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합성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합성론은 "하나의 본성"을 의미하는 용어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신성과 인성이 결합하여 하나의 본성을 이룬다는 기독론적 입장을 가리킨다. 이는 칼케돈 공의회에서 두 본성을 주장한 것과 대립하며, 네스토리우스주의에 대한 반발로 등장했다. 합성론은 동방 정교회와 오리엔트 정교회 간의 신학적 대화와 합의를 통해 이해의 폭을 넓혀가고 있으며, 비칼케돈파 정교회인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콥트 정교회, 시리아 정교회 등이 합성론을 따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동의 기독교 - 단성론
    단성론은 5세기 기독론 논쟁에서 비롯된 입장으로, 그리스도 안의 신성과 인성에 대한 견해 차이에서 출발하여 "하나의 피시스" 공식을 고집하는 이들을 지칭하며, 일부 비칼케돈파 교회는 자신들을 단성론자로 부르는 것을 거부한다.
  • 기독교의 종파분립 - 칼케돈 공의회
    칼케돈 공의회는 에우티케스의 단성론 논쟁 해결을 위해 451년에 소집된 제4차 전례 공의회로,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을 동시에 지닌 단일 인격이라는 칼케돈 신조를 채택하여 두 본성의 불가분리성을 천명했으나, 일부 동방 교회의 거부와 콘스탄티노폴리스 주교의 지위 상승으로 기독교 분열과 로마 교황청과의 갈등을 야기했다.
  • 기독교의 종파분립 - 아카키우스 분열
    5세기 후반 아카키우스와 로마 교황 사이에서 칼케돈 공의회 결정 관련 신학적, 정치적 갈등으로 발생한 아카키우스 분열은 동방 교회와 서방 교회 관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 동로마 제국의 기독교 - 아카키우스 분열
    5세기 후반 아카키우스와 로마 교황 사이에서 칼케돈 공의회 결정 관련 신학적, 정치적 갈등으로 발생한 아카키우스 분열은 동방 교회와 서방 교회 관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 동로마 제국의 기독교 - 아야 소피아
    아야 소피아는 터키 이스탄불에 있는 건축물로, 교회, 모스크, 박물관을 거쳐 현재는 모스크로 사용되고 있으며, 비잔틴 건축의 대표작이자 돔 구조와 모자이크 장식으로 유명하고 한때 세계에서 가장 큰 성당이었다.
합성론
개요
다른 이름단일 본성설
유티케스주의(오해의 소지가 있음)
유형그리스도론
신학적 정보
설명예수 그리스도는 신성과 인성이 결합되어 하나의 본성(μία φύσις, mia physis)을 갖는다는 그리스도론
반대양성론
네스토리우스주의
관련 교파콥트 정교회
시리아 정교회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에티오피아 정교회
에리트레아 정교회
말란카라 정교회
역사적 배경
주요 인물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
유티케스
관련 공의회에페소스 공의회 (431년)
칼케돈 공의회 (451년, 논쟁의 핵심)
분열 원인칼케돈 공의회양성론 채택에 대한 반발
추가 정보
오해때때로 단성론과 혼동되지만, 미아피시즘은 예수의 신성과 인성이 '혼합'되거나 '흡수'된다는 주장을 거부함.
현대적 이해정통 교회와 동방 정교회 간의 신학적 대화를 통해 상호 이해가 증진되고 있으며, 용어의 차이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음.

2. 용어

"미아피시테"(Miaphysite)라는 용어는 고대 그리스어 "미아"(μία, 하나)와 "피시스"(φύσις, 본성)에서 유래했다.[5]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는 "성육신하신 하느님의 말씀의 하나의 본성"(μία φύσις τοῦ θεοῦ λόγου σεσαρκωμένη)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7] 칼케돈 공의회는 '피시스'를 "본성"으로 정의하고, 예수 그리스도 안에 두 본성(신성과 인성)이 존재한다고 선언했다. 미아피시테주의는 칼케돈 정의를 네스토리우스주의에 가깝다고 비판하며, 키릴로스의 표현을 지지한다.[23] 미아피시테주의는 유티케스의 단성론과는 다르다고 주장하며, 성육신하신 그리스도는 신성과 인성의 특성을 모두 지닌 하나의 본성을 가진다고 본다.

3. 역사

그리스도론적 스펙트럼 (5–7세기, 단성론은 빨간색)


"합성론"이라는 용어는 네스토리우스파에 대한 반발로 등장했다. 시리아이집트의 기독교인들은 네스토리우스파가 안티오키아 학파에 뿌리를 두고 알렉산드리아 학파에 대항했기 때문에, 과격한 네스토리우스파와 거리를 두고 자신의 신학적 입장을 표현하기 위해 이 용어를 사용했다.[12]

그리스도론은 그리스도의 신성을 강조한 가현설과 인성을 강조한 양자론이라는 양극단의 주장을 부정하며, 그리스도의 본성에 대한 신비를 탐구하기 시작했다. 특히 두 가지 입장이 논쟁을 일으켰다.

  • 네스토리우스파는 그리스도 안의 신성과 인성의 구별을 강조하여, 두 위격이 하나의 육체에 함께 거한다는 주장을 펼쳤다. 이 입장은 에페소스 공의회에서 배척되었다.
  • 에우티케스파는 그리스도의 신성이 인성을 흡수하여, 그리스도의 본성이 하나라고 강조했다. 이 입장은 칼케돈 공의회에서 배척되었다.


에우티케스파에 대한 반발로, 이후의 공의회에서는 양성론이 채택되었다. 양성론은 위격과 본성을 구분하여, 그리스도는 하나의 위격에 두 가지 본성(신성과 인성)을 가지지만, 그 본성들이 "섞이지도 않고, 변하지도 않고, 분할되지도 않고, 떨어져 나오지도 않는다"고 강조한다.

합성론은 이러한 양성론의 정의를 네스토리우스파에 가깝다고 보고 부정했다. 대신, 네스토리우스파에 가장 ശക്ത하게 반대했던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의 "성육신한 하나님의 로고스의 하나의(''mia'') 본성"(μία φύσις τοῦ θεοῦ λόγου σεσαρκωμένη|mía phýsis toû theoû lógou sesarkōménēgrc)이라는 표현을 지지했다.[23] 합성론은 성육신한 그리스도가 하나의 본성만을 가지지만, 그 본성은 신성과 인성의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합성론자들은 에우티케스파에 반대하지만, 칼케돈파는 이들을 단성론으로 간주했다.

칼케돈 공의회(451년)는 양성론을 채택했기 때문에, 칼케돈파는 이 공의회를 그리스도론의 분수령으로 여긴다. 그러나 동방 정교회, 특히 합성론을 따르는 이집트의 콥트 정교회는 칼케돈 공의회의 결정을 부정했고, 이는 동로마 제국 내에서 사회적, 정치적 문제로 이어졌다. 두 파벌 사이에서 헤노티콘(482년) 등 여러 차례 재결합 시도가 있었고, 세력 균형도 여러 번 바뀌었다. 그러나 칼케돈 공의회의 결정은 동방 정교회(그리스 정교), 가톨릭 교회, 전통적인 개신교 교파들의 공식 교리로 남았다. 비칼케돈파 정교회는 동방 정교회라는 이름으로 묶인다.

20세기 이후, 가톨릭 교회와 동방 정교회(그리스 정교) 등에서는 비칼케돈파 정교회와의 대화가 진전되면서, 양측의 차이가 결정적인 것이 아니라 표현상의 문제라는 주장이 진지하게 고려되기 시작했다. 기독교의 여러 교파 지도자들은 그리스도론의 차이가 전통적으로 생각했던 것만큼 극단적이지 않다고 논의하고 있다.

4. 주요 쟁점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의 공식 μία φύσις τοῦ θεοῦ λόγου σεσαρκωμένη(육신이 되신 하느님의 말씀의 한 본성)에 기초한 미아피시테주의는 단성론으로 해석되기도 하지만, 시리아, 콥트, 아르메니아 교회는 미아피시테주의를 더 정확한 용어로 본다.[6] 제2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553)는 키릴로스의 구절을 받아들였지만 오해를 경계했다.[7]

양성론은 예수 그리스도가 두 본성뿐만 아니라 두 위격을 가진다는 네스토리우스주의적 견해를 포함하는 넓은 용어이며, 단성론은 신성과 인간성이 합성된 단일 본성을 가진다는 유티케스주의적 견해를 포함한다.[8][9] 미아피시테주의는 유티케스주의를 거부하며, 성육신하신 그리스도가 신성과 인간성의 특징을 모두 유지하는 하나의 "본성"을 가진다고 가르친다. 동방 정교회는 "단성론자"라는 명칭을 거부하며, 두 본성의 존재 연속성을 고백한다.[10]

2014년 성공회–동방 정교회 국제 위원회는 '단성론자'라는 용어가 유티케스주의를 암시하여 오해를 일으킨다고 언급하며, 동방 정교회의 키릴로스적 가르침을 지칭하기 위해 '미아피시테'라는 정확한 용어를 사용한다고 밝혔다.[11]

알렉산드리아 교리 학교는 그리스도의 신성을 강조한 반면, 안티오크 학파는 예수의 인간성을 강조했다. 이 두 학파 간의 신학적, 정치적 경쟁은 용어 갈등의 원인이 되었다.[12] 451년 칼케돈 공의회는 디오스코루스가 주재했던 이전 공의회를 무효화하고, 교황 레오 1세의 서신을 받아들여 칼케돈 신조를 발표했다. 이 신조는 그리스도가 혼합되지 않고, 변하지 않고, 분리되지 않는 두 본성 안에서 인정받으며, 두 본성의 차이는 연합으로 제거되지 않고 각 본성의 속성이 보존되어 한 인격과 한 위격으로 합치된다고 정의한다.

5. 현대적 대화와 합의

20세기 이후, 가톨릭 교회, 동방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간의 대화가 진전되면서, 기독론에 대한 상호 이해가 깊어졌다.[18] 여러 신학적 합의를 통해, 양측의 차이가 결정적인 것이라기보다는 표현상의 문제일 수 있다는 주장이 진지하게 고려되기 시작했다.[16] 동방 정교회오리엔트 정교회 간의 비공식적 대화는 1964년에 시작되었고, 1985년부터 공식적인 대화가 시작되었다.[18] 그러나 이러한 합의가 친교 회복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20]

6. 미아피시테 교단

비(非)칼케돈파 정교회에는 칼케돈 공의회 직후 분리된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콥트 정교회(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청의 보호를 받는 British Orthodox Church|영국 정교회영어), 시리아 정교회와 그 흐름을 잇는 인도 정교회(Malankara Orthodox Syrian Church|말란카라 시리아 정교회영어 및 Malankara Jacobite Syrian Orthodox Church|야코브파 시리아 정교회영어), 콥트 정교회에서 독립한 에티오피아 정교회, 그리고 에티오피아 정교회에서 분리되어 새롭게 독립 정교회가 된 에리트레아 정교회가 있다.

하나 또는 여러 독립 가톨릭 교회가, 여러 이유로 위의 교회와는 완전한 친교 관계에 있지 않지만, 이 기독론을 채택하고 있다. 그 예로는 Antiochian Catholic Church in America|미국 안티오키아 가톨릭 교회영어가 있다. 근년의 신학적 담론에서, 가톨릭 교회, 동방 정교회(그리스 정교회), 복고 가톨릭 교회, 성공회의 신학자 중에는, 합성론을 칼케돈 신조와 일치하지만 차이도 있는 것으로 받아들이기 시작한 사람도 있다.

7. 기타

이러한 논쟁에서 사용된 그리스어 전문 용어(우시아(οὐσία), 퓌시스(φύσις), 휘포스타시스, 프로소폰(πρόσωπον) 등)의 번역과 이해에 있어서 많은 차이가 존재했다.[23] 주요 용어로는 '우시아'(οὐσία, 실체), '퓌시스'(φύσις, 본성), 휘포스타시스(ὑπόστᾰσις), '프로소폰'(πρόσωπον, 위격)이 있다. 그리스어에서도 이들 단어의 의미는 어느 정도 겹친다. 이러한 전문 용어가 다른 언어로 번역될 때, 이 용어들이 서로 다르다는 점이 강조되는 경향이 있었다. 시리아어에서는 '퓌시스'는 '캐나'(ܟܝܢܐ), '휘포스타시스'는 '크노마'(ܩܢܘܡܐ)로 번역되었다. 그러나 페르시아 교회, 즉 동 시리아 교회에서는 '크노마'가 본성을 의미하여, 지칭하는 대상을 깊이 구별할 수 없다는 상황이 발생했다. 의미의 미세한 차이는 이러한 용어들 사이에서 더욱 모호해졌고, 이 용어들은 대응하는 그리스어와 달리 철학적인 의미로 사용될 수 없게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miaphysitism http://www.dictionar[...]
[2] 웹사이트 The Universal Church and Schisms https://ukmidcopts.o[...]
[3] 웹사이트 Agreed Statements between the Orthodox Church and the Oriental Orthodox Churches (June 1989 & September 1990) https://www.trinityo[...]
[4] 웹사이트 Agreed Statement by the Anglican-Oriental Orthodox International Commission http://www.anglicanc[...] 2020-10-22
[5] 서적 St. Cyril of Alexandria's Miaphysite Christology and Chalcedonian Dyophysitism: The Quest for the Phronema Patrum https://classicalchr[...]
[6] 서적 The Blackwell Companion to Eastern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9
[7] 문서 Denzinger in Latin, 429 http://catho.org/9.p[...]
[8] 서적 Bible Doctrine: Essential Teachings of the Christian Faith https://books.google[...] Zondervan
[9] 서적 John Henry Newman Sermons 1824–1843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10] 간행물 Interpretation of the Christological Official Agreements between the Orthodox Church and the Oriental Orthodox Churches http://www.metroplit[...] 1998-02-03
[11] 웹사이트 'Agreed Statement by the Anglican-Oriental Orthodox International Commission' (Holy Etchmiadzin, Armenia 5–10 November 2002. Revised. Cairo, Egypt 13–17 October 2014 http://www.anglicanc[...]
[12] 서적 Who Is Jesus?: An Introduction to Christology https://books.google[...] Liturgical Press 2003
[13] 웹사이트 Common declaration of Paul VI and Shenouda III http://www.vatican.v[...] Vatican 2020-09-16
[14] 웹사이트 Coptic Church Common Formula on Christology https://www.cam.org.[...] CAM
[15] 웹사이트 1990 Accordo dottrinale sulla cristologia tra Giovanni Paulo II e Mar Baselius Marthoma Mathews I http://www.christian[...] Vatican
[16] 웹사이트 Dichiarazione Comune di Giovanni Paolo II e del Patriarca Siro d'Antiochia Moran Mar Ignatius Zakka I Iwas http://www.christian[...] Vatican
[17] 웹사이트 Common Declaration of John Paul II and Catholicos Karekin I http://www.christian[...] Vatican
[18] 간행물 The Agreed Statements: Oriental Orthodox Responses https://suscopts.org[...] Coptic Orthodox Diocese of the Southern United States
[19] 서적 Growth in Agreement II. Reports and Agreed Statements of Ecumenical Conversations at World Level 1982–1998 http://archive.org/d[...] World Council of Churches 2000
[20] 문서 What Hinders the Full Communion between the Coptic Orthodox and the Eastern Orthodox https://www.academia[...]
[21] 서적 The Blackwell Companion to Eastern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2009
[22] 웹사이트 Nine Saints Ethiopian Orthodox Monastery: Monophysitism and Dyophysitism http://www.ninesaint[...]
[23] 서적 Saint Cyril of Alexandria and the Christological Controversy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