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리 다항식은 모든 유향 연환에 대해 정의되는 두 변수 다항식으로, 자명한 매듭에 대해서는 1의 값을 갖는다. 연환 그림의 국소적 수정을 통해 정의되는 세 연환의 홈플리 다항식 사이에는 특정 관계가 성립하며, 타래 관계를 통해 표현될 수 있다. 홈플리 다항식은 존스 다항식과 알렉산더 다항식을 포함하며, 정수 계수 로랑 다항식의 성질을 갖는다. 매듭의 연결합에 대한 곱셈적 성질, 거울 대칭 매듭 구별 능력, 그리고 방향 불변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천-사이먼스 이론에서 윌슨 고리의 기댓값으로 나타난다. 홈플리 다항식은 스케인 다항식 중 가장 일반화된 형태이며, 존스 다항식과 알렉산더 다항식의 정보를 모두 포함한다. 역사적으로는 알렉산더 다항식, 존스 다항식을 거쳐 여러 수학자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HOMFLY라는 이름은 발견자들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매듭 불변량 - 카우프먼 다항식 카우프먼 다항식은 매듭 이론에서 사용되는 다항식 불변량이며, 연환 그림에 대한 로랑 다항식을 통해 계산되고, 특수 직교군 및 심플렉틱 군 천-사이먼스 이론에 대응된다.
매듭 불변량 - 매듭군 매듭군은 매듭 이론에서 매듭을 제거한 공간의 기본군으로 정의되며, 매듭의 대수적 구조를 연구하고 매듭을 분류하는 불변량으로 사용될 뿐 아니라 다양한 과학 분야와 암호 기술에도 응용되는 개념이다.
홈플리 다항식
개요
유형
매듭 다항식
변수 개수
2
발견 시기
1984년 경
발견자
피터 프레이드 데이비드 예터 조스테 호스테 윌리엄 브라운 레이먼드 리코리시 케네스 밀레트 아드리안 오체아누
홈플리 다항식은 유향 매듭 또는 연환의 위상 불변량으로, 동일한 매듭이나 연환의 서로 다른 그림(매듭 도표)에 대해 계산해도 같은 다항식을 얻는다. 하지만 홈플리 다항식이 같다고 해서 항상 동일한 매듭이나 연환인 것은 아니다. 즉, 홈플리 다항식은 완전한 불변량은 아니며, 실제로 동일한 홈플리 다항식을 갖는 서로 다른 유향 매듭이 무한히 많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6]
또한, 홈플리 다항식은 매듭이나 연환에 대한 여러 연산(연결합, 분리합, 거울상 연산 등)과 특정 관계를 가지며, 연환의 모든 성분의 방향을 동시에 바꾸는 것에 대해 불변이다. 이 성질 때문에 키랄성 구별에 사용되기도 하지만, 동일한 홈플리 다항식을 갖는 키랄 매듭 쌍도 존재한다.[3]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연산과의 호환성 참조)
연결합: 두 유향 매듭 와 의 연결합 에 대한 홈플리 다항식은 각 매듭의 홈플리 다항식의 곱과 같다.[6]
:
이 성질은 연환의 연결합 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성립한다. 연결합을 만드는 방식(어떤 성분을 연결하는지)에 따라 결과 연환은 달라질 수 있지만, 홈플리 다항식 값은 항상 각 연환의 다항식 곱이 된다. 이는 서로 다른 연환이 동일한 홈플리 다항식을 가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6]
분리합 (서로 얽히지 않은 연환): 서로 얽히지 않은 두 성분으로 이루어진 연환 (분리합)의 홈플리 다항식은 다음과 같다.[6]
이 성질 덕분에 홈플리 다항식은 종종 서로 다른 키랄성을 가진 두 매듭을 구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동일한 홈플리 다항식을 갖는 키랄 매듭 쌍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매듭 이론에서 매듭 942와 1071은 각각 자신의 거울상과 동일한 홈플리 다항식을 가진다.[3]
방향성: 매듭의 홈플리 다항식은 매듭의 방향 설정에 의존하지 않는다. 더 일반적으로, 유향 연환의 경우 모든 연결 성분의 방향을 동시에 반대로 바꾸어도 홈플리 다항식은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홈플리 다항식은 방향이 없는 매듭의 불변량으로도 간주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3차원 초구 위의, 준위 의 천-사이먼스 이론을 생각하자. 이제, 초구 속의 유향 연환 에 대한, 차원 defining representation|정의 표현영어에서 취한 윌슨 고리 연산자의 (정규화) 상관 함수는 다음과 같이, 홈플리 다항식으로 주어진다.[9]
여기서 는 연환수 +1인 호프 연환 의 홈플리 다항식이고, 는 두 성분 자명한 연환의 홈플리 다항식 이며, 는 자명한 매듭의 홈플리 다항식 이다. (단, 홈플리 다항식의 일반적인 정의 에서 변수를 로 치환하고, 자명한 매듭의 다항식을 1로, 두 성분 자명한 연환의 다항식을 로 정규화한 표현을 사용하였다.)
에 적용하면, 오른손 세잎매듭()의 홈플리 다항식 는 원본 소스에 따라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이다. 즉,
:
이다.
왼손 세잎매듭은 오른손 세잎매듭의 거울 대칭이며, 그 홈플리 다항식은 를 로 치환하여 얻을 수 있다.
:
매듭
왼손 세잎매듭
오른손 세잎매듭
이름
왼손 세잎매듭
오른손 세잎매듭
홈플리 다항식 (원본 소스 기준)
4. 2. 홈플리 다항식이 방향을 구별하지 못하는 매듭
홈플리 다항식은 매듭과 그 거울상의 키랄성을 구별하는 데 종종 유용하게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매듭 ''K''와 그 거울상의 홈플리 다항식 사이에는 관계가 성립한다.
하지만, 홈플리 다항식이 동일하다고 해서 항상 같은 매듭이거나 서로 거울상 관계인 것은 아니다. 즉, 홈플리 다항식만으로는 모든 매듭의 키랄성을 완벽하게 구별할 수는 없다.[3] 예를 들어, 매듭 942와 매듭 1071은 각각 자신의 거울상과 다른 키랄성을 가지는 매듭이지만, 이 매듭들과 각각의 거울상은 서로 동일한 홈플리 다항식을 가진다.[10][3]
이는 홈플리 다항식이 완전한 매듭 불변량이 아님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실제로, 동일한 홈플리 다항식을 가지면서도 서로 다른 유향 매듭이 무한히 많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1986년에 증명되었다.[6]
5. 역사
제임스 워델 알렉산더는 1923년에 알렉산더 다항식을 발견하였다. 이후 1969년, 존 호턴 콘웨이는 알렉산더 다항식이 타래 관계를 통해 정의될 수 있음을 보였다.
1984년에는 본 존스가 존스 다항식을 발견하였다.[11] 이듬해인 1985년, 이 다항식들의 일반화로 여겨지는 홈플리 다항식이 피터 존 프라이드(Peter John Freyd|영어), 데이비드 예터(David N. Yetter|영어), 짐 호스트(Jim Hoste|영어), 윌리엄 버나드 레이먼드 리커리시(William Bernard Raymond Lickorish|영어), 케네스 밀렛(Kenneth Millett|영어), 아드리안 오크네아누(Adrian Ocneanu|ro) 6명의 수학자에 의해 공동으로 발견되었다.[12] ‘홈플리’(HOMFLY|영어)라는 이름은 이들 6명의 성 앞 글자(FYHLMO)를 발음하기 쉽게 재배열하여 만들어졌다.
거의 같은 시기에 폴란드의 수학자 유제프 헨리크 프시티츠키(Józef Henryk Przytycki|pl)와 파베우 트라치크(Paweł Traczyk|pl)도 동일한 다항식을 독립적으로 발견하였으나, 논문은 2년 늦은 1987년에 출판되었다.[13] 이러한 이유로 홈플리 다항식은 때때로 ‘홈플리-PT 다항식’(HOMFLY–PT polynomial|영어) 또는 ‘플립모스 다항식’(FLYPMOTH polynomial|영어)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1]
논문
A New Polynomial Invariant of Knots and Links
[2]
논문
Invariants of Links of Conway Type
[3]
논문
Chirality of Knots 942 and 1071 and Chern-Simons Theory
[4]
웹사이트
"結び目理論」 講義7"
http://www.sci.osaka[...]
http://www.sci.osaka-cu.ac.jp/~kawauchi/InternetLecture/lectkawa.html
[5]
문서
ある結び目とその結び目の鏡像が結び目理論#結び目の同値性|同値のとき、その結び目を'''両手型結び目'''という。例えば8の字結び目は両手型結び目であるが、三葉結び目はそうではない。
[6]
논문
Infinitely many knots with the same polynomial invariant
[7]
서적
Knots, Links, Braids and 3-Manifolds
Amer Mathematical Society
[8]
서적
[9]
저널
https://projecteucli[...] [10]
저널
[11]
저널
A polynomial invariant for knots via von Neumann algebra
[12]
저널
A new polynomial invariant of knots and links
[13]
저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