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원정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병원정대(MEU)는 미국 해병대의 신속 대응 부대로, 지휘 부대(CE), 지상 전투 부대(GCE), 항공 전투 부대(ACE), 군수 전투 부대(LCE)의 4가지 핵심 요소로 구성된다. MEU는 해상에서 15일간 자체적으로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상륙전, 인도적 지원, 비전투원 소개 작전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한다. MEU는 9개월의 육상 훈련과 6개월의 해상 배치를 반복하는 주기로 운용되며, 서해안, 동해안, 전방 배치 해병원정대로 나뉘어 배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해병대의 원정부대 - 제31해병원정대
제31해병원정대는 서태평양 지역에 전진 배치되어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 미국 해병대의 해병원정대로, 군사 작전과 인도적 지원 활동에 참여하며 현재 일본 오키나와에 주둔하고 있다.
해병원정대 | |
---|---|
기본 정보 | |
원어 이름 | Marine Expeditionary Unit |
약칭 | MEU |
종류 | 해병공지기동대 |
역할 | 특수 작전 |
규모 | 원정대 별 해병, 수병 2,059명 |
소속 국가 | 미국 |
소속 군 | 미국 해병대 |
조직 및 역사 | |
활동 기간 | (정보 없음) |
명령 체계 | (정보 없음) |
본부 | (정보 없음) |
별명 | (정보 없음) |
표어 | (정보 없음) |
마스코트 | (정보 없음) |
장비 | (정보 없음) |
참전 | (정보 없음) |
기념일 | (정보 없음) |
장식 | (정보 없음) |
훈장 | (정보 없음) |
웹사이트 | (정보 없음) |
지휘관 | |
지휘관 | (정보 없음) |
주요 지휘관 | (정보 없음) |
기타 | |
일본어 번역 | 해병대 원정 대대 해병 기동 전개대 |
관련 정보 | |
관련 용어 | 프랑스 극동 원정군 해병 양용 부대 |
2. 구성 요소
1963년 미국 해병대 명령(Marine Corps Order) 3120.3이 발효되어 해병 공지 기동 부대(MAGTF)의 편성이 정식으로 정해짐에 따라, 기존의 대대 상륙팀(BLT)을 발전시킨 MAGTF로 해병원정대(MEU)가 지정되었다. MEU의 지휘관으로는 대령이 임명되며, 총 인원은 약 2,200명으로 구성된다.[3]
MEU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핵심 요소로 구성된다. 각 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 지휘 부대(CE): MEU 사령부 역할을 하며, 전체 부대에 대한 지휘 및 통제를 제공한다. 정찰, 항공·함포 사격 연락, 통신, 정보, 민사 작전 등을 위한 특수 분견대를 포함한다.[5]
- 지상 전투 부대(GCE): 대대 상륙팀(BLT)을 기반으로 구성되어 지상 전투 임무를 수행한다. 보병대대를 중심으로 포병, 기갑, 공병 등 다양한 전투 및 지원 부대가 편성된다.[5]
- 항공 전투 부대(ACE): 강화된 복합 비행대 형태로 구성되어 항공 작전을 지원한다. 헬리콥터, 틸트로터, 고정익 항공기 및 항공 통제 부대 등을 포함한다.[5]
- 군수 전투 부대(LCE): 전투 군수 대대(CLB)를 기반으로 편성되어 MEU의 작전 지속을 위한 군수 지원을 담당한다. 보급, 정비, 의료, 수송, 공병 등 다양한 지원 기능을 제공한다.[5]
대부분의 MEU는 주기적으로 원정타격단(ESG, Expeditionary Strike Group영어)의 일부로 지중해, 서태평양, 대서양 및 인도양 등 주요 해역에 전개된다. 원정타격단은 통상적으로 MEU 병력과 장비를 수송하는 3척의 상륙함과 이들을 호위하는 유도탄 순양함(CG), 유도탄 구축함(DDG), 공격 잠수함(SSN) 등으로 구성된다. 원정타격단 개념이 도입되기 이전에는 상륙준비단(ARG, Amphibious Ready Group영어)의 일부로 활동했다.
2. 1. 지휘 부대 (CE)
지휘 부대(CE)는 해병원정대(MEU) 지휘관과 그의 지원 참모들로 구성되며, MEU의 다른 세 부대(지상전투제대, 항공전투제대, 군수전투제대)에 대한 지휘 및 통제를 제공한다. 지휘 부대에는 정찰 및 감시, 항공·함포 사격 연락 부대, 특화된 통신, 무선 수색(SIGINT), 전자전, 첩보 및 방첩, 법 집행, 공보, 민사 임무 등을 수행하는 특수 분견대가 포함된다[5]. 전체 병력은 해군 군인을 포함하여 약 200명이다.2. 2. 지상 전투 부대 (GCE)
지상 전투 부대(Ground Combat Elementeng, GCE)는 해병원정대의 지상 전투 임무를 수행하는 부대로, 대대 상륙팀(BLT, Battalion Landing Teameng)을 기반으로 구성된다.[5] GCE는 보병 대대를 중심으로 포병 중대(또는 포대), 전차 소대, 상륙돌격장갑차 소대, 경장갑 정찰 중대(또는 소대), 전투공병 소대, 정찰 소대 등이 편성된다. 임무와 상황에 따라 다른 부대가 추가로 지원될 수도 있다. 총 병력 규모는 해군 군인을 포함하여 약 1,100명[3]에서 1,200명[5] 정도이다.GCE에 포함된 정찰 소대는 해양 특별 임무 부대(MSPF, Maritime Special Purpose Forceeng)의 기본 요소로서 제공되기도 한다. MSPF는 은밀한 특수 작전 임무 수행을 위해 편성된 MEU의 하위 그룹으로, 공격 소대(미국 해병대 특수 정찰대에서 증강된 직접 행동 소대), 경비 소대(대대 상륙 팀에서 선발된 보병 소대), 정찰 및 감시 자산, 그리고 본부 섹션의 4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총 병력은 해군 군인을 포함하여 약 350명이다.
2. 3. 항공 전투 부대 (ACE)
항공 전투 부대(ACE, Aviation Combat Elementeng)는 미국 해병대의 해병원정대(MEU)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 중 하나로, 항공 작전을 담당한다. 강화된 복합 비행대 형태로 구성되며, 때로는 집성 비행대(Composite Squadroneng)라고도 불린다.[5]ACE의 핵심은 해병 중형 틸트로터 비행대대(VMM)이며, 여기에 임무에 따라 다양한 항공 자산이 추가로 편성된다. 여기에는 중(重) 헬리콥터, 경(輕) 헬리콥터, 공격 헬리콥터 파견대가 포함된다. 또한 수직 이착륙이 가능한 고정익 공격기 및 수송기 파견대도 작전에 따라 합류한다.[5]
원활한 항공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해병 항공 통제 그룹(MACG) 파견대가 배속된다. 이들은 전술 항공 지휘, 항공 교통 관제, 직접 항공 지원, 대공 자산 운용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이 외에도 비행단 본부, 통신, 지원 비행대대 인력 등이 포함된다. ACE의 총 병력 규모는 약 600명 수준이다.
2. 4. 군수 전투 부대 (LCE)
군수 전투 부대(Logistics Combat Element|LCE영어)는 과거 전투근무지원제대(Combat Service Support Element|CSSE영어)로 불렸으며, 전투 군수 대대(CLB)를 기반으로 편성된다. CLB는 이전에는 해병 원정대 지원단(MSSG)으로 불렸다.[5] LCE는 해병 원정대(MEU)가 제한적인 원정 환경에서 최대 15일 동안 자체적으로 작전을 수행하고 유지하는 데 필요한 모든 군수 전문가와 장비를 제공한다.약 300명의 해병과 수병으로 구성되며, 종종 MEU 근무지원단이라고도 불린다. LCE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소대 또는 파견대로 구성되어 MEU의 지속적인 작전 능력을 보장한다.[5]
- 지원 서비스: 우편 및 지급 등
- 의무: 의료 지원
- 치과: 치과 진료
- 정비: 중간 수준의 장비 정비
- 보급: 소모품 및 2차 수리 가능 품목 보급, 유틸리티 생산 및 배포
- 수송: 물자 배포 및 상륙 지원
- 폭발물 처리 (EOD)
- 공병: 시설 구축 및 유지 보수
- 연료: 대량 연료 보급 및 관리
- 통신: 내부 통신 지원
- 헌병: 군기 유지 및 질서 확립
- 기타 다양한 기술 전문가 지원
3. 주요 장비
(일반적으로 미국 본토에 주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