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로테실라오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로테실라오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영웅으로, 테살리아 지방의 퓌라케의 왕 이피클로스의 아들로 알려져 있다. 그는 트로이 전쟁에 참전하여 트로이 땅을 가장 먼저 밟아 헥토르에게 죽임을 당했다. 프로테실라오스는 라오다메이아와 결혼했으나, 전쟁 중 사망하여 아내는 그의 죽음을 슬퍼하며 자살했다. 그는 엘라에우스에 숭배의 대상이 되었으며, 알렉산드로스 대왕도 그의 무덤에 참배했다. 프로테실라오스는 조각, 문학 작품, 소행성 이름 등으로도 묘사되었으며, 특히 그의 죽음과 라오다메이아와의 비극적인 사랑은 많은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테살리아 신화 - 아르고나우타이
    아르고나우타이는 이아손이 이끄는 아르고호를 타고 황금 양털을 찾아 콜키스로 떠난 그리스 신화 속 영웅들의 이야기로, 트로이 전쟁 이전 시대의 영웅들의 모험과 신화적 요소들이 결합된 고대 그리스 세계관을 반영한다.
  • 테살리아 신화 - 알로아다이
    알로아다이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거인 쌍둥이 형제로, 신들에게 대항하려다 아폴론에게 죽임을 당하거나 서로를 죽였으며, 아레스를 붙잡아 가두기도 했고, 낙소스 섬에서 영웅으로 숭배받기도 했다.
  • 그리스 신화의 영웅 - 디오메데스
    디오메데스는 그리스 신화의 영웅으로, 트로이 전쟁에 참전하여 아킬레우스 다음으로 강력한 전사로 활약했고, 전쟁 후 이탈리아로 건너가 도시를 건설하고 영웅 숭배의 대상이 되었다.
  • 그리스 신화의 영웅 - 펠롭스
    펠롭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탄탈로스의 아들이자 히포다메이아의 남편으로, 전차 경주에서 승리하여 피사의 왕이 되었으나 미르틸로스 살해로 저주를 받아 그의 가문은 비극적인 운명을 맞이했고, 올림피아에서 영웅으로 숭배받으며 펠로폰네소스 반도의 어원이 되었다.
  • 트로이아 전쟁 관련자 - 아킬레우스
    아킬레우스는 그리스 신화의 트로이 전쟁 영웅으로, 아가멤논과의 갈등, 파트로클로스의 죽음 이후 복수, 헥토르를 비롯한 트로이군 용사들을 물리치는 활약, 그리고 파리스의 화살에 맞아 죽는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으며 고대 그리스는 물론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예술 분야에 영감을 주고 있다.
  • 트로이아 전쟁 관련자 - 펜테실레이아
    펜테실레이아는 트로이 전쟁에 참전한 아마존의 여왕으로, 트로이를 지원하여 용맹을 떨쳤으나 아킬레우스에게 죽임을 당했으며, 그녀의 이야기는 여러 문헌과 예술 작품, 후대 문학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프로테실라오스
기본 정보
프로테실라오스의 이미지
프로테실라오스
다른 이름이올코스의 프로테실라오스
필라케의 프로테실라오스
로마자 표기Protesilaos
그리스어 표기Πρωτεσίλαος
가족 관계
아버지이피클레스 또는 켈레오스
어머니아스티오케 또는 폴리멜레
배우자라오다미아
형제포다르케스
신화 속 정보
역할필라케 왕
테살리아 군 지도자
주요 사건트로이아 전쟁 참전
첫 번째 전사
죽음트로이아 전쟁에서 헥토르에게 죽음
관련 장소
출신지필라케 또는 이올코스
매장지에라이우스

2. 가계와 출신

프로테실라오스는 일반적으로 테살리아 지방의 도시 퓔라케(Phylace (Magnesia)|퓌라케영어)의 왕인 이피클로스의 아들로 여겨진다.[56][47][57][50][58][59][60] 이피클로스는 곡물 이삭을 밟지 않고 달릴 수 있는, 신들린 듯한 준족으로 알려진 영웅이다.[61][62][63] 다만, 일부에서는 이피클로스의 아버지 퓔라코스와 아스튀오케의 아들이라고 하거나,[64] 이피클로스의 형제 악토르의 아들이라고도 한다.[65]

히기누스에 따르면 어머니의 이름은 디오메데이다.[50] 포달케스와 형제이다.[56][60]

아카스토스의 딸 라오다메이아[66][67][68][69][70][71], 또는 멜레아그로스의 딸 폴리도라와 결혼했다.[72]

3. 트로이 전쟁 참전

헬레네의 구혼자 중 한 명이었던 프로테실라오스는 메넬라오스를 돕기로 한 약속에 따라 트로이아 전쟁에 참여했다.[4] 그는 필라케와 퓌라소스 등의 병력을 40척의 배에 나누어 이끌고 참전했다.[5]

테티스의 신탁은 트로이아로 원정하는 그리스 군사들 중 제일 먼저 배에서 내려 트로이아 땅을 밟는 사람이 제일 먼저 전쟁에서 죽을 것이라고 예언했다.[2] 프로테실라오스는 제일 먼저 트로이아에 상륙하여 4명의 트로이 군을 죽인 후에 헥토르에게 죽었다.[7] 파우사니아스는 서사시 키프리아를 인용하며 프로테실라오스를 "그리스 함대가 트로아드에 닿았을 때 감히 해안으로 뛰어내린 첫 번째 남자"라고 회상했다.[6] 다른 자료에서는 아이네이아스, 유포르보스, 아카테스, 또는 키크누스에게 죽임을 당했다고도 한다.[8] 프로테실라오스가 죽자 그의 동생 포다르케스가 형을 대신해 필라케군을 이끌었다.[9]

일부 전승에 따르면 오디세우스가 방패를 해변에 던지고 그 위로 뛰어내려, 프로테실라오스를 속여 두 번째로 뛰어내리게 했다고도 한다.

3. 1. 미시아 전투

미시아 왕 텔레포스와의 전투에서 프로테실라오스는 텔레포스에게서 방패를 빼앗는 활약을 했고, 아킬레우스는 창으로 왕의 넓적다리에 깊은 상처를 입혔다. 전투 후 아킬레우스는 텔레포스를 꺾은 것은 자신이라며 방패의 소유권을 주장했지만, 다른 그리스인들은 방패를 빼앗은 프로테실라오스의 활약이 아킬레우스의 전공으로 이어진 것이라 판단하여 프로테실라오스의 것으로 결정했다[77]

3. 2. 테티스의 예언과 죽음

헬레네의 구혼자 중 한 명이었던 프로테실라오스는 메넬라오스를 돕기로 한 약속에 따라 트로이아 전쟁에 참여했다.[4] 그는 동생 포다르케스와 함께 필라케, 퓌라소스 등의 병력을 40척의 배에 나누어 이끌고 참전했다.[5]

테티스신탁에 따르면, 트로이 전쟁에서 배에서 내려 트로이 땅을 밟는 첫 번째 그리스인이 가장 먼저 죽을 것이라고 예언되었다.[2]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로테실라오스는 가장 먼저 트로이아에 상륙했고, 네 명의 트로이 군을 죽인 후 헥토르에게 죽임을 당했다.[7] 다른 자료에서는 아이네이아스, 유포르보스 등에게 죽었다고도 전해진다.[8]

일설에 따르면 오디세우스가 방패를 해변에 던지고 그 위로 뛰어내려, 프로테실라오스가 오디세우스가 트로이 땅을 처음 밟았다고 착각하게 만들어 두 번째로 뛰어내리게 했다고도 한다. 프로테실라오스가 죽은 후에는 그의 동생 포다르케스가 그의 자리를 대신하여 전쟁에 참여했다.[9]

4. 라오다메이아와의 사랑

프로테실라오스는 트로이 전쟁에 참전하기 전 아카스토스의 딸 라오다메이아(일설에는 멜레아그로스의 딸 폴리도라)와 결혼했으나, 둘 사이에 아이는 없었다.[12] 프로테실라오스가 전사하자, 슬픔에 잠긴 라오다메이아를 딱하게 여긴 신들은 저승에 있던 프로테실라오스를 잠시 아내에게 보내주었다.[10]

라오다메이아는 청동으로 남편의 형상을 만들어 마치 살아있는 남편처럼 대했다. 이를 본 그녀의 아버지가 청동상을 불태우자, 그녀는 불 속에 함께 뛰어들어 자살했다.[11]

그리스 비극 작가 에우리피데스는 프로테실라오스를 소재로 비극을 썼다고 하나,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

5. 사후 숭배

프로테실라오스에게 봉헌된 신성한 장소는 두 곳이 증명되었다.[16] 테살리아에 있는 그의 고향 필라케에는 프로테실라오스의 신전이 있었고, 핀다르는 그곳에서 그를 기리는 경기가 열렸다고 언급했다.[18]

페르시아 전쟁 중, 기원전 5세기에 프로테실라오스의 엘라에우스에 있는 무덤이 기록되었는데, 당시 그의 무덤에 봉헌된 헌납물들이 크세르크세스의 허락 하에 사트라프 아르타이테스에 의해 약탈되었다. 그리스인들은 나중에 아르타이테스를 생포하여 처형하고 보물을 돌려주었다.[19] 알렉산드로스 대왕페르시아 제국을 상대로 원정을 떠나 엘라에우스에 도착했을 때, 이 무덤이 다시 언급되었다. 그는 아시아에 도착했을 때 프로테실라오스의 운명을 피하기 위해 무덤에 제물을 바쳤다.[20] 알렉산드로스는 그 이전의 프로테실라오스와 마찬가지로 그의 원정 중 아시아 땅을 처음 밟은 사람이었다.[21]

필로스트라토스는 서기 3세기 초에 이 신전에 대해 글을 썼는데,[22] 그는 "배의 선수 모양을 한 받침대 위에 서 있는" 프로테실라오스의 신상에 대해 이야기했다. 코모두스 시대 엘라에우스의 동전에는 배의 선수에 헬멧, 흉갑, 짧은 키톤을 입은 프로테실라오스가 새겨져 있는데, 이는 아마도 이 조각상을 묘사한 것일 것이다.[23][24] 스트라본 또한 그 성소를 언급했다.[25]

할키디케의 팔레네에 있는 스키오네에서 프로테실라오스 숭배는 아우구스투스 시대의 그리스 문법학자이자 신화 작가인 코논에 의해 기원 설화가 부여되었는데,[26] 이는 서사시와는 다른 내용이었다. 코논은 프로테실라오스가 트로이 전쟁에서 살아남아 포로로 잡은 프리아모스의 여동생 에틸라와 함께 돌아오고 있었다고 주장한다. 스키오네와 멘데 사이의 팔레네 해안에서 배가 물을 구하기 위해 상륙했을 때, 에틸라는 다른 트로이 여성들을 설득하여 배를 불태우게 했고, 프로테실라오스는 스키오네를 세우고 그곳에 머물게 되었다.

대영 박물관이 소장한 기원전 480년경 스키오네의 희귀한 테트라드라크마에는 PROTESLAS라는 역방향 전설로 식별된 프로테실라오스가 묘사되어 있다.[27]

프로테실라오스는 사후에, 필로스트라토스의 ''헤로이코스''의 이야기의 진실성을 부여하는 액자 기법 안에서 포이니케 상인에게 "포도 재배자"가 전한 트로이 영웅들의 행동에 대한 수정된 목격자 버전을 신탁의 근원으로 이야기한다. 이는 서사시와는 별도로 발전한 그리스 영웅 숭배 전통의 후기 문학적 표현이다.[28]

켈소네소스. 엘라우스는 그 선단부.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엘라이우스에는 프로테실라오스의 무덤과 성역이 있어 사람들의 존경을 받았으며, 신전에는 금은 술잔, 청동 기구, 의류 등 막대한 재보가 봉납되었다.[52] 이 성역은 페르시아 전쟁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크세르크세스 1세에 의해 켈소네소스의 총독으로 임명된 페르시아인 아르타유크테스는 크세르크세스 1세를 속여 성역의 재보를 약탈하고, 성역의 토지를 농지로 바꾸었다.[52] 또한 신전을 별장으로 이용하고, 엘라이우스에 갈 때마다 신전에 여자를 데려와 음란한 행위를 했다.[51][52] 페리클레스의 아버지인 크산티포스가 이끄는 아테네군은 아르타유크테스를 공격하여 붙잡았다.[51][93]

포로가 된 아르타유크테스를 감시하던 아테네인이 생선 소금 절임을 굽는데, 갑자기 생선이 펄떡였다. 이를 본 아르타유크테스는 "엘라이우스에 묻힌 프로테실라오스가 이미 죽었음에도 모독자에게 복수할 힘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려는 것"이라 말하며, 성역에서 빼앗은 재보를 배상하고 프로테실라오스에게 100탈렌톤을 봉납하며, 풀려난다면 자신과 아들의 몸값으로 200탈렌톤을 아테네에 지불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엘라이우스 주민들은 프로테실라오스가 받은 고통을 그의 목숨으로 갚게 하기 위해 크산티포스에게 간청했다. 크산티포스도 같은 생각이었기에,[94] 크세르크세스 1세가 해협에 다리를 놓은 장소에서 아르타유크테스를 십자가형에 처했고,[51][94] 아르타유크테스의 아들은 그 앞에서 돌로 쳐 죽임을 당했다.[94] 이 아르타유크테스의 최후는 프로테실라오스의 벌이라고 여겨졌다.[53]

아리아노스의 『알렉산드로스 원정기』에 따르면, 페르시아 원정에 나선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엘라이우스에 도착하여 프로테실라오스의 무덤에 제물을 바쳤다. 이때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소아시아에 상륙하면서 프로테실라오스보다 더 무운이 있기를 기원했다고 전해진다.[55]

필로스트라토스 시대에도 엘라우스에는 프로테실라오스가 매장되었다고 전해지는 언덕이 남아 있었다. 성역에 세워져 있던 신전은 약간의 흔적만 남기고 사라졌지만, 프로테실라오스의 조상은 남아 선수(船首) 모양의 받침대 위에 서 있었다고 한다.[84] 필로스트라토스의 저서 『헤로이코스』는 로마 제국 시대에 엘라우스를 방문한 페니키아인이 프로테실라오스의 영웅령과 친교가 있는 포도원 주인에게서 트로이 전쟁 이야기를 듣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그 내용은 포도원 주인이 프로테실라오스에게서 들은 이야기로 전해진다. 포도원 주인에게 나타나는 프로테실라오스의 영혼은 트로이 전쟁에서 싸웠을 때와 변함없이, 20세 정도의 젊은이로, 기분 좋은 향기를 풍기고, 낭랑한 목소리와 건장하고 경쾌한 몸을 지녔으며, 페니키아의 자색 염료로 물들인 테살리아풍 외투를 걸치고 있었다.[95] 프로테실라오스는 매달 4~5번 정도 포도원 주인을 방문했고, 라오다메이아에 대한 사랑은 변함없으며, 사려 깊고, 잘 웃고, 폭력을 휘두르지 않지만, 힘든 일을 잘 돕고, 농업 지식도 풍부했다. 평소에는 명계, 고향 프티아, 옛 동료들이 있는 트로이에서 지낸다.[67] 프로테실라오스는 폐결핵, 수종, 안질, 말라리아 같은 병으로 고통받는 자들을 치유하고, 사랑에 고민하는 자들에게는 연인의 마음에 효과가 있는 주문이나 마법을 가르쳤다.[96] 트로이에서 활약하지 못하고 전사한 것에 대해서는 자신의 비운을 한탄하며, 만약 싸울 수 있었다면 아킬레우스와 대 아이아스에는 못 미치지만, 디오메데스, 파트로클로스, 소 아이아스에게는 결코 뒤지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78]

는 프로테실라오스의 유골이 케르소네소스의 신전 안에 봉납되어 있었다고 언급하고 있다.[97]

6. 문화적 묘사

프로테실라오스는 아카스토스의 딸 라오다메이아(일설에는 멜레아그로스의 딸, 폴리도라)와 결혼했지만, 전쟁으로 인해 아이는 없었다. 그가 죽은 후, 그의 아내는 슬픔에 잠겨 식음을 전폐했다. 신들은 이를 불쌍히 여겨 프로테실라오스를 저승에서 잠시 불러내 아내에게 보냈다.

프로테실라오스의 아내는 남편의 청동상을 만들고 살아있는 남편처럼 대했다. 이를 본 아버지가 청동상을 불태우자, 그녀는 불에 뛰어들어 자살했다.

에우리피데스는 프로테실라오스를 소재로 한 비극을 썼지만,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34]

필로스트라토스 시대에 엘라우스에는 프로테실라오스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언덕이 있었다. 성역에 있던 신전은 거의 사라졌지만, 프로테실라오스의 조각상은 남아 있었고, 선수(船首) 모양의 받침대 위에 서 있었다고 한다.[84] 필로스트라토스의 『헤로이코스』는 로마 제국 시대 엘라우스를 방문한 페니키아인이 프로테실라오스의 영웅령과 교류하는 포도원 주인에게서 트로이 전쟁 이야기를 듣는 형식이다. 포도원 주인에게 나타나는 프로테실라오스의 영혼은 20세 정도의 젊은이로, 좋은 향기와 낭랑한 목소리, 건장한 몸을 지녔으며, 페니키아 자색 염료로 물들인 테살리아풍 외투를 걸치고 있었다.[95] 그는 매달 4~5번 정도 포도원 주인을 방문했고, 라오다메이아에 대한 사랑은 변함없으며, 사려 깊고, 잘 웃고, 농업 지식도 풍부했다.[67] 그는 폐결핵, 수종, 안질, 말라리아 같은 병을 치유하고, 사랑에 고민하는 사람들에게는 주문이나 마법을 가르쳤다.[96] 트로이에서 활약하지 못하고 전사한 것에 대해서는, 자신의 비운을 한탄하며, 만약 싸울 수 있었다면 아킬레우스대 아이아스에는 못 미치지만, 디오메데스, 파트로클로스, 소 아이아스에게는 뒤지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78]

안티필루스가 쓴 ''팔라티누스 선집''(VII.141)에 실린 프로테실라오스에 관한 시는 F. L. 루카스의 시 "프로테실라오스의 느릅나무" (1927)에 영감을 주었다.[35]

플리니우스의 ''박물지''에는 데이노메네스의 프로테실라오스 조각상이 잠깐 언급된다.[30] 현존하는 주요 사례로는 프로테실라오스가 배에서 뛰어내리는 순간을 묘사한, 5세기 중반 그리스 청동 원본의 로마 시대 복제품 두 점이 있다. 하나는 대영 박물관에 있는 토르소이고,[31] 다른 하나는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있다.[32]

참조

[1] 서적 Iliad
[2] 서적 Fabulae
[3] 서적 History of the Fall of Troy https://www.theoi.co[...]
[4] 서적 The Library
[5] 서적 Iliad
[6] 서적
[7] 서적 Fabulae
[8] 서적 Fall of Troy https://archive.org/[...]
[9] 서적 Iliad
[10] 서적 Epitome to The Library
[11] 서적 Fabulae
[12] 서적 The Cypria
[13] 서적 Τα μεθ' `Ομηρον
[14] 서적 Naturalis Historia
[15] 서적 Anth. Pal.
[16] 서적 On Heroes
[17] 서적 Iliad
[18] 서적 First Isthmian Ode
[19] 서적 The Histories
[20] 서적 Gustav II Adolf https://www.worldcat[...] Atlantis 2007
[21] 서적 The Campaigns of Alexander
[22] 논문 Philostratus' Heroikos and Its Setting in Reality
[23] 서적 New Heroes in Antiquity
[24] 웹사이트 RPC IV, 10954 https://rpc.ashmus.o[...] Ashmolean Museum 2022-12-21
[25] 웹사이트 ToposText https://topostext.or[...]
[26] 서적 Greek Mythography in the Roman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27] 논문 Protesilaos at Scione
[28] 논문 Preliminaries to Philostratus's On Heroes
[29] 서적 Description of Greece
[30] 서적 Historia Naturalis
[31] 문서 Cyzicus in Mysia
[32] 논문 A Statue of Protesilaos in the Metropolitan Museum
[33] 서적 Richter 1929b
[34] 논문 A Statue of Protesilaos
[35] 뉴스 The Best Poems of 1928 New Statesman 1927-12-17
[36] 웹사이트 Dialogues Of The Dead: Dialogue 28 https://www.loebclas[...]
[37] 웹사이트 Protesilaus https://www.loebclas[...]
[38] 웹사이트 Laevius https://oxfordre.com[...] 2016-03-07
[39] 논문 Love and death: Laodamia and Protesilaus in Catullus, Propertius, and others1 https://www.cambridg[...] 1998-05-30
[40] 웹사이트 Sextus Propertius, Elegies, Book 1, Addressed to Cynthia https://www.perseus.[...]
[41] 서적 Heroicus. Gymnasticus. Discourses 1 and 2 https://www.loebclas[...] Harvard University Press
[42] 웹사이트 P. Ovidius Naso, The Epistles of Ovid, Laodamia to Protesilaus https://www.perseus.[...]
[43] 논문 Reconstruction of European epic tradition in Michael Madhusudan Dattas epic with special reference to Milton http://shodhganga.in[...] university of Assam
[44] 웹사이트 Protesilas i Laodamia : tragedya https://www.european[...]
[45] 웹사이트 THESSALY, Thebai https://cngcoins.com[...] CNG 2022-07-23
[46] 문서 高橋宏幸解説、p.153。
[47] 문서 アポロドーロス、3巻10・8。
[48] 문서 ヒュギーヌス、81話。
[49] 문서 アポロドーロス、摘要(E)3・29。
[50] 문서 ヒュギーヌス、103話。
[51] 문서 ヘーロドトス、7巻33。
[52] 문서 ヘーロドトス、9巻116。
[53] 문서 パウサニアース、3巻4・6。
[54] 문서 パウサニアース、1巻34・2。
[55] 문서 アッリアノス『アレクサンドロス東征記』1巻11。
[56] 문서 『イーリアス』2巻695行-710行。
[57] 문서 アポロドーロス、摘要(E)3・29。
[58] 문서 パウサニアース、4巻36・3。
[59] 문서 パウサニアース、5巻17・10。
[60] 문서 クレタのディクテュス、1巻14。
[61] 문서 ヘーシオドス断片61(『オデュッセイアー』11巻326行への古註)。
[62] 문서 ヘーシオドス断片62(『イーリアス』2巻695行へのエウスタティオス注解)。
[63] 문서 ヘーシオドス断片63(『イーリアス』20巻227行への古註bT)。
[64] 문서 エウスタティオス『イーリアス注解』323・41。
[65] 문서 ヘーシオドス断片154d(Berlin Papyrus 9739 col.III)。
[66] 문서 アポロドーロス、摘要(E)3・30。
[67] 문서 ピロストラトス『ヘーローイコス』11。
[68] 문서 ヒュギーヌス、103話。
[69] 문서 ヒュギーヌス、104話。
[70] 문서 ヒュギーヌス、256話。
[71] 서적 ヒュギーヌス
[72] 서적 キュプリア
[73] 서적 イーリアス
[74] 서적 クレタのディクテュス
[75] 서적 プリュギアのダレース
[76] 서적 エウリーピデース断片
[77] 서적 ヘーローイコス
[78] 서적 ヘーローイコス
[79] 서적 アポロドーロス「サバス本」摘要
[80] 서적 変身物語
[81] 서적 クレタのディクテュス
[82] 서적 ギリシア・ローマ神話辞典
[83] 서적 パラティン詞華集
[84] 서적 ヘーローイコス
[85] 서적 スミュルナのクイントゥス
[86] 서적 イーリアス
[87] 서적 パウサニアース
[88] 서적 ヒュギーヌス
[89] 서적 ヘーローイコス
[90] 서적 ヘーローイデス
[91] 웹사이트 Portions 186. "Conon, Narrations,"13 https://www.tertulli[...] The Tertullian Project 2022-07-23
[92] 서적 イストミア祝勝歌
[93] 서적 ヘーロドトス
[94] 서적 ヘーロドトス
[95] 서적 ヘーローイコス
[96] 서적 ヘーローイコス
[97] 서적 ポンポニウス・メラ
[98] 웹사이트 (3540) Protesilaos = 1973 UF5 = 1978 GJ2 = 1985 VO1 https://minorplanetc[...] MPC 2022-07-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