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PDE)는 세포 내 신호 전달에 관여하는 효소로, 1970년대에 처음 발견되어 다양한 아형(isoform)이 존재하며, 선택적 저해제가 개발되어 치료제로 활용될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PDE는 PDE1부터 PDE11까지 11개의 패밀리로 분류되며, 아미노산 서열, 기질 특이성, 조절 특성 등에 따라 구분된다. PDE 저해제는 cAMP 또는 cGMP에 의해 매개되는 생리 과정에 영향을 미치며, 발기 부전 치료제인 실데나필(비아그라) 등이 대표적이다. PDE 저해제는 폐동맥 고혈압, 관상 동맥 심장 질환, 치매 등 다양한 질환의 치료제로 연구되고 있으며, 항간질 효과도 나타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EC 3.1.4 - PLCB2
    PLCB2는 인산화효소 C β2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로, 이 효소는 세포 외 신호의 세포 내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G 단백질과 상호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신호 전달 - 수용체 길항제
    수용체 길항제는 수용체에 결합하여 작용제의 효과를 억제하는 물질로, 결합 부위 및 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며, 질병 치료 및 중독 해독 등에 활용된다.
  • 신호 전달 - 호르몬
    호르몬은 특정 기관의 기능을 조절하는 정보 전달 물질로, 다양한 화학적 구조와 신호 전달 방식을 가지며, 척추동물의 성장, 발달, 생식, 신진대사 등 생리 과정에 관여하고, 의약품으로도 사용되지만 부작용의 위험이 있다.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

2. 역사

1970년대 초 바이스와 그 동료들이 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 전기영동을 사용하여 쥐의 뇌에서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PDE)의 여러 형태(동질형 또는 아형)를 분리하고, 뇌와 다른 조직에서 다양한 약물에 의해 선택적으로 저해되는 것을 보였다.[22][23][24][25]

1970년대에 선택적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 저해제가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예측되었고, 이러한 예측은 다양한 분야에서 실현되었다.[26]

2. 1.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 연구의 시작

1970년대 초 바이스와 그 동료들이 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 전기영동을 사용하여 쥐의 뇌에서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의 여러 형태(동질형 또는 아형)를 분리했으며,[22][23] 이어서 뇌와 다른 조직에서 다양한 약물에 의해 선택적으로 저해되는 것을 보여주었다.[24][25]

선택적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 저해제가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은 1970년대에 예측되었다.[26] 이러한 예측은 이제 다양한 분야(예: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 5 저해제로서 실데나필 및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 4 저해제로서 롤리프람)에서 실현되었다.

2. 2. 치료제로서의 가능성

1970년대 초 바이스와 그 동료들은 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 전기영동을 사용하여 쥐의 뇌에서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의 여러 형태(동질형 또는 아형)를 분리했으며,[22][23] 이어서 뇌와 다른 조직에서 다양한 약물에 의해 선택적으로 저해되는 것을 보여주었다.[24][25]

선택적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 저해제가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은 1970년대에 예측되었다.[26] 이러한 예측은 이제 다양한 분야(예: 실데나필은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 5 저해제로, 롤리프람은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 4 저해제로 사용됨)에서 실현되었다.

3. 명명법 및 분류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PDE)는 명명법과 분류 체계는 여러 요소를 기반으로 한다.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PDE) 명명법은 아라비아 숫자로 PDE 패밀리를, 대문자로 해당 패밀리의 유전자를, 마지막 아라비아 숫자로 단일 유전자에서 파생된 스플라이스 변이체를 나타낸다(예: PDE1C3: 1은 패밀리, C는 유전자, 3은 스플라이싱 변이형).[27]

포유동물에서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의 슈퍼패밀리는 11개의 패밀리(PDE1~PDE11)로 분류된다.[28] 분류는 아미노산 서열, 기질 특이성, 조절 특성, 약리학적 특성, 조직 분포를 기반으로 한다.

효소군에 따른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에 대한 기질 특이성. "BOTH"는 cAMP와 cGMP를 둘 다 가수분해한다는 의미이다.


동일한 패밀리의 다른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는 아미노산 서열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일 수 있지만 기능적으로 관련되어 있다.[29]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는 서로 다른 기질 특이성을 가진다.

  • cAMP-선택적 가수분해효소: PDE4, PDE7, PDE8
  • cGMP-선택적 가수분해효소: PDE5, PDE6, PDE9
  • cAMP와 cGMP를 모두 가수분해: PDE1, PDE2, PDE3, PDE10, PDE11


PDE3은 cGMP-억제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로 불리기도 한다. PDE2는 두 가지 고리형 뉴클레오타이드를 가수분해할 수 있지만, 조절 GAF-B 도메인에 cGMP가 결합하면 cAMP 친화도가 증가하고 cGMP 가수분해가 증가한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cAMP 및 cGMP 경로의 교차 조절을 허용한다.

PDE12는 5'-트라이포스포릴화 올리고아데닐산의 아데노신을 연결하는 2',5'-포스포다이에스터 결합을 절단한다.[30][31] PDE12는 PDE1에서 PDE11까지를 아우르는 고리형 뉴클레오타이드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 슈퍼패밀리의 구성원이 아니다.

3. 1. 명명법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PDE) 명명법은 아라비아 숫자로 PDE 패밀리를 나타내고, 대문자는 해당 패밀리의 유전자를 나타내며, 두 번째이자 마지막 아라비아 숫자는 단일 유전자에서 파생된 스플라이스 변이체를 나타낸다(예: PDE1C3: 1은 패밀리, C는 유전자, 3은 스플라이싱 변이형).[27]

포유동물에서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의 슈퍼패밀리는 11개의 패밀리(PDE1~PDE11)로 분류된다.[28] 이러한 분류는 다음 사항들을 기반으로 한다.

  • 아미노산 서열
  • 기질 특이성
  • 조절 특성
  • 약리학적 특성
  • 조직 분포


동일한 패밀리의 다른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는 아미노산 서열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일 수 있지만 기능적으로 관련되어 있다.[29]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는 서로 다른 기질 특이성을 가진다. cAMP-선택적 가수분해효소(PDE4, PDE7, PDE8)와 cGMP-선택적 가수분해효소(PDE5, PDE6, PDE9)가 있으며, cAMP와 cGMP를 모두 가수분해할 수 있는 효소(PDE1, PDE2, PDE3, PDE10, PDE11)도 있다. PDE3은 때때로 cGMP-억제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로 불린다. PDE2는 두 가지 형태의 고리형 뉴클레오타이드를 가수분해할 수 있지만, 조절 GAF-B 도메인에 cGMP가 결합하면 cAMP 친화도가 증가하고 cGMP를 손상시키는 가수분해가 증가한다. 이러한 메커니즘 등은 cAMP 및 cGMP 경로의 교차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PDE12는 5'-트라이포스포릴화 올리고아데닐산의 아데노신을 연결하는 2',5'-포스포다이에스터 결합을 절단한다.[30][31] PDE12는 PDE1에서 PDE11까지를 아우르는 고리형 뉴클레오타이드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 슈퍼패밀리의 구성원이 아니다.

3. 2. 분류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PDE) 명명법은 아라비아 숫자로 PDE 패밀리를 나타내고, 대문자는 해당 패밀리의 유전자를 나타내며, 두 번째이자 마지막 아라비아 숫자는 단일 유전자에서 파생된 스플라이스 변이체를 나타낸다(예: PDE1C3: 1은 패밀리, C는 유전자, 3은 스플라이싱 변이형).[27]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의 슈퍼패밀리는 포유동물에서 11개의 패밀리(PDE1~PDE11)로 분류된다.[28] 이 분류는 다음 사항들을 기반으로 한다.

  • 아미노산 서열
  • 기질 특이성
  • 조절 특성
  • 약리학적 특성
  • 조직 분포


동일한 패밀리의 다른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들은 아미노산 서열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일 수 있지만 기능적으로 관련되어 있다.[29]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 간에는 서로 다른 기질 특이성을 가지고 있다. 일부는 cAMP-선택적 가수분해효소(PDE4, PDE7, PDE8)이며, 다른 것들은 cGMP-선택적 가수분해효소(PDE5, PDE6, PDE9)이다. 나머지들은 cAMP와 cGMP를 모두 가수분해할 수 있다(PDE1, PDE2, PDE3, PDE10, PDE11). PDE3은 때때로 cGMP-억제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로 불린다. PDE2는 두 가지 형태의 고리형 뉴클레오타이드를 가수분해할 수 있지만, 조절 GAF-B 도메인에 대한 cGMP의 결합은 cAMP의 친화도를 증가시키고 cGMP를 손상시키는 가수분해를 증가시킨다. 이 메커니즘과 다른 메커니즘은 cAMP 및 cGMP 경로의 교차 조절을 허용한다.

PDE12는 5'-트라이포스포릴화 올리고아데닐산의 아데노신을 연결하는 결합인 2',5'-포스포다이에스터 결합을 절단한다.[30][31] PDE12는 PDE1에서 PDE11까지를 아우르는 고리형 뉴클레오타이드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 슈퍼패밀리의 구성원이 아니다.

3. 3. 기질 특이성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PDE) 슈퍼패밀리는 포유동물에서 11개의 패밀리(PDE1~PDE11)로 분류된다.[28] 이러한 분류는 다음 사항들을 기반으로 한다.

  • 아미노산 서열
  • 기질 특이성
  • 조절 특성
  • 약리학적 특성
  • 조직 분포


동일한 패밀리에 속하는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들은 아미노산 서열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일 수 있지만, 기능적으로는 서로 관련되어 있다.[29]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는 서로 다른 기질 특이성을 가지고 있다. 일부는 cAMP-선택적 가수분해효소(PDE4, PDE7, PDE8)이며, 다른 것들은 cGMP-선택적 가수분해효소(PDE5, PDE6, PDE9)이다. 나머지들은 cAMP와 cGMP를 모두 가수분해할 수 있다(PDE1, PDE2, PDE3, PDE10, PDE11). PDE3은 때때로 cGMP-억제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로 불린다. PDE2는 두 가지 형태의 고리형 뉴클레오타이드를 가수분해할 수 있지만, 조절 GAF-B 도메인에 대한 cGMP의 결합은 cAMP의 친화도를 증가시키고 cGMP를 손상시키는 가수분해를 증가시킨다. 이 메커니즘과 다른 메커니즘은 cAMP 및 cGMP 경로의 교차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PDE12는 5'-트라이포스포릴화 올리고아데닐산의 아데노신을 연결하는 결합인 2',5'-포스포다이에스터 결합을 절단한다.[30][31] PDE12는 PDE1에서 PDE11까지를 아우르는 고리형 뉴클레오타이드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 슈퍼패밀리의 구성원이 아니다.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PDE) 명명법은 아라비아 숫자로 PDE 패밀리를 나타내고, 대문자는 해당 패밀리의 유전자를 나타내며, 두 번째이자 마지막 아라비아 숫자는 단일 유전자에서 파생된 스플라이스 변이체를 나타낸다(예: PDE1C3: 패밀리 1, 유전자 C, 스플라이싱 변이체 3).[6]

4. 임상적 중요성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PDE)는 다양한 세포 유형에서 발견되며, 독특한 조직 분포, 구조 및 기능적 특성으로 인해 약리학적 저해의 표적이 된다.[33]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 저해제는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에 의한 분해를 억제하여 cAMP 또는 cGMP에 의해 매개되는 생리 과정의 효과를 지속하거나 향상시킬 수 있다.[34]

실데나필(비아그라)은 cGMP-특이적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 5형 저해제로, 해면체에서 cGMP의 혈관 확장 효과를 향상시켜 발기 부전 치료에 사용된다. 또한 뒤센 근이영양증[35] 및 전립선 비대증[36] 치료 등 근육 및 심장 보호 효과에 대한 연구도 진행 중이다. 카페인의 주요 대사 산물인 파라잔틴은 cGMP를 선호하는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인 PDE9를 저해한다.[37]

4. 1.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 저해제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는 정상 림프구 및 백혈병 림프구를 비롯한 다양한 유형의 세포에서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32] 독특한 조직 분포, 구조적 특성 및 기능적 특성으로 인해 보통 약리학적 저해를 위한 표적이 된다.[33]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 저해제는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에 의한 분해를 저해함으로써 cAMP 또는 cGMP에 의해 매개되는 생리 과정에 대한 효과를 지속하거나 향상시킬 수 있다.[34]

실데나필(비아그라)은 해면체에서 cGMP의 혈관 확장 효과를 향상시키는 cGMP-특이적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 5형의 저해제이며 발기 부전 치료에 사용된다. 실데나필은 또한 현재 근육 및 심장 보호에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 조사 중이며, 특히 뒤센 근이영양증[35] 및 전립선 비대증[36] 치료에 대한 화합물의 치료적 가치에 관심이 있다.

카페인의 주요 대사 산물인 파라잔틴은 cGMP를 선호하는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인 PDE9를 저해하는 또 다른 cGMP-특이적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 저해제이다.[37] PDE9는 해면체에서 PDE5만큼 높게 발현된다.[38]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 저해제는 폐동맥 고혈압, 관상동맥 심장 질환, 치매, 우울증, 천식, 만성 폐쇄성 폐질환, 원생동물 감염(말라리아 포함) 및 정신분열증과 같은 분야에서 새로운 잠재적 치료제로 확인되었다.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는 발작 발생에 중요하다. 예를 들어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는 아데노신의 항간질 활성을 감소시킨다. 또한 펜틸렌테트라졸 유도 발작에서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 저해제(펜톡시필린)을 사용하면 발작 발생까지의 잠복기를 증가시키고 생체 내 발작 지속 시간을 감소시켜 항간질 효과를 나타낸다.[39]

실로스타졸(플레탈)은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 3(PDE3)를 저해한다. 이러한 저해는 적혈구가 더 잘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은 세포가 수축된 정맥과 동맥을 보다 더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간헐성파행증과 같은 조건에서 유용하다.

다이피리다몰은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 3와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 5를 저해한다. 이것은 cAMP 또는 cGMP의 혈소판 내 축적으로 이어져 혈소판의 응집을 저해한다.[40]

자프리나스트는 35 μM의 ED50 값으로 시험관 내 무성 혈액기 말라리아 기생충(''열대열원충'')의 생장을 억제하고, 3.8 μM의 IC50 값으로 말라리아 기생충 cGMP-특이적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인 PfPDE1을 저해한다.[41]

카페인테오브로민과 같은 잔틴cAMP-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 저해제이다. 그러나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에 대한 잔틴의 저해 효과는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섭취하는 것보다 더 높은 용량에서만 나타난다.

실데나필, 타달라필바데나필은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 5 저해제이며 발기 부전 치료에 널리 사용된다.

4. 2. 주요 PDE 저해제 및 적용 질환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PDE) 저해제는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에 의한 분해를 억제하여 cAMP 또는 cGMP에 의해 매개되는 생리 과정의 효과를 지속하거나 향상시킨다.[34] 이러한 저해제는 다양한 질환 치료에 사용된다.

저해제작용 기전 및 특징
실데나필(비아그라)cGMP-특이적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 5형 저해, 해면체에서 cGMP의 혈관 확장 효과 향상. 발기 부전 치료, 뒤센 근이영양증[35] 및 전립선 비대증[36] 치료 연구 중.
파라잔틴카페인의 주요 대사 산물, cGMP 선호 PDE9 저해.[37] PDE9는 해면체에서 PDE5만큼 높게 발현.[38]
실로스타졸(플레탈)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 3(PDE3) 저해, 적혈구 유연성 증가. 간헐성파행증에 유용.
다이피리다몰PDE3, PDE5 저해, 혈소판 내 cAMP 또는 cGMP 축적, 혈소판 응집 억제.[40]
자프리나스트시험관 내에서 무성 혈액기 말라리아 기생충(열대열원충) 생장 억제, 말라리아 기생충 cGMP-특이적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PfPDE1) 저해.[41]
잔틴(카페인, 테오브로민)cAMP-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 저해제, 고용량에서 효과.
타달라필, 바데나필실데나필과 같이 PDE5 저해, 발기 부전 치료.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 저해제는 폐동맥 고혈압, 관상동맥 심장 질환, 치매, 우울증, 천식, 만성 폐쇄성 폐질환, 원생동물 감염(말라리아 포함), 정신분열증 등 다양한 질환의 치료제로 연구되고 있다. 또한,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는 아데노신의 항간질 활성을 감소시키므로,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 저해제는 발작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39]

4. 3. 기타 응용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는 정상 림프구 및 백혈병 림프구를 비롯한 다양한 유형의 세포에 존재하며,[32] 독특한 조직 분포, 구조 및 기능적 특성으로 인해 약리학적 저해의 표적이 된다.[33]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 저해제는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에 의한 분해를 막아 cAMP 또는 cGMP에 의해 매개되는 생리 과정의 효과를 지속시키거나 향상시킬 수 있다.[34]

실데나필(비아그라)은 해면체에서 cGMP의 혈관 확장 효과를 향상시키는 cGMP-특이적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 5형의 저해제로, 발기 부전 치료에 사용된다. 실데나필은 뒤센 근이영양증[35] 및 전립선 비대증[36] 치료 등 근육 및 심장 보호 효과에 대한 연구도 진행 중이다.

카페인의 주요 대사 산물인 파라잔틴은 cGMP를 선호하는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인 PDE9를 저해하는 또 다른 cGMP-특이적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 저해제이다.[37] PDE9는 해면체에서 PDE5만큼 높게 발현된다.[38]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 저해제는 폐동맥 고혈압, 관상동맥 심장 질환, 치매, 우울증, 천식, 만성 폐쇄성 폐질환, 원생동물 감염(말라리아 포함), 정신분열증 등의 치료제로 연구되고 있다.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는 발작 발생에 중요하며,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 저해제(펜톡시필린)는 발작 발생까지의 잠복기를 증가시키고 발작 지속 시간을 감소시켜 항간질 효과를 나타낸다.[39]

실로스타졸(플레탈)은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 3(PDE3)를 저해하여 적혈구가 더 잘 구부러지게 함으로써 간헐성파행증 치료에 유용하다.

다이피리다몰은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 3와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 5를 저해하여 혈소판 내 cAMP 또는 cGMP 축적을 유도하고 혈소판 응집을 억제한다.[40]

자프리나스트는 시험관 내에서 무성 혈액기 말라리아 기생충(''Plasmodium falciparum'')의 생장을 억제하고, 말라리아 기생충 cGMP-특이적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인 PfPDE1을 저해한다.[41]

카페인테오브로민과 같은 잔틴cAMP-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 저해제이지만, 그 효과는 일반적으로 섭취하는 양보다 높은 용량에서 나타난다.

실데나필, 타달라필바데나필은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 5 저해제이며 발기 부전 치료에 널리 사용된다.

최근 PDE가 세탁물에서 발견되는 인체의 오물을 제거하는 것으로 밝혀져, 세제를 사용할 때 옷에 남는 노란 얼룩과 냄새를 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되었다.[21]

참조

[1] 논문 Separation of multiple molecular forms of cyclic adenosine-3',5'-monophosphate phosphodiesterase in rat cerebellum by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1972-09
[2] 논문 Ontogenetic development of a phosphodiesterase activator and the multiple forms of cyclic AMP phosphodiesterase of rat brain 1974-12
[3] 논문 Differential activation and inhibition of the multiple forms of cyclic nucleotide phosphodiesterase
[4] 논문 Properties and drug responsiveness of cyclic nucleotide phosphodiesterases of rat lung http://molpharm.aspe[...] 1976-07
[5] 논문 Selective cyclic nucleotide phosphodiesterase inhibitors as potential therapeutic agents
[6] 논문 Phosphodiesterases and cyclic nucleotide signaling in endocrine cells 2000-09
[7] 논문 Biochemistry and physiology of cyclic nucleotide phosphodiesterases: essential components in cyclic nucleotide signaling 2007
[8] 논문 Structural determinants for inhibitor specificity and selectivity in PDE2A using the wheat germ in vitro translation system 2005-06
[9] 논문 The Role of Phosphodiesterase 12 (PDE12) as a Negative Regulator of the Innate Immune Response and the Discovery of Antiviral Inhibitors 2015-08
[10] 웹사이트 phosphosite.org http://www.phosphosi[...]
[11] 문서 Analyses of cyclic nucleotide phosphodiesterases in lymphocytes from normal and aged leukemic mice http://cancerres.aac[...]
[12] 논문 Phosphodiesterase: overview of protein structures, potential therapeutic applications and recent progress in drug development 2005-06
[13] 서적 Rang & Dale's Pharmacology Churchill Livingstone 2016
[14] 논문 Sildenafil and cardiomyocyte-specific cGMP signaling prevent cardiomyopathic changes associated with dystrophin deficiency 2008-05
[15] 논문 Phosphodiesterase-5 inhibitors and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2010-01
[16] 논문 Psychostimulant pharmacological profile of paraxanthine, the main metabolite of caffeine in humans 2013-04
[17] 논문 Phosphodiesterase-9 (PDE9) inhibition with BAY 73-6691 increases corpus cavernosum relaxations mediated by nitric oxide–cyclic GMP pathway in mice 2013-03
[18] 논문 Effects of pentoxifylline and H-89 on epileptogenic activity of bucladesine in pentylenetetrazol-treated mice 2011-11
[19] 논문 Anti-platelet therapy: phosphodiesterase inhibitors 2011-10
[20] 논문 PfPDE1, a novel cGMP-specific phosphodiesterase from the human malaria parasite Plasmodium falciparum 2005-11
[21] 웹사이트 Seaweed bacteria helps laundry become eco-friendly https://springwise.c[...] 2020-09-17
[22] 논문 Separation of multiple molecular forms of cyclic adenosine-3',5'-monophosphate phosphodiesterase in rat cerebellum by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1972-09
[23] 논문 Ontogenetic development of a phosphodiesterase activator and the multiple forms of cyclic AMP phosphodiesterase of rat brain 1974-12
[24] 논문 Differential activation and inhibition of the multiple forms of cyclic nucleotide phosphodiesterase
[25] 논문 Properties and drug responsiveness of cyclic nucleotide phosphodiesterases of rat lung http://molpharm.aspe[...] 1976-07
[26] 논문 Selective cyclic nucleotide phosphodiesterase inhibitors as potential therapeutic agents
[27] 논문 Phosphodiesterases and cyclic nucleotide signaling in endocrine cells 2000-09
[28] 논문 Biochemistry and physiology of cyclic nucleotide phosphodiesterases: essential components in cyclic nucleotide signaling 2007
[29] 논문 Structural determinants for inhibitor specificity and selectivity in PDE2A using the wheat germ in vitro translation system 2005-06
[30] 논문 The Role of Phosphodiesterase 12 (PDE12) as a Negative Regulator of the Innate Immune Response and the Discovery of Antiviral Inhibitors 2015-08
[31] 웹사이트 phosphosite.org http://www.phosphosi[...]
[32] 문서 Analyses of cyclic nucleotide phosphodiesterases in lymphocytes from normal and aged leukemic mice http://cancerres.aac[...]
[33] 논문 Phosphodiesterase: overview of protein structures, potential therapeutic applications and recent progress in drug development 2005-06
[34] 서적 Rang & Dale's Pharmacology Churchill Livingstone 2016
[35] 논문 Sildenafil and cardiomyocyte-specific cGMP signaling prevent cardiomyopathic changes associated with dystrophin deficiency 2008-05
[36] 논문 Phosphodiesterase-5 inhibitors and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2010-01
[37] 논문 Psychostimulant pharmacological profile of paraxanthine, the main metabolite of caffeine in humans 2013-04
[38] 논문 Phosphodiesterase-9 (PDE9) inhibition with BAY 73-6691 increases corpus cavernosum relaxations mediated by nitric oxide–cyclic GMP pathway in mice 2013-03
[39] 논문 Effects of pentoxifylline and H-89 on epileptogenic activity of bucladesine in pentylenetetrazol-treated mice 2011-11
[40] 논문 Anti-platelet therapy: phosphodiesterase inhibitors 2011-10
[41] 논문 PfPDE1, a novel cGMP-specific phosphodiesterase from the human malaria parasite Plasmodium falciparum 2005-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