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풋릇란팔라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풋릇란팔라이는 1767년 아유타야 왕국 시대에 태어났으며, 라마 1세의 아들로 1809년 라마 1세의 뒤를 이어 시암의 왕위에 올랐으며, 라마 2세로 불렸다. 그는 문학, 예술 분야를 장려하고, 서구 열강과의 외교 관계를 맺었다. 그의 치세는 문화적 번영을 이루었으며, 1824년 사망 후 아들인 라마 3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2. 초기 생애

라마 2세 국왕의 어새, 가루다나가를 잡고 있는 모습 (왓 아룬, 방콕)


풋릇란팔라이(침)는 1767년 아유타야 왕국 시대 사뭇송크람 주 암파와 지역에서 루앙 욕크라밧(훗날 라마 1세)과 아마린드라 왕비의 아들로 태어났다.

1767년, 아유타야는 콘바웅 왕조의 침략으로 함락되었다. 풋릇란팔라이의 아버지 프라야 라차부리는 딱신의 군대에 합류하여 라오스캄보디아 정복에 공을 세우며 군사 지도자로 빠르게 성장했다. 1782년, 프라야 라차부리는 스스로 시암 국왕(라마 1세)이 되었고, 풋릇란팔라이는 '''잇사라순톤 왕자'''로 책봉되었다.[3]

2. 1. 유년 시절

라마 1세의 아들로, 어린 시절 이름은 '''팀'''이었다. 1782년(태국 불교력 2345년)에 라마 1세가 즉위하자 '''크롬 루앙 이사라순톤 왕자'''라는 이름을 얻었다. 그 후 태국 불교의 전통에 따라 출가했다.

3. 즉위 과정

라마 1세의 적장자 잇사라순톤 왕자는 1809년 부다 요드파 쭐랄록이 사망하자 왕위를 계승했다. 라마 2세 즉위 당시에는 왕족 명명 체계가 확립되지 않아, 아들 낭끌라오에 의해 '''럿라술라라이'''로 불렸지만, 다른 아들 몽꿋과 라마 관례에 따라 '''럿라나팔라이'''로 변경되었고, '''라마 2세'''로 불렸다. 배우자인 분롯 공주는 시리 수리옌드라 여왕으로 승격되었다.[4]

럿라나팔라이가 왕위에 오르자, 딱신의 아들 끄삿라니칫 왕자가 왕위를 참칭자(pretender)라며 반란을 일으켰다. 럿라나팔라이의 아들 탑 왕자는 반란을 진압하여 능력을 증명했고, 아버지의 총애를 받았다. 탑 왕자는 끄롬마 므언으로 승격되었고,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한 ''쳇사다보딘''이라는 이름을 받았으며, 외무부 장관이 되었다.[4]

라마 1세의 아들로, 어린 시절 이름은 '''팀'''이었다. 1782년(태국 불교력 2345년) 라마 1세 즉위 후 '''크롬 루앙 이사라순톤 왕자'''라는 이름을 얻었다. 태국 불교 전통에 따라 출가했고, 1806년(태국 불교력 2349년) 부왕(副王)의 죽음으로 자신이 부왕이 되어 황태자가 되었다. 1809년(태국 불교력 2352년) 부왕이 붕어하여 왕위에 즉위했다.

4. 치세

라마 2세(풋릇란팔라이)의 치세는 태국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기였다. 이 시기 태국은 문화적 르네상스를 경험하고, 서구 열강과의 관계 변화에 직면해야 했다.

라마 2세는 예술과 문학을 적극적으로 장려하여, 선턴 푸와 나린 디벳 같은 유명 시인들이 활동했다. 그의 아들 쩨사다보딘드라와 파라마누치치노롯 역시 시에 능하도록 장려받았으며, 파라마누치트는 훗날 불교 제사장이 되어 종교 작품으로 명성을 얻었다.

1811년에는 라마 1세 국왕을 위한 성대한 왕실 장례식이 거행되었고, 같은 해 방콕에서 발생한 콜레라 유행병을 쫓기 위해 '아팟 피낫'이라는 의식을 거행했다. 또한 불교 교육 및 시험 제도를 9단계로 나누어 설립하고, 1817년에는 웨삭 축제를 부활시키는 등 태국 문화와 왕실 전통 재건에 힘썼다.

내정은 분낙 가문 등의 귀족에게 위임했기 때문에 정치적으로는 실권이 크지 않았다.

4. 1. 문화적 업적

선턴 푸 등 유명 시인들을 후원했으며, 귀족들과 함께 시를 창작하도록 장려했다. 쿤 창-쿤 펜 등 태국 대표 문학 작품 창작에 기여했다. 왓 사켓 복원 등 불교 건축에도 관심을 보였다.

4. 2. 외교 관계

풋릇란팔라이 통치 시기에는 서구 열강의 동남아시아 진출이 본격화되면서 외교 관계에 여러 변화가 있었다. 1688년 시암 혁명 이후 태국은 외국과의 교류를 제한했으나, 나폴레옹 전쟁 이후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변화가 일어나면서 외교 관계가 다시 중요해졌다.

청나라와의 관계에서는 1810년에 첫 번째 라타나코신-중국 사절단이 파견되었다. 버마는 풋릇란팔라이 즉위 후 침공해 왔으나 격퇴되었다.[5] 영국은 말레이 반도에 대한 관심을 높이면서 긴장이 고조되었는데, 특히 케다 주 술탄이 1786년 시암과 상의 없이 영국에 페낭을 넘겨준 사건은 영국 동인도 회사와의 관계를 악화시켰다.[4] 1813년에는 캄보디아베트남과 손을 잡고 반발하여 동부 캄보디아 이외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상실했다.[3]

1818년 마카오포르투갈 총독 사절단이 방문하여 아유타야 시대 이후 처음으로 공식적인 서방과의 접촉이 이루어졌다. 1820년에는 포르투갈이 최초의 서방 영사관을 설립했다. 영국은 1819년에 싱가포르를 건설했고, 같은 해 양곤 출신 선교사 자슬리스가 인쇄기를 도입했다. 1822년에는 존 크로퍼드가 최초로 영국 공식 방문을 재개했다.[3]

4. 2. 1. 버마와의 관계

꼰바웅 왕 보도파야는 라마 1세가 죽자 군대를 춤폰으로 진격시켜 같은 해에 탈랑(푸껫 시)을 점령했다. 럿란팔라이는 그의 동생 마하 세나누락에게 잿더미가 된 탈랑을 되찾도록 보냈다. 이 탈랑 원정은 버마가 태국 영토를 침략한 마지막 침공이었다.[5]

1820년 라마 2세는 버마가 곧 시암을 공격할 것을 우려하여 참모들에게 버마가 시암으로 침략할 수 있는 잠재적인 경로에 관한 모든 정보를 수집하도록 명령했고, 이후 침공해 온 버마군을 격파했다.[5]

4. 2. 2. 영국과의 관계

말레이 반도에 대한 영국의 관심 증대로 긴장이 고조되었다. 시암의 봉신이었던 케다 주 술탄은 1786년에 시암과 상의 없이 영국에 페낭을 넘겨주었고, 이후 영국은 세베랑 페라이를 획득했다. 이로 인해 영국 동인도 회사와의 관계가 악화되었다.[4]

4. 2. 3. 베트남과의 관계

1813년 캄보디아베트남과 손을 잡고 반발하자, 동부 캄보디아 이외의 지역에서의 지배력을 잃었다.[3]

4. 2. 4. 중국과의 관계

1810년에 첫 번째 라타나코신-중국 사절단이 청나라에 파견되었다.

4. 2. 5. 기타 서방 국가와의 관계

1688년 시암 혁명 이후, 태국 국왕들이 외국의 영향력을 장려하는 것을 중단하면서 서구의 존재는 소규모로 줄어들었다. 이는 나폴레옹 전쟁과 결합되어 태국과 외국인 사이의 접촉이 거의 없다는 것을 의미했다.[3]

그러나 이 전쟁은 많은 후속 변화를 야기했고, 이는 동남아시아에서 관찰되었다. 중국과의 무역이 증가하면서 영국은 말레이 반도에 대한 관심을 높였다. 시암의 봉신인 케다의 술탄은 1786년에 시암과 상의하지 않고 영국에 페낭을 넘겨주었고, 이후 영국은 세베랑 페라이를 획득했다. 곧 영국은 시암 남쪽에서 네덜란드를 제치고 지배적인 해군 강국으로 부상했다.[3]

1818년 마카오 포르투갈 총독의 사절단은 아유타야 시대 이후 시암에서 처음으로 이루어진 공식적인 서방과의 접촉이었다. 영국은 1819년에 싱가포르를 건설했고, 양곤 출신의 선교사 자슬리스는 같은 해에 인쇄기를 도입했다. 포르투갈은 1820년에 최초의 서방 영사관을 설립했다. 최초의 재개된 공식적인 영국 방문은 1822년에 존 크로퍼드에 의해 이루어졌다.[3]

4. 3. 국내 정책


  • 파툼타니에서 몽족을 사뭇프라칸으로 강제 이주시키고 프라프라댕 도시를 건설했다.
  • 국기에 흰 코끼리와 차크라를 배치한 디자인을 새로 만들었다.

5. 사망과 왕위 계승

1824년 7월, 풋릇란팔라이는 요도폐색증으로 사망했다. 독살되었다는 의혹도 제기되었다.[6] 당시 왕위 계승 규칙에 따르면,[7] 왕비 시 수리옌트라의 아들인 몽꿋 왕자가 왕위를 이어받아야 했다. 그러나 풋릇란팔라이의 이복 형이자 후궁 소생인 쩨사다보딘 왕자가 왕위를 계승했다. 쩨사다보딘 왕자는 과거 반란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웠고, 외무부 장관으로 재직하며 외교 경험을 쌓았기 때문에 왕위에 오를 수 있었다.

6. 가족 관계

라마 2세는 수많은 왕비와 후궁을 두었으며, 슬하에 70명이 넘는 자녀를 두었다.[3] 왕비와 후궁,자녀 목록은 다음과 같다.

풋릇란팔라이의 왕비와 후궁
이름
스리수리앤트라 (라마 2세의 사촌)
꾼톨팁파야와디 (라마 2세의 이복자매)
스리수라라이 (싱커라 수라이만 차국왕 자손)
수안
잼야이
헴야이
시라
크룻
무앙야이
헴렉
쁘랑
분낙
텅유
무앙처
분마
너이
탑팀
너이라낫
리앙
쁘랑야이
파와
텅디
크람
룩잔야이
누진
암파
누안
룩잔
룩잔렉 (루앙프라방 왕실)
암판
이순
텅캄
너이
너이프라생
너이야이 (딱신 손녀)
프랍
사라이
부아텅
쁘랑



자세한 왕자와 왕녀 목록은 하위 섹션의 왕자와 왕녀 표를 참고하라.

6. 1. 조부모와 부모


  • '''조부''': 텅디상왕
  • '''조모''': 욕상왕후
  • '''부친''': 라마 1세
  • '''모친''': 아마린드라[3]

6. 2. 왕비와 후궁

풋릇란팔라이의 왕비와 후궁
이름
스리수리앤트라 (라마 2세의 사촌)
꾼톨팁파야와디 (라마 2세의 이복자매)
스리수라라이 (싱커라 수라이만 차국왕 자손)
수안
잼야이
헴야이
시라
크룻
무앙야이
헴렉
쁘랑
분낙
텅유
무앙처
분마
너이
탑팀
너이라낫
리앙
쁘랑야이
파와
텅디
크람
룩잔야이
누진
암파
누안
룩잔
룩잔렉 (루앙프라방 왕실)
암판
이순
텅캄
너이
너이프라생
너이야이 (딱신 손녀)
프랍
사라이
부아텅
쁘랑


6. 3. 왕자와 왕녀

풋릇란팔라이는 슬하에 왕자와 왕녀를 합쳐 70명이 넘는 자녀를 두었다. 다음은 그 목록이다.

순번이름출생년도사망년도비고
1?대군1786년?장남
2제싸다보딘공 탑대군1788년1851년차남, 제3대 국왕
3순털티버디공 크루이마이대군1791년1831년3남
4담대군1792년1793년4남
5쿠수마대군1792년1842년5남, 셉순털공
6뎃아디설공 망대군1793년1859년6남, 데차디설공
7피핏포카푸벤공 파놈완대군1794년1856년7남, 삭디폰라셉부왕
8?대군1795년?8남
9쿤천대군1798년1863년9남, 피탁테웻공
10넷대군1798년1832년10남
11콤픗대군1799년?11남
12레누대군1799년?12남
13암파이대군1799년1846년13남
14암펄대군1799년?14남
15니암대군1800년1824년15남
16?대군1800년?16남
17캇띠야웡대군1801년?17남
18틴나껄대군1801년1856년18남, 푸와넷나린타라릿공
19라차꾸말왕자1802년1802년19남
20파이툴대군1802년1848년20남, 사닛나렌공
21?대군1802년1803년21남
22또대군1803년1861년22남, 마히사와린타라마렛공
23몽꿋왕자1804년1868년23남, 제4대 국왕
24크랑대군1805년1877년24남, 테웻왓차린공
25춤생대군1805년1861년25남, 삽파실쁘라차공
26누암대군1808년1871년26남, 웡사티랏사닛공
27주타마니왕자1808년1866년27남, 삔크라오이왕
28머라꼿대군1808년1856년28남, 사팃사타펄공
29캇띠야대군1809년1873년29남, 타월워라욧공
30닌라랏대군1811년1867년30남, 아롱꼿낏쁘리차공
31아룬웡대군1812년1888년31남, 워라삭디피살공
32캇띠야대군1814년1872년32남, 푸발버리락공
33아펄왕자1816년1848년33남
34쁘라못대군1816년1872년34남, 워라작타라누팝공
35나우대군1817년?35남
36께율대군1818년1854년36남
37마하마라왕자1819년1886년37남, 밤랍뻐라빡공
38삐우왕자1822년1840년38남
39작카잔옹주1785년?장녀
40람푸옹주1789년1846년차녀, 카라야순털공여
41탑팀옹주1789년1839년3녀
42이순옹주1790년1869년4녀
43뻠옹주1790년1793년5녀
44붑파옹주1791년1821년6녀
45웡옹주1791년1843년7녀
46뿍옹주1792년1873년8녀
47?옹주1793년?9녀
48솜진옹주1793년1865년10녀
49룬옹주1795년1833년11녀
50야이옹주1795년1863년12녀
51프랍옹주1797년1891년13녀
52상왈옹주1798년1843년14녀
53수크롬옹주1799년?15녀
54너이옹주1800년?16녀
55쁘라파옹주1800년1847년17녀
56롯사콘옹주1801년?18녀
57?옹주1803년?19녀
58인타닌옹주1804년1872년20녀
59?옹주1806년1806년21녀
60?옹주1806년1806년22녀
61사이사멀옹주1808년1871년23녀
62두앙잔옹주1809년?24녀
63님누알옹주1811년?25녀
64?옹주1811년1811년26녀
65?옹주1811년1811년27녀
66판생옹주1816년?28녀
67소파옹주1819년1821년29녀
68?공주1820년?30녀
69깐타옹주1821년1852년31녀
70마라얏옹주1823년?32녀
71깐라야니옹주1823년1825년33녀
72맨키안옹주1823년1913년34녀
73까닛타너이나리옹주1824년1863년35녀


7. 유산과 평가

라마 2세는 태국 문학의 황금기를 이끈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태국의 시성 순톤 푸를 비롯한 많은 시인들을 후원하고, 귀족들과 함께 시를 짓는 모임을 주도했다. 순톤 푸, 라마 3세 등과 함께 『쿤 창-쿤 펜』을 공동 창작하거나 개작하였는데, 이는 태국을 대표하는 문학 작품 중 하나로 손꼽힌다. 또한, 스스로도 『이노』, 『산톤』 등의 작품을 남겼다.

라마 2세는 왓 사켓을 복원하면서 문에 직접 조각을 새겨 넣는 등 건축에도 관심을 보였다. 파툼타니의 몽족을 사뭇프라칸으로 강제 이주시키고 프라프라댕 도시를 건설하기도 했다. 흰 코끼리와 차크라를 배치한 새로운 국기 디자인을 만들었다.

그러나, 라마 2세는 분낙 가문 등 귀족들에게 내정을 맡겼기 때문에 정치적인 실권은 거의 없었다는 평가도 존재한다.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Thailan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2] 웹사이트 Rama II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21-02-24
[3] 간행물 Histories of Health in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4] 서적 The Emergence Of Modern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Press
[5] 웹사이트 The Image of the Burmese Enemy in Thai Perceptions and Historical Writings https://thesiamsocie[...] Chulalongkorn University 1992-03
[6] 서적 Embassy to the Eastern courts of Cochin-China, Siam, and Muscat : in the U. S. sloop-of-war Peacock ... during the years 1832-3-4 https://archive.org/[...] Harper & brothers
[7] 서적 Siamese state ceremonies Bernard Quaritch 2005-04-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