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1해병원정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31해병원정대는 1967년 베트남 전쟁 참전을 위해 창설된 부대로, 이후 해병대 양용대로 개칭되어 서태평양 및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임무를 수행했다. 레바논 파병을 마지막으로 1985년 해산되었으나, 1992년 특수 작전 수행 능력을 갖춘 부대로 재편성되었다. 이라크 전쟁, 동티모르 파병, 동일본 대지진 구호 활동 등 다양한 작전에 참여했으며, 현재는 지상전투부대, 항공전투부대, 군수전투부대로 구성되어 임무에 따라 유연하게 편성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해병대의 원정부대 - 해병원정대
해병 원정대는 상륙 작전 및 지상전을 수행하기 위해 지휘, 지상 전투, 항공 전투, 군수 전투 부대로 편성된 군사 조직으로, 공중-지상 기동 부대 개념을 구현하고 자급자족 능력을 갖춰 신속한 작전 수행을 지원하며 특정 지역 안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이라크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부대 및 편성 - 제187보병연대 (미국)
제187보병연대는 "락카산"이라는 별칭으로 알려진 미국 육군의 보병 연대로, 여러 주요 군사 작전에 참전했으며 한국 전쟁에서 4명의 명예 훈장 수훈자를 배출했고 현재 제101공수사단에 배속되어 활약하고 있다. - 이라크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부대 및 편성 - 제75레인저연대
제75레인저연대는 미군의 정예 연대급 부대로, '레인저'라는 명칭은 정예부대의 상징으로 여겨져 각 전쟁마다 강인한 부대들에게 붙여졌으며, 주요 군사 작전에 투입되어 혁혁한 공을 세웠고, 현대에는 신속한 deployment에 특화된 3개의 레인저 대대로 편성되어 있다. - 1985년 폐지 - 삼성동 (강남구)
삼성동은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속하는 법정동으로, 봉은사, 선정릉, 코엑스 등의 주요 시설과 여러 지하철 노선 및 교육 시설을 갖추고 있다. - 1985년 폐지 - 역곡동
역곡동은 부천시에 있는 행정동으로, 조선시대부터 시작된 역사를 가지며 역곡역 신설과 함께 발전하여 현재는 3개의 동으로 나뉘었고, 교육기관이 많으며 역원 또는 벌판 끝자락 마을에서 유래한 지명을 가지고 있다.
| 제31해병원정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 부대 정보 | |
| 부대명 | 제31해병원정대 |
| 영어 부대명 | 31st Marine Expeditionary Unit (31st MEU) |
| 별칭 | SAVAGE |
| 표어 | Ready, Partnered, Lethal (준비된, 협력하는, 치명적인) |
| 상징 | 31st MEU 위기 대응군 휘장 |
| 웹사이트 | 제31해병원정대 공식 웹사이트 |
| 개요 | |
| 소속 | 미국 해병대 |
| 종류 | 해병원정대 (Marine Air Ground Task Force) |
| 역할 | 전방 배치된 원정 위기 대응군 |
| 규모 | 약 2,200명의 해병 및 해군 병력 |
| 지휘 체계 | 제3해병원정군 |
| 주둔지 | 캠프 핸슨, 해병대 기지 캠프 버틀러 |
| 특기 | 해병 항공-지상 태스크 포스 위기 대응군 |
| 역사 | |
| 창설일 | 1967년 3월 1일 |
| 해체일 | 1985년 5월 |
| 재창설일 | 1992년 9월 2일 |
| 주요 작전 | |
| 참전 | 베트남 전쟁 유니온 작전 이글 풀 작전 프리퀀트 윈드 작전 레바논 다국적군 남부 감시 작전 데저트 폭스 작전 이라크 자유 작전 팬텀 퓨리 작전 캐링 리스폰스 작전 도모다치 작전 |
| 지휘관 | |
| 현재 지휘관 | 크리스 P. 니에지오차 대령 |
2. 역사
제31해병원정대는 1967년 베트남 전쟁 참전을 위해 편성된 "알파 특별 상륙 부대"가 기원이다. 1970년 "제31해병대 양용대"(31st Marine Amphibious Unit, MAU)로 개칭된 후, 서태평양과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전진 배치 부대로 활동했다. 1983년에는 레바논에 파견되어 다국적군의 일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1985년 해체되었다가 1992년 "제31해병원정대(특수작전 능력)"로 재창설되었다.
1998년 이라크 근해에 전개되었고, 1999년부터 동티모르 국제군과 국제 연합 동티모르 임시 행정 기구에 요원을 파견했다. 2003년 이라크 전쟁에 참전했으며, 2004년 팔루자 전투에 투입되었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 토모다치 작전에 참여하여 센다이 공항 복구 등을 지원했다. 특히 오시마섬에서는 주민들에게 필요한 물품을 전달하고, 전력 복구 및 임시 샤워 시설 설치를 지원하여 주민들의 생활 안정에 기여했다.
2014년 세월호 침몰 사고 당시 구조를 위해 현장에 접근했으나, 대한민국 정부가 현장 접근을 거부하고, 알 수 없는 이유로 사고 현장에서 9km 떨어진 지점의 수색을 요청하여 직접적인 구조 활동을 하지 못했다.
이후에도 제31해병원정대는 필리핀, 미얀마, 인도네시아, 일본, 북마리아나 제도 등지에서 발생한 자연재해에 대한 인도적 지원 및 재난 구호 활동에 꾸준히 참여하고 있다.
2. 1. 창설과 베트남 전쟁 (1967년 ~ 1975년)
1967년 3월 1일, 제31해병원정대는 베트남 전쟁 참전을 위해 "알파 특별상륙군"(Special Landing Force Alpha)으로 창설되었다.[1] 1967년 4월 10일 오키나와현에서 베트남 해안으로 첫 상륙 작전을 시작했다.[1]첫 번째 작전은 1967년 4월 14일 일본 미나미코 섬 인근에서 태풍 바이올렛으로 좌초된 파나마 선박 SS 실버 피크호의 선원을 구조한 것이었다.[1] 며칠 후, 베트남에서 수색 및 파괴 임무인 유니언 작전에 투입되었다.[1]
이후 3년 동안 알파 특별 상륙 부대는 대통령 부대 표창을 받았으며, 1969년 구정 공세를 포함하여 베트남 전쟁의 해안에서 지속적인 전투 작전에 참여했고, 부대 재장비 및 병력 교체를 위해 주기적으로 오키나와로 복귀했다.[1]
1970년 11월 24일, 알파 특별 상륙 부대는 공식적으로 제31해병상륙단(MAU)으로 지정되었다.[1] 부대는 다시 통킹만으로 돌아갔으나, 베트남 전쟁이 종식되면서 공개적인 육상 작전에 투입되지 않았다. 제31해병상륙단은 1971년 5월까지 주둔 임무와 특수 작전을 수행했고, 1971년 6월부터 1975년 4월까지 베트남 인근 해역에 여러 차례 배치되었다.[1]
1975년 4월 12일, 제31해병상륙단은 프놈펜 캄보디아의 미국 대사관 공중 철수 작전인 이글 풀 작전을 위해 태국만으로 이동했다.[1] 이어서 1975년 4월 29일 북베트남군이 사이공에 진입하면서 사이공 함락의 마지막 철수 작전이었던 프리퀀트 윈드 작전에 참여했다.[1]
2. 2. 1980년대와 1990년대
1980년대 초, 제31해병원정대는 1984년 방글라데시 홍수 등 인도적 지원 활동에 참여했다.[2] 1983년, 케냐에서 현지 군과 연합 훈련을 하던 제31해병원정대는 지중해로 이동하여 미국 다국적 평화 유지군 지원 임무를 수행했다.[2] 이들은 자매 부대인 제24해병원정대가 베이루트 폭탄 테러 공격을 받은 후 지휘 작전을 인수했다.[2] 1985년 5월, 제31해병원정대는 샌디에이고 해안에서 해체되었다.[2]1992년 9월 9일, 제31해병원정대는 "제31해병원정대(특수작전가능)"(31st Marine Expeditionary Unit (Special Operations Capable))로 재창설되었다.[2][3] 1994년, 부대는 일본 오키나와의 캠프 한센으로 본부를 이전했다.[2]
2. 3. 이라크 전쟁과 동티모르 파병 (1998년 ~ 2003년)
1998년 말, 이라크가 유엔의 무기 사찰을 거부하자, 제31해병원정대는 페르시아 만에 전개되어 남부 감시 작전과 사막의 여우 작전에 참여했다.[1] 1998년 11월 초, 폴 이글 훈련을 마친 4척의 상륙군 수송함(ARG)은 오키나와섬으로 이동하여 제31해병원정대를 탑재했다.[1] 괌에서 시가전 훈련 중이던 2,000명의 해병대원과 오키나와에 있던 해병대원들은 단 이틀 만에 출동 준비를 마쳤다.[1] 11월 9일부터 11일 오전 사이에 장비, 무기 및 화물 170개 이상의 팔레트를 적재했고, 엘 토로 해병대 항공기지의 C-5 갤럭시 수송기가 정비 물품과 도구를 싣고 11월 10일에 도착하여 항공 전투 부대를 보충했다.[1]1999년부터 2000년까지 제31해병원정대는 동티모르 분쟁 해결을 위해 동티모르 국제군(INTERFET)과 유엔 동티모르 과도 행정 기구(UNTAET)에 요원을 파견했다.[1][6] 1999년 9월부터 11월까지 제11상륙전대(PhibRon 11)와 함께 호주 국방군(ADF)의 동티모르 작전을 지원했으며, 항공 전투 부대(ACE)와 대대 상륙팀(BLT)의 일부가 동티모르 작전을 지원했다.[5] USS 벨로우 우드(LHA-3)에 탑승한 해병과 해군은 피터 코스그로브 호주 육군 소장이 지휘하는 INTERFET을 지원하기 위해 함선의 대형 비행 갑판을 연합 공중 작전의 발사 및 재급유 플랫폼으로 사용했다.[5]
2000년 1월, 제2대대 5연대 골프 중대, 제1대대 5연대 찰리 중대, HMM-265, MEU 지원 지원 그룹 31 등 제31해병원정대(MEU)의 미군 부대는 USS 주노(LPD-10)에 탑승하여 동티모르에 배치되어 INTERFET에서 UNTAET로의 전환을 지원했다.[6]
2001년 9.11 테러 직후, 제31해병원정대는 동티모르에서 UNTAET 작전을 지원했다.[7] 9월 12일, 일본 오키나와에 있던 제31해병원정대의 제2대대 제5해병(BLT 2/5) 소속 해병들은 96시간 이내에 출동하라는 경고 명령을 받았고, 해군 함정들이 짐을 싣기 위해 이동 중이라는 통보를 받았다.[7] 93시간 만에 짐 싣기가 완료되었고, 제31해병원정대는 아프가니스탄으로 예상되는 목적지를 향해 남쪽으로 항해했으나, 싱가포르를 지날 때 목적지가 동티모르로 변경되었다.[7]
2003년에는 이라크 전쟁에 참전했다.[9]
2. 4. 21세기 주요 활동
2007년 9월 21일, 제31해병원정대 지휘부는 오키나와 캠프 한센에 있는 본부 건물을 라파엘 페랄타 상사에게 헌정했다. 페랄타 상사는 제31해병원정대 제1/3대대 알파 중대 제1소대 소속으로 유령의 분노 작전 중 이라크에서 사망했으며, 팔루자에서의 행동으로 해군 십자 훈장을 받았다.[4]
제31해병원정대는 2004년 이라크 전쟁 참전을 시작으로, 다양한 인도적 지원 및 재난 구호 활동에 참여했다. 주요 활동은 다음과 같다.
- 2006년 필리핀 남부 레이테 산사태 구호[4]
- 2008년 미얀마 사이클론 나르기스 피해 복구
- 2009년 필리핀 태풍 켓사나 및 태풍 파르마 피해 복구, 인도네시아 2009년 수마트라 지진 지원
- 2010년 필리핀 슈퍼 태풍 메기 피해 복구
-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발생 당시 토모다치 작전 투입, 오시마섬 지원, 센다이 공항 복구 등[5]
- 2013년 태풍 하이옌으로 피해를 입은 필리핀 지원
- 2014년 세월호 침몰 사고 현장 투입 (대한민국 정부의 구조 요청 거부로 직접적인 구조 활동은 못함)[19][20]
- 2015년 태풍 사우델로르 피해 복구[1]
- 2016년 2016년 구마모토 지진 구호 활동[2]
- 2018년 태풍 망쿳과 태풍 유투로 큰 피해를 입은 북마리아나 제도 복구 지원[1]
2. 4. 1. 이라크 전쟁 (2004년 ~ 2005년)
2004년 9월부터 2005년 3월까지, 제31해병원정대(MEU)는 이라크 전쟁에 참전하여 제1해병 제3연대 제1대대와 제12연대 찰리 포대를 배속받아 전투 작전을 수행했다. 특히 2004년 11월 팔루자에서 벌어진 유령의 분노 작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4]2. 4. 2. 특수작전가능부대 해제 (2006년)
2006년 해병대의 정찰 부대 조직 개편으로 인해, 모든 해병원정대(MEU)의 특수 작전 가능(SOC) 지정이 해제되었다.[4] 제31해병원정대는 이후 해상 비상 대기 부대로 명칭이 변경되었지만, 해상과 육상에서 동일하게 다양한 특수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유지하고 있다.2. 4. 3. 필리핀, 미얀마, 인도네시아 자연재해 지원 (2006년 ~ 2010년)
2006년 2월, 남부 레이테 산사태 발생 시 구호 지원을 위해 필리핀으로 파견되었다.[4] 2008년 5월과 6월에는 사이클론 나르기스가 미얀마를 강타한 후 자비로운 대응 작전에 참여했다.2009년 10월, 태풍 켓사나와 태풍 파르마가 연달아 필리핀 루손을 강타했을 때 인도적 지원 및 재난 구호 활동을 지원했다. 동시에, 제31해병원정대(MEU)의 일부 병력은 2009년 수마트라 지진 발생 후 인도네시아 수마트라를 지원했다.
2010년 10월에는 슈퍼 태풍 메기가 필리핀을 강타한 후 북부 루손에서 인도적 지원 및 재난 구호 작전을 수행했다.
2. 4. 4. 동일본 대지진 지원 (2011년)
2011년 3월 11일, 규모 9.0의 지진과 쓰나미가 발생하자, 제31해병원정대는 토모다치 작전에 참여하여 인도적 지원 및 재해 구호 활동을 전개했다.[5]3월 17일, 미국 해군 Essex과 함께 일본 아키타 해안에 도착하여 해안 감시 비행을 시작했다. 3월 22일에는 하치노헤 근처로 이동하여 해병 중형 헬리콥터 비행대대 262 (강화)의 헬리콥터를 통해 물, 담요, 위생용품 등 구호 물품을 육지로 수송했다. HMM-262 (REIN)는 총 15회의 정찰 임무와 204회의 물품 수송 임무를 수행했으며, 비행 시간은 거의 300시간에 달했다.[5]
3월 27일부터는 오시마섬 지원에 주력했다. 전투 물류 대대 31, 제2대대 5해병 연대 등 제31해병원정대 병력이 오시마 섬에 상륙하여 잔해를 제거하고 고립된 지역에 필수 물품을 전달하며 생명 유지 지원을 제공했다. 특히, 전투 물류 대대 31은 상업용 전기 유틸리티 차량, 연료 트럭, 급수 차량 등을 수송하여 섬에 부분적인 전력을 복구하는 데 기여했다. 또한, 해병대원들은 임시 샤워 시설을 만들어 주민들이 쓰나미 이후 처음으로 목욕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5]
해상자위대 헬기 탑재형 호위함 JS 휴가 (DDH 181)와 협력하여 옷, 담요, 식량 등을 섬의 이재민들에게 배포하기도 했다. 제31해병원정대는 육상자위대와 협력하여 15,000파운드의 물품을 섬으로 수송하고 항구, 도로, 해변에서 수 톤의 잔해를 제거했다.[5]
제31해병원정대는 센다이 공항 및 마쓰시마 기지 복구 지원에도 참여했으며, 특히 센다이 공항의 1500m 활주로 확보에 힘썼다.
2. 4. 5. 태풍 하이옌 지원 (2013년)
2013년 11월, 태풍 하이옌 발생 후 필리핀에서 재해 구호 작전을 지원했다. 제31해병원정대는 임무 교대 중이었으나, 긴급 대응 임무를 부여받고 미 국무부 및 합동 임무 부대 505와 협력하여 재해 구호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신속히 상륙함 USS 애슐랜드(LSD 48)와 USS 저먼타운(LSD 42)에 탑승했다.[1] 제31해병원정대의 항공 전투 부대인 제265해병 중형 틸트로터 비행대대는 415시간 이상 비행하며 지역 전역에 구호 물품을 전달했다.[1] 해병원정대의 나머지 병력은 필리핀 레이테 만에서 추가 지원이 필요하거나 다른 재해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비상 대기 부대로 해상에 머물렀다.[1]2. 4. 6. 세월호 침몰 사고 지원 (2014년)

2014년 4월 16일, 제31해병원정대를 태우고 한반도 서해안에서 정기적인 순찰 임무를 하던 USS 본험 리처드는 서남해안 진도 앞바다에서 여객선 세월호의 침몰 소식을 접한 직후, 오바마 행정부의 파견 지시를 받고 공해상에서 세월호 승객에 대한 탐색구조 작전을 위해 현장으로 향했다.[19]
그러나 대한민국 정부는 현장 접근을 거부하고, 17일에 알 수 없는 이유로 사고 현장에서 9km 떨어진 지점의 수색을 요청하였다. USS 본험 리처드와 제31해병원정대는 4월 22일까지 지정 구역을 수색하고 철수하였다.[20]
2. 4. 7. 태풍 사우델로르, 구마모토 지진 지원 (2015년 ~ 2016년)
2015년 8월 2일부터 8월 3일까지 태풍 사우델로르가 북마리아나 제도 사이판 섬을 강타했다. 제31해병원정대의 해병대원과 수병 약 600명이 재해 구호 활동을 위해 지방 및 연방 기관을 지원했다.[1] 2주에 걸쳐 제31해병원정대는 연방재난관리청(FEMA)에서 제공한 19000gal 이상의 물과 47,000개의 개별 식량을 섬 전역의 5개 배포처에 전달했다.[1] 해병대는 또한 사이판 주민들에게 366000gal의 식수를 추가로 배포했으며, 이 중 279000gal은 경량 정수 시스템과 전술 정수 시스템을 사용하여 정화되었다.[1] 제31해병원정대는 또한 적십자사에서 제공한 약 4535.92kg 이상의 긴급 물품을 배포했다.[1]2016년 4월 15일부터 4월 17일까지 일련의 지진이 일본 구마모토현을 강타하여 48명의 사망자와 약 10만 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2] 일본 정부의 요청에 따라, 제31해병원정대의 해병대원과 수병 약 130명이 일본 자위대가 주도하는 합동 임무 부대 친제이의 작전을 지원했다.[2] 4월 18일부터 4월 23일까지, 일본 해병대 항공기지 이와쿠니에서 운용되는 제31해병원정대 MV-22B 오스프리는 약 37194.54kg 이상의 식량, 물, 담요, 세면도구 및 기타 물품을 지진 피해자들에게 전달했다.[2]
2. 4. 8. 북마리아나 제도 태풍 피해 복구 지원 (2018년)
2018년 가을, 제31해병원정대(31st MEU)와 전투 물류 대대(CLB)-31은 북마리아나 제도 주민들을 지원하기 위해 파견되었다.9월 10일, 슈퍼 태풍 망쿳이 북마리아나 제도를 강타하여 로타섬과 사이판섬에 큰 피해를 입혔다. 이에 해병대원과 해군들은 와스프와 애슐랜드에 탑승하여 연방재난관리청(FEMA)을 지원했다. 이들은 도로를 정비하고, 63번의 공중 임무를 수행하여 지원 인력과 약 13154.17kg 이상의 화물을 주민들에게 전달했다. 망쿳 구호 활동은 9월 14일에 종료되었다.[1]
10월 25일, 슈퍼 태풍 유투가 티니안섬과 사이판섬을 강타했다. 이는 미국 본토를 강타한 역대 두 번째로 강력한 폭풍이었다. 제31해병원정대는 10월 29일에 도착하여 국제공항에 지휘소를 설치하고, 지역 지도부와 FEMA를 지원했다. 11월 3일에는 애슐랜드에 탑승한 후속 병력이 도착하여 정수, 도로 정비, 피해 평가 및 시립 시설 복구를 지원했다. 제31해병원정대와 CLB-31은 티니안에서 다중 부대 대응 노력을 이끌며, 수 마일에 달하는 도로를 정비하고, 20000gal 이상의 식수를 정수했으며, 150개 이상의 FEMA 제공 쉼터를 전달하고 조립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11월 14일, 이들의 임무는 해군 이동 건설 대대 1(Seabees)에게 인계되었다.[1]
3. 현재 편성
제31해병원정대는 약 2,000명의 해병대원과 100명의 해군 장병으로 편성된 제병 연합 부대이다. 지상전투부대, 항공전투부대, 군수전투부대를 갖춘 제병협동부대로, 임무에 따라 유연하게 편성된다.
사령부는 나고시, 온나손, 기노자촌, 킨초에 걸쳐있는 캠프 한센에 있다. 2011년 현재, 미국 해병대는 7개의 해병원정대를 상설 운용하고 있는데, 이 중 제31해병원정대는 미국 본토 외에 주둔하고 있는 유일한 부대이다. 다른 6개의 해병원정대는 3개씩 각 해병 원정군에 할당되어 있는 반면, 제3해병원정군 예하 해병원정대는 본 부대뿐이다.
정규 편성보다는 임무 부대 형태로 운영되기도 하며, 소속 부대는 순환 배치되는 부대가 많아 시기에 따라 바뀐다. 예를 들어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 친구 작전에는 제5해병연대 제2대대 대대 상륙팀, 제262해병중형헬기중대가 배속되었다.[16]
이러한 부대들이 연계함으로써 제31해병원정대는 소규모이면서도 독립적인 작전 행동이 가능하다. 또한, 사세보 및 요코스카에 전개되어 있는 제7함대의 수륙 양용 부대(제76임무부대/제7원정타격군)와 연계하여 신속하게 해상 기동하여 분쟁 지역으로 진출할 수 있기 때문에 서태평양 지역에서 태평양 해병대의 즉응 부대로 기능하고 있다.
3. 1. 지상전투부대 (Ground Combat Element, GCE)
통상적으로 제1해병사단에서 순환 배치되는 대대상륙팀(BLT)으로 구성된다. 현재는 제2대대, 제1해병연대가 배속되어 있다.[16]3. 2. 항공전투부대 (Aviation Combat Element, ACE)
1개 중형 틸트로터 비행대(VMM)와 1개 공격 비행대(VMA)로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제1해병항공단의 VMM-262 또는 VMM-265가 교대로 지정된다.[16] 현재는 VMM-262 (증원)이다.3. 3. 군수전투부대 (Logistics Combat Element, LCE)
제31전투군수대대가 이 임무를 맡는다.[16]4. 역대 지휘관
5. 부대 표창
| 리본 | 상 | 연도 | 추가 정보 |
|---|---|---|---|
![]() | 대통령 부대 표창 | 1967 | 베트남 |
| 해군 부대 표창 (금성 3개) | 1968, 1998, 2001–2003, 2004–2005 | 베트남, 서태평양, 이라크 | |
![]() | 우수 부대 표창 (금성 2개) | 1975, 1983, 1998–2000 | 베트남, 레바논 |
| 해병대 원정 메달 | 1983 | 레바논 | |
| 국가 방위 복무 메달 (금성 2개) | 1961–1974, 1990–1995, 2001–현재 | 베트남 전쟁, 걸프 전쟁, 테러와의 전쟁 | |
| 베트남 복무 메달 (은성 2개, 금성 4개) | 1967년 4월 - 1973년 3월, 1975년 3월 - 4월 | ||
| 테러와의 세계 전쟁 원정 메달 | 2004–2005 | 이라크 | |
![]() | 테러와의 세계 전쟁 복무 메달 | 2001 – 현재 | |
![]() | 베트남 용감무공 십자장 (팜 리본) |
참조
[1]
뉴스
Man the Boats
https://www.usni.org[...]
US Naval Institute
2018-06
[2]
웹사이트
Policy for Marine Expeditionary Units (MEU)
https://www.marines.[...]
Department of Navy
2015-10-29
[3]
웹사이트
Chapter 5: The Final Curtain, 1973 - 1975
https://web.archive.[...]
history.navy.mil
[4]
웹사이트
U.S. aids in Philippine mudslide relief effort
http://www.okinawa.u[...]
[5]
웹사이트
U.S. friends dig deep for isolated island / Cut off after the tsunami tore up its port, Oshima gets lifeline from Operation Tomodachi
http://www.yomiuri.c[...]
[6]
웹사이트
Bonhomme Richard on Call for Korean Ferry Rescue Efforts
http://www.navy.mil/[...]
United States Navy, Commander, U.S. Naval Forces Korea Public Affairs
2014-04-16
[7]
웹사이트
31st MEU's Col. Miller turns over command
https://www.stripes.[...]
[8]
웹사이트
31st MEU Reflects on '08
https://www.31stmeu.[...]
[9]
웹사이트
Damren relinquishes 31st MEU to MacMannis
https://www.31stmeu.[...]
[10]
웹사이트
31st MEU receives new commander, bids farewell to Col. MacMannis
http://www.31stmeu.m[...]
[11]
웹사이트
31st MEU CO steps down, inquiry into leadership style continues
https://www.marionst[...]
Marion Star
[12]
웹사이트
Dasmalchi assumes command of 31st MEU
https://www.31stmeu.[...]
[13]
웹사이트
31st MEU Media Guide 2017
https://www.31stmeu.[...]
[14]
웹사이트
Passing the Trident: 31st Marine Expeditionary Unit Change of Command from Col. Robert Brodie to Col. Michael Nakonieczny
https://today.citade[...]
2020-07-03
[15]
웹사이트
Colonel Michael R. Nakonieczny Commanding Officer - 31st Marine Expeditionary Unit
https://www.31stmeu.[...]
[16]
웹사이트
第31海兵遠征部隊が日本海沖に到着
http://www.okinawa.u[...]
2011-03-18
[17]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18]
뉴스
한미 해병대가 시가전 훈련장에 간 까닭은?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9-03-10
[19]
뉴스
Bonhomme Richard on Call for Korean Ferry Rescue Efforts
https://web.archive.[...]
United States Navy Public Affairs
2014-04-16
[20]
뉴스
세월호 침몰 당일 헬기 파견했던 미 함정…17일엔 침몰 지점 9km 떨어진 곳 수색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16-12-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