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해병원정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병원정대(MEU)는 미국 해병대의 신속 대응 부대로, 지휘 부대(CE), 지상 전투 부대(GCE), 항공 전투 부대(ACE), 군수 전투 부대(LCE)의 4가지 핵심 요소로 구성된다. MEU는 해상에서 15일간 자체적으로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상륙전, 인도적 지원, 비전투원 소개 작전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한다. MEU는 9개월의 육상 훈련과 6개월의 해상 배치를 반복하는 주기로 운용되며, 서해안, 동해안, 전방 배치 해병원정대로 나뉘어 배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해병대의 원정부대 - 제31해병원정대
    제31해병원정대는 서태평양 지역에 전진 배치되어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 미국 해병대의 해병원정대로, 군사 작전과 인도적 지원 활동에 참여하며 현재 일본 오키나와에 주둔하고 있다.
해병원정대
기본 정보
원어 이름Marine Expeditionary Unit
약칭MEU
종류해병공지기동대
역할특수 작전
규모원정대 별 해병, 수병 2,059명
소속 국가미국
소속 군미국 해병대
조직 및 역사
활동 기간(정보 없음)
명령 체계(정보 없음)
본부(정보 없음)
별명(정보 없음)
표어(정보 없음)
마스코트(정보 없음)
장비(정보 없음)
참전(정보 없음)
기념일(정보 없음)
장식(정보 없음)
훈장(정보 없음)
웹사이트(정보 없음)
지휘관
지휘관(정보 없음)
주요 지휘관(정보 없음)
기타
일본어 번역해병대 원정 대대
해병 기동 전개대
관련 정보
관련 용어프랑스 극동 원정군
해병 양용 부대

2. 구성 요소

1963년 미국 해병대 명령(Marine Corps Order) 3120.3이 발효되어 해병 공지 기동 부대(MAGTF)의 편성이 정식으로 정해짐에 따라, 기존의 대대 상륙팀(BLT)을 발전시킨 MAGTF로 해병원정대(MEU)가 지정되었다. MEU의 지휘관으로는 대령이 임명되며, 총 인원은 약 2,200명으로 구성된다.[3]

MEU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핵심 요소로 구성된다. 각 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 지휘 부대(CE): MEU 사령부 역할을 하며, 전체 부대에 대한 지휘 및 통제를 제공한다. 정찰, 항공·함포 사격 연락, 통신, 정보, 민사 작전 등을 위한 특수 분견대를 포함한다.[5]
  • 지상 전투 부대(GCE): 대대 상륙팀(BLT)을 기반으로 구성되어 지상 전투 임무를 수행한다. 보병대대를 중심으로 포병, 기갑, 공병 등 다양한 전투 및 지원 부대가 편성된다.[5]
  • 항공 전투 부대(ACE): 강화된 복합 비행대 형태로 구성되어 항공 작전을 지원한다. 헬리콥터, 틸트로터, 고정익 항공기 및 항공 통제 부대 등을 포함한다.[5]
  • 군수 전투 부대(LCE): 전투 군수 대대(CLB)를 기반으로 편성되어 MEU의 작전 지속을 위한 군수 지원을 담당한다. 보급, 정비, 의료, 수송, 공병 등 다양한 지원 기능을 제공한다.[5]


대부분의 MEU는 주기적으로 원정타격단(ESG, Expeditionary Strike Group영어)의 일부로 지중해, 서태평양, 대서양인도양 등 주요 해역에 전개된다. 원정타격단은 통상적으로 MEU 병력과 장비를 수송하는 3척의 상륙함과 이들을 호위하는 유도탄 순양함(CG), 유도탄 구축함(DDG), 공격 잠수함(SSN) 등으로 구성된다. 원정타격단 개념이 도입되기 이전에는 상륙준비단(ARG, Amphibious Ready Group영어)의 일부로 활동했다.

2. 1. 지휘 부대 (CE)

지휘 부대(CE)는 해병원정대(MEU) 지휘관과 그의 지원 참모들로 구성되며, MEU의 다른 세 부대(지상전투제대, 항공전투제대, 군수전투제대)에 대한 지휘 및 통제를 제공한다. 지휘 부대에는 정찰 및 감시, 항공·함포 사격 연락 부대, 특화된 통신, 무선 수색(SIGINT), 전자전, 첩보 및 방첩, 법 집행, 공보, 민사 임무 등을 수행하는 특수 분견대가 포함된다[5]. 전체 병력은 해군 군인을 포함하여 약 200명이다.

2. 2. 지상 전투 부대 (GCE)

지상 전투 부대(Ground Combat Elementeng, GCE)는 해병원정대의 지상 전투 임무를 수행하는 부대로, 대대 상륙팀(BLT, Battalion Landing Teameng)을 기반으로 구성된다.[5] GCE는 보병 대대를 중심으로 포병 중대(또는 포대), 전차 소대, 상륙돌격장갑차 소대, 경장갑 정찰 중대(또는 소대), 전투공병 소대, 정찰 소대 등이 편성된다. 임무와 상황에 따라 다른 부대가 추가로 지원될 수도 있다. 총 병력 규모는 해군 군인을 포함하여 약 1,100명[3]에서 1,200명[5] 정도이다.

GCE에 포함된 정찰 소대는 해양 특별 임무 부대(MSPF, Maritime Special Purpose Forceeng)의 기본 요소로서 제공되기도 한다. MSPF는 은밀한 특수 작전 임무 수행을 위해 편성된 MEU의 하위 그룹으로, 공격 소대(미국 해병대 특수 정찰대에서 증강된 직접 행동 소대), 경비 소대(대대 상륙 팀에서 선발된 보병 소대), 정찰 및 감시 자산, 그리고 본부 섹션의 4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총 병력은 해군 군인을 포함하여 약 350명이다.

2. 3. 항공 전투 부대 (ACE)

항공 전투 부대(ACE, Aviation Combat Elementeng)는 미국 해병대의 해병원정대(MEU)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 중 하나로, 항공 작전을 담당한다. 강화된 복합 비행대 형태로 구성되며, 때로는 집성 비행대(Composite Squadroneng)라고도 불린다.[5]

ACE의 핵심은 해병 중형 틸트로터 비행대대(VMM)이며, 여기에 임무에 따라 다양한 항공 자산이 추가로 편성된다. 여기에는 중(重) 헬리콥터, 경(輕) 헬리콥터, 공격 헬리콥터 파견대가 포함된다. 또한 수직 이착륙이 가능한 고정익 공격기수송기 파견대도 작전에 따라 합류한다.[5]

원활한 항공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해병 항공 통제 그룹(MACG) 파견대가 배속된다. 이들은 전술 항공 지휘, 항공 교통 관제, 직접 항공 지원, 대공 자산 운용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이 외에도 비행단 본부, 통신, 지원 비행대대 인력 등이 포함된다. ACE의 총 병력 규모는 약 600명 수준이다.

2. 4. 군수 전투 부대 (LCE)

군수 전투 부대(Logistics Combat Element|LCE영어)는 과거 전투근무지원제대(Combat Service Support Element|CSSE영어)로 불렸으며, 전투 군수 대대(CLB)를 기반으로 편성된다. CLB는 이전에는 해병 원정대 지원단(MSSG)으로 불렸다.[5] LCE는 해병 원정대(MEU)가 제한적인 원정 환경에서 최대 15일 동안 자체적으로 작전을 수행하고 유지하는 데 필요한 모든 군수 전문가와 장비를 제공한다.

약 300명의 해병수병으로 구성되며, 종종 MEU 근무지원단이라고도 불린다. LCE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소대 또는 파견대로 구성되어 MEU의 지속적인 작전 능력을 보장한다.[5]

  • 지원 서비스: 우편 및 지급 등
  • 의무: 의료 지원
  • 치과: 치과 진료
  • 정비: 중간 수준의 장비 정비
  • 보급: 소모품 및 2차 수리 가능 품목 보급, 유틸리티 생산 및 배포
  • 수송: 물자 배포 및 상륙 지원
  • 폭발물 처리 (EOD)
  • 공병: 시설 구축 및 유지 보수
  • 연료: 대량 연료 보급 및 관리
  • 통신: 내부 통신 지원
  • 헌병: 군기 유지 및 질서 확립
  • 기타 다양한 기술 전문가 지원

3. 주요 장비

(일반적으로 미국 본토에 주둔)항공5보잉 인시투 RQ-21 블랙잭 무인 항공기항공2역삼투압 정수 장치군수1LMT 3000 정수 장치군수4굴절식 타이어 트랙터군수2TX51-19M 험지 지형 지게차군수3D7 불도저군수1중형 전술 차량 교체 덤프 트럭군수4Mk48 물류 차량 시스템군수7500gal 물통 (물탱크)다수63험비다수30중형 전술 차량 교체 트럭다수



현재 여러 종류의 장비가 교체 단계에 있거나 교체될 예정이다. 예를 들어 상륙 전투 차량이 AAV7을 대체하고, F-35 라이트닝 II가 AV-8B 해리어를 대체하며, CH-53K 킹 스탤리온이 CH-53E 슈퍼 스탤리온을 대체하는 등 장비 현대화가 진행 중이다. 각 부대별 상세 장비 내역은 하위 문단을 참조하라.

3. 1. 지상 전투 부대 (GCE)

'''지상 전투 부대'''('''GCE''')는 보병 대대인 ''대대 상륙 팀''(''BLT'')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이 BLT는 포병대, 상륙 돌격 장갑차 소대, 전투 공병 소대, 미국 해병대 경장갑 정찰 중대, 미국 해병대 정찰대대의 정찰 소대 및 임무와 상황에 따라 필요한 기타 부대로 보강된다. 총 병력은 해군 군인을 포함하여 약 1,100명이다.

지상 전투 부대가 운용하는 장비는 다음과 같다.

지상 전투 부대(GCE) 운용 장비
구분명칭수량
화포M777 155mm 곡사포6문[5]
M327 120mm 박격포6문[5]
M252 81mm 박격포8문[5]
M224 60mm 박격포9문[5]
군용 차량M1A1 주력 전차4량[5]
AAV7 수륙양용강습차15량[5]
LAV 궤도장갑차7~17량[5]
MTVR 7t 트럭31량[5]
험비105량[5]
M1161 ITV8~17량[5]


3. 2. 항공 전투 부대 (ACE)

'''항공 전투 요소'''('''ACE''')는 미 해병대의 복합 비행대대(강화)로, 중형 틸트로터 비행대대에 중(重) 헬기, 경(輕) 헬기 및 공격 헬기 파견대, 수직 이착륙이 가능한 제트기 파견대, 그리고 전술 항공 지휘, 항공 교통 관제, 직접 항공 지원, 대공 자산을 갖춘 해병 항공 통제 그룹 파견대와 비행단 본부, 비행단 통신, 비행단 지원 비행대대 인원으로 구성된다. 총 병력은 약 600명이다.

3. 3. 군수 전투 부대 (LCE)

'''군수 전투 지원 부대'''('''LCE''', 구칭 ''전투 지원 부대'' 또는 ''CSSE'')는 해병 원정대 전투 군수 대대(CLB, 구칭 ''해병 원정대 지원단'' 또는 ''MSSG'')를 기반으로 한다. 이 부대는 MEU가 열악한 원정 환경에서 최대 15일 동안 자체적으로 지원하고 유지하는 데 필요한 모든 군수 전문가와 장비를 갖추고 있다. 여기에는 지원 서비스(우편 및 지급), 의무, 치과, 중간 정비, 중간 보급(소모품 및 2차 수리 가능 품목), 수송(배포 및 상륙 지원), 폭발물 처리, 유틸리티 생산 및 배포, 대량 연료, 내부 통신 및 기타 다양한 기술 전문가가 포함된다. 이 부대는 해군 수병을 포함하여 약 300명의 구성원으로 구성된다.

LCE가 운용하는 주요 장비는 다음과 같다.

장비 종류수량
MTVR 7t 트럭15량[5]
험비18량[5]
레커차2량[5]
불도저2량[5]
지게차3량[5]
탱크로리4량[5]
급수차2량[5]
전차 구난차1량[5]
양용 구난차1량[5]
정수 장치2~5기[5]
비전투원 등록 장치2기[5]


4. 배치

해병원정대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평시에도 교대로 해상 대기 및 전개를 실시한다는 점이다. 이는 미국 해군 상륙함에 탑승하여 상륙준비단(ARG) 또는 원정타격단(ESG)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주로 ESG 내에서 배치되며, ESG는 통상 3척의 상륙전 함선과 유도 미사일 순양함(CG), 유도 미사일 구축함(DDG), 그리고 잠수함(SSN)의 지원을 받는다. 이러한 해상 기지화를 통해 해병원정대는 짧은 통지 기간 내에 전 세계 어디든 전개할 준비 태세를 갖춘다.

각 해병원정대는 15개월 주기로 운영된다. 이 중 9개월은 미국 본토 등 육상 기지에서 훈련하며, 이후 6개월간 해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순환 배치를 통해 7개의 해병원정대 중 최소 2개 부대가 항상 전방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훈련 및 배치 주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제31 해병원정대의 해병대원들이 2022년 필리핀해에서 USS 그린 베이(LPD-20) 상륙 수송 도크 함정에서 훈련을 하고 있다.

4. 1. 부대 목록

미국 태평양 해병대 예하 제1해병원정군제3해병원정군은 인도-아시아 및 중동 지역까지 관할한다. 서해안 해병원정대는 제1해병원정군 소속으로 캘리포니아주의 MCBC 펜들턴에 주둔하며, 주요 작전 지역은 서부 태평양인도양 (페르시아만 포함)이다.[2]

동해안 해병원정대는 대서양부터 유럽, 아프리카 대륙과 지중해를 담당하는 제2해병원정군 소속으로 노스캐롤라이나주 MCBC 르죈에 주둔하고 있다.[2]

제31해병원정대는 소속 부대인 제3해병원정군과 함께 유일하게 영구적으로 전방 배치된 부대로서, 해외인 일본 오키나와현 캠프 핸슨에 주둔한다. 약 2,200명 규모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반도 유사시 가장 먼저 증원되는 부대 중 하나이다.[7][2]

해병원정대의 목록
소속휘장이름본부
서해안 해병원정대

제1해병원정군
제11해병원정대캘리포니아주
MCBC 펜들턴
제13해병원정대
제15해병원정대
동해안 해병원정대

제2해병원정군
제22해병원정대노스캐롤라이나주
MCBC 르죈
제24해병원정대
제26해병원정대
전방 배치 해병원정대

제3해병원정군
제31해병원정대일본 오키나와현
캠프 핸슨


참조

[1] 웹사이트 What is a MEU? http://www.iimefpubl[...] 2008-09-10
[2] 웹사이트 profile http://www.globalsec[...]
[3] 웹사이트 在日米海兵隊 https://www.japan.ma[...] 2021-07-19
[4] 웹사이트 平成18年版 防衛白書 第4章 日米安全保障体制の強化 http://www.clearing.[...] 2021-07-21
[5] 보고서 Amphibious Ready Group And Marine Expeditionary Unit Overview https://www.marines.[...] 2021-07-20
[6] 간행물 Amphibious Ready Group and Marine Expeditionary Unit Overview
[7] 뉴스 한미 해병대가 시가전 훈련장에 간 까닭은?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1-03-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