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홍콩의 총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1. 개요

홍콩 총독은 1841년부터 1997년까지 홍콩을 통치한 영국의 대표이다. 1841년 찰스 엘리엇이 홍콩행정관으로 시작하여, 1843년 헨리 포팅어가 초대 총독이 되었다. 이후 1941년 일본 점령기를 거쳐 1997년 크리스 패튼까지 총 28명의 총독이 재임했다. 총독은 영국 국왕의 대리인으로서 막강한 권한을 행사했으며, 행정, 입법, 군사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997년 홍콩 반환 이후에는 행정장관에게 권한이 이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 - 홍콩 금융관리국
    홍콩 금융관리국은 홍콩의 통화 및 은행 시스템 안정과 금융 제도 효율성 증진을 목표로 1993년 설립된 기관으로, 통화 정책 결정, 은행 감독, 10홍콩 달러 지폐 발행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홍콩 달러의 미국 달러 연동 고정환율제 유지를 최우선으로 한다.
  •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 - 홍콩의 행정장관
    홍콩의 행정장관은 홍콩 특별행정구의 수반으로서 홍콩 정부를 이끌고 법을 집행하며 법안에 서명하는 등 다양한 권한과 의무를 가지지만, 선출 방식과 권한, 높은 보수 등으로 인해 지속적인 논란과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 홍콩 총독 - 존 프랜시스 데이비스
    존 프랜시스 데이비스는 영국 동인도 회사에서 시작하여 홍콩 총독을 역임하며, 아편 무역 금지 정책 폐지를 요구하고, 홍콩의 첫 인구 조사와 주말 경마를 시작했으며, 저서를 남긴 인물이다.
  • 홍콩 총독 - 찰스 엘리엇
    찰스 엘리엇은 영국 해군 복무 후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영국령 기아나 노예보호관, 청나라 선무총관 등을 역임했고, 아편전쟁 당시 홍콩섬을 영국에 할양하는 조약을 체결했으나 해임된 인물이다.
  • 홍콩의 정치 - 홍콩 반환 협정
    홍콩 반환 협정은 1984년 중국과 영국이 체결한 국제 협정으로, 1997년 홍콩의 주권을 중국에 반환하며, "일국양제" 원칙에 따라 홍콩 특별행정구는 50년간 고도의 자치권을 유지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 홍콩의 정치 - 우산 운동
    우산 운동은 2014년 홍콩에서 중국 정부의 선거 개혁안에 반대하며 완전한 보통선거를 요구한 민주화 시위로, 시위대가 우산을 사용한 데서 유래되었고 비폭력 시민 불복종을 핵심 원칙으로 삼아 국내외 연대를 이끌어내며 홍콩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홍콩의 총독
기본 정보
크리스 패튼 경의 공식 초상화
마지막 재임자 크리스 패튼 1992년 7월 9일 – 1997년 6월 30일
직책총독
관할 기관홍콩
문장홍콩 문장 (1959–1997)
총독기홍콩 총독기 (1959–1997)
경칭각하
관저정부 청사, 홍콩
임명권자영국의 군주
직책 시작일1843년 6월 26일
초대 총독헨리 포틴저 경
마지막 총독크리스 패튼
직책 폐지일1997년 6월 30일
연봉 (1997년)홍콩 달러 3,036,000
중국어 (번체)香港總督
중국어 (간체)香港总督
광둥어 (예일)Hoeng1gong2 Zung2duk1
광둥어 (표준)Hēunggóng Júngdūk
표준 중국어 (병음)Xiānggǎng Zǒngdū
표준 중국어 (웨이드-자일스)Hsiang1-kang3 Tsung3-tu1
약칭港督
광둥어 (예일)Góngdūk
광둥어 (표준)Gong2duk1
표준 중국어 (병음)Gǎngdū
표준 중국어 (웨이드-자일스)Kang3-tu1
역사
설립1843년 6월 26일
폐지1997년 6월 30일
기타
법정 계승자홍콩의 행정장관

2. 역대 홍콩 총독

1941년 12월 25일부터 1945년 8월 15일까지는 일제강점기로, 일본군 장성들이 홍콩 총독 역할을 수행했다.

rowspan=2|초상이름
재임 기간출신경력
취임퇴임재임 기간
사카이 다카시
酒井隆|사카이 다카시일본어
행정관
1941년 12월 25일1942년 2월 20일rowspan=2|히로시마현 히로시마 군 가모육군 중장
니이미 마사이치
新見政一|니이미 마사이치일본어
행정관
히로시마 현 히로시마해군 중장
1
이소가이 렌스케
磯谷廉介|이소가이 렌스케일본어
총독
1942년 2월 20일1944년 12월 24일효고 현 탄바육군 중장
2
다나카 히사카즈
田中久一|다나카 히사카즈일본어
총독
1945년 2월 1일1945년 8월 16일효고 현 히메지육군 중장


2. 1. 홍콩행정관 (1841년 - 1843년)

초기 홍콩은 총독이 아닌 행정관(Administrator)이 통치했다.

사진이름취임일퇴임일
1
찰스 엘리엇1841년 1월 26일1841년 6월 21일
권한대행
알렉산더 로버트 존스턴1841년 6월 22일1842년 2월 1일
권한대행알렉산더 로버트 존스턴1842년 6월 13일1842년 12월 2일
2
헨리 포팅어1842년 12월 2일1843년 6월 25일



이들은 찰스 엘리엇, 알렉산더 로버트 존스턴(임시), 헨리 포팅어였다.

2. 1. 1. 찰스 엘리엇 (1841년)



찰스 엘리엇(Sir Charles Elliot) 경(, 1801–1875)은 드레스덴(작센 선제후국) 출신으로, 주중 영국 무역 감독관을 역임했다. 1841년 1월 26일부터 1841년 8월 12일까지 홍콩의 행정관을 맡았다.[2][3] 엘리엇은 청나라와의 무역 분쟁 과정에서 홍콩을 점령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2. 1. 2. 알렉산더 로버트 존스턴 (1841년 - 1842년)

알렉산더 로버트 존스턴은 찰스 엘리엇 경의 뒤를 이어 임시 행정관을 역임했다.[3][4][5] 그는 1841년 6월 22일부터 1842년 2월 1일, 그리고 1842년 6월 13일부터 1842년 12월 2일까지 두 차례에 걸쳐 임시 행정관직을 수행했다. 존스턴은 실론의 콜롬보 출신으로, 주중 영국 무역 부감독관을 지냈다.

초상화이름
재임 기간출신경력참고
취임퇴임재임 기간
알렉산더 로버트 존스턴
임시 행정관
1841년 6월 22일1842년 2월 1일콜롬보, 실론주중 영국 무역 부감독관[3][4][5]
1842년 6월 13일1842년 12월 2일


2. 1. 3. 헨리 포팅어 (1842년 - 1843년)

헨리 포틴저 경은 아편 전쟁을 승리로 이끌고 난징 조약을 체결하여 홍콩을 영국령으로 만드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인물이다. 초대 홍콩 총독으로 영국의 식민통치를 시작했다.[2]

초상화이름
재임 기간출신경력
취임퇴임재임 기간
헨리 포틴저 경

행정관
1841년 8월 12일1843년 6월 26일밸리매카렛, 아일랜드영국 육군 중장, 동인도 회사[2][6]
헨리 포틴저 경
1843년 6월 26일1844년 5월 8일밸리매카렛, 아일랜드영국 육군 중장[7]



초대 총독으로서, 1843년부터 1846년까지 현재 구 프랑스 선교 건물 부지에 거주했다. 이 건물은 현재 홍콩 최종 법원이 입주해 있다.

2. 2. 홍콩 총독 (1843년 - 1941년, 1945년 - 1997년)

1843년 홍콩이 정식으로 영국 직할 식민지가 되면서 행정관 대신 총독(Governor)이 파견되었다.

사진이름취임일퇴임일
1--헨리 포팅어1843년 6월 26일1844년 5월 8일
2
존 프랜시스 데이비스1844년 5월 8일1848년 3월 18일
직무대리
윌리엄 스타블리1848년 3월 18일1848년 3월 21일
3
사무엘 조지 본햄1848년 3월 21일1854년 4월 13일
4
존 보우링1854년 4월 13일1859년 5월 5일
직무대리
윌리엄 케인1859년 5월 5일1859년 9월 9일
5
허큘리스 로빈슨1859년 9월 9일1865년 3월 15일
직무대리
윌리엄 토마스 머서1865년 3월 15일1866년 3월 11일
6
리처드 그레이브스 맥도넬1866년 3월 11일1872년 4월 11일
직무대리
헨리 와세 윗필드1872년 4월 11일1872년 4월 16일
7
아서 에드워드 케네디1872년 4월 16일1877년 3월 1일
직무대리
존 가디너 오스틴1877년 3월 1일1877년 4월 22일
8
존 포프 헤네시1877년 4월 22일1882년 3월 7일
직무대리--말콤 스트루안 톤노치1882년 3월 7일1882년 3월 28일
직무대리--윌리엄 헨리 마쉬1882년 3월 28일1883년 3월 30일
9
조지 퍼거슨 보웬1883년 3월 30일1885년 12월 21일
직무대리--윌리엄 헨리 마쉬1885년 12월 21일1887년 4월 25일
직무대리
윌리엄 고든 카메론1887년 4월 25일1887년 10월 6일
10
조지 윌리엄 데스 보유1887년 10월 6일1891년 5월 7일
직무대리
조지 딕비 바커1891년 5월 7일1891년 12월 10일
11
윌리엄 로빈슨1891년 12월 10일1898년 2월 1일
직무대리--윌손 블랙1898년 2월 1일1898년 11월 25일
12
헨리 아서 블레이크1898년 11월 25일1903년 11월 21일
직무대리
프랜시스 헨리 메이1903년 11월 21일1904년 7월 29일
13
매튜 네이선1904년 7월 29일1907년 4월 20일
직무대리프랜시스 헨리 메이1907년 4월 20일1907년 7월 29일
14
프레데릭 루가드1907년 7월 29일1912년 3월 16일
직무대리
클로드 세번1912년 3월 16일1912년 7월 4일
15프랜시스 헨리 메이1912년 7월 4일1918년 9월 12일
직무대리클로드 세번1918년 9월 12일1919년 9월 30일
16
레지널드 에드워드 스텁스1919년 9월 30일1925년 10월 31일
17
세실 클레멘티1925년 11월 1일1930년 2월 1일
직무대리
윌프리드 토마스 사우소른1930년 2월 1일1930년 5월 9일
18
윌리엄 필1930년 5월 9일1935년 5월 17일
직무대리윌프리드 토마스 사우소른1935년 5월 17일1935년 9월 13일
직무대리
노먼 록하트 스미스1935년 9월 13일1935년 11월 1일
직무대리윌프리드 토마스 사우소른1935년 11월 1일1935년 12월 12일
19
앤드루 칼데콧1935년 12월 12일1937년 4월 16일
직무대리노먼 록하트 스미스1937년 4월 16일1937년 10월 28일
20
제프리 알렉산더 스태포드 노스코트1937년 10월 28일1941년 9월 6일
직무대리노먼 록하트 스미스1941년 9월 6일1941년 9월 10일
21
마크 에이치슨 영1941년 9월 10일1941년 12월 25일
1941년 12월 25일 ~ 1945년 8월 15일: 일제 강점기
임시정부
권한대행
프랭클린 찰스 김슨1945년 8월 15일1945년 9월 1일
군부 총독
세실 할리데이 젭슨 하커트1945년 9월 1일1946년 4월 30일
21
재임
마크 에이치슨 영1946년 5월 1일1947년 5월 17일
직무대리
데이비드 머서 맥두걸1947년 5월 17일1947년 7월 25일
22
알렉산더 그랜덤1947년 7월 25일1957년 12월 31일
직무대리--에지워스 베레스포드 데이비드1957년 12월 31일1958년 1월 23일
23
로버트 블랙1958년 1월 23일1964년 3월 31일
직무대리
에드먼드 브린슬리 티스데일1964년 3월 31일1964년 4월 14일
24--데이비드 트렌치1964년 4월 14일1971년 10월 19일
직무대리--휴 노먼 워커1971년 10월 19일1971년 11월 19일
25--맥리호스오브비오크 남작 머레이 맥리호스1971년 11월 19일1982년 5월 8일
직무대리--필립 해든-케이브1982년 5월 8일1982년 5월 20일
26--에드워드 유드1982년 5월 20일1986년 12월 5일
(사망)
권한대행--데이비드 에이커스-존스1986년 12월 5일1987년 4월 9일
27
윌슨오브틸리언 남작 데이비드 윌슨1987년 4월 9일1992년 7월 3일
직무대리--데이비드 로버트 포드1992년 7월 3일1992년 7월 9일
28
크리스 패튼1992년 7월 9일1997년 6월 30일



총독의 권한과 의무는 1843년 홍콩 칙허장과 홍콩 왕실 훈령에 정의되어 있었다. 영국 군주가 (외무 장관의 자문에 따라) 임명한 총독은 영국 통치 기간 동안 홍콩 정부의 행정부를 행사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짧은 실험을 제외하고는 영국 통치 마지막 해까지 대표 정부를 도입하려는 진지한 시도는 없었다.

홍콩 총독은 식민지 내각인 행정회의 (ExCo)의 의장이었으며, 1993년까지는 입법회 의장이기도 했다. 총독은 식민지의 입법부(통칭 LegCo)의 구성원 대부분을 임명했는데, 이는 1985년 LegCo에서 최초의 간접 선거가 치러지기 전까지는 주로 자문 기관이었다. 처음에는 두 의회 모두 영국 출신 외국인들이 주를 이루었지만, 이후에는 점차 현지 홍콩 중국인 임명으로 바뀌었다. 역사적으로 홍콩 총독은 전문 외교관이나 고위 식민지 관리였으며, 마지막 총독인 크리스 패튼은 직업 정치인이었다.

역대 총독으로는 헨리 포팅어 경, 존 프랜시스 데이비스 경, 조지 본햄 경, 존 보우링 경, 허큘리스 로빈슨 경, 리처드 그레이브스 맥도넬 경, 아서 에드워드 케네디 경, 존 포프 헤네시 경, 조지 퍼거슨 보웬 경, 조지 윌리엄 데스 보유 경, 윌리엄 로빈슨 경, 헨리 아서 블레이크 경, 매튜 네이선 경, 프레데릭 루가드 경, 프랜시스 헨리 메이 경, 레지널드 에드워드 스텁스 경, 세실 클레멘티 경, 윌리엄 필 경, 앤드루 칼데콧 경, 제프리 알렉산더 스태포드 노스코트 경, 마크 에이치슨 영 경 등이 있다.

2. 2. 1. 제1대 - 헨리 포팅어 (1843년 - 1844년)

경은 아일랜드 밸리매카렛 출신으로, 영국 육군 중장이자 동인도 회사에서 근무한 경력이 있다.[7] 1843년 6월 26일부터 1844년 5월 8일까지 초대 총독을 역임했다.[7]

헨리 포틴저 경은 난징 조약 체결을 통해 홍콩을 영국령으로 편입시킨 인물로, 초대 총독으로서 홍콩 식민 통치의 기틀을 마련했다. 그는 재임 기간 동안 현재 구 프랑스 선교 건물 부지에 거주했으며, 이곳은 나중에 홍콩 최종 법원으로 사용되었다.

2. 2. 2. 제2대 - 존 프랜시스 데이비스 (1844년 - 1848년)

Sir John Francis Davis|존 프랜시스 데이비스 경영어은 1844년 5월 8일부터 1848년 3월 21일까지 홍콩의 제2대 총독을 역임했다.[8] 헨리 포틴저의 뒤를 이어 총독으로 부임하여 초기 홍콩의 행정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데이비스 경은 런던 출신으로, 주중 영국 무역 감독관을 역임한 경력이 있다.[8]

초상이름재임 기간출신경력
존 프랜시스 데이비스 경
1844년 5월 8일 ~ 1848년 3월 21일런던, 잉글랜드주중 영국 무역 감독관

[8]

헨리 포틴저 경과 마찬가지로, 데이비스 경 또한 구 프랑스 선교 건물에 거주하다가 케인 로드로 이사했다.

2. 2. 3. 제3대 - 조지 본햄 (1848년 - 1854년)

조지 본햄 경(Sir George Bonham)은 1848년 3월 21일부터 1854년 4월 13일까지 홍콩의 제3대 총독을 역임했다.[9] 그는 런던 출신으로, 동인도 회사에서 경력을 쌓았다.[9]

초상화이름
취임퇴임재임 기간출신경력참고
3조지 본햄 경(Sir George Bonham)

1848년 3월 21일1854년 4월 13일런던, 잉글랜드동인도 회사[9]


2. 2. 4. 제4대 - 존 보우링 (1854년 - 1859년)



존 보우링 경은 영국의 정치인이자 경제학자, 여행가, 작가, 언어학자였으며, 1854년 4월 13일부터 1859년 5월 2일까지 제4대 홍콩 총독을 역임했다.[10]

보우링 경은 애로호 사건을 빌미로 제2차 아편 전쟁을 일으킨 인물이다.

총독 재임 기간은 다음과 같다.

취임퇴임재임 기간
1854년 4월 13일1859년 5월 2일



그의 출신, 경력은 다음과 같다.

출신경력
엑서터, 잉글랜드국회의원 (MP)


2. 2. 5. 제5대 - 허큘리스 로빈슨 (1859년 - 1865년)

허큘리스 로빈슨 경Sir Hercules Robinson|허큘리스 로빈슨 경영어은 1859년 9월 9일부터 1865년 3월 15일까지 재임한 제5대 홍콩 총독이었다. 그는 아일랜드 웨스트미스 출신으로, 식민지 행정관 경력을 가지고 있었다.[12][13] 로빈슨의 재임 기간 동안, 윌리엄 토마스 머서가 1865년 3월 15일부터 1866년 3월 12일까지 임시 총독을 역임했다.[13]

2. 2. 6. 제6대 - 리처드 그레이브스 맥도넬 (1866년 - 1872년)

리처드 그레이브스 맥도넬 경(Sir Richard Graves MacDonnell, )은 1866년 3월 12일부터 1872년 4월 11일까지 홍콩의 제6대 총독을 역임했다. 더블린 출신으로, 식민지 행정관 경력을 가지고 있었다.[14][15][16]

홍콩의 제6대 총독: 리처드 그레이브스 맥도넬
항목내용
출생-사망1814년 - 1881년
재임 기간1866년 3월 12일 - 1872년 4월 11일
출신더블린, 아일랜드
경력식민지 행정관
참고[14][15][16]


2. 2. 7. 제7대 - 아서 에드워드 케네디 (1872년 - 1877년)



'''아서 케네디 경'''()은 1872년 4월 16일부터 1877년 3월 1일까지 홍콩의 총독을 역임했다.[17][18] 그는 아일랜드 다운 출신으로, 식민지 행정관 경력을 가지고 있었다.[17][18]

번호이름취임퇴임출신경력
7아서 케네디 경
1872년 4월 16일1877년 3월 1일다운, 아일랜드식민지 행정관


2. 2. 8. 제8대 - 존 포프 헤네시 (1877년 - 1882년)

존 포프 헤네시 경(Sir John Pope Hennessy, , 1834년–1891년)은 1877년 4월 23일부터 1882년 3월 7일까지 홍콩의 제8대 총독을 역임했다.[19][20] 그는 코크 출신의 식민지 행정관이었다.[19][20]

2. 2. 9. 제9대 - 조지 퍼거슨 보웬 (1883년 - 1887년)

'''조지 보웬 경'''(, 1821년 11월 2일 ~ 1899년 2월 21일)은 영국의 식민지 행정관으로, 1883년 3월 30일부터 1885년 12월 21일까지 홍콩의 제9대 총독을 역임했다.[22] 보웬 경은 아일랜드 도네갈 출신이다.[22]

초상화이름재임 기간출신경력참고
취임퇴임재임 기간
9조지 보웬 경

1883년 3월 30일1885년 12월 21일도네갈, 아일랜드식민지 행정관[22]



이후 윌리엄 헨리 마시 경이 1885년 12월 21일부터 1887년 4월 25일까지 정부 운영관으로 재임하였다.[23]

2. 2. 10. 제10대 - 조지 윌리엄 데스 보유 (1887년 - 1891년)



'''조지 윌리엄 데스 보우 경'''(Sir George William Des Vœux|조지 윌리엄 데스 보우영어)()은 1887년 10월 6일부터 1891년 5월 7일까지 홍콩의 제10대 총독을 역임했다.[25] 그는 독일 연방 바덴바덴 출신의 식민지 행정관이었다.

2. 2. 11. 제11대 - 윌리엄 로빈슨 (1891년 - 1898년)

'''윌리엄 로빈슨 경'''(Sir William Robinson|윌리엄 로빈슨영어) (1836년 - 1912년)은 1891년 12월 10일부터 1898년 2월 1일까지 홍콩의 제11대 총독을 역임했다.[27][28] 그는 식민지 행정관 출신이었다.[27]

초상화이름재임 기간출신경력참고
취임퇴임재임 기간
11윌리엄 로빈슨 경
1891년 12월 10일1898년 2월 1일웨더든, 잉글랜드식민지 행정관[27][28]


2. 2. 12. 제12대 - 헨리 아서 블레이크 (1898년 - 1903년)


헨리 아서 블레이크는 아일랜드 리머릭 출신의 식민지 행정관이었다.[29] 1898년 11월 25일에 총독으로 취임하여 1903년 11월 21일까지 재임하였다.[29][30]

2. 2. 13. 제13대 - 매튜 네이선 (1904년 - 1907년)

'''매튜 네이선''' 경(Sir Matthew Nathan|매튜 네이선영어, , 1862년 ~ 1939년)은 제13대 홍콩 총독으로, 1904년 7월 29일부터 1907년 4월 20일까지 재임하였다.[31][32]

2. 2. 14. 제14대 - 프레데릭 루가드 (1907년 - 1912년)



프레데릭 루가드 경(Sir Frederick Lugard)() (1858년 ~ 1945년)은 1907년 7월 29일부터 1912년 3월 16일까지 홍콩 총독을 역임했다.[33] 그는 인도 마드라스 출신의 식민지 행정관이었다.[33]

초상화이름취임퇴임재임 기간출신경력참고
14프레데릭 루가드 경(Sir Frederick Lugard)1907년 7월 29일1912년 3월 16일마드라스, 인도식민지 행정관[33]


2. 2. 15. 제15대 - 프랜시스 헨리 메이 (1912년 - 1919년)

프랜시스 헨리 메이 경은 1912년 7월 4일부터 1918년 9월 12일까지 홍콩 총독을 역임했다.[34][35][36] 그는 더블린 출신으로, 이전에는 홍콩 식민지 장관을 역임했다.[34] 1918년 9월 12일부터 1919년 9월 30일까지는 클로드 세번이 정부 운영관 직을 수행했다.[36]

2. 2. 16. 제16대 - 레지널드 에드워드 스텁스 (1919년 - 1925년)

'''레지널드 에드워드 스텁스 경'''()은 1919년 9월 30일부터 1925년 10월 31일까지 재임한 제16대 홍콩 총독이다.[37][38][39]

초상화총독취임퇴임
레지널드 에드워드 스텁스 경
1919년 9월 30일1925년 10월 31일



옥스퍼드 출신으로, 식민지 행정관 경력을 가지고 있었다.

2. 2. 17. 제17대 - 세실 클레멘티 (1925년 - 1930년)



세실 클레멘티 경은 1925년 11월 1일부터 1930년 2월 1일까지 홍콩 총독을 역임했다. 인도 카운포어 출신으로, 식민지 행정관 경력이 있었다.[40][41] 이전 총독인 레지널드 에드워드 스텁스 경과는 달리 광둥어를 구사할 수 있었다.

2. 2. 18. 제18대 - 윌리엄 필 (1930년 - 1935년)

'''윌리엄 필 경'''(Sir William Peel|윌리엄 필영어)() (1875년 ~ 1945년)은 1930년 5월 9일부터 1935년 5월 17일까지 홍콩 총독을 역임했다.[42][43] 그는 헥섬 출신으로, 식민지 행정관 경력을 가지고 있었다.[42]

초상화이름취임퇴임재임 기간출신경력
18윌리엄 필 경(Sir William Peel)

1930년 5월 9일1935년 5월 17일헥섬, 잉글랜드식민지 행정관

[42][43]

2. 2. 19. 제19대 - 앤드루 칼데콧 (1935년 - 1937년)

앤드루 칼데콧 경은 1935년 12월 12일부터 1937년 4월 16일까지 재임한 제19대 홍콩 총독이다.[46][47] 그는 켄트 출신으로, 식민지 행정관 경력을 가지고 있었다.[46][47] 임기 중 로 불렸다.

임기초상총독취임퇴임
19앤드루 칼데콧 경

Sir Andrew CALDECOTT
1935년 12월 12일1937년 4월 16일


2. 2. 20. 제20대 - 제프리 알렉산더 스태포드 노스코트 (1937년 - 1941년)



제프리 노스코트 경은 1881년 런던에서 태어나 1948년에 사망했으며, 으로도 알려져 있다. 그는 1937년 10월 28일부터 1941년 9월 6일까지 홍콩의 총독을 역임했다.[48] 노스코트는 식민지 행정관 출신이었다.

2. 2. 21. 제21대 - 마크 에이치슨 영 (1941년)



마크 에이치슨 영은 영국령 인도에서 태어났으며, 1941년 9월 10일에 홍콩 총독으로 취임하였다.[49] 그러나 1941년 12월 25일, 홍콩 전투에서 일본군에게 항복하면서,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일본군의 포로가 되었다.[49]

2. 3. 일본군 점령기 (1941년 - 1945년)

1941년 12월 25일부터 1945년 8월 15일까지는 일제강점기였다. 이 시기에는 일본군 장성들이 홍콩 총독 역할을 수행했다.

rowspan=2|초상이름
재임 기간출신경력
취임퇴임재임 기간
사카이 다카시
酒井隆|사카이 다카시일본어
행정관
1941년 12월 25일1942년 2월 20일rowspan=2|히로시마현 히로시마 군 가모육군 중장
니이미 마사이치
新見政一|니이미 마사이치일본어
행정관
히로시마 현 히로시마해군 중장
1이소가이 렌스케
磯谷廉介|이소가이 렌스케일본어
총독
1942년 2월 20일1944년 12월 24일효고 현 탄바육군 중장
2다나카 히사카즈
田中久一|다나카 히사카즈일본어
총독
1945년 2월 1일1945년 8월 16일효고 현 히메지육군 중장


2. 3. 1. 사카이 다카시 (1941년 - 1942년)

rowspan=2|초상이름
재임 기간출신경력출처
취임퇴임재임 기간
사카이 다카시
酒井隆|사카이 다카시일본어

행정관
1941년 12월 25일1942년 2월 20일rowspan=2|히로시마현 히로시마군 가모육군 중장
니이미 마사이치
新見政一|니이미 마사이치일본어

행정관
히로시마현 히로시마해군 중장


2. 3. 2. 니이미 마사이치 (1941년 - 1942년)

1941년 12월 25일부터 1942년 2월 20일까지 사카이 다카시와 함께 홍콩의 행정관을 역임한 니이미 마사이치(新見政一|니이미 마사이치|일본어, 1887년-1993년)는 히로시마현 히로시마 출신의 일본 해군 중장이었다.[49]

초상이름재임 기간출신경력
취임퇴임재임 기간
사카이 다카시
酒井隆일본어
행정관
1941년 12월 25일1942년 2월 20일rowspan=2|히로시마현 히로시마중장(육군)
니이미 마사이치
新見政一일본어
행정관
히로시마중장(해군)


2. 3. 3. 이소가이 렌스케 (1942년 - 1944년)

磯谷廉介|이소가이 렌스케일본어는 1942년 2월 20일부터 1944년 12월 24일까지 홍콩의 일본군 점령지 총독을 역임했다. 그는 효고현 탄바 출신으로 육군 중장이었다.

초상이름
재임 기간출신경력
취임퇴임재임 기간
1이소가이 렌스케
磯谷廉介|이소가이 렌스케일본어
1942년 2월 20일1944년 12월 24일효고 현 탄바육군 중장


2. 3. 4. 다나카 히사카즈 (1945년)

田中久一|다나카 히사카즈일본어일본 제국 육군의 중장이었다. 효고현 히메지 출신으로, 1945년 2월 1일부터 1945년 세계 대전 종전 때까지 일본 점령기 홍콩의 총독을 맡았다.[4] 그는 1945년 8월 16일까지 총독직을 수행했다.[4]

초상이름취임퇴임재임 기간출신경력
2田中久一|다나카 히사카즈일본어1945년 2월 1일1945년 8월 16일효고현 히메지육군 중장


2. 4. 영국 통치 재개 (1945년 - 1997년)

1945년 일본의 항복으로 영국 통치가 재개되었다.[49]

1941년부터 1945년까지 홍콩 군정 총독으로서의 일본군 사령관은 플래그스태프 하우스를 관저로 사용했다. 이 관저는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영국군 사령관에게 반환되었다.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항복하자 프랭클린 찰스 김슨이 임시정부 권한대행으로 임명되었다. 같은 해 9월 1일에는 세실 할리데이 젭슨 하커트가 군부 총독으로 부임하여 1946년 4월 30일까지 재임했다.[49] 홍콩 전투에서 일본군에 항복한 후 포로 생활을 했던 마크 에이치슨 영은 1946년 5월 1일 다시 총독으로 복직하여 1947년 5월 17일까지 재임했다.[49]

이후 알렉산더 그랜덤(1947년-1957년), 로버트 블랙(1958년-1964년), 데이비드 트렌치(1964년-1971년), 머레이 맥리호스(1971년-1982년), 에드워드 유드(1982년-1986년), 데이비드 윌슨(1987년-1992년)이 차례로 총독직을 수행했다.[49] 1992년에는 크리스 패튼이 마지막 총독으로 부임하여 1997년 홍콩 반환 때까지 재임했다.[49]

2. 4. 1. 프랭클린 찰스 김슨 (1945년)




프랭클린 찰스 짐슨(Franklin Charles Gimson)
''임시 총독''

1945년 8월 28일부터 1945년 8월 30일까지 임시 총독을 역임하였다.[49] 레스터셔 출신으로, 식민지 사무총장을 지냈다.

2. 4. 2. 세실 할리데이 젭슨 하커트 (1945년 - 1946년)



세실 하코트 경()은 1945년 9월 1일부터 1946년 5월 1일까지 홍콩의 군정 총독을 역임했다. 영국 해군 제독 출신이다.[50]

2. 4. 3. 제21대 - 마크 에이치슨 영 (1946년 - 1947년, 복직)

'''마크 에이치슨 영 경'''(Sir Mark Aitchison Young|마크 에이치슨 영영어, , 1886년 6월 30일 ~ 1974년 5월 12일)은 1941년 9월 10일부터 1941년 12월 25일까지 홍콩 총독을 역임했고, 홍콩 전투에서 일본군에 항복한 후 포로 생활을 하였다. 이후 1946년 5월 1일부터 1947년 5월 17일까지 다시 총독으로 복직하였다.[49]

초상화이름
재임 기간출신배경참고
--마크 에이치슨 영 경(Sir Mark Aitchison Young)

1946년 5월 1일1947년 5월 17일인도식민지 행정가


2. 4. 4. 제22대 - 알렉산더 그랜덤 (1947년 - 1957년)

'''알렉산더 그랜섬'''(Alexander Grantham영어, , 1899년 ~ 1978년)은 1947년 7월 25일부터 1957년 12월 31일까지 재임한 홍콩의 제22대 총독이다.

항목내용
출생-사망1899년 ~ 1978년
출신런던, 잉글랜드
경력식민지 행정가
재임 기간1947년 7월 25일 ~ 1957년 12월 31일

[50]

2. 4. 5. 제23대 - 로버트 블랙 (1958년 - 1964년)

로버트 브라운 블랙 경은 1906년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에서 태어났으며, 1958년 1월 23일부터 1964년 3월 31일까지 홍콩의 제23대 총독을 역임했다.[49] 그는 식민지 행정가 출신이었다.[49]

2. 4. 6. 제24대 - 데이비드 트렌치 (1964년 - 1971년)

데이비드 클라이브 크로스비 트렌치 경Sir David Clive Crosbie Trench|데이비드 클라이브 크로스비 트렌치 경|영어[49] (1915년 ~ 1988년)은 1964년 4월 14일부터 1971년 10월 19일까지 재임한 홍콩의 총독이다. 트렌치 경은 인도 퀘타 출신으로, 식민지 행정가였다.[49]

2. 4. 7. 제25대 - 머레이 맥리호스 (1971년 - 1982년)

머레이 맥리호스 경은 1971년 11월 19일부터 1982년 5월 8일까지 홍콩의 제25대 총독을 역임했다.[49] 그는 최초로 외교관 출신 총독이었으며, 영국 덴마크 대사를 역임했다.[49]

2. 4. 8. 제26대 - 에드워드 유드 (1982년 - 1986년)

경은 1982년 5월 20일부터 1986년 12월 4일까지 홍콩의 제26대 총독을 역임했다. 그는 재임 중 사망한 유일한 총독이다.[50]

경은 주 중화인민공화국 영국 대사 출신으로, 능숙하게 (만다린)를 구사하여 중-영 협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초상화이름취임퇴임재임 기간출신경력참고
에드워드 유드 경(Sir Edward Youde)
1982년 5월 20일1986년 12월 4일페나스, 웨일스영국 중국 대사[50]


2. 4. 9. 제27대 - 데이비드 윌슨 (1987년 - 1992년)

번호초상화이름재임 기간출신경력
취임퇴임재임 기간
27데이비드 윌슨 경
1987년 4월 9일1992년 7월 3일클래크매넌셔, 스코틀랜드외교관



데이비드 윌슨 경은 1987년 4월 9일부터 1992년 7월 3일까지 홍콩의 총독을 역임한 스코틀랜드 클래크매넌셔 출신의 외교관이다.

2. 4. 10. 제28대 - 크리스 패튼 (1992년 - 1997년)

(Chris Patten|크리스 패튼영어) (1944년 출생)은 1992년 7월 9일부터 1997년 6월 30일까지 재임한 마지막 홍콩의 총독이다. 영국 보수당 출신 정치인으로, 홍콩의 민주 개혁을 추진했지만 중국의 반발에 부딪혔다.[49]

크리스 패튼은 총독 재임 기간 동안 귀족 작위나 기사 작위를 받지 않았으며, 총독 정복을 착용하지 않은 유일한 총독이었다. 1997년 7월 1일 영국 통치 하 홍콩의 마지막 총독이었다.[49]

3. 총독의 권한과 역할

홍콩 총독은 영국 국왕을 대리하여 홍콩의 행정, 입법, 사법에 걸쳐 광범위한 권한을 행사했다.[1] 총독은 행정회의와 입법회의 의장을 겸임했다. 1985년 입법회에서 최초의 간접 선거가 치러지기 전까지 총독은 입법회 의원 대부분을 임명했으며, 입법회는 주로 자문 기관의 역할을 수행했다. 처음에는 두 의회 모두 영국 출신 외국인들이 주를 이루었지만, 점차 현지 홍콩 중국인으로 바뀌었다.

총독의 권한과 의무는 1843년 홍콩 칙허장과 홍콩 왕실 훈령에 정의되어 있었다. 총독은 외무 장관의 자문에 따라 영국 국왕이 임명하였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짧은 기간을 제외하고는 영국 통치 마지막 해까지 대표 정부를 도입하려는 진지한 시도는 없었다.

역사적으로 홍콩 총독은 전문 외교관이나 고위 식민지 관리였으나, 마지막 총독인 크리스 패튼은 직업 정치인이었다. 1996년 총독의 연봉은 세금 없이 3036000HKD였으며, 이는 정무 차관 봉급의 125%로 고정되었다.[1]

총독 부재 시에는 정무 차관이 총독 대행을 맡았다. 정무 차관은 역사적으로 식민부 또는 영국 군대에서 선출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영국 해군 부제독이 행정관으로 재직하기도 했다. 일본 제국 군 장교 4명(3명의 육군 장교와 1명의 해군 부제독)은 홍콩 점령 기간 동안 행정관으로 재직했다.

4. 홍콩 총독과 한국과의 관계

홍콩은 과거 영국의 식민지였기 때문에 한국과 직접적인 관련성은 적다. 그러나 한국 전쟁 당시 영국군이 유엔군의 일원으로 참전하였고, 이 과정에서 홍콩 주둔 영국군도 일부 파병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홍콩은 오랫동안 동아시아의 무역, 금융 허브 역할을 해왔으며, 한국 기업들도 홍콩을 통해 해외 시장에 진출하거나 자금을 조달하는 경우가 많았다.

홍콩 민주화 운동은 한국의 민주화 운동과도 유사한 측면이 있으며,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한국의 진보 진영은 홍콩 민주화 운동을 지지하고 연대해 왔다.

5. 평가 및 유산

홍콩 총독은 대영 제국의 식민 통치를 상징하는 존재로서, 홍콩인들에게는 복잡한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대상이었다. 일부 총독들은 홍콩의 경제 발전과 사회 기반 시설 확충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기도 하지만, 식민 통치의 억압과 차별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역대 홍콩 총독 대부분은 영국 식민지성 관료가 맡았지만, 1971년 취임한 머클호스 경 이후 외교관 출신이 많아졌다. 마지막 홍콩 총독인 크리스 패튼보수당 간사장을 역임한 정치인이었다. 그는 홍콩 반환을 앞두고 민주 개혁을 추진했으나, 이는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갈등을 야기하기도 했다.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는 홍콩 총독직은 식민 지배의 잔재로서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밖에 없다. 그러나 홍콩의 역사와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존재로서, 객관적이고 균형 잡힌 평가가 필요하다.

영국에서 중화인민공화국에 주권이 반환, 이양된 현재에도 홍콩의 도로 등 공공 시설에는 역대 총독의 이름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House of Commons Hansard Written Answers for 17 Dec 1996 (pt 3) http://www.parliamen[...] 2011-07-16
[2] 서적 Civil and Miscellaneous Lists: Hong Kong Government Government Printer 1973
[3] 서적 A Biographical Sketch-book of Early Hong Kong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05
[4] 서적 The Chinese Repository https://books.google[...] Canton 1841
[5] 서적 The Chinese Repository https://books.google[...] Canton 1842
[6] 서적 The History of the Laws and Courts of Hong Kong https://archive.org/[...] T. Fisher Unwin 1898
[7] 간행물 Proclamation http://sunzi.lib.hku[...] 1853-06-30
[8] 간행물 Notice http://sunzi.lib.hku[...] 1844-05-11
[9] 간행물 Government Notifications http://sunzi.lib.hku[...] 1854-03-25
[10] 간행물 Government Notification http://sunzi.lib.hku[...] 1854-04-13
[11] 간행물 Government Notification No. 46 http://sunzi.lib.hku[...] 1859-05-02
[12] 간행물 Government Notification No. 77 of 1859 http://sunzi.lib.hku[...] 1859-09-09
[13] 간행물 Government Notification No. 38 of 1865 http://sunzi.lib.hku[...] 1865-03-15
[14] 뉴스 Swearing in the Governor https://mmis.hkpl.go[...] 1866-03-13
[15] 간행물 Government Notification No. 40 of 1866 http://sunzi.lib.hku[...] 1866-03-12
[16] 간행물 Government Notification No. 73 of 1877 http://sunzi.lib.hku[...] 1872-04-11
[17] 간행물 Government Notification No. 80 of 1877 http://sunzi.lib.hku[...] 1872-04-16
[18] 간행물 Government Notification No. 47 of 1877 http://sunzi.lib.hku[...] 1877-03-02
[19] 간행물 Government Notification No. 103 of 1877 http://sunzi.lib.hku[...] 1877-04-23
[20] 간행물 Government Notification No. 95 of 1882 http://sunzi.lib.hku[...] 1882-03-07
[21] 간행물 Government Notification No. 147 of 1882 http://sunzi.lib.hku[...] 1882-03-28
[22] 간행물 Government Notification No. 118 of 1883 http://sunzi.lib.hku[...] 1883-03-31
[23] 간행물 Government Notification No. 198 of 1885 http://sunzi.lib.hku[...] 1885-12-21
[24] 간행물 Government Notification No. 165 of 1887 https://sunzi.lib.hk[...] 1887-04-25
[25] 간행물 Government Notification No. 403 of 1887 http://sunzi.lib.hku[...] 1887-10-06
[26] 간행물 Government Notification No. 215 of 1891 http://sunzi.lib.hku[...] 1891-05-07
[27] 간행물 Government Notification No. 515 of 1891 http://sunzi.lib.hku[...] 1891-12-10
[28] 간행물 Government Notification No. 44 of 1898 http://sunzi.lib.hku[...] 1898-02-25
[29] 간행물 Government Notification No. 528 of 1898 http://sunzi.lib.hku[...] 1898-11-25
[30] 간행물 No.788 of 1903 http://sunzi.lib.hku[...] 1903-11-21
[31] 간행물 No.518 of 1904 http://sunzi.lib.hku[...] 1904-07-29
[32] 간행물 No.288 of 1907 http://sunzi.lib.hku[...] 1907-04-20
[33] 간행물 No.81 of 1912 http://sunzi.lib.hku[...] 1912-03-16
[34] 간행물 No.218 of 1912 http://sunzi.lib.hku[...] 1912-07-04
[35] 간행물 No.219 of 1912 http://sunzi.lib.hku[...] 1912-07-04
[36] 간행물 No.346 of 1918 http://sunzi.lib.hku[...] 1918-09-12
[37] 간행물 No. 454 of 1919 http://sunzi.lib.hku[...] 1919-09-30
[38] 간행물 Hong Kong Hansard http://sunzi.lib.hku[...] 1925-11-23
[39] 간행물 No. 627 of 1925 http://sunzi.lib.hku[...] 1925-11-23
[40] 간행물 No. 624 of 1925 http://sunzi.lib.hku[...] 1925-11-01
[41] 간행물 No. 70 of 19305 http://sunzi.lib.hku[...] 1930-02-01
[42] 간행물 No. 275 of 1930 http://sunzi.lib.hku[...] 1930-05-09
[43] 간행물 No. 381 of 1935 http://sunzi.lib.hku[...] 1935-05-17
[44] 간행물 No. 681 of 1935 http://sunzi.lib.hku[...] 1935-09-13
[45] 간행물 No. 836 of 1935 http://sunzi.lib.hku[...] 1935-11-01
[46] 간행물 No. 966 of 1935 http://sunzi.lib.hku[...] 1935-12-12
[47] 간행물 No. 260 of 1937 http://sunzi.lib.hku[...] 1937-04-16
[48] 간행물 No. 755 of 1937 http://sunzi.lib.hku[...] 1937-10-28
[49] 간행물 No. 1079 of 1941 http://sunzi.lib.hku[...] 1941-09-06
[50] 간행물 No. 1085 of 1941 http://sunzi.lib.hku[...] 1941-09-10
[51] 뉴스 "<特輯:홍콩 주권반환 D-100일> ①양도준비상황" https://news.naver.c[...] 2017-04-16
[52] 뉴스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7-06-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