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볼셰비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민볼셰비즘은 민족주의와 공산주의를 통합하려는 시도로, 외부 간섭으로부터 국가의 자주성을 보호하고 프롤레타리아 중심의 공산주의 국가 건설을 목표로 한다. 이념적으로 스탈린주의, 파시즘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민족주의를 수단으로 공산주의를 추구하거나, 민족 문화를 보존하기 위해 볼셰비즘을 수용하는 등 여러 갈래로 나뉜다. 독일, 러시아 등에서 역사적으로 나타났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서유럽에서 재평가되기도 했다. 현재는 러시아, 독일, 프랑스 등지에서 활동하며, 극단적 민족주의, 권위주의, 반자유주의적 경향으로 비판받는다.
국민볼셰비즘은 전통적인 국민주의가 간과했던 계급 문제와 기존 공산주의가 등한시했던 민족 문제를 통합하려는 시도에서 비롯되었다. 이들은 대외적으로는 국가 주권을 보호하고, 내부적으로는 프롤레타리아 중심의 공산주의 국가 건설을 목표로 한다.
2. 이념
국민 볼셰비키는 사상적으로 매우 다양하다. 공산주의를 위한 수단으로 민족주의를 긍정하는 경우가 있는 반면, 민족문화 보존을 위해 볼셰비즘을 수용하는 경우도 있다.
2. 1. 국민 볼셰비즘의 다양한 갈래
국민 볼셰비키는 사상적으로 하나로 정의하기 어려울 정도로 다양한 갈래를 가진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외부 간섭으로부터 국민 국가의 자주성을 보호하고, 내부적으로는 프롤레타리아 중심의 공산주의 국가 건설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구체적인 이념은 다음과 같이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3. 역사
민족 볼셰비즘은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의 독일에서 시작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후 베르사유 조약에 반발한 독일의 민족주의자 에른스트 윙거는 『노동자. 지배와 형태』를 발표했다. 독일 사회 민주당에서 전향한 에른스트 니키슈는 독일 공산당과의 공투를 통해 자본주의를 타도하고자 했다. 나치 내에서도 밤베르크 회의에서 아돌프 히틀러는 그레고어 슈트라서, 오토 슈트라서 형제 등 나치 좌파를 "민족 볼셰비스트"라고 단정하고 지도자 원리를 주장했다. 요제프 괴벨스는 이에 대해 "우리의 과제는 볼셰비즘의 분쇄라고? 볼셰비즘은 유대인의 창작물이라고?"라며 비판했다.
독일 공산당에서는 당 노선을 민족적 방향으로 전환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함부르크 지부의 하인리히 라우펜베르크(de)와 프리츠 볼프하임이 처음으로 제시한 독일 공산당 내 국가 공산주의 움직임은 초기에는 격렬하게 비판받았지만, 1922년 라데크의 "방황하는 자 슈라게터" 연설로 간접 승인되었다.
칼 오토 파텔은 마르크스주의에 기반한 '국민 볼셰비키 선언'(1933년 출판)을 저술했다.[24][25] 독일 청년 운동 출신으로, 독일 공산당(KPD)에서 활동한 파텔은 ''아르바이트링 융에 프론트''를 창설하고 사회 혁명 민족주의자 그룹을 결성했다. 이 단체는 국가 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NSDAP)과 독일 공산당(KPD) 사이의 "제3의 길"을 추구하며 좌우 급진주의자들을 결합시키려 했고,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경제를 포함했다.[26] 1930년 창설된 GRSN은 나치즘의 인기에 대한 대응이었다. 파텔은 나치당이 혁명적 활동이나 사회주의 경제에 헌신하지 않는다고 보고 실망했다. 공산주의자와 슈트라세주의자처럼 파텔은 나치당의 취약 세력을 분열시키려 했으나, 히틀러 유겐트 일부를 포섭하려던 시도는 실패했다.[27] 파텔은 국민 볼셰비키 선언에서 나치즘과 파시즘을 비난했다.[25][24]
에른스트 니키쉬처럼 파텔의 이념도 반서구적 정서, 반제국주의, 베르사유 조약 반대, 반프랑스 정서를 보였다.[7][25] 파텔은 소비에트 민주주의와 강력한 민족주의를 강조하고, 이교주의로의 회귀를 포함하며, 민족이 사회주의 건설의 필수 조건이라고 믿었다.[25]
아돌프 히틀러 집권 후, 파텔은 독일을 탈출해 파리, 뉴욕 시로 이주하여 1975년에 사망했다.[24]
러시아에서는 1992년 알렉산드르 두긴과 에두아르드 리모노프가 국가 볼셰비키당을 창당했다. 이들은 블라디미르 푸틴 정권 타도를 주장하며, 반미, 호모포비아 경향을 보인다. 러시아 외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이스라엘에도 신봉자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3. 1. 국민 볼셰비즘의 기원
독일의 국민주의 운동은 나폴레옹의 독일 침략에 대한 반동으로 일어났으며, 프랑스 대혁명이 내세운 근대적 가치에 반대했다.[3]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은 근대 문명을 일부 수용하면서도 전통을 보호할 방법을 모색해야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익 지식인들을 중심으로 전체주의 담론이 유행했으며, 이들은 독일 국민주의에 사회주의를 결합한 이데올로기를 제시했다.
에른스트 니키슈를 중심으로 한 지식인들은 소련에 기대를 품고 국민볼셰비즘을 고안했다. 이들은 마르크스의 변증법적 유물론과 공산주의 이념을 거부하면서도, 소련을 개인주의나 민주주의와 같은 자유민주주의적 가치에 저항하는 세력으로 옹호했다. 국민볼셰비키들은 독일이 소련과 손을 잡고 자유주의에 대항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나치가 집권하고 히틀러가 반슬라브 정책을 내세워 탄압하면서 사실상 소멸되었다.[3]
독일 국민 볼셰비키들 중 일부는 히틀러 집권기에 반(反)나치 저항운동에 투신하기도 했으나, 큰 성과를 내지 못하고 와해되었다. 전후 에른스트 니키슈를 비롯한 일부 세력은 동독의 건국에 참여하기도 했다.
"국민 볼셰비즘"이라는 용어는 처음에는 독일 공산당(KPD)과 독일 공산 노동자당(KAPD)의 한 파벌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이들은 공산주의 반란 운동을 베르사유 조약을 거부한 독일군의 반체제 민족주의 집단과 동맹을 맺기를 원했다.[4] 하인리히 라우펜베르크와 프리츠 볼프하임이 이 파벌을 이끌었으며, 주로 함부르크에 기반을 두었다.[5]
카를 라데크는 이들을 "국민 볼셰비키"라고 일축하며 KAPD에서 추방했다.[5] 1920년대 동안, 많은 독일 지식인들은 급진적 민족주의와 소련의 볼셰비즘 사이의 종합을 만들어내는 대화를 시작했다.[8] 친소련적 종합적 성격을 띤 "소련 계획 경제 연구 협회"(ARPLAN)는 1932년 독일에서 설립되었으며, 니키슈와 나치 정치인 에른스트 그라프 추 레벤토프 등이 활동했다.[9]
칼 오토 파텔은 '국민 볼셰비키 선언'(1933년 출판)을 저술한 또 다른 민족 볼셰비키였다.[24][25] 그는 사회 혁명 민족주의자 그룹을 결성하여 나치당(NSDAP)과 독일 공산당(KPD) 사이의 "제3의 길"을 추구하며,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경제를 결합하려 했다.[26]
3. 1. 1. 독일의 국민 볼셰비즘
독일의 국민 볼셰비즘은 나폴레옹의 독일 침략에 대한 반동으로 시작된 독일 민족주의 운동에서 비롯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은 제국주의 국가들에 대항하기 위해 근대 문명을 일부 수용하면서도 독일 국민성을 보호하는 방법을 모색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에른스트 니키슈를 중심으로 한 지식인들은 마르크스의 변증법적 유물론과 공산주의 이념을 거부하면서도, 소련을 자유민주주의적 가치에 저항하는 세력으로 옹호하며 국민 볼셰비즘 이데올로기를 고안했다.[3] 이들은 독일이 소련과 손을 잡고 자유주의에 대항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민 볼셰비즘"이라는 용어는 독일 공산당(KPD)과 독일 공산 노동자당(KAPD)의 한 파벌을 설명하는 데 처음 사용되었다.[4] 이들은 베르사유 조약을 거부한 독일군의 반체제 민족주의 집단과 공산주의 반란 운동의 동맹을 원했다.[4] 하인리히 라우펜베르크와 프리츠 볼프하임이 이 파벌을 이끌었으며, 함부르크에 기반을 두었다.
국민 볼셰비키 운동의 초기 선구자이자 가장 저명한 인물 중 한 명은 독일 사회민주당 출신인 에른스트 니키슈였다.[10] 그는 국민 볼셰비키 이데올로기를 옹호하는 잡지 ''Widerstand''의 창립자이자 주요 편집자였다.[10] 니키슈는 자본주의를 전복하기 위해 소련과의 동맹을 지지했으며, 현상 유지에 반대하는 독일의 모든 반자유주의 세력의 연합을 주장했다.[3] 그의 이데올로기는 반민주주의, 민족주의, 반자본주의, 반서방주의적이며, 인종주의 및 파시즘적 특징을 나타내는 것으로 묘사되었다.[13]
칼 오토 파텔은 마르크스주의에 기반한 '국민 볼셰비키 선언'(1933년 출판)을 저술한 또 다른 저명한 민족 볼셰비키였다.[24][25] 그는 사회 혁명 민족주의자 그룹을 결성하여 나치당(NSDAP)과 독일 공산당(KPD) 사이의 "제3의 길"을 추구하며 좌우의 급진주의자들을 결합시키려 했다.[26] 파텔의 이념은 반서구적 정서를 띠었으며, 반제국주의와 베르사유 조약 반대에 초점을 맞추고, 반프랑스 정서로 특징지어졌다.[7][25]
나치당 좌파에서는 스트라서주의로 알려진 유사하지만 비마르크스주의적인 경향이 발전했다. 이 운동은 그레고어 슈트라서와 오토 슈트라서 형제, 발터 슈테네스, 헤르만 에르하르트, 에른스트 룀 등이 주도했다.
나치 집권 후 히틀러가 반슬라브 정책을 내세워 국민 볼셰비키들을 탄압하면서 이들은 사실상 소멸되었다. 그러나, 전후 국민 볼셰비키의 아버지로 불리는 에른스트 니키슈를 비롯한 일부 세력은 동독의 건국에 참여하기도 했다.
3. 1. 2. 러시아의 국민 볼셰비즘
러시아 내전과 볼셰비키의 권력 장악 이후, 정권 안정을 위한 반혁명적 타협 과정에서 러시아의 국민 볼셰비즘이 시작되었다. 레닌은 새롭게 형성된 소련을 안정시키기 위해 민족주의자들에게 전략적 양보를 했고, 그 결과 많은 백색 세력이 볼셰비키에 합류했다. 당시 붉은 군대 장교 130,000여 명 중 절반이 전(前) 차르 운동가였을 정도였다.[108][109] 이들은 볼셰비즘을 민족주의적 목적 달성에 이용할 수 있으며, 볼셰비키가 러시아를 다시 위대하게 만들 수 있다고 믿었다.[108][109]
러시아 내전이 길어지면서, 많은 백군 인사들이 볼셰비키를 러시아의 위대함을 회복할 유일한 희망으로 보고 볼셰비키 편으로 돌아섰다. 대표적인 인물이 니콜라이 우스트럘로프 교수인데, 그는 처음에 반공주의자였지만 볼셰비즘이 국가주의적 목적에 부합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고 믿었다. 그의 추종자들은 '스메노베호프치'(1921년 출판된 그의 기사에서 이름을 따옴)라고 불렸으며, 에른스트 니키쉬의 용어를 빌려 국민 볼셰비키라고 자처했다.[8]
유라시아주의자 운동, D. S. 미르스키와 같은 작가들, 친군주주의자 믈라도로시도 비슷한 사상을 표현했다. 이오시프 스탈린의 일국 사회주의는 국민 볼셰비키에게 승리로 해석되었다.[8] 블라디미르 레닌은 국민 볼셰비즘이라는 용어를 직접 사용하지 않았지만, 스메노베호프치를 러시아 공산주의를 러시아 팽창 과정의 진화로 보았던 구 입헌민주당의 경향으로 파악하고, 그들을 계급의 적으로 간주하며 경계해야 한다고 경고했다.[29]
우스트럘로프가 존경했던 자유주의 철학자 표트르 스트루베는 처음에는 이 운동에 동정했지만, 곧 피상적이며 볼셰비키 정권의 트로이 목마라고 비난하며 반대했다.[30]
우스트뱌로프, 알렉세이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일리야 에렌부르크 등 스메노베호프치 운동에 공감하는 사람들은 결국 소련으로 돌아갈 수 있었고, 스탈린과 그의 이념가 안드레이 즈다노프가 민족주의의 측면을 융합한 후, '비당 볼셰비키'라는 명칭으로 지식인 엘리트의 일원이 되었다.[31][32] B. D. 그레코프의 민족 볼셰비키 역사학파는 레닌 시대에는 비판받았지만, 스탈린 시대에는 스탈린주의의 주요 원칙을 수용하여 공식적으로 인정받고 장려되었다.[33] 1930년대 민족주의가 국가 이데올로기의 공식적인 부분으로 부활하는 데 민족 볼셰비즘이 주요 동기였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34][35] 그러나 우스트뱌로프와 스메노베호프치 회원들 같은 민족 볼셰비즘의 원래 지지자들 중 다수는 대숙청 기간에 반소비에트 선동, 간첩 행위 및 기타 반혁명 활동으로 탄압받고 처형되었다.[36][37]
러시아 역사가 안드레이 사빈은 스탈린의 정책이 국제주의에서 민족 볼셰비즘으로 전환되었다고 평가했다.[38] 데이비드 브란덴버거[39]와 예브게니 도브렌코[40]도 이러한 견해를 공유했다.
3. 2. 전후 국민 볼셰비즘의 부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국민 볼셰비즘 담론은 1950~60년대 서유럽 사회에서 활기를 띠었다. 당시 프란시스 파커 요키, 장 티리아트, 프랑코 프레다와 같은 파시스트 지식인들은 글로벌 자본주의에 대항하기 위해 전통적인 좌익과 우익의 대립을 허물고 이들의 사상을 통합한 새로운 세계관을 제시하고자 했다. 그 결과, 그들은 국민 볼셰비즘을 재평가하게 된다.
프란시스 파커 요키는 소련을 유대인의 영향 아래에 있는 국가로 평가하면서도, 그 이면에는 러시아 정신 속에 뿌리박은 전통적이고 반(反)서구적인 문화유산이 러시아를 추동하고 있다고 보았다. 그는 우익 지식인으로서는 드물게 소련을 재평가하기도 했다. 배타적 민족주의를 넘어 유럽 통합을 구상했던 그의 사상은 장 티리아트의 문제의식과도 맞닿아 있다. 벨기에 출신 정치활동가였던 장 티리아트는 범유럽주의, 더 나아가 유라시아주의를 지향하면서 '마르크스 없는 유럽 공산주의'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그의 사상은 '국민 공산주의'라고 규정된다.
프란시스 파커 요키, 장 티리아트와 함께 국민 볼셰비즘의 주요 사상가로 언급할 만한 인물로는 이탈리아의 프랑코 프레다도 있다. '시스템의 붕괴'라는 저서로 알려진 그는 좌익 혁명 운동의 열기가 뜨거웠던 60년대에 활동했으며, 부르주아 질서를 총체적으로 파괴하기 위해 공산주의자와 아나키스트, 파시스트가 공동 투쟁을 펼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나치 마오주의자'라고 불렸던 그는 마르크스주의와 공산주의를 분리해 파악하면서, 플라톤주의에 기초한 전통적이고 유기체적인, 권위주의적인 집산주의 국가를 '공산주의'의 이상적 모델로 제안했다.
4. 현황
1991년 소비에트 연방 붕괴 이후, 러시아에서는 국민볼셰비키 운동이 부활하였다. 1992년 에두아르드 리모노프와 알렉산드르 두긴을 중심으로 국민볼셰비키당이 창당되었으며, 이들은 블라디미르 푸틴 집권기에 러시아에서 가장 큰 반체제 세력으로 성장했다.[41] 초기 국민볼셰비키당은 러시아의 급진 민족주의 단체와 유사한 정책과 행동을 보였지만, 마르크스주의 원칙을 일부 고수했다.[42] 그러나 2000년대에 들어 당내 분열이 발생하면서, 당은 좌파 성향으로 변화했고, 두긴과 그의 지지자들은 파시스트로 비난받았다.[43] 두긴은 이후 크렘린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세르게이 나리시킨의 고문으로 활동했다.[44][45]
국민볼셰비키당은 2007년에 불법화되었고, 2010년 당원들은 다른 러시아(E. V. 리모노프의)라는 새로운 정당을 결성했다.[46] 리모노프는 초기에는 푸틴을 비판했지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푸틴 지지로 돌아섰다.[47][48][49][50] 2020년 리모노프가 사망한 후, '다른 러시아'는 'E. V. 리모노프의 다른 러시아'로 당명을 변경했다.[51]
알렉산드르 두긴은 2001년 유라시아 운동이라는 국민 볼셰비키 정치 운동을 창설했다.[54][55][56][57][58][59] 이 조직은 러시아 애국심, 정교 신앙, 반현대주의와 일부 볼셰비키 사상을 혼합한 신유라시아 이념을 따르며, 자유주의, 자본주의, 현대주의 등 "미국"적 가치에 반대한다.[60]
현재 국민볼셰비키당은 불법화되고 분열되어 그 세력이 상당히 약화되었다. 러시아 외에도 독일, 프랑스, 이스라엘 등지에서 국민볼셰비키들이 활동하고 있다.
4. 1. 기타 국가
핀란드는 독립 이전, 제27 예거 대대에 자원한 핀란드 민족주의자들이 러시아 제국에 대항하는 혁명적 선봉 역할을 수행했다. 핀란드 내전 당시 다수는 백군 편에 섰지만, 일부는 공산주의자 편에 서서 "붉은 예거"로 불리며 좌익 혁명가들과 연대했다. K. H. 빅, 오스카리 토코이, 위르외 매켈린 등 노동 운동 정치인들이 예거 운동을 지지했다.[62][63][64]에드바르드 귈링은 혁명적 "붉은" 핀란드 정부의 재무 위원장이자 카렐리야 ASSR의 의장으로서, 경제적 독립과 카렐리야 인구의 핀란드화를 추진했다.[65] 그는 "공산주의 정신으로 민족주의 정치를 구현"하여 반러시아 농민의 지지를 얻고, 카렐리야를 핀란드와 통일하는 "스칸디나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또는 "붉은 대 핀란드"를 건설하려 했다.[66][67][68] 핀란드어는 카렐리야의 공식 언어가 되었고, 학교 언어도 핀란드어로 변경되었다.[70] 귈링 시대에는 캐나다와 미국에서 온 핀란드 노동자들이 소비에트 카렐리야로 유인되었다.[71][65]
이보 아하바는 카렐리야인 민족주의자였고,[72] 위르외 루투는 핀란드 국민 사회주의 연합 창립자였으나 후에 공산주의 핀란드 인민 민주 동맹에 가입했다.[73] 2000년대에는 공산당 국회의원 피르코 투르페이넨이 극우와 연관되었고,[74] 요한 백만은 극우 정당의 우크라이나 전쟁 인원 모집에 관여했으며, 공산주의 핀란드 노동자당 후보였다.[75][76][77][78] 하누 라이네스토는 붉은 경비라는 단체를 운영하며 극우 핀란드인당에서 활동했다.[79]
프랑코-벨기에의 유럽 국민 공동체당(Parti Communautaire National-Européen)은 국민 볼셰비즘의 통일 유럽 건설 열망과 경제적 아이디어를 공유한다. 프랑스 정치인 크리스티앙 부셰도 이 사상에 영향을 받았다.[80] ''누벨 드루아트''는 좌우익 교리 모두의 영향을 받았으며, 안토니오 그람시에게서 영감을 얻었다.[81] 알랭 드 베누아는 좌우 정치적 분열이 효용 가치를 잃었다고 말하며 프랑스 공산당을 지지했다.[83]
1944년, 인도의 민족주의 지도자 수바스 찬드라 보스는 인도에 "국가 사회주의와 공산주의의 통합"을 촉구했다.[84] 전인도 진보 블록은 1939년 보스에 의해 좌익 민족주의 및 사회주의 정당으로 창설되었으며, 오늘날까지 존재한다. 수바스 찬드라 보스는 또한 에르빈 롬멜에게 포로로 잡힌 3,000명의 포로로 구성된 친 나치 군대인 인도 군단을 창설했다.
아브라함 슈테른 사후, 이스라엘의 준군사 조직 레히의 새로운 지도부는 요제프 스탈린[85]과 민족 볼셰비즘 교리를 지지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86][87] 나탄 옐린-모르는 히브리 민족 볼셰비즘을 정립했다.[89]
불가리아의 아타카 정당,[90] 슬로베니아 국민당,[91][92] 보스니아-세르비아의 독립 사회 민주 연합,[93][94][95][96][97][98] 마케도니아의 레비차,[99] 대 루마니아당[100][101][102] 등은 좌익과 우익의 정치적 관점을 혼합하여 "국민 볼셰비키"로 묘사되기도 한다.
2021년, 미국의 전통주의 노동자당 지도자 매튜 하임바흐는 당을 국가 볼셰비키 노선으로 개혁할 의사를 발표했다.[103]
우크라이나 진보사회당은 국민볼셰비키 정당으로 묘사되었으며,[104][105] 2022년에 금지되었다.[106]
5. 비판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에게 국민볼셰비즘이라는 용어가 적용되기도 하지만, 제프리 호스킹은 솔제니친이 철저한 반스탈린주의자이며 러시아 정교회의 역할을 중시하고 국제적인 고립주의를 추구했기에 국민볼셰비키라고 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52] 솔제니친은 '보즈로젠치'(부흥주의자)로 알려졌으며, 종교적 색채가 옅었던 국민볼셰비키와 달리 러시아의 위신과 권력을 위한 해외 개입을 중요하게 생각했다.[52]
솔제니친은 에두아르드 리모노프를 "포르노를 쓰는 작은 벌레"라고 묘사했고, 리모노프는 솔제니친을 조국을 배신한 자라고 비난하는 등 둘 사이에는 공개적인 적대감이 있었다. 솔제니친은 ''수레바퀴''에서 러시아인이 "세계에서 가장 고귀한 자"라는 생각과 "차르주의와 볼셰비즘은 똑같이 비난할 수 없다"는 생각을 국민볼셰비즘의 핵심으로 정의하고 비판했다.[53]
참조
[1]
서적
Russian Nationalism, Foreign Policy and Identity Debates in Putin's Russia: New Ideological Patterns after the Orange Revolution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8-03-25
[2]
간행물
The concept of 'National Bolshevism': An interpretative essay
https://pure.uva.nl/[...]
2001-10
[3]
서적
Conservative Revolution, National Revolution And National Bolshevism Revisited: The Social Revolutionary Nature Of Australian Nationalism
http://home.alphalin[...]
Australian Nationalist Ideological, Historical, and Legal Archive
2000
[4]
서적
The German Revolution, 1917–1923
Haymarket Books
2006
[5]
서적
Weimar Radicals: Nazis and Communists Between Authenticity and Performance
Berghahn Books
2009
[6]
간행물
Towards a Fourth Reich? The History of National Bolshevism in Germany
[7]
간행물
NATIONAL BOLSHEVISM IN WEIMAR GERMANY: Alliance of Political Extremes Against Democracy
1956
[8]
서적
The Beast Reawakens
Little, Brown and Company
[9]
서적
Doing Medicine Together: Germany and Russia Between the Wars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06
[10]
서적
The Beast Reawakens
Warner Books
1998
[11]
웹사이트
A. Paul Weber Museum - Ratzeburg
https://www.weber-mu[...]
2023-05-10
[12]
서적
A. Paul Weber: Leben und Werk in Texten und Bildern
E.S. Mittler & Sohn
[13]
서적
A. Paul Weber: Leben und Werk in Texten und Bildern
E.S. Mittler & Sohn
[14]
서적
The Routledge Companion to Fascism and the Far Right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5]
웹사이트
Ernst Niekisch – Widerstand gegen den Westen
https://wir-selbst.c[...]
2020-09-07
[16]
웹사이트
Richard Herzinger - Erinnerung an den Nationalbolschewisten Ernst Niekisch - Intervention
https://www.perlenta[...]
2023-08-21
[17]
뉴스
Ideologie - Radikal rechts-links
https://www.freitag.[...]
2023-08-21
[18]
웹사이트
Ernst Niekischs Ideologie des Widerstands
https://www.ifz-muen[...]
Institute of Contemporary History (Munich)
[19]
서적
Niekisch, Ernst - Hitler, ein deutsches Verhaengnis
http://archive.org/d[...]
Widerstands-Verlag Anna Niekisch
[20]
웹사이트
Ernst Niekischs Ideologie des Widerstands
https://www.ifz-muen[...]
Institute of Contemporary History (Munich)
[21]
웹사이트
"Um der Nation willen des Kommunismus fähig"
https://www.telepoli[...]
2012-01-28
[22]
웹사이트
"Autonomer Nationalismus" {{!}} Fußball gegen Nazis
https://www.fussball[...]
2023-05-10
[23]
웹사이트
Vor und nach »1968«: Die nationalen Unterströmungen in der westdeutschen Neuen Linken
https://www.globkult[...]
2023-05-10
[24]
웹사이트
Gerade auf LeMO gesehen: LeMO Biografie
https://www.dhm.de/l[...]
Stiftung Deutsches Historisches Museum
2023-05-10
[25]
서적
Kael Otto Paetel - The National Bolshevist Manifesto (1933)
http://archive.org/d[...]
1933-01-30
[26]
문서
Weimar Radicals
[27]
문서
Weimar Radicals
[28]
서적
The SS: A History 1919–1945
Tempus Publishing
2004
[29]
문서
On the Intelligentsia
Progress Publishers
1983
[30]
서적
Sturve, Liberal on the Right, 1905-1944
[31]
문서
Russian Political Thought: A Concise and Comprehensive History
JM Dent & Sons
1964
[32]
간행물
National bolshevism - past and present
2008-04-03
[33]
문서
Russian Political Thought
[34]
문서
Russian Political Thought
[35]
서적
National Bolshevism: Stalinist Mass Culture and the Formation of Modern Russian National Identity, 1931-1956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2
[36]
서적
Coming to Terms with the Soviet Regime: The "Changing Signposts" Movement Among Russian Emigrés in the Early 1920s
http://worldcat.org/[...]
Northern Illinois Un. Press
1994
[37]
웹사이트
Глава I После поражения // Леонид Шкаренков
https://scepsis.net/[...]
2021-12-23
[38]
간행물
Ethnification of Stalinism? National Operations and the NKVD Order № 00447 in a Comparative Perspective
https://www.academia[...]
2017-01
[39]
서적
National Bolshevism: Stalinist Mass Culture and the Formation of Modern Russian National Identity, 1931-1956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2
[40]
웹사이트
Evgeny Dobrenko's 'Late Stalinism: The Aesthetics of Politics' Recasts 20th Century History
https://www.themosco[...]
2021-10-24
[41]
서적
The Beast Reawakens
1997
[42]
간행물
Pussy Riot's Musical Precursors? The National Bolshevik Party Bands, 1994–2007
2015-10-21
[43]
웹사이트
Russia: National Bolsheviks, The Party Of 'Direct Action'
https://www.rferl.or[...]
2005-04-29
[44]
간행물
Aleksandr Dugin's Foundations of Geopolitics
http://connection.eb[...]
2004-01
[45]
뉴스
Ukraine and Crimea: what is Putin thinking?
https://www.theguard[...]
2014-03-23
[46]
뉴스
Лимонов готов стать гламурным политиком
http://www.ng.ru/pol[...]
Ng.ru
2010-07-12
[47]
잡지
The Tsar's Opponent
http://www.newyorker[...]
2007-10-01
[48]
뉴스
Ukraine crisis: Crimea is just the first step, say Moscow's pro-Putin demonstrators
https://www.telegrap[...]
2014-03-10
[49]
뉴스
Famous Kremlin Critic Changes Course, Says Putin Not a Monster (Limonov)
http://russia-inside[...]
2015-10-12
[50]
뉴스
Putin Goes Medieval on the Russian Opposition
https://www.bloomber[...]
2014-12-30
[51]
뉴스
Russian politician, writer Limonov dies at the age of 77 - Interfax
https://www.reuters.[...]
2020-03-17
[52]
서적
A History of the Soviet Union
Fontana
1990
[53]
서적
The Oak and the Calf
1975
[54]
간행물
Aleksandr Dugin and the ideology of national revival: Geopolitics, Eurasianism and the conservative revolution
2002-09
[55]
뉴스
Alexander Dugin – A Russian scarecrow
http://neweasterneur[...]
POLISH MINISTRY OF CULTURE AND NATIONAL HERITAGE
2017-03-17
[56]
뉴스
Russian nationalist thinker Dugin sees war with Ukraine
https://www.bbc.com/[...]
BBC
2014-07-10
[57]
간행물
Aleksandr Dugin's Neo-Eurasianism: The New Right à la Russe
https://www.mod-lang[...]
2009
[58]
뉴스
Russian Nationalist Dugin Says Greece Briefly Detained Him At Border
https://www.rferl.or[...]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2016-05-18
[59]
뉴스
Putin's Brain Alexander Dugin and the Philosophy Behind Putin's Invasion of Crimea
https://www.foreigna[...]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2014-03-31
[60]
뉴스
The Grand Theory Driving Putin to War
https://www.nytimes.[...]
2022-03-22
[61]
서적
Fundamentals of Marxism–Leninism
Foreign Languages Publishing House
1963
[62]
웹사이트
Vajaasta 2 000 jääkäristä kolmasosa punaisia jääkäreitä – harva heistä osallistui sisällissotaan
https://demokraatti.[...]
2024-03-24
[63]
서적
Jääkärimuistelmia
Otava
1994
[64]
서적
Punaupseerien nousu ja tuho
Otava
2018
[65]
서적
Gylling, Edvard
Suomalaisen Kirjallisuuden Seura
2004
[66]
서적
2000
[67]
서적
Neuvosto-Karjalan taistelu itsehallinnosta – Nationalismi ja suomalaiset punaiset Neuvostoliiton vallankäytössä 1920–1939
Suomalaisen Kirjallisuuden Seura
2000
[68]
서적
2000
[69]
서적
Soviet Karelia: Politics, planning and terror in Stalin’s Russia, 1920–1939
Routledge
2007
[70]
서적
2000
[71]
서적
2000
[72]
간행물
"Iivo Ahava, punainen heimosoturi"
Historical Society of Oulu
1967
[73]
서적
Yrjö Ruutu: Näkijä ja tekijä. Itsenäisyyden, eheyttämisen ja uuden ulkopolitiikan juurilla.
WSOY
1991
[74]
문서
Tapaus Juha Korhonen Väkivallaton maanpuolustus ja sen henki
2024-07-25
[75]
웹사이트
Kohudosentti kasvatti äänimääräänsä
https://www.ku.fi/ar[...]
2024-08-11
[76]
웹사이트
Itä-Ukrainassa Venäjän puolesta taistelleet suomalaiset kehuskelevat kokemuksillaan – muualla Euroopassa vierastaistelijoita on tuomittu rikoksista
https://yle.fi/uutis[...]
2022-01-12
[77]
웹사이트
Suomen uusnatsit hankkivat nyt oppia Venäjältä: järjestön koulutuskeskus järjestää haulikko- ja pistooliammuntaa, "partisaanikursseja" ja kieltää kiroilun
https://www.hs.fi/ul[...]
2022-01-12
[78]
웹사이트
Some 20 Finns fought against Ukraine in Donbas, facing no consequences in Finland – media
https://euromaidanpr[...]
2024-05-13
[79]
웹사이트
Yhteiskuntakriitikko haluaa taiteellaan lakaista tietä väistämättömälle kommunismille – ”taide lisää ymmärrystä maailmasta!”
https://www.sydansat[...]
2024-11-26
[80]
뉴스
Nazi shooter targets Chirac
http://www.searchlig[...]
Searchlight
2002-08
[81]
학술지
'Au Revoir''to "Sacred Cows"? Assessing the Impact of the''Nouvelle Droite''in Britain'
http://dx.doi.org/10[...]
2013-07
[82]
학술지
The Ambiguities of the Nouvelle Droite , 1968-1999
http://dx.doi.org/10[...]
2001-06-01
[83]
학술지
Alain de Benoist Answers Tamir Bar-On
http://dx.doi.org/10[...]
2014-01-01
[84]
서적
There is No Such Thing As Hate Speech
Bloomsbury Publishing
2017
[85]
학술지
Book Review: Michael Brecher. THE FOREIGN POLICY SYSTEM OF ISRAEL.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1972. £7.00
http://dx.doi.org/10[...]
1973-09
[86]
서적
The Shaping of Israeli Identity
http://dx.doi.org/10[...]
2014-03-05
[87]
서적
Zionism and the Foundations of Israeli Diplomacy
http://dx.doi.org/10[...]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05-21
[88]
서적
The Shaping of Israeli Identity: Myth, Memory, and Trauma
Routledge
1995
[89]
웹사이트
יומנים > יומן - מלא 21/03/1948 {{!}} The Ben-Gurion ARCHIVE
https://bengurionarc[...]
2024-11-09
[90]
간행물
"Against Globalism": Counter-Cosmopolitan Discontent and Antisemitism in Mobilizations of European Extreme Right Parties
http://dx.doi.org/10[...]
BRILL
2023-05-23
[91]
학술지
The Radical right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since 1989
http://dx.doi.org/10[...]
2000-04-01
[92]
학술지
Almost NATO: partners and players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an security
http://dx.doi.org/10[...]
2003-09-01
[93]
뉴스
Defying Ban, Republika Srpska Proceeds With 'Statehood Day'
https://www.rferl.or[...]
2018-01-09
[94]
뉴스
U.S. imposes sanctions on Bosnian Serb nationalist leader Dodik
https://www.reuters.[...]
2017-01-17
[95]
웹사이트
The 2016 Local Elections in Bosnia: a Win for the Major Ethno-nationalist Parties - Bosnia
http://www.balkanaly[...]
2018-01-12
[96]
웹사이트
The Political System of Bosnia and Herzegovina: Institutions – Actors – Processes
http://cps.ba/wp-con[...]
2018-01-12
[97]
웹사이트
SNSD suspended from the Socialist International
http://www.dnevniava[...]
2012-09-09
[98]
웹사이트
Member Parties of the Socialist International
http://socialistinte[...]
2012-09-09
[99]
학술지
The state for which people? The (Not so) left populism of the Macedonian far-left party Levica
2021
[100]
간행물
Denying the Shoah in Post-Communist Eastern Europe
De Gruyter
2012-09-25
[101]
간행물
"Non-Jewish, Non Kosher, Yet Also Recommended"
http://dx.doi.org/1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05-23
[102]
간행물
Nationalist Majority Parties: The Anatomy of Ethnic Domination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http://dx.doi.org/10[...]
Routledge
2023-05-23
[103]
뉴스
Extremist Heimbach To Relaunch Hate Group, Says He Supports Violence
https://www.newsy.co[...]
2021-07-20
[104]
서적
Ukraine : democratization, corruption, and the new Russian imperialism
https://books.google[...]
Praeger Security International
2022-03-21
[105]
학술지
Unfriendly takeover: Successor parties in Ukraine
2008
[106]
웹사이트
Ukraine's Defense Council stopped activity of several political parties: Zelenskyy
https://www.aninews.[...]
[107]
저널
Towards a Fourth Reich? The History of National Bolshevism in Germany
[108]
서적
https://books.google[...]
[109]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crimethinc.c[...]
2018-05-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