룩셈부르크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룩셈부르크주의는 로자 룩셈부르크의 사상을 따르는 정치 철학으로, 민주주의와 가능한 한 빠른 혁명을 핵심 가치로 여긴다. 룩셈부르크는 볼셰비키의 권위주의와 기회주의를 비판하며, 노동 계급의 자발성과 조직의 변증법적 관계를 강조했다. 룩셈부르크주의는 스탈린주의와 사회민주주의를 비판하며, 레닌의 혁명 정당 조직에 대한 비판과 함께 민족 자결에 대한 반대 입장을 보였다. 룩셈부르크주의는 현재 소규모의 국제 네트워크를 통해 계승되고 있으며, 사회주의자들에게 혁명적 사회주의의 중요한 사상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좌파공산주의 - 반레닌주의
반레닌주의는 블라디미르 레닌의 혁명 이론과 통치 방식에 반대하는 사상 및 운동을 포괄하며, 초기에는 마르크스주의 내부의 비판과 비마르크스주의 세력의 반대로 시작되어 레닌 사후에는 소비에트 연방의 변질을 비판하며 심화되었다. - 좌파공산주의 - 자유지상주의적 마르크스주의
- 로자 룩셈부르크 - 카를 리프크네히트
카를 리프크네히트는 독일의 사회주의 혁명가이자 정치인으로, 제1차 세계 대전 중 전쟁 반대 운동을 이끌고 독일 사회주의 공화국 수립을 시도했으며 스파르타쿠스 봉기 진압 과정에서 살해당해 독일 좌파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로자 룩셈부르크 - 스파르타쿠스 동맹
스파르타쿠스 동맹은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직후 카를 리프크네히트 주도로 스파르타쿠스단을 재건하여 독일에서 결성된 혁명적 좌익 정치 조직으로, 군부로부터 권력을 장악하고 소비에트 공화국 건설을 목표로 독일 공산당 창당 후 스파르타쿠스 봉기 진압 과정에서 해체되었으며 독일 혁명과 좌익 사회주의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카를 마르크스 - 공산주의
공산주의는 사유 재산 폐지와 생산 수단의 공유를 통해 계급 없는 사회를 목표로 하며, 마르크스주의와 레닌주의를 결합하여 다양한 형태로 실험되었으나, 경제적 비효율성과 인권 탄압 등의 비판을 받으며 그 영향력이 감소했다. - 카를 마르크스 - 마르크스주의
마르크스주의는 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가 제시한 사회, 경제, 정치 이론을 포괄하는 세계관으로, 계급 투쟁을 강조하며 공산주의 사회를 목표로 생산 수단의 공유 소유를 통해 자본주의의 착취적 노동 조건을 없애려 한다.
| 룩셈부르크주의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영어 명칭 | Luxemburgism |
| 독일어 명칭 | Luxemburgismus |
| 주요 개념 | |
| 핵심 사상 | 공산주의 계급 투쟁 계급 의식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 세계 혁명론 반레닌주의 자발적 혁명 총파업 노동자 평의회 |
| 관련 인물 | |
| 주요 인물 | 카를 마르크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다니엘 데 레온 로자 룩셈부르크 오토 륄레 아마데오 보르디가 오노라토 다멘 헤르만 호르터 안톤 판네쿡 가브릴 먀스니코프 카를 코르슈 실비아 팽크허스트 파울 마티크 그란디소 무니스 막시밀리앙 뤼벨 얀 아펠 카를 리프크네히트 카를 슈뢰더 마르크 치리크 기 드보르 안토니오 네그리 E.T. 킹슬리 |
| 관련 조직 | |
| 주요 조직 | 스파르타쿠스단 공산당 노동자당 국제 회의 국제 공산당 국제 공산주의 조류 세계 사회주의 운동 사회주의냐 야만이냐 |
| 관련 분야 | |
| 관련 사상 및 분야 | 서구 마르크스주의 평의회 공산주의 룩셈부르크주의 극좌 반볼셰비키 공산주의 자유지상주의 마르크스주의 오토노미즘 불가능주의 데 레온주의 상황주의 인터내셔널 |
| 공산주의 이념 | |
| 공산주의 관련 개념 | 공유제 평등주의 무계급 사회 계급 투쟁 프롤레타리아 독재 폭력 혁명 평화 혁명 국제주의 세계 혁명론 일국 사회주의론 반제국주의 사회 파시즘론 인민 전선 마르크스 철학 마르크스 경제학 비시장 경제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 유물 사관 유물 변증법 계급 의식 공산주의 사회 |
| 공산주의의 측면 | 공산주의 국가 공산당 공산주의 혁명 공산주의의 상징 마르크스주의와 종교 공산주의의 역사 공산주의 사회 |
| 공산주의 조류 | 마르크스주의 무정부 공산주의 레닌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룩셈부르크주의 좌익 공산주의 스탈린주의 트로츠키주의 마오쩌둥주의 주체사상 호치민 사상 평의회 공산주의 티토주의 카스트로주의 게바라주의 호자주의 종교적 공산주의 기독교 공산주의 유로코뮤니즘 세계 공산주의 무국가 공산주의 민족 공산주의 반수정주의 국제 공산주의 조류 |
| 공산주의 국제 조직 | 공산주의자 동맹 (1847년) 제1인터내셔널 제2인터내셔널 코민테른 제4인터내셔널 제5인터내셔널 코민포름 공산당 노동자당 국제 회의 |
| 공산주의 관련 인물 | 그라쿠스 바뵈프 로버트 오언 샤를 푸리에 루이 오귀스트 블랑키 에티엔 카베 빌헬름 바이틀링 카를 마르크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표트르 크로포트킨 로자 룩셈부르크 블라디미르 레닌 레프 트로츠키 헤르만 호르터 이오시프 스탈린 안토니오 그람시 팔미로 톨리아티 마오쩌둥 김일성 도쿠다 규이치 호치민 체 게바라 피델 카스트로 요시프 브로즈 티토 |
| 관련 주제 | 사회주의 과학적 사회주의 사회주의 경제 과학적 공산주의 아나키즘 반자본주의 민주집중제 소비에트 연방 제2세계 반공주의 매카시즘 냉전 좌파 신좌파 공산주의 정권 하의 대량 학살 공산주의 비판 신계급 탈공산주의 원시 공산제 적기 붉은 별 낫과 망치 |
2. 룩셈부르크주의의 철학

'''룩셈부르크주의'''는 로자 룩셈부르크의 사상을 기반으로 한 마르크스주의 해석이자 공산주의 이론이다. 볼셰비키들이 레닌주의에 반대하는 이들을 멸칭하며 사용했으나, 이후 룩셈부르크 지지자들도 이 용어를 채택했다. 러시아 혁명을 지지하면서도 레닌과 트로츠키의 볼셰비키 정책을 비판하며, 그들의 프롤레타리아 민주 노선이 마르크스주의와 다르다고 주장한다.[12]
룩셈부르크주의는 자본주의에서 민주주의로의 전환 과정도 혁명으로 보며, 노동자 직접 투표를 통한 다당제 의회공산주의와 풀뿌리 민주주의를 지향한다. '혁명적인 당의 역할'을 중시하는 점에서는 아나키즘과 다르며, 스탈린주의와 레닌주의의 권위주의, 사회민주주의의 계급 투쟁 약화를 비판한다. 트로츠키주의의 프롤레타리아 일당제도 비판한다.[13]
룩셈부르크주의는 공산주의 내 소수이지만, 마르크스주의의 원론과 혁명 정신을 담은 혁명적 공산주의로 평가받기도 한다.[13]
2. 1. 민주적 혁명적 사회주의
룩셈부르크주의는 마르크스주의에 기반하면서도 레닌과 트로츠키의 볼셰비키 정책을 비판하는 공산주의 이론이다. 사회주의 혁명이 발전된 민주주의 체제뿐만 아니라 전제주의에서 민주주의로 전환하는 과정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고 본다. 노동자가 직접 투표로 의사 결정에 참여하는 다당제 의회공산주의와 풀뿌리 민주주의를 지향한다.[12]
아나키즘과 유사하지만, 혁명에서 '혁명적인 당의 역할'을 중시하여 정당 활동을 배제하는 아나키즘과 다르다. 스탈린주의와 레닌주의의 권위주의를 비판하고, 사회민주주의는 계급 투쟁을 약화시키는 부르주아 사상이라고 비판한다. 트로츠키주의도 프롤레타리아 일당제를 옹호하여 비판한다.[13]
민주주의와 혁명의 조화를 강조하며, 평의회 공산주의처럼 노동자 직접 참여를 중시하지만, 적대 세력을 포함한 선거를 부정하지 않는다. 무정부주의처럼 권위주의를 경계하지만, 혁명 과정에서 노동 계급의 중심 역할을 할 혁명적인 정당의 필요성을 인정한다. 스탈린주의의 전체주의에 반대하고 사회민주주의의 개량주의를 배척하는 점은 트로츠키주의와 유사하지만, 레닌과 트로츠키 모두 비민주적 오류를 범했다고 비판한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일 감옥에서 쓴 「러시아 혁명」에서 볼셰비키의 절대주의적 정치 관행과 기회주의적 정책을 비판했다. 1918년 1월 입헌 의회 탄압과 소작농 공동체에 대한 구 봉건주의적 사유지 지지 등을 문제 삼았다. 영구 혁명 개념으로 비판을 전개했는데, 노동 계급이 소수파인 국가에서 혁명 정당의 역할은 일당 체제 국가 건설이 아니라 국가 권력 포기에 있다는 주장이었다.
레닌의 혁명 정당 조직 방식이 소수 지도자의 당 지배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레닌주의 권위주의가 혁명 후 독재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룩셈부르크는 스탈린 집권 전에 사망하여 스탈린주의 이론을 제시하지 못했지만, 볼셰비키 비판은 스탈린주의 기원 논의에서 중요한 참고 자료이다.
룩셈부르크의 민주주의 개념은 공산당 역할을 축소하고, 칼 마르크스의 "노동 계급 해방은 노동 계급 자신이 정복해야 한다"는 견해와 유사하다. 소비에트 연방 붕괴 후, 일부는 룩셈부르크주의를 스탈린주의 전체주의를 피할 대안으로 본다. 룩셈부르크는 러시아 혁명의 비민주적 경향을 비판했다.
> 정부 지지자들만을 위한 자유, 한 정당의 구성원만을 위한 자유는 진정한 자유가 아니다. 자유는 항상 다르게 생각하는 사람을 위한 자유이다. (...) 사회주의 민주주의는 사회주의 경제 기반이 만들어진 후에 시작되는 것이 아니라, 계급 지배 파괴와 사회주의 건설 시작과 동시에 시작된다.
룩셈부르크주의의 핵심은 사회주의 민주주의 강조에 있다.
2. 2. 자발성 및 조직의 변증법
1차 세계 대전 중 독일의 감옥에서 저작한 《러시아 혁명》에서 로자 룩셈부르크는 볼셰비키의 권위주의적이고 기회주의적인 정책을 비판했다. 예를 들어, 1918년 1월의 헌법 제정 회의 억압과 소작농 공동체의 토지 분배가 아닌 특정 토지를 부분적으로 사유화하는 정책을 지지하는 것을 비판했다.[4] 그녀의 공산주의 철학이 담긴 저서인 《Dialectic of Spontaneity and Organisation》에 따르면, 계급 투쟁에서 프롤레타리아 계층의 자발성과 구성 조직은 분할될 가능성이 있거나 분할된 활동이 아니며, 복잡하게 구조되어 있는 정치적 과정이다. 그녀는 "한쪽이 없으면 다른 쪽도 존재하지 않는다."라고 주장했으며, 초보적이고 자연 발생적인 계급 투쟁이 더 높은 수준의 계급 투쟁을 불러일으킨다고 주장했다.[4]「자발성 및 조직의 변증법」(Dialectic of Spontaneity and Organisation)은 로자 룩셈부르크의 정치철학의 중심적인 특징으로, 「자발성」이란 풀뿌리적이며, 당 중심의 계급투쟁을 조직하는 아나키즘적이라고도 할 수 있는 접근 방식이다. 그녀의 주장에 따르면, 자발성과 조직(구성)은 분리 가능하거나 분리된 활동이 아니라 하나의 정치적 과정의 다른 순간이며, 한쪽이 없으면 다른 쪽도 존재할 수 없다. 그녀의 관점에서 비롯된 이러한 신념은, 초보적이고 자연 발생적인 계급 투쟁이 있으며, 그것은 더 상위 수준의 계급 투쟁에서 비롯된다는 것이다.[4]
> "모든 나라의 노동 계급은 투쟁 과정에서만 싸우는 법을 배운다… 사회민주주의…는 단지 프롤레타리아의 선봉대일 뿐이며, 전체 노동 대중의 작은 일부분이다. 그들의 피에서 나온 피이고, 그들의 살에서 나온 살이다. 사회민주주의는 노동자 투쟁의 발전 과정에서만 노동자 투쟁의 방식과 특정 슬로건을 찾고 발견하며, 이 투쟁을 통해서만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얻는다."[4]
조직은 자발성을 매개한다. 로자 룩셈부르크가 추상적인 「자연발생설」을 주장했다고 비난하는 것은 잘못이다. 그녀는 유럽의 대규모 파업, 특히 1905년 러시아 혁명의 영향 아래 「자발성 및 조직의 변증법」을 발전시켰다. 제2 인터내셔널의 사회민주주의 정통파와 달리, 그녀는 조직을 역사적 필연성에 대한 과학적 이론적 통찰력의 산물로 보지 않고 노동 계급 투쟁의 산물로 보았다.[5]
> "사회민주주의는 단순히 현대 프롤레타리아 계급 투쟁의 구현이며, 그것은 자신의 역사적 결과에 대한 의식에 의해 추동되는 투쟁이다. 대중은 실제로 스스로의 지도자이며, 변증법적으로 자신의 발전 과정을 창조한다. 사회민주주의가 더욱 발전하고, 성장하고, 강해질수록, 계몽된 노동자 대중은 자신의 운명, 자신의 운동의 지도력, 그리고 그 방향 결정을 자신의 손으로 쥐게 될 것이다. 그리고 전체 사회민주주의 운동은 단지 프롤레타리아 계급 운동의 의식적인 선봉대일 뿐이며, 공산당 선언의 말에 따르면 투쟁의 모든 순간에 해방의 영구적인 이익과 전체 운동의 이익에 대한 노동력의 부분적 집단 이익을 대표하듯이, 사회민주주의 내에서 그 지도자들은 계몽된 대중의 의지와 노력의 단순한 대변자, 계급 운동의 객관적 법칙의 단순한 대리인일수록 더욱 강력하고 영향력이 클 것이다."[5]
> "현대 프롤레타리아 계급은 어떤 책이나 이론에 제시된 계획에 따라 투쟁을 수행하지 않는다. 현대 노동자 투쟁은 역사의 일부이며, 사회 진보의 일부이며, 역사의 한가운데서, 진보의 한가운데서, 싸움의 한가운데서 우리는 어떻게 싸워야 하는지 배우게 된다… 바로 이것이 칭찬할 만한 점이며, 현대 노동자 운동 내에서 이 거대한 문화의 일부가 시대를 정의하는 이유이다. 즉, 노동 인민의 거대한 대중이 먼저 자신의 의식, 자신의 신념, 그리고 심지어 자신의 이해로부터 자신의 해방의 무기를 만들어낸다는 것이다."[6]
2. 3. 민족자결권에 대한 비판
룩셈부르크주의는 윌슨주의에서 나타나는 민족 자결에 반대했으며, 러시아에서 차르 세력의 비민주적이고 절대주의적인 민족 자결을 볼셰비키가 똑같이 자행하고 있다고 비판하였다.[14] 이에 대해 볼셰비키는 차르의 억압은 볼셰비키의 혁명 활동으로 해방되었고, 강압적 민족 자결과 프롤레타리아의 해방은 다른 것이라고 반론하였다.로자 룩셈부르크는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세계의 사회민주주의 정당들이 '성내 평화'라는 이름으로 각국의 부르주아를 지지하여 노동자 계급을 배반했다고 보았다. 독일 사회민주당을 포함한 사회민주주의 정당들의 이러한 행태는 사회주의에 대한 완전한 배신으로 간주되었다. 로자 룩셈부르크는 사민당 다수파가 전쟁 기간 중 전비 조달책 투표에 찬성하는 것을 보고 이러한 결론을 내렸다.[15]
그녀는 전쟁을 부르주아 계급이 세계의 자원과 시장을 지배하기 위해 만든 대량 학살로 규정하고, 전쟁 중 젊은 노동자 계급을 징병하는 것에 반대했다. 제2인터내셔널을 자본주의를 위한 부르주아 산하 단체이자 기회주의 정당으로 판단하여 탈퇴하고, 칼 리프크네히트와 함께 독일 공산당을 조직하여 1919년 독일 혁명을 전개했지만 실패하고 살해당했다.
로자 룩셈부르크는 차르의 억압받던 민족과 국가의 자결권이라는 레닌과 트로츠키의 관점을 비판했다. 그녀는 이 관점을 사회주의에 적대적인 부르주아 군대 대신 이들 국가에 개입하는 제국주의자들을 위한 기정 체제로 보았다. 레닌의 지지자인 민족주의자들은 볼셰비키 주도 혁명으로 차르 제국의 일부였던 많은 국가들이 해방되었다고 반박한다.
2. 4. 제1차 세계 대전과 자본주의 비판
1차 세계 대전 중 독일의 감옥에서 저작한 《러시아 혁명》에서 룩셈부르크는 볼셰비키의 권위주의적이고 기회주의적인 정책을 비평했다. 예를 들어, 1918년 1월의 헌법 제정 회의 억압과 토지 사유화 정책을 비판했다. 그녀는 저서 《Dialectic of Spontaneity and Organisation》에서 계급 투쟁에서 프롤레타리아 계층의 자발성과 구성 조직은 분할될 수 없는 복잡한 정치적 과정이라고 주장하며, "한쪽이 없으면 다른 쪽도 존재하지 않는다."라고 했다. 즉, 초보적이고 자연 발생적인 계급 투쟁이 더 높은 수준의 계급 투쟁을 불러일으킨다는 것이다.[14]룩셈부르크는 사회민주주의와 제2인터내셔널의 행태를 사회주의에 대한 완전한 배신으로 보았다. 1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전 세계 사회민주주의 정당들이 "성내 평화"라는 명목으로 각국의 부르주아를 지지하여 노동자 계급을 배신했기 때문이다. 독일 사회민주당 다수파도 국회에서 전비 조달 투표에 찬성했다.[15]
그녀는 전쟁을 부르주아 계급이 세계의 자원과 시장을 지배하기 위한 대량 학살로 간주하고, 노동 계급 청년 징병에 반대했다. 그녀는 제2인터내셔널을 자본주의를 위한 기회주의 정당으로 보고 탈퇴했다. 칼 리프크네히트와 함께 독일 공산당을 조직했지만, 1919년 독일 혁명 실패 후 살해되었다.
3. 레닌주의와의 관계
마르크스주의를 해석한 공산주의 이론으로서 룩셈부르크주의는 러시아 혁명을 지지했지만, 레닌과 트로츠키의 볼셰비키 정책에 대해서는 비판적이었다. 특히 그들의 프롤레타리아 민주 노선이 마르크스주의에서 말하는 본래의 프롤레타리아 민주와는 다르다고 주장했다.[12]
룩셈부르크주의는 사회주의 혁명이 고도로 발전된 민주주의 통치체제의 자본주의 경제체제에서만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전제주의 통치체제에서 민주주의 체제로 전환하기 위한 이행기도 하나의 사회주의 혁명 과정이라고 보았다. 또한, 룩셈부르크주의에서 말하는 '프롤레타리아 민주'는 노동자가 각 직장 또는 사회에서 민주적인 직접 투표를 하는 일당제가 아닌 다당제의 공산주의 체제를 의미하며, 의회공산주의를 포함한 풀뿌리 민주주의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아나키즘과 유사해 보이지만, 사회주의 혁명에서 '혁명적인 당의 역할'을 중시하기 때문에 정당 활동을 배제하는 아나키즘과는 다르다고 로자 룩셈부르크는 주장했다. 그녀는 아나키즘을 인간의 의식에 의존한 의지주의적 운동이라고 비판했다. 또한 스탈린주의와 레닌주의의 권위주의를 비판했으며, 사회민주주의는 사회주의의 본질인 계급 투쟁을 극단적 개량주의로 인해 무마시킨 부르주아 사상이라고 비판했다. 트로츠키주의의 경우도 레닌주의와 흡사한 프롤레타리아 일당제를 옹호한다는 점에서 비판했다.[13]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일 감옥에서 쓰여진 「러시아 혁명」에서 룩셈부르크는 볼셰비키를 절대주의적인 정치적 관행과 기회주의적인 정책으로 비판했다. 예를 들어, 1918년 1월의 입헌 의회 탄압이나 소작농 공동체에 대한 구 봉건주의적인 사유지의 부분적 지지 등을 비판했다.
룩셈부르크는 레닌의 혁명적인 정당 조직에 대한 생각이 내부 민주주의의 상실과 소수 지도자들에 의한 당의 지배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비판했다. 1904년 「러시아 사회민주주의의 조직 문제, 또는 레닌주의 대 마르크스주의?」에서 룩셈부르크는 레닌주의에서 보이는 권위주의가 성공적인 혁명 후 독재로 이어질 것이라는 점, 그리고 파벌주의와 무관심으로 이어질 것을 우려했다.
룩셈부르크는 스탈린 집권 전에 사망하여 스탈린주의에 대한 완전한 이론을 제시할 기회가 없었지만, 그녀의 볼셰비키에 대한 비판은 스탈린주의 기원에 대한 논의에서 많은 작가들에 의해 받아들여졌다.
룩셈부르크의 민주주의 개념은 공산당의 역할을 축소하기 때문에 "주류 공산주의"와 가장 큰 차이점을 나타내지만, 칼 마르크스("노동 계급의 해방은 노동 계급 자신에 의해 정복되어야 한다")의 견해와 매우 유사하다.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 이후, 일부 사회주의 사상가들은 룩셈부르크주의를 스탈린주의의 전체주의를 피하는 방법으로 보고 있다.
룩셈부르크는 러시아 혁명에 존재하는 비민주적인 경향을 비판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 일반 선거 없이, 언론과 집회의 무제한적인 자유 없이, 의견의 자유로운 투쟁 없이는, 모든 공공 기관에서 생명이 사라지고, 단지 관료만이 활동적인 요소로 남는 생명의 허상이 된다. [...]
룩셈부르크주의의 전략적 기여는 주로 사회주의 민주주의에 대한 그녀의 주장에 기반한다.
> 정부 지지자들만을 위한 자유, 한 정당의 구성원만을 위한 자유 - 그들이 아무리 많더라도 - 는 전혀 자유가 아니다. 자유는 항상 그리고 배타적으로 다르게 생각하는 사람을 위한 자유이다. [...] 사회주의 민주주의는 계급 지배의 파괴와 사회주의 건설의 시작과 동시에 시작된다.
4. 룩셈부르크주의의 현대적 의의
'룩셈부르크주의'라는 용어는 룩셈부르크를 따르는 공산주의자들이 아닌, 볼셰비키 간부들이 레닌주의에 반대하는 무리를 멸칭할 때 사용하던 신조어였다.[12] 그러나 룩셈부르크의 지지자들도 이 용어를 채택하면서 널리 쓰이게 되었다.
룩셈부르크주의는 마르크스주의를 해석한 공산주의 이론 중 하나로, 러시아 혁명을 지지했지만 레닌과 트로츠키의 볼셰비키 정책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다. 특히, 그들의 프롤레타리아 민주 노선이 마르크스주의에서 말하는 본래의 프롤레타리아 민주와는 다르다고 주장했다.[12]
현대 사회에서 룩셈부르크주의는 공산주의 계열에서 소수파에 속하지만, 일부 공산주의자들은 룩셈부르크주의를 마르크스주의의 원론적 의미와 혁명의 참뜻을 담은 혁명적 공산주의로 평가하며, 그 정책에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13] 룩셈부르크주의 혁명 운동은 현재 미미한 수준이다. 2005년에 설립된 Communist Democracy (Luxemburgist)[7]와 2008년에 설립된 International Luxemburgist Network[8]라는 두 개의 작은 국제 네트워크가 룩셈부르크주의를 표방하고 있다.
페미니스트, 트로츠키스트, 독일 좌파 등 다양한 계층에서 룩셈부르크의 사상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에르네스트 만델과 같은 현대 마르크스주의자들은 룩셈부르크주의의 영향을 받아 혁명 이론을 수정하기도 했다.[9] 2002년 베를린에서는 로자 룩셈부르크와 칼 리프크네히트를 기리는 행사가 열렸고, 수만 명이 행진했으며, 9만 명이 그들의 무덤에 카네이션을 헌화했다.[10]
많은 사회주의자는 룩셈부르크를 혁명적 사회주의의 순교자로 여기며, 민주주의를 사회주의의 기본적인 요소로 보는 "민주주의적 사회주의 개념" 등 그녀의 사상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인정한다. 다만, 스스로를 "룩셈부르크주의자"라고 칭하지는 않는 경우도 많다.
4. 1. 주요 룩셈부르크주의자
- 칼 리프크네히트
- 폴 프뢰리히
- 르네 르플뢰르
- 다니엘 싱어
- 알랭 기예르
- 에릭 체스터
- 에템 네자트
- 스토턴 린드
참조
[1]
웹사이트
Organizational Questions of the Russian Social Democracy
http://www.marxists.[...]
[2]
웹사이트
The Russian Revolution
http://www.marxists.[...]
[3]
웹사이트
The Russian Revolution
http://www.marxists.[...]
[4]
서적
In a Revolutionary Hour: What Next?
Collected Works
[5]
서적
The Political Leader of the German Working Classes
Collected Works
[6]
서적
The Politics of Mass Strikes and Unions
Collected Works
[7]
웹사이트
Communist Democracy (Luxemburgist)
http://democom.neuf.[...]
[8]
웹사이트
International Luxemburgist Network
http://www.luxemburg[...]
[9]
웹사이트
The Actuality of Ernest Mandel
http://www.ernestman[...]
[10]
뉴스
Berlin events honor left-wing leaders
http://www.workers.o[...]
Workers World
2002-01-31
[11]
웹사이트
룩셈부르크주의 정보1
http://www.marxists.[...]
[12]
웹사이트
룩셈부르크주의 정보2
http://www.marxists.[...]
[13]
웹인용
로자 룩셈부르크 기념 행사 링크
http://www.workers.o[...]
2012-12-10
[14]
서적
The Political Leader of the German Working Classes
Collected Works
[15]
서적
In a Revolutionary Hour: What Next?
Collected Wor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