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프롤레타리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프롤레타리아는 고대 로마에서 유래한 용어로, 재산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는 시민 계층을 지칭했다. 19세기에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생산 수단을 소유하지 못하고 노동력을 판매하여 생계를 유지하는 노동자 계급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칼 마르크스는 프롤레타리아를 자본주의를 타도하고 계급 없는 사회를 건설할 수 있는 진보적인 노동 계급으로 묘사했으며, 마르크스주의는 프롤레타리아 혁명을 통해 계급 대립이 종식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20세기 이후에는 신자유주의 경제 정책으로 인해 불안정한 고용 환경에 놓인 계층을 프레카리아트라고 부르며, 프롤레타리아 개념이 확장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동계급 - 노동 빈곤층
    노동 빈곤층은 노동 인구 중 빈곤선 이하의 소득을 얻는 사람들을 의미하며, 저임금, 불안정한 고용 등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사회적 지원과 정책적 노력이 필요한 집단이다.
  • 노동계급 - 생산주의
    생산주의는 17세기 디거즈 운동에서 시작되어 소유 생산주의와 산업 생산주의로 분화되었으며, 현대에는 세계화에 대한 반발로 부활하여 포퓰리즘과 연관되어 비판받기도 한다.
  • 마르크스주의 이론 - 모순
    모순은 논리학, 철학,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서로 상반되는 두 가지 주장이나 사실이 동시에 존재하는 상태를 의미하며, 특히 헤겔과 마르크스의 변증법적 유물론에서 사물의 내재적 대립으로서 역사 발전의 원동력으로 간주된다.
  • 마르크스주의 이론 - 카를 마르크스
    카를 마르크스는 독일의 철학자, 경제학자, 사회학자, 역사가, 언론인, 혁명가이자 공산주의 사상 창시자 중 한 명으로, 『공산당 선언』과 『자본론』 등을 통해 역사적 유물론, 계급 투쟁, 자본주의 비판 이론을 체계화하여 사회주의 운동과 현대 사회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사회주의 - 민주사회주의
    민주사회주의는 개인의 자유로운 인격 발전을 보장하며 사회경제적 불평등 해소와 공공성 강화를 목표로, 자본주의 내 개혁을 추구하는 사회민주주의와 달리 생산 양식의 체계적 전환을 주장하며 의회 민주주의를 지향한다.
  • 사회주의 - 노동조합
    노동조합은 근로자의 경제적·사회적 지위 향상을 위해 자주적으로 단결하여 만들어진 단체이며, 임금, 근무시간 등 노동조건에 대한 단체교섭 권한을 가지며 필요시 파업 등의 쟁의행위를 수행한다.
프롤레타리아
기본 정보
이상적인 사회에서 프롤레타리아를 대표하는 조각상
이상적인 사회에서 프롤레타리아를 대표하는 조각상
어원라틴어 'proletarius'(자손을 낳는 사람)
동의어노동 계급, 임금 노동자
사회학적 정의
정의자신의 노동력을 판매하여 생계를 유지하는 사회 계급
특징생산 수단을 소유하지 않음
마르크스주의적 관점
역할자본주의 사회에서 부르주아지에 의해 착취당하는 계급
역사적 중요성계급 투쟁을 통해 공산주의 사회로 이행하는 주체
혁명적 잠재력자본주의 체제를 전복하고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수립할 수 있는 잠재력
관련된 개념
계급사회 계층 구조의 기본 단위
계급 의식자신의 계급적 이해관계를 인식하고 연대하는 의식
소외자본주의 사회에서 노동자가 자신의 노동으로부터 느끼는 단절감
착취부르주아지가 프롤레타리아의 노동으로부터 잉여 가치를 얻는 과정
역사적 맥락
고대 로마국가에 재산 대신 자녀를 제공하는 시민 계급
산업 혁명공장 노동자의 등장과 노동 계급의 형성
20세기사회주의 국가의 등장과 노동 운동의 발전
현대 사회
변화노동 시장의 변화와 새로운 형태의 노동 계급 등장
논쟁프롤레타리아 개념의 유효성과 현대 사회에 대한 적용 가능성

2. 역사

프롤레타리아(proletarii)라는 용어는 고대 로마 시대에 재산이 거의 없거나 아예 없는 로마 시민을 지칭하는 말에서 유래했다.[5] 이들은 5년마다 실시된 인구 조사에서 자신의 재산 대신 자녀(prōlēsla)를 등록했기 때문에 '자손 생산자'라는 뜻의 프롤레타리우스(proletariusla)라고 불렸다.

평민의 분리, 고대 로마에서 평민들이 도시를 떠나 경제를 붕괴시키는 항의 형태


로마 시민들은 재산에 따라 군 복무와 투표권이 결정되었는데, 프롤레타리아는 최하위 계층으로 투표권이 거의 없었다.[6] 이들은 백인회(Comitia Centuriatala)에 포함되었지만, 투표는 상위 계층부터 진행되었기 때문에 이들의 표는 무시되기 일쑤였다.[7]

고대 로마 시대, 로마 시민들은 빵과 서커스에 몰두하여 일하기를 포기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들은 켄수스(국세 조사)에서 자신의 아이(prōlēsla) 외에는 재산이 없는 계층으로 프롤레타리(prōlētāriila)라고 불렸다.

이후 1848년 혁명에 영향을 준 독일의 법학자 로렌츠 폰 슈타인이 1842년 저서 『오늘날 프랑스의 사회주의와 공산주의』에서 이 단어를 자본주의 체제 하에서 생산 수단을 갖지 못한 빈곤계급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하면서 현대적인 의미로 쓰이기 시작했다.

카를 마르크스프리드리히 엥겔스는 1848년 공산당 선언에서 "오늘날까지 모든 사회의 역사는 계급 투쟁의 역사"라는 역사관을 제시하며, 근대 부르주아 사회에서는 전 사회가 부르주아지와 프롤레타리아트로 나뉘며, 최종적으로는 프롤레타리아 혁명에 의해 프롤레타리아트가 승리하고 계급 대립의 역사가 끝난다고 예언했다.

마르크스주의에서 프롤레타리아는 생산 수단을 소유하지 못하고 자신의 노동력을 임금이나 급여로 팔아 생계를 유지하는 사회 계급으로 정의된다. 마르크스는 이들이 자본주의 체제를 타도하고 계급 없는 사회를 건설할 수 있는 진보적인 노동 계급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엥겔스 사후 독일 사회민주당에서 수정주의 논쟁이 일어나면서,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주식회사 제도로 인해 유산층이 오히려 늘어나고 있음을 지적하며 『공산당 선언』의 양극 분해론을 비판했다. 실제로 서유럽 선진국에서는 프롤레타리아 정당이 권력을 획득하지 못했고, 오히려 러시아중국과 같이 프롤레타리아트가 다수가 아닌 곳에서 혁명이 일어났다.

1989년 동유럽 혁명과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많은 공산주의 정당과 사회주의 정당들이 사회주의 혁명 목표를 포기하거나 프롤레타리아트 개념을 철회하면서, 이 용어는 정치적으로는 주로 사회주의 체제 국가와 그 지배 정당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되게 되었다.

현대에 들어서는 신자유주의적인 경제 정책으로 인해 정규 고용을 얻지 못하고 불안정한 생활을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이들을 프레카리아트라고 부르며 프롤레타리아 개념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2. 1. 고대 로마

proletariila는 재산이 거의 또는 전혀 없는 로마 시민의 사회 계층을 구성했다. 이 이름은 로마 당국이 시민과 그들의 재산을 등록하기 위해 5년마다 실시했던 인구 조사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그들의 군사적 의무와 투표 특권을 결정했다. 11,000 assela (동전) 이하의 재산을 소유한 사람들은 군 복무를 위한 최저 범주에 속했고, 그들의 자녀—prōlēsla (자손)—는 재산 대신 목록에 올랐다. 따라서 proletariusla (자손 생산자)라는 이름이 붙었다. 로마의 시민 군인은 자신의 말과 무기를 스스로 조달했고, 공동체를 위해 보수 없이 싸웠지만, proletariusla의 유일한 군사적 기여는 그들의 자녀, 즉 정복된 영토를 식민지화할 수 있는 미래의 로마 시민이었다. 공식적으로 재산이 없는 시민들은 "재산이 아니라... 단순히 생존하는 개인으로서, 주로 가족의 가장(caputla)으로서 등록된 사람들"이기 때문에 capite censila라고 불렸다.[5]

Comitia Centuriatala (백인회)에 이름으로 명시적으로 포함되었지만, proletariila는 최하위 계층으로, 투표권을 대부분 박탈당했다.[6] proletariila는 다양한 선거에서 투표 "가중치"가 적었을 뿐만 아니라, 투표가 상위 사회 계층부터 시작하여 계층적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다수가 일찍 결정될 수 있었고, 그들의 표는 아예 사용되지 않았다. 리비우스와 같은 후기 로마 역사가들은 Comitia Centuriatala를 초기 로마의 민회로, 재산에 따라 시민 계층을 나타내는 centuriaela로 구성되었다고 모호하게 묘사했다. 공공 정책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보통 Campus Martius|italic=nola에서 열린 이 회의는 로마 시민의 군사적 의무를 지정했다.[7] Comitia Centuriatala의 재구성 중 하나는 기병 18centuriaela, 보병 170centuriaela로, 재산에 따라 5개 계층으로 나뉘며, 그중 1개는 proletariila를 대표하는 adsiduila라는 지원 병력 5centuriaela로 구성된다. 전투에서 기병은 말과 무기를 가져왔고, 상위 보병 계층은 완전한 무장과 갑옷을 갖췄으며, 다음 두 계층은 덜 갖췄고, 네 번째 계층은 창만, 다섯 번째 계층은 투석기를, 지원 병력인 ''adsidui''는 무기를 소지하지 않았다. 만장일치할 경우 기병과 상위 보병 계층만으로도 문제를 결정하기에 충분했다.[8] 사회적 배경을 포함하는 더 심층적인 재구성에 따르면, 원로원, 기사, 그리고 첫 번째 계층은 193centuriaela 중 88개를 차지했고, 재산이 가장 낮은 두 계층은 30centuriaela만 차지했지만, proletariila는 1개만 차지했다. 비교를 위해 음악가들은 훨씬 적은 수의 시민에도 불구하고 2centuriaela로 더 많은 투표권을 가졌다. "투표가 proletariila에게까지 도달하려면 엘리트와 상위 계층에 매우 심각한 분열이 필요했다."[9]

고대 로마 시대에는 제국의 광대한 속주에서 착취한 막대한 부가 로마에 집적되었고, 로마 시민은 노동에서 해방되었다. 차츰 빵과 서커스에 몰두하여 일하는 것을 포기한 자(대부분은 토지를 소유하지 않음)도 늘어갔다. 이러한 시민은 주민 통계 켄수스(cēnsusla:센서스→국세 조사)에서, 자신의 아이(prōlēsla) 외에는 부를 만들어내는 재산을 가지고 있지 않았던 계층으로서 proletariila(단수형 proletariusla)라고 불렸다. 국정 조사에서는 로마 시민을 재산별로 6계급으로 나누고, 아이 외에는 재산을 갖지 않은 층을 prolēsla "아이" + tāriusla "만드는 자"로 기재했다.

2. 2. 근대

19세기 초, 사회 과학 및 경제학을 다루는 많은 서유럽 자유주의 학자들은 급속도로 성장하는 현대 산업 노동자 계급과 고대 로마의 프롤레타리아의 사회 경제적 유사성을 지적했다. 1807년 프랑스 철학자이자 정치학자인 위그 펠리시테 로베르 드 라메네는 "현대 노예"라는 논문에서 이러한 유사점을 언급했다.[10]

스위스 자유주의 경제학자이자 역사학자인 장 샤를 레오나르 드 시스몽디는 자본주의 하에서 창출된 노동자 계급에 프롤레타리아 용어를 처음으로 적용했으며, 그의 저술은 카를 마르크스에 의해 자주 인용되었다.[11][12][13][14] 마르크스는 시스몽디의 저작을 연구하면서 이 용어를 접했을 가능성이 크다.

고대 로마 시대에는 빵과 서커스에 몰두하여 일하는 것을 포기한 시민(대부분 토지를 소유하지 않음)들이 늘어났다. 이들은 켄수스(국세 조사)에서 자신의 아이(prōlēsla) 외에는 부를 만들어내는 재산이 없는 계층으로서 프롤레타리(prōlētāriila, 단수형 prōlētāriusla)라고 불렸다.

프랑스2월 혁명유럽 각지에서 일어난 1848년 혁명에 영향을 준 독일법학자 로렌츠 폰 슈타인은 1842년 저서 『오늘날 프랑스의 사회주의와 공산주의』에서 이 단어를 자본주의 체제 하의 생산 수단을 갖지 못한 빈곤계급의 의미로 사용했다.

카를 마르크스프리드리히 엥겔스는 1848년 공산당 선언에서 "오늘날까지 모든 사회의 역사는 계급 투쟁의 역사"라는 역사관을 제시하며, 근대 부르주아 사회에서는 전 사회가 부르주아지와 프롤레타리아트로 나뉘며, 최종적으로는 프롤레타리아 혁명에 의해 프롤레타리아트가 승리하고 계급 대립의 역사가 끝난다고 예언했다.

엥겔스 사후 독일 사회민주당에서 일어난 수정주의 논쟁프레카리아트 개념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2. 2. 1. 마르크스주의

베를린 프리드리히 빌헬름 대학교에서 로마법을 연구한 카를 마르크스[15] 자신의 사회-정치 이론인 마르크스주의에서 '프롤레타리아'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사유 재산에 물들지 않고 자본주의를 타도하고 계급 사회를 폐지하며 사회를 더욱 높은 수준의 번영과 정의로 이끌 수 있는 진보적인 노동 계급을 묘사했다.

아돌프 멘젤 – 철 압연 공장 (1872–1875)


마르크스는 프롤레타리아를 생산 수단(공장, 기계, 토지, 광산, 건물, 차량)에 대한 상당한 소유가 없고 자신의 생계를 유지하는 유일한 수단이 자신의 노동력을 임금 또는 급여로 판매하는 사회 계급으로 정의했다.[16]

마르크스주의 이론에서 프롤레타리아와 인접한 사회 계급 사이의 경계는 모호하게 정의된다. 사회적으로 더 우월하고 덜 진보적인 방향에는 소규모 상인과 같은 하위 소부르주아지가 있는데, 이들은 일반 임금과 비슷한 소득으로 주로 자영업에 의존한다. 고용주를 위한 임금 노동과 자영업이 결합된 중간 위치도 가능하다. 또 다른 방향으로는, 마르크스가 후퇴하는 계급으로 여기는 룸펜 프롤레타리아트 또는 "넝마 프롤레타리아트"가 비공식 경제에서 법적 고용 외의 삶을 살아간다. 즉, 거지, 사기꾼, 연예인, 길거리 악사, 범죄자, 매춘부와 같은 사회의 가장 가난한 부랑자들이다.[17][18] 사회주의 정당들은 모든 하위 계급을 조직하고 대표해야 할지, 아니면 임금 노동 프롤레타리아트만 조직하고 대표해야 할지를 두고 종종 논쟁을 벌여왔다.

자본주의 비판에 기반한 산업 조합주의를 옹호하는 1911년 ''산업 노동자'' 출판물. 프롤레타리아는 "모두를 위해 일"하고 "모두에게 먹이를 준다".


마르크스주의에 따르면 자본주의는 부르주아지의 프롤레타리아트 착취에 기반한다. 즉, 생산 수단을 소유하지 않은 노동자들은 타인의 재산을 사용하여 상품과 서비스를 생산하고 생계를 유지해야 한다. 노동자들은 자신의 계정으로 생산하기 위해 생산 수단(예: 공장 또는 백화점)을 임대할 수 없다. 오히려 자본가들이 노동자를 고용하고, 생산된 상품이나 서비스는 자본가의 소유가 되며, 자본가는 이를 시장에서 판매한다.

순 판매 가격의 일부는 노동자의 임금(변동 비용)으로 지불된다. 두 번째 부분은 생산 수단(고정 비용, 자본 투자)을 갱신하고, 세 번째 부분은 자본가 계급이 소비하며, 자본가의 개인적인 이익과 다른 소유주에 대한 수수료(임대료, 세금, 대출 이자 등)로 나뉜다. 첫 번째 부분(임금률)에 대한 투쟁은 프롤레타리아트와 부르주아지를 화해할 수 없는 갈등에 빠뜨린다. 시장 경쟁은 임금을 노동자가 생존하고 계속 일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수준으로 끊임없이 밀어 넣기 때문이다. 자본화된 잉여 가치라고 불리는 두 번째 부분은 생산 수단(자본)을 수량 또는 품질로 갱신하거나 증가시키는 데 사용된다.[19] 두 번째와 세 번째 부분은 잉여 가치라고 알려져 있으며, 프롤레타리아트가 생산하는 부와 소비하는 부의 차이를 말한다.[20]

마르크스주의자들은 새로운 부가 천연 자원에 적용된 노동을 통해 창출된다고 주장한다.[21] 프롤레타리아가 생산하고 자본가가 판매하는 상품은 유용성보다는 상품에 담긴 노동의 양에 따라 가치를 평가한다. 예를 들어, 공기는 필수적이지만 생산에 노동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무료이다. 다이아몬드는 유용성이 훨씬 낮지만 수백 시간의 채굴과 절단이 필요하므로 비싸다. 이는 노동자의 노동력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즉, 노동력은 생산하는 부의 양이 아니라 노동자가 먹고, 거주하고, 충분히 훈련받고, 새로운 노동자로서 자녀를 양육하는 데 필요한 노동의 양에 따라 가치를 평가한다. 반면에 자본가는 자신의 개인적인 노동의 기능으로 부를 얻는 것이 아니라 (심지어 무효일 수도 있음) 생산 수단에 대한 자신의 재산의 법적 관계(예: 공장 또는 농지 소유)를 통해 부를 얻는다.

마르크스는 역사는 운명이 아닌 인간에 의해 만들어진다고 주장한다. 생산 수단과 생산을 위해 도구를 사용하는 노동 계급을 사회의 동력이라고 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는 자원 소유자들이 노동력에 의존하는 개인들로부터 생산성을 짜내기 위해 결합된 사회 계급의 수준으로 발전했다. 마르크스는 착취자와 피착취자 사이의 이러한 관계가 서로 다른 생산 양식과 역사 속의 연속적인 단계를 초래한다고 주장한다. 인류가 자연에 대한 권력을 얻는 이러한 생산 양식은 원시 공동체, 노예 국가, 봉건 국가, 자본주의 체제, 마지막으로 사회주의 사회의 다섯 가지 시스템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시스템 간의 전환은 모두 더 높은 사회 계급에 의해 억압받는다고 느낀 사람들 사이에서 시민 불안이 증가했기 때문이다.[22]

봉건주의와의 갈등은 상인과 길드 장인들의 수가 증가하고 권력이 커지면서 시작되었다. 그들은 스스로를 조직하자 귀족과 성직자들이 부과한 수수료에 반대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발전은 새로운 아이디어로 이어졌고 결국 마르크스가 반대하는 부르주아 계급을 확립했다. 상업은 생산 형태를 바꾸기 시작했고 시장은 더 큰 생산과 이윤을 지원하기 위해 변화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변화는 부르주아의 일련의 혁명으로 이어졌고 자본주의가 초래되었다. 마르크스는 이와 동일한 모델을 프롤레타리아를 위한 투쟁에도 적용할 수 있고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상인과 장인들이 그랬던 것처럼 노조를 결성하면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충분한 권력을 확립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마르크스의 프롤레타리아 투쟁 이론은 결국 자본주의의 몰락과 새로운 생산 양식인 사회주의의 출현으로 이어질 것이다.[22]

마르크스는 프롤레타리아가 불가피하게 프롤레타리아 독재로 자본주의 체제를 대체하고 계급 제도를 뒷받침하는 사회적 관계를 폐지한 다음 "각자의 자유로운 발전이 모든 사람의 자유로운 발전을 위한 조건"인 공산주의 사회로 발전할 것이라고 주장했다.[23]

중국 공산주의 혁명 동안 프롤레타리아트 개념은 프롤레타리아 사회적 속성(예: 산업 노동자)을 갖는 것보다 프롤레타리아 계급 의식을 갖는 것을 강조했다.[24] 이러한 프롤레타리아트 정의 방식에서 프롤레타리아 계급 의식은 중국 공산당이 제공하는 정치 교육을 통해 주관적인 관점에서 발전될 수 있었다.[24] 이러한 프롤레타리아트 개념은 혁명이 중국의 산업 노동 계급의 상대적 약점을 해결할 수 있는 마르크스주의 이론적 틀을 허용했다.[24] 진정한 프롤레타리아 계급 의식이 무엇으로 구성되는지는 지적 및 정치적 논쟁의 대상이었다.[24]

2. 2. 2. 수정주의 논쟁

엥겔스가 1895년에 사망한 후, 마르크스주의 정당으로서 급속히 세력을 확대하고 있던 독일 사회민주당에서 수정주의 논쟁이 일어났다.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주식회사 제도로 인해 영국이나 프랑스에서 유산층이 오히려 늘어나고 있음을 지적하고, 『공산당 선언』의 양극 분해론을 부정했다. 사실, 서유럽 선진국에서는 프롤레타리아 정당은 권력을 획득하지 못했다. 오히려 프롤레타리아트가 다수를 차지하지 않는 러시아중국에서 혁명이 일어났다.[22]

2. 3. 20세기 이후

마르크스는 각 사회 계급이 고유한 문화와 정치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러시아 혁명에서 비롯된 사회주의 국가들은 프롤레타리아 문화를 옹호하고 창조했다.[25]

일부에서는 대중 교육, 대중 통신 및 세계화의 출현으로 이러한 평가가 시대에 뒤떨어졌다고 주장한다. 이들에 따르면, 자본주의 국가의 노동자 계급 문화는 "프롤레 드리프트"(prole drift, 프롤레타리아적 이동)를 경험하며, 모든 것이 평범해지고 상품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베스트셀러 목록, 대중 영화, 음악, 쇼핑몰 등이 그 예시이다.[25]

엥겔스 사후(1895년), 마르크스주의정당으로 급성장하던 독일 사회민주당에서 수정주의 논쟁이 발생했다.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주식회사 제도로 인해 영국과 프랑스에서 유산층이 증가하고 있음을 지적하며, 『공산당 선언』의 양극 분해론을 부정했다. 서유럽선진국에서 프롤레타리아 정당은 권력을 얻지 못했고, 오히려 러시아중국과 같이 프롤레타리아트가 다수가 아닌 곳에서 혁명이 일어났다.

1989년 동유럽 혁명과 1991년 소련 붕괴로 소련동유럽의 주요 사회주의 체제 국가가 붕괴하였다. 자본주의 체제에서 존속하던 공산당 등 많은 공산주의 정당·사회주의 정당도 사회주의 혁명을 목표로 한 정당 강령을 포기하거나, 프롤레타리아트 개념을 철회하고 특정 계급을 대표하지 않는 국민 정당으로 전환했다. 따라서 정치적으로 유의미하게 사용되는 것은 존속한 사회주의 체제 국가와 그 지배 정당에 한정되게 되었다.

2. 3. 1. 프레카리아트

신자유주의적인 경제 정책 하에서, 정규 고용을 얻지 못해 안정된 생활을 할 수 없는 많은 사람들이 생겨났다. 경제 선진국에 출현한 새로운 빈곤층을 프롤레타리아에 비유하여 불안정한 프롤레타리아트, 즉 프레카리아트라고 부르게 되었고, 이 개념은 모습을 바꿔 존속하고 있다.

3. 한국에서의 프롤레타리아트

(이전 출력이 비어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요약 정보가 제공되어야 '한국에서의 프롤레타리아트' 섹션을 작성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4. 문화

마르크스는 각 사회 계급이 고유한 문화와 정치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러시아 혁명에서 비롯된 사회주의 국가들은 프롤레타리아 문화의 공식 버전을 옹호하고 창조했다.

일부에서는 이러한 평가가 대중 교육, 대중 통신 및 세계화의 출현으로 인해 시대에 뒤떨어졌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에 따르면, 자본주의 국가의 노동자 계급 문화는 "프롤레 드리프트"(prole drift, 프롤레타리아적 이동)를 경험하는 경향이 있으며, 여기서 모든 것이 불가피하게 평범해지고 상품화된다. 예로는 베스트셀러 목록, 대중에게 어필하기 위해 만들어진 영화, 음악, 쇼핑몰 등이 있다.[25]

참조

[1] 웹사이트 proletariat http://www.thefreedi[...] 2013-06-06
[2] 서적 Labour and Value: Rethinking Marx's Theory of Exploitation https://books.google[...] Open Book Publishers 2019-07-24
[3] 서적 The Communist Manifesto https://books.google[...] The Floating Press 2009-07-24
[4] 서적 The Opium of the Intellectual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07-24
[5] 서적 Encyclopedic Dictionary of Roman Law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1953
[6] 서적 Encyclopedic Dictionary of Roman Law 1953
[7] 서적 Ab urbe condita Penguin 0017
[8] 서적 The Constitution of the Roman Republic Oxford University 1999
[9] 서적 Plebs and Politics in the Late Roman Republic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10] 서적 Modern Slavery https://books.google[...] J. Watson 1840
[11] 서적 Real Life Economics Routledge 2006
[12] 서적 A History of Economic Theory and Method Waveland Press 2006
[13] 서적 Economics for the Common Good: Two Centuries of Economic Thought in the Humanist Tradition Routledge 2002
[14] 서적 La France et l'Angleterre au XIXe siècle. Échanges, représentations, comparisons Créaphis 2006
[15] 서적 Marx and the Marxists Van Nostrand 1955
[16] 서적 Das Kapital, Kritik der politischen Ökonomie Progress Publishers 2013-02-10
[17] 웹사이트 Lumpenproletariat | Marxism https://www.britanni[...]
[18] 서적 Manifesto of the Communist Party Progress Publishers 2013-02-10
[19] 서적 The Accumulation of Capital http://www.marxists.[...]
[20] 서적 The Capital, volume 1 http://www.marxists.[...]
[21] 서적 Critique of the Gotha Programme http://www.marxists.[...]
[22] 서적 Marx for beginners http://worldcat.org/[...] Icon Books 1994
[23] 서적 The Communist Manifesto http://www.marxists.[...]
[24] 서적 Revolution and its narratives: China's socialist literary and cultural imaginaries (1949–1966) Duke University Press 2016
[25] 서적 Class, A Guide Through the American Status System https://books.google[...] Ballantine 1992
[26] 서적 공산당 선언 이와나미 서점
[27] 서적 사회주의의 제전제와 사회민주주의의 임무 다이아몬드사
[28] 문서 공산당 선언 188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