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폴더 (간척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폴더(간척지)는 네덜란드어 단어에서 유래되었으며, 물을 빼내고 땅을 개척하는 간척 사업으로 조성된 토지를 의미한다. 한국에서는 삼국시대부터 벼농사를 위해 시작되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식량 확보를 위해, 광복 이후에는 대규모 국책 사업으로 진행되었다. 네덜란드는 국토의 상당 부분이 간척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갯벌의 가치가 재조명되면서 친환경적인 간척 방식이 모색되고 있다. 간척은 국토 확장, 경제 발전,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지만, 갯벌 감소, 해양 생태계 변화, 수질 오염 등 환경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공 지형 - 방수로
    방수로는 홍수로부터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건설되는 구조물로, 홍수 조절, 수량 조절, 농업 용수 확보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자연형, 인공형, 지하 방수로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한국에서는 삼국시대부터 건설되어 현대에 이르러 생태 복원과 친수 공간 조성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 인공 지형 - 대지 예술
    대지 예술은 1960년대 미국에서 시작되어 자연 환경을 작품의 소재로 활용하며 예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하는 미술 사조로, 자연 재료를 사용한 거대한 규모와 장소 특정적인 성격이 특징이다.
  • 담수생태학 - 분수계
    분수계는 빗물이나 눈이 강이나 호수로 흘러가는 경계를 의미하며, 지형, 정치, 사회,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 담수생태학 - 민물생태계
  • 간척 - 미누마
    미누마는 사이타마현 중앙부에 위치한 미누마 덴보를 중심으로 한 지역으로, 에도 시대 간척 사업을 통해 곡창 지대가 되었으나, 현재는 도시화와 환경 변화로 보전과 개발이 병행되고 있다.
  • 간척 - 인공섬
    인공섬은 자연적으로 형성되지 않고 사람의 손으로 만들어진 섬으로, 다양한 목적으로 건설되어 도시 확장, 해상 공항 건설 등에 활용되며, 해양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고 국제법적으로 영해나 배타적 경제수역을 가질 수 없다.
폴더 (간척지)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유형토지 개간
위치해안가
강가
호숫가
목적농경지 확보
주거지 확보
산업 용지 확보
홍수 조절
역사
주요 지역네덜란드
대한민국
일본
중국
방법
제방 건설물을 막아 토지를 확보
배수펌프 등을 이용해 물을 빼냄
토지 안정화침하 방지 및 지반 강화
환경 영향
긍정적 영향토지 이용률 증가
부정적 영향생태계 파괴
갯벌 감소
수질 오염
관련 기술
토목 공학제방, 배수 시설 설계 및 건설
환경 공학환경 영향 평가 및 저감 기술
기타
주요 관련 용어조간대
간석지
준설

2. 어원

네덜란드어 단어 폴더/poldernl는 중세 네덜란드어 폴러/polredum, 고대 네덜란드어 폴라/polraodt를 거쳐, 주변보다 높은 땅을 의미하는 ''pol-''에 확대 접미사 ''-er''과 삽입음 ''-d-''가 붙어 파생되었다. 이 단어는 36개 언어로 차용되었다.[1] '간척(干拓)'이라는 단어는 '말릴 간(干)' 자와 '개척할 척(拓)' 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물을 빼내고 땅을 개척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3. 역사

3. 1. 한국

한국의 간척은 삼국시대부터 시작되었으며, 주로 벼농사를 위한 농경지 확보를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고려시대에는 국가 주도로 대규모 간척 사업이 진행되었으며, 몽골 침입 이후에는 간척 기술이 더욱 발전하였다. 조선시대에는 농업 생산력 증대를 위해 간척이 더욱 장려되었으며, 서해안과 남해안을 중심으로 많은 간척지가 조성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의 식량 확보를 위한 수단으로 간척 사업이 추진되었으며, 대규모 간척 회사들이 설립되기도 했다. 광복 이후에도 간척 사업은 계속되었으며, 새만금 간척 사업과 같이 대규모 국책 사업으로 진행되기도 하였다.

인천광역시 한강을 맞대고 있는 강화도 해안 일부, 부산광역시 낙동강 델타, 전라북도의 새만금 간척지 등이 대표적인 간척지이다.

최근에는 갯벌의 가치가 재조명되면서, 친환경적인 간척 방식이 모색되고 있다.

3. 2. 네덜란드

네덜란드는 국토의 상당 부분이 간척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신은 세상을 창조했지만, 네덜란드인은 네덜란드를 창조했다"라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간척의 역사가 깊다.[2] 네덜란드인들은 습지와 늪지를 간척하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전국에 약 3,000개의 간척지(polders)가 있다.[3] 1961년까지 국토의 약 절반이 바다에서 간척되었다.[4]

브라우 베네포르더(왼쪽)와 로데 포르더(오른쪽)를 구분하는 스팅슬루트


유럽 최초의 제방은 로마 시대에 건설되었으며, 최초의 간척지는 11세기에 건설되었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간척지는 1533년의 아흐터메르 간척지이다. 중세 시대에는 풍차를 이용한 배수 기술이 발전하면서 간척 사업이 더욱 활발해졌다. 1612년의 벰스터 간척지는 근대적인 간척의 시작이었다.

조터메르 (Zoetermeer) 펌프장, 네덜란드: 간척지는 제방 반대편의 주변 수위보다 낮다.


홍수 재해의 결과로, 간척지 주변의 방수 시설의 무결성을 유지하고, 간척지 내부의 수로를 유지하며, 간척지 내부 및 외부의 다양한 수위를 관리하기 위해 '수도국'이 설립되었다.[5][6] 이들은 네덜란드에서 가장 오래된 민주적 기관이며, 모든 계급 간의 필요한 협력은 제3의 길 정치의 네덜란드식 버전인 '폴더 모델'이라는 이름을 부여했다.

1953년 북해 홍수는 범람의 허용 가능한 확률을 기반으로 제방 및 기타 수방 시설 설계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촉구했다. 특히 확립된 정책은 위협 수준에 대한 새로운 데이터가 나오면 네덜란드 정부가 홍수 방어 시설을 개선하도록 안내한다.

노르도스트폴더의 풍력 발전소


해수면보다 낮은 네덜란드 지역 (파란색)


주요 네덜란드 간척지로는 베엠스터 (1609–1612), 스헤르머 (1633–1635), 하를레메르메르 간척지 (1852)가 있다. 자위더르 간척 사업의 일환으로 조성된 간척지에는 비에링게르메르 간척지 (1930), 노르도스트폴더 (1942) 및 플레보 간척지 (1956–1968)가 있다.

{{다중 이미지

| direction = vertical

| width = 250

| header = 네덜란드 간척지의 예

| image1 = Flevopolder_by_Sentinel-2,_2018-06-30.jpg

| caption1 = 플레보르 간척지, 970 km (네덜란드・플레볼란트주)

| image2 = Noordoostpolder_by_Sentinel-2,_2018-06-30.jpg

| caption2 = 노르도스트폴더, 595.43 km의 간척지 (네덜란드・플레볼란트주)

}}

그 외에 주요 간척지로는 다음과 같다:

  • 아흐터미어/Achtermeernl - 1533년 간척된 네덜란드에서 가장 오래된 간척지.
  • 알블라세르바르트/Alblasserwaardnl - 세계 유산 킨더다이크-엘스하우트 풍차 제방이 있다.
  • 알크마르
  • 안다이크/Andijknl
  • 안나 파울로브나 간척지
  • 벰스터 간척지 - 세계 유산, 1617년 준공
  • 빌메르메르
  • 플레볼란트주 - 세계 최대의 인공 섬, 1968년 준공
  • 흐라페스로트
  • 하를레머메르, 암스테르담 스키폴 공항이 소재
  • 크림페네르워드
  • 라우어르스메르
  • 마스텐브로크/Mastenbroeknl - 가장 오래된 간척지 중 하나, 1363년-1364년 간척[17][18]
  • 아프슬라위트다이크 간척 사업
  • 프린스 알렉산더 폴더
  • 퓌르머
  • 스헤르머
  • 바터흐라프스메르
  • 비에링거메르
  • 비에린어바르트
  • 바이다워르머
  • 제스텐호벤 - 로테르담 공항이 소재
  • 자위드플라스폴더 - 덴마크의 라메피요르덴/Lammefjordenda과 함께 유럽 해발 고도 최저 지점

3. 3. 일본

일본에서의 간척은 무로마치 시대쯤 아리아케 해 연안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21][22] 초기에는 자연적인 육화를 촉진하고 수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소규모 간척이 이루어졌다.[21][22] 에도 시대에는 번 주도나 농가 전체가 참여하는 조직적인 간척이 주류를 이루었으며, "시바가라미"라는 독특한 간척 방식이 사용되었다.[23][21][22] 이 방식은 갯벌에 소나무 통나무를 박고 대나무 등으로 갯벌을 둘러싸 해수의 출입구를 좁혀 흙의 퇴적을 촉진시키는 방식이다.

아리아케 해(지쿠시 평야)의 돌담 간척 제방


메이지 시대 이후에는 네덜란드의 간척 기술이 도입되면서 대규모 간척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21] 1957년에 시작된 하치로가타 간척 사업은 일본 최대 규모(17,200ha)의 간척 사업이었다. 1968년 아리아케 해의 간척이 거의 완료되었고,[21] 그 후 가사오카만 간척과 이사하야만 간척이 이루어졌다.

일본의 주요 간척지는 다음과 같다.

  • 미야기현
  • * 시나이누마 간척 사업
  • * 만고쿠우라 센다이번 간척
  • 아키타현
  • * 하치로가타 간척
  • * 기타가타 간척 사업
  • 이바라키현
  • * 가스미가우라 간척
  • * 스나누마 간척
  • * 센바호 간척
  • 사이타마현
  • * 니고한누마 간척
  • * 고누마 간척
  • * 미누마 간척
  • * 시바야마누마 간척
  • * 요시카와시 가와노 부근 간척지
  • * 고바리누마 간척 공사
  • * 이사누마 간척
  • 지바현
  • * 테가누마 간척
  • * 인바누마 간척
  • * 쓰바키우미 간척 신전
  • * 토리쿠이누마 간척
  • * 나가누마 간척
  • 도쿄도
  • * 스미다구, 고토구, 에도가와구
  • ** 이시지마 십만 평
  • * 아자부주반 습지대 간척
  • * 하네다 운동장
  • 가나가와현
  • * 다이시가와라 간척
  • * 가나자와핫케이 내천 이리에 간척
  • 니가타현
  • * 후쿠시마가타 국영 간척 사업
  • * 가타히가시촌 요로이가타 간척
  • * 시운지정 시운지카타 간척
  • * 핫초오키 고전장 파크·토미시마 간척지
  • * 후쿠시마가타 북쪽 둑 간척지
  • * 도야노가타 주변 소규모 호소 간척
  • * 신바타번 신전 개발
  • 도야마현
  • * 호조즈카타 간척
  • 이시카와현
  • * 가호쿠가타#매립과 간척
  • * 가가지 삼호
  • * 오치카타 간척
  • 시즈오카현
  • * 규가와야마 간척
  • 아이치현
  • * 잇시키정 야하기강삼각주 간척지
  • * 나베타 간척지
  • * 주요마촌 아시야마 십사 곳 간척
  • * 난요정 신전
  • * 아마군도비시마 신전 간척
  • * 한다이케 간척 신전
  • * 가리야시 충적 평야부 신전
  • * 고타정 히시이케 간척 수전
  • * [https://cccc.backshelf.jp/bookview/?filseq=3086&page=17&q=%E5%85%AD%E6%9D%A1%E6%BD%9F 육조가타] 간척지[29]
  • 미에현·아이치현
  • * 키소자키 간척지
  • 시가현
  • * 비와호내호 간척
  • ** 오나카호 간척
  • ** 이리에 간척
  • 교토부
  • * 오구라 연못 간척지
  • * 가메오카시 계곡 간척
  • 오사카부
  • * 네야가와 히가시오사카시 내 "고노이케신덴"
  • * 가와치호 신전 간척
  • * 오사카 평야 소카강 간척
  • 돗토리현
  • * 도고이케 간척
  • * 유야마이케 간척
  • 돗토리현·시마네현
  • * 나카우미#간척·담수화 사업
  • 오카야마현
  • * 고지마반도고지마호고지마만 간척
  • ** 미나미구
  • ** 오키신덴 고시키마신덴 간척
  • ** 하야시마정
  • * 후쿠다정 후쿠다신덴
  • * 렌지마정 간척 사업
  • * 다마시마 중부 간척지
  • * 요리시마정 현영 농업 간척
  • * 가사오카 요시하마·시라이시섬
  • * 가사오카만 간척지
  • * 이마다치카와 하류부 간척
  • 히로시마현
  • * 오타가와 하류부 간척 공사
  • ** 고고 갯벌 간척
  • ** 단바라 앞바다 간척
  • ** 에바 (히로시마시)#간척과 매립
  • ** 우지나 간척
  • * 카이타초 간척지
  • * 후쿠야마 평야 간척
  • * 마쓰나가만 간척
  • * 누마쿠마 반도 간척
  • * 다케하라 혼카와 구 오른쪽 둑 간척
  • 야마구치현
  • * 나카노카이사쿠
  • * 키라라하마
  • * 오키 간척지
  • * 미타지리 해안 간척
  • * 스오국 히라타카이사쿠, 히가시다이토마리 이리에 카이사쿠, 다카도마리카이사쿠, 오키카이사쿠
  • * 하마고초 당구
  • * 와키초 간척지
  • * 니시키가와 델타 지대 간척 신전 개발
  • 도쿠시마현
  • * 가네이소초시바후강 하구 간척
  • * 요시노가와 (대표적인 토픽)#신전 개발과 간척
  • 가가와현
  • * 사카이데시 북부 간척지
  • 에히메현
  • * 히부리신덴 간척
  • * 국영 히우치나다 간척 사업 계획
  • * 미부카와정 지선 해안 간척
  • 아리아케해 연안
  • * 구마모토현 하구 간척지
  • * 다카미치 오아이·초호 지구 간척지
  • * 나가스 간척, 요코시마 간척
  • ** 요코시마정
  • * 미이케 간척
  • ** 구 테가마촌이나 구 개촌
  • * 야마토 간척
  • * 야나가와 간척
  • * 쇼다이 간척
  • * 아리아케 간척, 후쿠토미 간척
  • * 사가현 가시마시, 사가시 구보타·니시요카·히가시요카·가와소에·모로토미, 간자키시 지요다
  • * 이사하야 평야
  • ** 이사하야만 간척 사업
  • 사가현
  • * 나가하마 간척
  • * 마키시마 간척
  • 나가사키현
  • * 하리오섬 하야키세토 연안·에가미우라 간척 사업
  • * 하야키세토 간척 사업
  • * 사세보시 단바신덴 간척
  • * 아이우라 간척
  • * 아리마강 하류역 간척지
  • * 타니에가와 하구부 간척지
  • 구마모토현
  • * 야시로 간척
  • * 요스미만 간척 사업
  • 오이타현
  • * 마다마 해안 남부 간척
  • 미야자키현
  • * 미야자키시 키자키 지구 간척지
  • 가고시마현
  • * 아이라 평야 마쓰바라 간척지
  • * 다카에정 간척
  • 오키나와현
  • * 이케마 습원 간척

3. 4. 중국

중국의 간척은 주로 장강 삼각주 지역에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10][26] 강남 지역에서는 10세기에서 13세기 사이에 간척 사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10][26] 습지 배수를 위한 제방 건설에 지역 사회가 참여하였다.[11] 110가구를 묶어 ''리장''(里长)이 이끄는 자율 감시 시스템인 리자(里甲)가 간척지에서 행정 서비스 및 세금 징수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수계 유지를 담당하는 ''량장''(粮长, 곡물 책임자)과 간척지 유지 보수를 담당하는 ''탕장''(塘长, 제방 책임자)이 있었다.[12] 쿤산시는 100곳이 넘는 간척지가 있는 대표적인 간척 도시이다.[30][9]

4. 간척 기술

5. 간척의 영향

간척은 국토 면적을 확장하고, 농경지, 산업단지, 주거지 등을 조성하여 경제 발전에 기여하며,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하지만 간척은 갯벌 감소, 해양 생태계 변화, 수질 오염 등 환경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특히 대규모 간척 사업은 해양 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어업 생산량 감소, 생물 다양성 감소 등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간척의 대상이 되는 수역은 대부분 이미 생태계가 형성된 곳이다. 그곳을 육지화시키는 것은 원래 있던 생태계를 파괴하는 것이며, 종종 자연 파괴의 하나로 문제시된다. 특히, 이사하야만 간척 사업과 같은 대규모 사업의 경우, 그 영향이 간척지뿐만 아니라 주변 수역에도 미치는 경우가 있다. (이사하야만 간척 사업의 경우, 1997년 4월에 만의 서쪽 절반을 방조제로 막은 것이 아리아케해 전체에 막대한 어업 피해를 초래하는 원인이 되었다고 한다).

5. 1. 긍정적 영향

5. 2. 부정적 영향

간척은 갯벌을 육지로 바꾸는 과정이므로 갯벌 면적이 감소하고, 갯벌에 서식하는 다양한 생물들의 서식지가 파괴되어, 생태계가 파괴된다. 이는 해양 생태계의 균형을 깨뜨리고, 어업 생산량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이사하야만 간척 사업과 같은 대규모 사업의 경우, 그 영향이 간척지뿐만 아니라 주변 수역에도 미치는 경우가 있다. 간척 사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토사 유출, 오염 물질 배출 등은 주변 해역의 수질을 악화시킬 수 있다. 간척지는 연약 지반으로 이루어져 있어 지반 침하의 위험이 있으며, 이는 건축물 안전 문제, 침수 피해 등을 야기할 수 있다.

6. 한국의 주요 간척지

한국은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어 간척 사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특히 서해안과 남해안은 갯벌이 넓게 발달하여 간척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 새만금 간척지: 전라북도에 위치한 대규모 간척 사업으로, 농업 용지, 산업 용지, 관광 용지 등 다양한 용도로 개발될 예정이다. 더불어민주당은 새만금 사업을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기대하고 있으며, 친환경적인 개발 방식을 통해 환경 문제에도 대응할 계획이다.
  • 시화호 간척지: 경기도 시흥시, 안산시, 화성시에 걸쳐 있는 간척지로, 초기에는 심각한 환경 오염 문제를 겪었으나, 현재는 생태 복원 사업을 통해 환경이 개선되고 있다.
  • 화옹지구 간척지: 경기도 화성시에 위치한 간척지로, 농업 용지와 첨단 유리온실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 영산강 간척지: 전라남도에 위치한 간척지로, 쌀 생산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 강화도 해안 간척지: 인천광역시 강화도 해안을 따라 조성된 간척지로, 농사 등에 활용되고 있다.
  • 낙동강 삼각주 간척지: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간척지로, 농경지, 산업단지, 주거지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 인천국제공항: 인천국제공항영종도용유도 사이의 갯벌을 매립하여 건설된 대표적인 간척 사례이다.

7. 세계의 주요 간척지

이저르강과 딕스뮈데 근처의 서플란데른 간척지

  • 벨기에
  • * 베스트플란데런주 푀르너 주변의 되 모에렌
  • * 뉴포르트와 딕스뮈데 사이의 이저르강을 따라 있는 간척지
  • * 서플란데른의 블랑켄베르그 근처에 있는 위트케르세 간척지
  • * 앤트워프의 도엘과 키엘드레흐트 근처의 프로스페르폴더 간척지
  • * 에케렌과 후베넨에 있는 무이스브로에크와 에텐호벤의 간척지
  • * 잔트플리에트에 있는 카벨야우퍼울더르 간척지
  • * 스타브로에크에 있는 스타브로에크 간척지
  • * 스헬데강 좌안의 스헬데 간척지
  • 네덜란드
  • * 플레보폴더르: 가장 나이가 어린 폴더로서 세계 최대의 인공 섬
  • * 하를레메르메이르
  • * 노르도스트폴더르
  • * 비링에르메이르
  • * 아흐터미어/Achtermeernl: 1533년, 스페인 국왕 카를 1세 (신성 로마 제국 카를 5세) 시대에 간척이 진행된 네덜란드에서 가장 오래된 간척지.
  • * 알블라세르바르트/Alblasserwaardnl: 세계 유산 킨더다이크-엘스하우트 풍차 제방이 있다.
  • * 알크마르
  • * 안다이크/Andijknl
  • * 안나 파울로브나 간척지
  • * 벰스터 간척지: 세계 유산, 1617년 준공
  • * 빌메르메르
  • * 플레볼란트주: 세계 최대의 인공 섬, 1968년 준공
  • * 흐라페스로트
  • * 하를레머메르: 암스테르담 스키폴 공항이 소재
  • * 크림페네르바르트
  • * 라우에르스메이르
  • * 마스텐브로크/Mastenbroeknl: 가장 오래된 간척지이기도 하며, 1363년-1364년 간척[27][28]
  • * 아프슬라위트다이크 간척 사업
  • * 노르도스트폴더: (595.43 km)
  • * 프린스 알렉산더 폴더
  • * 퓌르머
  • * 스헤르머
  • * 바터흐라프스메르
  • * 비에링거메르
  • * 비에린어바르트
  • * 바이다워르머
  • * 제스텐호벤: 로테르담 공항이 소재
  • * 자위드플라스폴더: 덴마크・라메피요르덴/Lammefjordenda과 함께 유럽 해발 고도 최저 지점으로 여겨진다.
  • 방글라데시에는 139개의 폴더가 있으며, 이 중 49개는 바다를 향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갠지스강, 브라마푸트라강, 메그나강 및 그 지류의 삼각주 지대에 위치해 있다.[7] 이들은 1960년대에 해안을 조수 범람으로부터 보호하고 염분 침투를 줄이기 위해 건설되었다.[24] 이들은 열대성 저기압에서 발생하는 폭풍 해일에 따른 장기적인 홍수 및 침수를 줄여준다. 또한 농업을 위해 경작되기도 한다.[8][25]
  • 중국 쿤산시는 100곳이 넘는 폴더가 있다.[30]

8. 간척 관련 논쟁

9. 지속 가능한 간척

참조

[1] 서적 Nederlandse woorden wereldwijd https://pure.knaw.nl[...] Sdu Uitgevers bv, Den Haag 2010
[2] 문서
[3] 웹사이트 Kijk naar de geschiedenis https://www.rijkswat[...] Rijkswaterstaat 2008-01-21
[4] 간행물 The Home-Made Land https://archive.org/[...] 1961-10
[5] 웹사이트 waterschap http://www.waterscha[...]
[6] 서적 Sea of Land, The polder as an experimental atlas of Dutch landscape architecture Uitgeverij Architectura & Natura 2007
[7] 뉴스 Bangladesh polders under threat http://www.irinnews.[...] Irin News
[8] 뉴스 Bangladeshi project to enhance polders amidst climate woes http://unearthnews.o[...] Unearth News
[9] 웹사이트 CRCWSC Trade Mission to Kunshan https://watersensiti[...] 2016-12-01
[10] 서적 Taihu Tangpu Weitian Shi Yanjiu 太湖塘浦圩田史研究 [The research of the dikes and polders of Lake Tai] Nongye Chubanshe 1985
[11] 논문 "11 Shiji Taihu Diqu Nongtian Shuili Geju de Xingcheng" 11 世纪太湖地区农田水利格局的形成 [The formation of water management system in the farmland of the Lake Tai region in the eleventh century] 2010
[12] 서적 Mindai Kōnan nōson shakai no kenkyū 明代江南農村社会の研究 [Rural Society in Jiangnan during the Ming Dynasty Tokyo University Press 1982
[13] 웹사이트 les polders https://littoral-nor[...] 2023-03-25
[14] 논문 Rain continues to throw a challenge in Kuttanad http://www.thehindu.[...] The Hindu Group 2011-06-10
[15] 논문 Rice Bowl in Turmoil: The Kuttanad Wetland Ecosystem https://www.scribd.c[...] Indian Academy of Sciences 2011-06-10
[16] 웹사이트 Inch Wildfowl Reserve History http://www.inchandfo[...] 2015-06-05
[17] 웹사이트 De Mastenbroekerpolder https://www.canonvan[...]
[18] 웹사이트 Polder Mastenbroek https://www.staatsbo[...]
[19] 웹사이트 Q2.諫早湾干拓事業の防災効果とは? https://www.pref.nag[...] 長崎県 2023-11-18
[20] 논문 水屋とサイクロンシェルター : 防災文化の交流に向けて 2001
[21] 문서 有明海講座 干拓から有明海沿岸堤防まで -有明粘土とのつき合い方 http://www.npo-ariak[...] 有明海再生機構
[22] 문서 肥前佐賀の水土の知:創造された大地 特異な水土1 http://suido-ishizue[...] 農業農村整備情報総合センター 水土の礎
[23] 문서 大搦堤防 https://web.archive.[...]
[24] 뉴스 Bangladesh polders under threat http://www.irinnews.[...] Irin News
[25] 뉴스 Bangladeshi project to enhance polders amidst climate woes http://unearthnews.o[...] Unearth News
[26] 서적 Taihu Tangpu Weitian Shi Yanjiu 太湖塘浦圩田史研究 [The research of the dikes and polders of Lake Tai] Nongye Chubanshe 1985
[27] 웹사이트 https://www.canonvan[...]
[28] 웹사이트 https://www.staatsbo[...]
[29] 웹사이트 ADEAC(アデアック):デジタルアーカイブシステム https://adeac.jp/toy[...] 2023-01-09
[30] 웹인용 CRCWSC Trade Mission to Kunshan https://watersensiti[...] 2016-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