 분열되었다. AAUD도 에센파와 베를린파로 분열되었다. 당세는 베를린파가 더 강했으나, 헤르만 호르터 등 지식인들은 대부분 에센파에 가담했다. 안톤 판네쿡은 베를린파에 동조했으나, 종파주의적 난맥상에 환멸하여 논쟁에서 거리를 두었다.

1921년 KAPD가 코민테른에서 탈퇴한 뒤, 슈뢰더와 호르터 등은 대안 국제당 건설을 계획했으나, 많은 당원들은 회의적이었다. 1922년 4월, KAPD 에센파와 KAPN은 공산노동자 인터내셔널(KAI)을 결성했고, BBKP와 CWP도 합류했다. KAI는 러시아 지부도 있다고 주장했지만, 실제로는 베를린 거주 러시아인 두 명뿐이었다. KAI 강령은 호르터가 작성했다. KAI는 코민테른과 유사한 구조였지만, 영향력은 미미했다. 네덜란드와 불가리아에서도 KAPD 분열이 반복되었다.

평의회공산주의 단체들은 1922년 이후 쇠퇴하여 형해화되었다. 독일에서는 1923년 20,000명, 1933년 수백 명의 지지자만 남았다. 에센파는 더 빠르게 쇠퇴했다. 1923년 에센파 이탈 그룹은 평의회공산주의자동맹을 결성, AAUD-E에 가입했다. 1925년, 슈뢰더 등 에센파 지도자들은 사회민주당(SPD)에 복당했다. 1927년 호르터가 사망했고, 1929년 에센파 잔당은 신문 발행도 중단했다. 베를린파는 봉기를 선동했지만 무시당했다. 1927년, AAUD 베를린파가 스스로 정당임을 선언하고 KAPD 베를린파에서 이탈했다. AAUD-E는 개별 집단들의 집합체가 되었고, 륄레는 1925년 조직을 이탈했다. 1931년, 베를린파 AAUD는 독일공산노동자연합(KAUD)을 결성했으나, 조직원 수는 343명에 불과했다.

1930년대 초, 대중운동으로서의 평의회공산주의는 종말을 맞았다. 존 거버는 평의회 운동이 1차대전 이후 혼란의 산물이며, 평의회공산주의자들의 정치가 추상적인 것이 되었다고 평가했다. 그는 평의회공산주의자들의 실책, 안정화된 자본주의 체제에서 생존할 정치 부재, 평의회 운동 쇠퇴 이유 및 레닌주의와 민주주의 영향에 대한 이해 부족, 교조주의와 하층 지도성 부재를 실패 원인으로 지적했다.

2. 3. 소집단으로 지속

1933년 나치가 독일에서 집권하자 조직적인 평의회공산주의는 완전히 소멸하였다. 그러나 몇몇 집단들이 반정권 저항을 이어나갔고, 네덜란드에서도 여러 소집단들로 이어졌다. 1930년대 후반에는 국제공산주의자집단(GIC)가 평의회공산주의자들의 국제적 교류의 장이 되었다. GIC는 헹크 칸네메이어르의 「새로운 노동운동의 부상」, 헬무트 바그너의 「볼셰비즘에 관한 테제」 등을 출판했다.

다른 나라들에서도 평의회공산주의자들이 나타났다. 독일인 이민자 파울 마틱은 미국에서 『국제평의회통신』(''International Council Correspondence'')을 발행했다. 호주에서는 제임스 아서 도슨이 ''Southern Advocate of Workers' Councils''을 발행했고, 칠레에서는 라인 디에스가 평의회공산주의 문건들을 출판했다.

1960년대 학생운동 시대에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에서 평의회공산주의가 잠시 부활했다. 그러나 68혁명이 쇠퇴하면서 다시 쇠락하였고 유럽과 북미의 소집단들을 통해서 이어지고 있다.

3. 이론

평의회공산주의는 공통적인 일반적 방향성을 공유하면서도 많은 문제에 대한 견해에서 폭넓은 차이를 보였다.

개혁 사회 민주주의와 레닌주의와 대조적으로, 평의회공산주의의 핵심 주장은 공장과 자치구에서 발생하는 민주적인 노동자 평의회가 노동계급 조직과 정부 권력의 자연스러운 형태라는 것이다. 노동계급은 사회주의를 가져오기 위해 레닌주의 선봉대 정당[1]이나 자본주의 체제의 개혁에 의존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2] 대신, 정당은 선전적이고 "소수파"적인 역할을 유지할 것이다.[3] 평의회공산주의자들은 총파업과 아직 나타나지 않은 새로운 형태의 대중 행동을 공산주의 사회를 달성하기 위한 혁명적 수단으로 본다.[4] 노동자 평의회 네트워크가 혁명의 주요 수단이 되어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형성하고 운영하는 장치 역할을 할 것이다.[5]

정부와 경제는 직장에서 선출되어 언제든지 소환될 수 있는 대표자들로 구성된 노동자 평의회에 의해 관리되어야 한다. 따라서 평의회공산주의자들은 권위주의적 사회주의에 반대한다. 또한 평의회공산주의자들은 정당이 주도하는 혁명이 필연적으로 정당 독재를 낳을 것이라고 믿기 때문에 혁명 정당의 아이디어에도 반대한다.

평의회공산주의와 자율주의와 같은 다른 유형의 자유지상주의적 마르크스주의는 레닌주의 이데올로기가 권위주의적이라는 유사한 비판과 선봉대 정당의 아이디어를 거부한다는 점에서 종종 아나키즘과 유사한 것으로 간주된다.[6] 따라서 이는 반권위주의반레닌주의 마르크스주의라고 불린다.[7]

3. 1. 노동자 평의회

평의회공산주의의 핵심 주장은 공장마다, 지자체마다 발생할 민주적인 노동자평의회야말로 노동계급의 조직화 및 정부권력의 자연스러운 형태라는 것이다.[8] 그러므로 노동계급이 레닌주의 전위당이나[8] 자본주의의 개량에 의존해서는 사회주의를 이룰 수 없다고 본다.[9] 당은 어디까지나 선전 역할에 머물러야 한다.[10] 평의회공산주의자들은 대중파업 그리고 아직 등장하지 않은 새로운 형태의 대중행동을 공산주의 사회를 달성하기 위한 혁명적 수단으로 본다.[11] 노동자평의회의 연결망이 혁명의 주역이 되고 국가기구처럼 작동하게 될 때 프롤레타리아 독재가 이루어지고 작동하게 된다.[12] 작업장에서 선출되었고 언제든지 재소환될 수 있는 대표자들로 구성된 노동자평의회가 행정과 경제를 관리해야 한다.[4]

이와 같이 평의회공산주의자들은 권위주의적 사회주의에 반대하였고, 당 주도의 혁명이 프롤레타리아 독재가 아닌 당 독재를 낳는다고 생각하였기에 혁명당이라는 관념에 반대한다.

평의회공산주의 및 기타 자유지상주의적 마르크스주의는 레닌주의를 권위주의라고 비판하고 전위당론을 반대하기 때문에 아나키즘과 비슷한 것으로 간주되기도 한다.[13] 그래서 반권위주의 마르크스주의, 반레닌주의 마르크스주의라고도 한다.[14]

3. 2. 반권위주의

평의회공산주의는 일반적 지향에 있어서는 의견을 같이했지만, 여러 각론에 있어서는 각자 견해가 크게 달랐다.

평의회공산주의의 핵심 주장은 공장과 지자체에서 발생하는 민주적인 노동자평의회가 노동계급 조직과 정부 권력의 자연스러운 형태라는 것이다. 노동계급은 사회주의를 달성하기 위해 레닌주의 전위당[8]이나 자본주의의 개량에 의존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9] 정당은 선전적이고 "소수파"적인 역할을 유지할 것이다.[10] 평의회공산주의자들은 총파업과 아직 나타나지 않은 새로운 형태의 대중 행동을 공산주의 사회를 달성하기 위한 혁명적 수단으로 본다.[11] 노동자 평의회 네트워크가 혁명의 주요 수단이 되어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형성하고 운영하는 장치 역할을 할 것이다.[12]

정부와 경제는 직장에서 선출되어 언제든지 소환될 수 있는 대표자들로 구성된 노동자 평의회에 의해 관리되어야 한다. 따라서 평의회공산주의자들은 권위주의적 사회주의에 반대한다. 또한 평의회공산주의자들은 정당이 주도하는 혁명이 필연적으로 정당 독재를 낳을 것이라고 믿기 때문에 혁명 정당의 아이디어에도 반대한다.

평의회공산주의와 자율주의와 같은 다른 유형의 자유지상주의적 마르크스주의는 레닌주의 이데올로기가 권위주의적이라는 유사한 비판과 선봉대 정당의 아이디어를 거부한다는 점에서 종종 아나키즘과 유사한 것으로 간주된다.[13] 따라서 이는 반권위주의반레닌주의 마르크스주의라고 불린다.[14]

3. 3. 민주적 절차

평의회공산주의자들은 공장과 지자체에서 발생하는 민주적인 노동자평의회가 노동계급 조직 및 정부 권력의 자연스러운 형태라고 주장한다.[8] 이들은 노동계급이 사회주의를 달성하기 위해 레닌주의 전위당이나[8] 자본주의 개혁에 의존해서는 안 된다고 본다.[9] 정당은 선전적 역할에 머물러야 한다.[10]

평의회공산주의는 총파업과 같은 대중행동을 공산주의 사회를 달성하기 위한 혁명적 수단으로 간주한다.[11] 노동자평의회 네트워크는 혁명의 주요 수단이 되어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형성하고 운영하는 기구 역할을 수행한다.[12] 정부와 경제는 작업장에서 선출되어 언제든지 소환될 수 있는 대표자들로 구성된 노동자 평의회에 의해 관리되어야 한다.[12]

이러한 이유로 평의회공산주의자들은 권위주의적 사회주의에 반대하며, 당 주도의 혁명이 프롤레타리아 독재가 아닌 당 독재를 낳는다고 생각하여 혁명당이라는 관념에 반대한다. 평의회공산주의는 아나키즘과 유사하게 레닌주의를 권위주의라고 비판하고 전위당론을 반대하기에 반권위주의반레닌주의 마르크스주의라고도 불린다.[13][14]

4. 한국 사회에의 시사점

4. 1. 권위주의 체제 극복

4. 2. 노동 운동과 연대

4. 3. 풀뿌리 민주주의

5. 비판

5. 1. 현실적 실현 가능성

5. 2. 조직과 전략 부재

참조

[1] 간행물 The New Blanquism https://www.marxists[...] 2020-07-31
[2] 간행물 Socialism and Labor Unionism https://www.marxists[...] 1913-07
[3] 웹사이트 What is Council Communism? http://libcom.org/li[...] 2020-08-29
[4] 서적 Anti-Bolshevik Communism https://www.marxists[...] Merlin Press 1978
[5] 간행물 Workers Councils https://www.marxists[...] 1936-04
[6] 논문 Anarchism and Council Communism on the Russian Revolution https://www.lwbooks.[...] Lawrence & Wishart 2012
[7] 논문 After council communism: the post-war rediscovery of the council tradition
[8] 간행물 The New Blanquism https://www.marxists[...] 2020-07-31
[9] 간행물 Socialism and Labor Unionism https://www.marxists[...] 1913-07
[10] 웹인용 What is Council Communism? http://libcom.org/li[...] 2020-08-29
[11] 서적 Anti-Bolshevik Communism https://www.marxists[...] Merlin Press 1978
[12] 간행물 Workers Councils https://www.marxists[...] 1936-04
[13] 저널 Anarchism and Council Communism on the Russian Revolution https://www.lwbooks.[...] Lawrence & Wishart 2012
[14] 저널 After council communism: the post-war rediscovery of the council tradi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