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포에니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에니인은 현대 학술 용어로, 서부 페니키아인을 지칭하며, 특히 카르타고인과 그 외 서부 페니키아인을 가리킨다. 이 용어는 라틴어 'poenus'와 'punicus'에서 유래되었으며, 고대 그리스어 'Φοῖνιξ'(포이닉스)에서 파생되었다. 포에니인은 북아프리카, 사르데냐, 이비자, 시칠리아 등 서부 지중해 지역에 정착했으며, 카르타고는 그들의 주요 도시였다. 포에니는 독자적인 문화, 종교, 유전적 특징을 가지고 있었으며, 로마와의 포에니 전쟁을 통해 역사적 중요성을 지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니키아 사람 - 에우로페
    에우로페는 그리스 신화 속 인물로, 제우스의 사랑을 받아 미노스 등을 낳았으며, 유럽 대륙의 이름의 기원이 되었고, 예술 작품과 유럽 연합의 상징으로 묘사된다.
  • 페니키아 사람 - 킬릭스
    킬릭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아게노르의 아들이자 카드모스, 페닉스, 에우로파의 형제로, 소아시아 킬리키아 지역에 정착하여 그 지역 이름의 유래가 되었으며 에우로파 납치 사건과 킬리키아 형성에 관련된 인물이다.
포에니인
개요
사르데냐에서 발견된 페니키아인의 웃는 가면
사르데냐에서 발견된 페니키아인의 웃는 가면
포에니 기도 조각상, 기원전 3세기경
포에니 기도 조각상, 기원전 3세기경
포에니 건물, 지우리크
지우리크에 있는 포에니 건물은 포에니 유적을 포함한 현대적인 건축물이다.
카르타고의 포에니 군항 모형
카르타고의 포에니 군항 모형
일반 정보
민족포에니인
관련 민족페니키아인
역사
기원고대 카르타고
언어
사용 언어포에니어

2. 용어

'''포에니(Punic)'''라는 용어는 현대 학술 저술에서 서부 페니키아인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7] 이 용어는 카르타고인과 다른 서부 페니키아인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던 라틴어 'poenus'와 'punicus'에서 파생되었으며,[7] 고대 그리스어 단어인 'Φοῖνιξ'(포이닉스)에서 유래되었다.[7] 라틴어는 그리스어 용어를 'Phoenix'(피닉스)와 복수형 'Phoenices'(포에니케스)로 빌려 사용했으며, 이 역시 구분 없이 사용되었다.[7]

시칠리아의 화폐 증거에 따르면 일부 서부 페니키아인들은 "포이닉스"라는 용어를 사용했다.[8] 그들은 스스로를 '가나안인'이라고 불렀을 가능성이 있다.[9] 아우구스티누스는 그들이 스스로를 가나안인(라틴어로 Chanani)이라고 불렀다고 언급했다.[10][11] 그러나 J.C. 퀸은 아우구스티누스의 주장이 오독이라고 주장한다.[12][13]

현대 학계에서는 '포에니'라는 용어를 서부 지중해의 페니키아인에게만 사용한다. 특정 포에니 집단은 '시쿨로-포에니' 또는 '사르도-포에니'와 같이 하이픈으로 연결된 이름으로 지칭되기도 한다. 헬레니즘 그리스 작가들은 북아프리카 중부(리비아)의 포에니 거주자를 '리비-페니키아인'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3. 분포

3. 1. 튀니지

튀니지는 페니키아의 서부 확장 초기에 정착된 지역 중 하나로, 우티카, 히포 디아르히투스[21], 히포 레기우스, 하드루메툼[22] 등의 도시가 기원전 12세기 말 경에 건설되었다. 현대 튀니스 부지에 세워진 카르타고는 기원전 9세기 말 디도가 이끄는 티레 난민들과 키프로스인들에 의해 건설되었다.

한니발 바르카의 것으로 추정되는 카푸아 흉상


카르타고는 타니트와 바알 하몬 신에 대한 숭배와 토페트의 발전, 높은 수준의 세계주의를 보였다. 케르쿠안 건설, 엘 하우아리아 사암 채석장 운영을 통해 보른 곶 반도를 통제했고, 비옥한 토지를 바탕으로 경제적 자급자족을 이루었다. 케르쿠안 유적은 북아프리카의 푸니 도시의 가장 잘 알려진 사례를 제공한다.

포에니인의 지배는 내륙의 고대 리비아까지 확장되었다. 기원전 6세기 초부터 알티부로스에서 포에니 건설 기술과 적색 슬립 도기가 나타나는 등 내륙 지역에서 포에니의 영향이 나타났다. 리비아인과의 무력 충돌은 기원전 5세기 초에 처음 나타났으며, 기원전 4세기에는 여러 반란이 기록되었다.[23] 아리스토텔레스는 카르타고인들이 리비아 도시로 가난한 시민들을 재정착시켜 불만을 처리했다고 보고했다. 이러한 정착지는 조공과 군사력을 제공해야 했지만 자치적으로 유지되었다. 기원전 4세기와 3세기에는 포에니인과 리비아인 간의 혼인이 있었다는 증거도 있다.

3. 2. 사르도-포에니인 (사르데냐)

타로스


기원전 8세기부터 페니키아인들은 사르데냐 남부와 서부의 전략적 요충지에 타로스, 비티아, 술치, 노라, 칼라리스(칼리아리) 등 여러 도시와 요새를 건설했다.[24] 이들은 방어하기 쉽고 자연적인 항구가 있는 반도나 하구 근처의 섬에 위치해 있었다. 섬의 북부, 동해안, 내륙 지역은 토착 누라게 문명이 계속 지배했는데, 사르도-페니키아 도시들과의 관계는 무역과 군사적 갈등이 혼재되어 있었다. 혼인과 문화적 혼합이 대규모로 이루어졌고, 사르도-페니키아 도시의 주민들은 페니키아인과 누라게인의 혼혈로, 후자가 인구의 다수를 차지했다.[24] 사르데냐는 서부 지중해에서 카르타고, 스페인, 론 강, 에트루리아 문명 사이의 중심지였기 때문에 특별한 위치를 차지했다. 이글레시엔테는 납과 아연 등의 금속 채굴의 중요한 지역이었다.

이 섬은 기원전 510년경, 기원전 540년에 있었던 정복 시도가 실패한 후 카르타고의 지배하에 놓였다. 그들은 보사에서 칼라리스까지 서부 및 남부 해안으로 영향력을 확대하여 기존의 페니키아 정착지를 강화하고, ''수페테스''라고 불리는 전권대사에 의해 관리했으며, 올비아, 코르누스, 네아폴리스와 같은 새로운 정착지를 건설했다. 타로스가 아마도 주요 중심지였을 것이다. 카르타고는 곡물과 시리얼 재배를 장려하고 과수 재배를 금지했다. 타로스, 노라, 비티아, 몬테 시라이 등은 현재 푸니 문화의 건축과 도시 계획을 연구할 수 있는 중요한 고고학적 유적지이다.

기원전 238년, 제1차 포에니 전쟁 이후 로마인들은 섬 전체를 점령하여 프라에토르가 통치하는 코르시카 에트 사르디니아 속주에 편입시켰다. 기존의 권력 구조, 기반 시설 및 도시 문화는 대체로 변동 없이 유지되었다. 기원전 216년, 코르누스와 타로스 출신의 사르도-푸니 출신 귀족인 함프시코라와 하노가 로마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푸니 문화는 로마 지배 초기에 강세를 유지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시민 엘리트들은 로마 문화 관습을 채택했고, 라틴어는 처음에는 명망 언어였고, 나중에는 다수 주민의 언어가 되었다.

3. 3. 이비자

이비자 섬의 이름은 ʾbšm/𐤀𐤁𐤔𐤌phn "베스에게 헌정된"에서 유래되었다.[25][26] 발굴된 사 칼레타 페니키아 정착지는 기원전 7세기 중반에 세워졌다. 디오도로스 시켈로스는 이 도시의 건설 시기를 기원전 654년으로 보고 카르타고인들이 건설했다고 한다.[27]

3. 4. 시칠리아

기원전 11세기, 페니키아의 상인, 선원, 장인들이 북아프리카 지역에 식민지를 건설한 후 서부 시칠리아에 정착하기 시작했다. 한 세기 안에 솔로이스(솔루토), 오늘날의 팔레르모, 모티아(오늘날의 마르살라 근처 섬)에 주요 페니키아 정착지를 건설했다. 다른 정착지로는 드레파나(트라파니)와 마자라델발로가 있었다.

펠로폰네소스 전쟁이 시작될 무렵의 시칠리아


이후 고대 카르타고가 성장하면서, 이들 정착지는 때때로 카르타고와 충돌하기도 했지만, 서부 시칠리아의 페니키아 도시 국가는 결국 기원전 6세기에 고대 카르타고에 완전히 통합되었다.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페니키아인들은 현지 엘리미인과 통합되어 독특한 "서부 페니키아 문화 정체성"을 형성했다.

4. 역사

페니키아 지도, 교역로 및 카르타고 식민지


초기 페니키아인들의 북아프리카 식민지화 시작 시기는 불분명하다. 대 플리니우스와 같은 고대 작가들은[29] 식민지화가 기원전 12세기와 11세기에 시작되었다고 추정했지만, 고고학적 증거는 일반적으로 기원전 8세기에 식민지가 시작되었음을 시사한다.[30]

페니키아 식민지 시스템은 경제적 기회에 의해 동기 부여되었으며, 페니키아인들은 해외에 "제국"을 건설할 인구나 욕구가 부족했다. 따라서 식민지는 대부분 인구가 1,000명 미만인 비교적 작은 규모였다.[30] 카르타고와 같은 일부 식민지는 훨씬 더 크게 성장했다.[30] 식민지는 대륙의 천연 자원에 대한 독점권을 확립하면서 부가 증가했고, 이는 외국 세력에 대한 증가하는 조공 의무와 무역 간섭을 피해 온 페니키아 상인들의 유입으로 가속화되었다.[31][32][33]

기원전 7세기에 티레가 그 지위를 잃기 시작하면서,[34] 카르타고의 인구는 한 세기 안에 30,000명으로 증가했다. 페니키아는 신아시리아 제국에 정복되었고,[35][36] 이 시점에서 카르타고는 모든 페니키아 식민지 중에서 가장 부유하고 강력한 도시가 되었다. 이 무렵, 지역 관습과 페니키아 전통이 혼합되면서 뚜렷한 문화가 나타나기 시작했고, 이는 또한 초창기 민족 정체성을 낳았다. 티레의 지위와 권력은 신바빌로니아 제국과 아케메네스 제국의 지배를 받으면서 더욱 약화되었고, 기원전 6세기에는 아케메네스 제국에 자발적으로 항복하면서 남아있던 권력마저 심각하게 제한되었다. 그 후 페니키아의 주요 도시로서의 지위는 경쟁 도시 국가인 시돈에 의해 찬탈되었지만, 시돈 역시 페르시아의 지배를 받았고, 이로 인해 카르타고가 주요 페니키아 정치 세력으로서 권력 공백을 채우게 되었다.

4. 1. 기원

초기 페니키아인들의 북아프리카 식민지화 시작 시기는 불분명하다. 대 플리니우스와 같은 고대 작가들은[29] 식민지화가 기원전 12세기와 11세기에 시작되었다고 추정했지만, 고고학적 증거는 일반적으로 기원전 8세기에 식민지가 시작되었음을 시사한다.[30]

페니키아 식민지 시스템은 경제적 기회에 의해 동기 부여되었으며, 페니키아인들은 해외에 "제국"을 건설할 인구나 욕구가 부족했다. 따라서 식민지는 대부분 인구가 1,000명 미만인 비교적 작은 규모였다.[30] 카르타고와 같은 일부 식민지는 훨씬 더 크게 성장했다.[30] 식민지는 대륙의 천연 자원에 대한 독점권을 확립하면서 부가 증가했고, 이는 외국 세력에 대한 증가하는 조공 의무와 무역 간섭을 피해 온 페니키아 상인들의 유입으로 가속화되었다.[31][32][33]

기원전 7세기에 티레가 그 지위를 잃기 시작하면서,[34] 카르타고의 인구는 한 세기 안에 30,000명으로 증가했다. 페니키아는 신아시리아 제국에 정복되었고,[35][36] 이 시점에서 카르타고는 모든 페니키아 식민지 중에서 가장 부유하고 강력한 도시가 되었다. 티레의 지위와 권력은 신바빌로니아 제국과 아케메네스 제국의 지배를 받으면서 더욱 약화되었고, 카르타고는 주요 페니키아 정치 세력으로 성장했다.

4. 2. 기원전 650년 ~ 기원전 146년

카르타고는 기원전 650년경 티레로부터 사실상 독립하여 해상 탐험과 무역을 통해 세력을 확장했다.[37][38] 하노는 아프리카 해안을 탐험했고, 카르타고인들은 대서양으로 진출하여 릭서스, 볼루빌리스, 첼라, 에사우이라 등 여러 정착지를 건설했다.

조반니 안토니오 펠레그리니(1731)의 그림 "젊은 한니발이 로마에 적대감을 맹세하다"


카르타고는 마그나 그라에키아와 무역 경쟁 관계에서 시칠리아 전쟁(기원전 600년 ~ 265년)을 벌여 시칠리아 섬을 놓고 그리스인들과 충돌했다. 이후 카르타고는 로마와 세 차례의 포에니 전쟁(기원전 265년 ~ 146년)을 치렀다. 제1차 포에니 전쟁에서 시칠리아에 대한 지배권을 잃었고, 제2차 포에니 전쟁에서 한니발이 이탈리아를 침공했지만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에게 자마 전투에서 패배하여 지중해 주요 세력으로서의 지위를 잃었다. 결국 제3차 포에니 전쟁에서 카르타고는 기원전 146년에 파괴되었다. 포에니 전쟁에서의 승리로 로마는 아프리카에 정착하고 지중해 전체를 지배할 수 있게 되었다.

4. 3. 기원전 146년 ~ 기원후 700년

카르타고가 파괴된 후에도 포에니인의 종말을 의미하지는 않았다.[39] 카르타고는 완전히 파괴되었지만 북서 아프리카에는 다른 포에니 도시들이 있었다. 카르타고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에 의해 기원전 46년경 재건되었고, 포에니 출신의 사람들은 로마 제국에서 상인, 대상인, 심지어 정치가로서 다시 번영했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는 포에니 혈통이었다.[42]

로마 종교를 일부 받아들였지만, 바알 하몬 숭배와 그에 따른 어린이 희생은 로마에 의해 금지되었지만,[39] 사투르누스를 숭배하는 척하면서 적어도 아프리카의 티베리우스 율리우스 세쿤두스 집정관(131–132) 시대까지 공공연하게 계속되었다.[40][41]

기독교가 로마 제국에 퍼지면서 북서 아프리카에서 특히 성공했고, 카르타고는 기독교가 합법화되기 전부터 기독교 도시가 되었다. 성 아우구스티누스는 타가스테 (오늘날의 알제리)에서 태어났으며, 스스로를 포에니인으로 여기고 저술에서 포에니 문화사에 대한 몇 가지 중요한 고찰을 남겼다.[43] 아우구스티누스는 포에니어가 널리 사용되었음을 나타내는 마지막 고대 작가이다.[45]

고유한 포에니 문화의 마지막 흔적은 아마도 서로마 제국의 멸망 동안의 혼란 속에서 사라졌을 것이다. 이 지역은 반달족과 비잔틴의 전쟁과 그에 따른 인구 이동, 그리고 7세기 AD의 북아프리카의 이슬람 정복과 같은 격동적인 사건들로 인해 변화했다.[46] 마그레브의 이슬람 정복 이후, 지리학자 알 바크리는 베르베르어, 라틴어 또는 콥트어가 아닌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시르테에 살고 있다고 묘사했다.[47][48]

5. 종교

포에니 종교는 페니키아에서 유래한 다신교인 고대 가나안 종교의 직접적인 연장선상에 있었다. 카르타고의 주요 신은 바알 하몬(일명 "화로의 주")[16]과 그의 배우자 타니트였지만, 에슈문, 멜카르트,[17] 아슈타르트, 레셰프, 사콘, 샤마쉬와 같은 다른 신들도 숭배되었다.[18] 카르타고인들은 기원전 396년에 그리스 신화의 여신들인 데메테르페르세포네를 받아들였으며, 고대 이집트 종교의 신들인 베스, 바스테트, 이시스, 오시리스, 도 받아들였다.[19]

포에니 중심지마다 고유한 신들이 있었다. 예를 들어 포에니 사르데냐에서는 시드 또는 시드 바비(로마인들에게는 사르두스 파테르로 알려졌으며, 토착 신으로 보임)가 멜카르트의 아들로 숭배를 받았고, 특히 그 섬과 관련이 있었다.

카르타고에는 파트타임 사제와 풀타임 사제가 모두 있었는데, 풀타임 사제는 khnmxpu (단수형 khnxpu, 히브리어 용어 코헨과 동족어)으로 불렸고, rb khnmxpu으로 불리는 대사제들이 이끌었으며, "성전의 종" 또는 "노예"(남성: ˤbdxpu, 여성: ˤbdtxpu 또는 mtxpu)라고 불리는 하위 종교 관리들과 요리사, 정육점, 가수, 이발사 같은 기능인들이 있었다. 성전에는 포에니어 및 신포에니 비문에서 mrzḥxpu라고 불리는 협회가 있었는데, 이들은 의례적인 연회를 열었다.

일부 페니키아 공동체는 신성 매춘을 행했는데, 포에니 영역에서는 서부 튀니지의 시카 베네리아(엘 케프)와 서부 시칠리아의 에릭스에 있는 베누스 에리키나 신전에서 고고학적으로 증명되었다. 포에니 신성 매춘은 라틴 작가 발레리우스 막시무스가 언급했는데, 그는 카르타고 여성들이 시카 베네리아에서 방문객들과 매춘을 통해 선물을 얻는 방법을 묘사했다.[20]

다양한 그리스 및 로마 자료들은 카르타고의 아동 희생 관행에 대해 묘사하고 비판하는데, 이 관행은 불에 태워 행해졌다. 많은 고대 그리스 및 라틴 작가들은 "크로노스"(바알 하몬)에게 아동을 희생하는 어떤 버전을 묘사했다. 이러한 묘사들은 히브리 성경에서 바알과 몰렉에게 불에 태워 아이를 희생하는 것을 묘사한 내용과 비교되었고, 그 장소는 ''토페트''라고 불렸다. 이러한 고대 묘사는 1921년 카르타고에서 발견된 소위 ''살람보의 토페트''에서 화장된 어린이들의 항아리가 발견되면서 확인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현대의 역사학자들과 고고학자들은 이러한 관행의 현실과 범위에 대해 논쟁을 벌이고 있다. 일부 학자들은 ''토페트''의 모든 유해가 희생되었다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학자들은 일부만 희생되었다고 주장한다.

6. 유전학

포에니인에 대한 유전학 연구는 이들이 고대 북아프리카 및 동지중해 출신과 강력한 유전적 연관성을 보인다는 점을 시사한다.[55] 1994년 비르사 언덕에서 발견된 기원전 6세기 후반 젊은 남성의 유골은 희귀한 U5b2c1 하플로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는 북아프리카에서 가장 오래된 유럽 계통의 증거였다.[49]

사르데냐 타로스 묘지에서 채취한 포에니 유물에 대한 미토콘드리아 분석 결과, 북아프리카 및 이베리아 반도 인구 집단과의 유사성이 나타났다.[50] 최근 유전자 연구에 따르면 하플로그룹 E-M81, E-FGC18960 및 E-V65가 서부 지중해에서 페니키아어 확산과 관련이 있다.[51]

여러 연구에서 사르데냐, 이비자, 남부 이베리아, 이탈리아의 포에니인들이 고대 북아프리카 및 동지중해 출신과 강력한 유전적 연관성을 보였다는 결과가 나왔다.[52][53][54][55] 특히, 이비자의 포에니인 집단에서는 동지중해 및 북아프리카의 영향이 주로 남성에게서 나타났다.[52]

aDNA 지중해(포에니 30명 포함) 샘플의 현대 집단과의 클러스터링


2021년, Sarno, Cillion, de Fanti 외 연구진은 타로스에서 발견된 고대 포에니 샘플이 유전적으로 북아프리카 집단과 더 가깝게 나타난다고 보고했다.[56] de Angelis, Veltre, Romboni 외 연구진 또한 이탈리아 콰르토 카펠로 델 프레테에 묻힌 사람들이 포에니에서 유래한 인간 집단과 유사하다고 결론지었다.[57]

2022년 튀니지 케르쿠안에서 발견된 포에니인 유골은 매우 이질적인 유전적 구성을 보였으며, 자생적인 북아프리카 집단의 기여가 상당했음을 시사한다.[58] 이 연구는 카르타고인(서부 페니키아인 또는 포에니인)이라는 용어가 식민지 집단을 주로 의미하고 카르타고 제국에 대한 토착민의 참여를 약화시켜, 자생 집단의 역할이 카르타고와 그 제국에 대한 연구에서 크게 간과되었다고 지적한다.

7. 주요 인물

참조

[1] 서적 The Carthaginians 6th-2nd Century BC Bloomsbury Publishing
[2] 서적 The Phoenicians and the West: Politics, Colonies and Trad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09-06
[3] 뉴스 Carthage | History, Location, & Facts https://www.britanni[...]
[4] 서적 Itineraria Phoenicia https://books.google[...]
[5] 서적 Ancient Rome: A military and political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서적 The Phoenicians and the West: Politics, colonies, and trad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09-06
[7] 간행물 "''Poenus plane est'' – but who were the ''Punickes''?"
[8] 간행물 Coins of Punic Sicily, Part II
[9] 서적 Hannibal: A Hellenistic life Yale University Press
[10] 서적 Unfinished Commentary on Paul's Letter to the Romans
[11] 서적 Sacred Violence, African Christians, and Sectarian Hatred in the Age of Augustin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서적 In Search of the Phoenician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3] 웹사이트 The cultures of the ''tophet'' identification and identity in the Phoenician diaspora https://josephinecra[...] 2021-05-30
[14] 서적 The Carthaginians 6th-2nd Century BC Bloomsbury Publishing
[15] 서적 The Phoenicians https://books.google[...] I.B. Tauris 2009-10-12
[16] 서적 A Historical Commentary on Polybius Clarendon Press
[17] 간행물 Phoenician religion
[18]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the Phoenician and Punic Mediterranean Oxford University Press
[19] 서적 The Phoenicians I.B. Tauris
[20] 웹사이트 Review of: The Myth of Sacred Prostitution in Antiquity https://bmcr.brynmaw[...]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웹사이트 Bizerte {{!}} Tunisia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12-03
[22] 문서 Las Ciudades Fenicio Púnicas en el Norte de África... http://repositorio.u[...] 2013
[23] 서적 Politics
[24] 웹사이트 Monte Sirai http://www.sardegnac[...] Carlo Delfino Editore 2016-10-28
[25] 웹사이트 Ibiza Literature, Literature in Ibiza http://www.liveibiza[...] Liveibiza.com 2013-03-26
[26] 서적 Biogeography and Ecology of the Pityusic Islands W. Junk (Kluwer)
[27] 서적 Bibliotheca
[28] 문서 Landing on Motya: the Phoenician settlement in the excavations of Rome “La Sapienza” University, 2010–2016. Stratigraphy, architecture and finds (Quaderni di Archeologia fenicio-punica 4) Missione Archeologica a Mozia
[29] 문서 Natural History
[30] 서적 A Comparative Study of Thirty City-state Cultures: An Investigation Kgl. Danske Videnskabernes Selskab
[31] 간행물 Colonial Engagements in the Global Mediterranean Iron Age https://research-inf[...] 2009-06
[32] 서적 Collected Papers on Greek Colonization https://books.google[...] Brill
[33] 서적 "'Hellenization' and Southern Phoenicia: Reconsidering the Impact of Greece Before Alexander" https://books.google[...]
[34] 간행물 Networks of Commerce and Knowledge in the Iron Age: The Case of the Phoenicians 2007-06-01
[35] 서적 Roman Society: A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History https://archive.org/[...] D.C. Heath 2013-02-25
[36] 서적 Commerce and Monetary Systems in the Ancient World: Means of Transmission and Cultural Interaction : Proceedings of the Fifth Annual Symposium of the Assyrian and Babylonian Intellectual Heritage Project, Held in Innsbruck, Austria, October 3rd – 8th 2002 https://books.google[...] Franz Steiner Verlag
[37] 서적 Periplus of Hanno https://archive.org/[...]
[38] 웹사이트 Mogador: Promontory fort http://www.megalithi[...] 2007-11-02
[39] 웹사이트 Child Sacrifice in the Ancient Near East https://www.ministry[...] 2022-12-03
[40] 학술지 Tertullian on Child Sacrifice https://www.jstor.or[...] 1994
[41] 서적 Crucifixion in the Mediterranean World https://books.google[...] Mohr Siebeck 2018-12-10
[42] 서적 Septimius Severus: The African Emperor Routledge
[43] 서적 Ju. op. imp.
[44] 서적 Forgiveness and the Just Deserts of Sins, and the Baptism of Infants
[45] 서적 Late Punic Epigraphy: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Neo-Punic and Latino-Punic Inscriptions https://books.google[...] Mohr Siebeck
[46] 서적 History of Humanity: From the third millennium to the seventh century B.C. https://books.google[...] UNESCO
[47] 웹사이트 Did Punic Survive Until the Advent of Arabic? Part 4: The Post-Augustine Evidence http://mideasti.blog[...] 2013-07-30
[48] 웹사이트 Latino-Punic texts from North Africa http://www.let.leide[...] Dept of Comparative Linguistics, [[Leiden University]]
[49] 학술지 A European Mitochondrial Haplotype Identified in Ancient Phoenician Remains from Carthage, North Africa 2016-05-25
[50] 학술지 Insights into Punic genetic signatures in the southern necropolis of Tharros (Sardinia) https://www.informah[...] 2021-04-03
[51] 웹사이트 The male lines of the Maghreb: Phoenicians, Carthage, Muslim conquest, and Berbers https://www.academia[...]
[52] 학술지 Ancient DNA of Phoenician remains indicates discontinuity in the settlement history of Ibiza 2018-12-04
[53] 학술지 The genomic history of the Iberian Peninsula over the past 8,000 years 2019-03-15
[54] 학술지 The spread of steppe and Iranian-related ancestry in the islands of the western Mediterranean
[55] 학술지 Genetic history from the Middle Neolithic to present on the Mediterranean island of Sardinia
[56] 학술지 Insights into Punic genetic signatures in the southern necropolis of Tharros (Sardinia)
[57] 학술지 Ancient genomes from a rural site in Imperial Rome (1st–3rd cent. CE): A genetic junction in the Roman Empire
[58] 학술지 A Genetic History of Continuity and Mobility in the Iron Age Central Mediterranean https://www.nature.c[...] 2022-03-15
[59] 문서 The Carthaginians 6th-2nd Century BC Bloomsbury Publishing
[60] 서적 The Phoenicians and the West: Politics, Colonies and Trad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09-06
[61] 뉴스 Carthage | History, Location, & Facts https://www.britanni[...]
[62] 문서 Itineraria Phoenicia https://books.google[...]
[63] 서적 The Phoenicians and the West: Politics, colonies, and trad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09-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