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홍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학은 붉은색 깃털을 가진 조류로, 아프리카, 남유럽, 서아시아, 중남미의 염호와 갯벌에 서식한다. 영어로는 플라밍고라고 불리며, 깃털 색깔은 섭취하는 색소에 따라 연분홍색에서 적색까지 다양하다. 홍학은 한쪽 다리로 서 있는 독특한 행동을 보이며, 부리를 이용해 물속의 작은 동물을 걸러 먹는 여과 섭식을 한다. 홍학은 둥지를 짓고 알을 낳아 새끼를 키우며, 새끼에게 홍학 젖이라고 불리는 분비액을 먹여 양육한다. 홍학속에는 여러 종이 있으며, 멸종된 종을 포함하여 가마우지과에 근연 관계에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홍학목 - 큰홍학
    큰홍학은 홍학 종류 중 가장 크고, 분홍빛 흰색 깃털과 분홍색 부리, 다리를 가지며, 염수 갯벌과 얕은 해안 석호에 서식하며, 작은 새우 등을 먹고, 북아프리카, 남아시아 등지에 분포하며, 수명은 사육 시 60년 이상이다.
  • 홍학목 - 꼬마홍학
    꼬마홍학은 홍학류 중 가장 작은 종으로 분홍빛 흰색 깃털을 가졌으며 알칼리성 호수에서 스피룰리나를 먹고 사는 새로, 서식지 파괴와 수질 오염으로 개체수가 감소하여 준위협종으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있다.
  • 샤를 뤼시앵 보나파르트가 명명한 분류군 - 판새류
    판새류는 상어, 가오리, 홍어 등을 포함하는 연골어류 아강으로, 아가미구멍과 여러 열의 이빨을 가지며 기름으로 가득 찬 간으로 부력을 조절하고, 턱 구조의 다양성을 보이는 특징을 지니며, 데본기에 출현하여 전 세계 해역과 일부 담수에 분포하지만 멸종 위기에 처해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 샤를 뤼시앵 보나파르트가 명명한 분류군 - 공기호흡메기과
    공기호흡메기과는 아프리카, 인도, 동남아시아 등지에 서식하며, 공기 호흡을 가능하게 하는 상아가미 기관을 통해 육지에서도 이동할 수 있는 메기목 조기어류의 한 과이다.
홍학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강
하강신악하강
상목신조류
미분류후조류
미분류미란도르니테스류
홍학목 (Phoenicopteriformes)
목 명명자Fürbringer, 1888
홍학과 (Phoenicopteridae)
과 명명자Bonaparte, 1831
홍학속 (Phoenicopterus)
속 명명자Linnaeus, 1758
형태
큰홍학 (Phoenicopterus roseus)
큰홍학 (Phoenicopterus roseus)
큰홍학
큰홍학
생식 범위
생식 범위
학명
Phoenicopterus
명명자Linnaeus, 1758
모식종Phoenicopterus ruber
모식종 명명자Linnaeus, 1758
하위 분류
Phoenicopterus chilensis
Phoenicopterus roseus
Phoenicopterus ruber
Phoenicopterus copei
Phoenicopterus floridanus
Phoenicopterus minutus
Phoenicopterus novaehollandiae
Phoenicopterus stocki
플라밍고속 Phoenicopterus
코플라밍고속 Phoeniconaias
안데스플라밍고속 Phoenicoparrus
† 에로르니스속 Elornis
Phoeniconotius
기타
화석 범위올리고세 후기 – 현세

2. 명칭

속명 ''Phoenicopterus''는 1758년 스웨덴의 박물학자 칼 폰 린네가 그의 저서 ''자연의 체계'' 제10판에서 단일 종인 아메리카홍학 ''Phoenicopterus ruber''를 포함시키기 위해 제안하였다.[1][2] 속명은 "홍학"을 의미하는 라틴어이다.[3]

플라밍고(flamingo)라는 이름은 라틴어로 ""을 의미하는 flamma에서 유래했다.[7]

일본어 이름은 '''홍학(ベニヅル)'''[8]이지만, 두루미(두루미목)와는 가까운 관계가 아니며, 표준 일본어명 또는 그 일부로는 사용되지 않는다.

메이지 시대의 문헌에서 플라밍고에 '''화학(火鶴)'''[9][10], '''화렬조(火烈鳥)'''[11]라는 한자가 사용되었다.

3. 분포

홍학은 아프리카, 남유럽, 서아시아, 중남미염호갯벌에 서식한다. 염호나 알칼리성 호수와 같은 특수한 환경에 적응하고 있으며, 수천 마리에서 백만 마리에 달하는 거대한 무리를 형성한다.

4. 형태 및 생태

홍학은 보통 한쪽 다리로 서 있으며, 다른 하나는 몸 아래에 두고 있다. 이에 대한 이유는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한 가지 이론에 따르면 물에 많이 있는 홍학이 체온을 더 많이 절약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행동은 따뜻한 물에서도 나타나며, 물에 서 있지 않는 다른 조류에게서도 발견된다. 또 다른 이론은 한쪽 다리로 서서 균형을 잡으면 근육을 만들기 위한 에너지 사용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홍학의 뼈에 관한 연구에서는 한쪽 다리를 들어올리는 것은 어떠한 근육 활동도 필요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2]

한쪽 다리로 잠든 홍학


홍학은 유능한 조류이며, 2005년 캔자스주 위치 동물원에서 날개가 잘리지 않은 아프리카 홍학이 탈출하여 14년 후 텍사스에서 발견되기도 했다.[13]

꼬마 홍학은 회색 빛이 도는 붉은 깃털로 부화하지만, 어른 홍학은 수성 박테리아와 식량 공급에서 얻은 베타 카로틴으로 인해 밝은 분홍색에서 빨간색까지 다양하다. 건강한 홍학은 더욱 생생한 색을 띠므로 더 바람직한 짝이 된다. 그러나 흰색과 창백한 색의 홍학은 일반적으로 건강이 안 좋거나 영양실조다. 동물원에서 사육되는 홍학은 카로틴을 충분히 섭취하지 못하면 옅은 분홍색으로 변할 수 있다.

깃털 색깔은 연한 분홍색에서 선명한 적색까지 다양하며, 이는 새우나 게와 같은 먹이에 포함된 베타카로틴과 칸탁산틴 때문이다. 부화 직후의 깃털 색깔은 흰색이며, 이러한 색소를 포함한 갑각류 플랑크톤을 섭취함으로써 깃털 색깔이 적색으로 변한다. 색소 섭취가 지속되지 않으면 깃털 색깔이 점차 바래서 최종적으로는 흰색으로 돌아온다. 동물원에서 사육할 경우에는 사료에 색소를 첨가하여 깃털 색깔을 유지한다.[12]

큰 홍학은 다른 홍학 종류에 비해 가장 키가 크며, 기본적으로 1.2m~1.4m이고 무게는 최대 3.5kg이다. 꼬마 홍학의 키는 0.8m이고 무게는 2.5kg이다. 홍학의 날개 길이는 94cm에서 150cm까지 자랄 수 있다.

부리는 중앙부에서 급격하게 아래쪽으로 굽어져 ‘へ’자 모양을 하고 있다. 부리가 굽어지는 각도는 머리꼭대기를 아래로 향하고 부리를 물에 담그는 채식 자세에 대응하고 있다. 부리 가장자리에는 라멜라라는 수염 모양의 조직이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수중의 남조류나 작은 동물을 걸러 먹는 여과 섭식을 한다. 이와 유사한 채식 형태를 취하는 수염고래류와는 머리 형태의 유사성이 보이며, 수렴 진화에 가까운 현상이 발생했다는 지적도 있다.[12]

번식기에는 목을 쭉 뻗고 머리를 좌우로 흔드는 ‘깃발 흔들기’, 허리를 숙이고 날개를 펼치는 ‘경례’를 하며, 짝이 결정되면 부리로 주변의 흙을 모아 사다리꼴 모양의 둥지를 만들고 알을 1개 낳는다. 암수가 함께 알을 품고 약 1개월 후에 부화한다. 새끼는 처음에는 흰색 솜털과 곧은 부리를 가지고 있지만, 2개월 후에는 회색으로 변하고 부리도 휘어진다. 약 3년 후에 성조와 같은 색깔이 된다.[13]

목에 있는 샘에서 홍학 젖이라고 불리는 영양이 풍부한 분비액을 내뿜는다. 이것을 새끼에게 입으로 먹여서 양육한다. 이와 유사한 예로 비둘기가 비둘기 젖으로 새끼를 기르는 것을 들 수 있다. 모유를 분비하는 포유류 이외에 이와 같은 양육 방식을 하는 것은 드물다.

물가에 있을 때는 주로 한쪽 다리로 서 있는데, 이는 물에 체온을 빼앗기지 않기 위해서이다.

이륙에 25m 정도의 활주가 필요하기 때문에 동물원에서는 사육 구역을 활주할 수 없는 넓이로 하여 야외에서 사육하기도 한다.

5. 하위 종

학명분포
큰홍학P. roseus구대륙아프리카 일부, 남유럽, 남아시아, 서아시아 (가장 널리 분포)
꼬마홍학P. minor아프리카(동아프리카 구조대)에서 북서 인도 (가장 개체수가 많음)
칠레홍학P. chilensis신대륙남아메리카 남부 온대 지방
제임스홍학P. jamesi페루, 칠레, 볼리비아, 아르헨티나의 안데스 고원
안데스홍학P. andinus페루, 칠레, 볼리비아, 아르헨티나의 안데스 고원
쿠바홍학P. ruber카리브 제도와 갈라파고스 제도



플라밍고과에는 현재 3속 6종[16][17]이 있다.

Sibley & Monroe (1990)는 플라밍고과의 현존 속을 통합하여 플라밍고속 1속으로 분류했지만, 널리 받아들여지지는 않고, 현재는 미국 조류학회 남아메리카 분류위원회(AOU-SACC)가 채택하고 있다.[20]

현존하는 플라밍고과의 공통 조상은 약 437만 년 전에 두 갈래로 분기했다.[18]


  • 큰홍학(유럽플라밍고) : 아프리카 광역, 유라시아 남서부~남부[17](지중해 연안~인도)에 서식한다. 몸길이 약 110cm. 몸은 흰색, 날개는 연한 분홍색이다. 1957년경부터 신대륙의 붉은홍학과 같은 종이라는 설이 제기되었지만, Sangster (1997) 등에 의해 다른 종으로 판명되었다.[19]
  • 붉은홍학(아메리카홍학) : 갈라파고스 제도카리브해 연안[17]에 서식하며, 플로리다에 유입[5]되어 있다. 몸길이 약 145cm. 플라밍고 중에서 가장 붉은색이 선명하다.[5] 1957년경부터 구대륙의 큰홍학과 같은 종이라는 설이 제기되었지만, Sangster (1997) 등에 의해 다른 종으로 판명되었다.[19]
  • 칠레홍학(칠레플라밍고) : 남미의 페루 중부에서 티에라 델 후에고까지, 동쪽은 브라질 남부, 우루과이, 아르헨티나까지[17]염호 등에 서식한다. 연한 분홍색을 띠고 있으며, 등에는 붉은색 줄무늬가 있다. 1938년경부터 1990년경까지 큰홍학이나 붉은홍학과 같은 종이라는 설이 있었다.[20]
  • 꼬마홍학(작은플라밍고) : 아프리카의 동부, 나미비아에서 보츠와나, 세네갈에서 모리타니, 아시아의 인도와 남동파키스탄[17]에 서식한다. 비교적 소형의 플라밍고이다. 가장 개체수가 많은 플라밍고이며, 400만 마리 이상이 서식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단형속으로 분류되어 왔지만, 안데스홍학속과의 유전적 변이가 작아 안데스홍학속으로 옮기는 것이 2014년에 제안되었다.[18]
  • 안데스홍학 : 페루 남부, 볼리비아 서부, 칠레, 아르헨티나 북서부에 서식한다.
  • 제임스홍학(작은부리플라밍고) : 페루 남부, 볼리비아 서부, 칠레, 아르헨티나 북서부에 서식한다.

6. 계통 분류

2020년 쿨(Kuhl) 등의 연구에 의한 조류의 계통 분류가 있다.[24] 플라밍고과는 현재 3속 6종[16][17]만이 현존하는 작은 그룹이다.

플라밍고과에 가장 가까운 것은, 몇몇 멸종된 무리들을 포함하여, 함께 플라밍고목을 구성한다. 현생 과에 한정하면 가마우지과에 근연이고, 플라밍고목은 가마우지목과 자매군이다.[15]

시블리-알키스트 조류 분류는 플라밍고과의 현존 속을 통합하여 플라밍고속 1속으로 분류했다. 이 분류는 널리 받아들여지지는 않지만, 현재도 미국 조류학회 남아메리카 분류위원회(AOU-SACC)가 채택하고 있다.[20]

그들의 계통 관계는 다음과 같다.[18] 현존 플라밍고과의 공통 조상은 약 437만 년 전에 두 갈래로 분기했다.[18]

}

  • 붉은플라밍고 Phoenicopterus ruber|la
  • 칠레플라밍고 Phoenicopterus chilensis|la

|-

! 작은플라밍고속

|

  • 작은플라밍고 Phoeniconaias minor|la

|-

! colspan="2" | 안데스플라밍고속

|-

!

|

  • 안데스플라밍고 Phoenicoparrus andinus|la
  • 작은부리플라밍고 Phoenicoparrus jamesi|la

|-

! 쇠물닭과

| (생략)

|}

  • 큰플라밍고(유럽플라밍고) Phoenicopterus roseus|la: 아프리카 광역, 유라시아 남서부~남부[17](지중해 연안~인도)에 서식한다. 몸길이 약 110cm이다. 몸은 흰색, 날개는 연한 분홍색이다. 1957년경부터 신대륙의 붉은플라밍고와 같은 종이라는 설이 제기되었지만, 다른 종으로 판명되었다.[19]
  • 붉은플라밍고(아메리카플라밍고) Phoenicopterus ruber|la: 갈라파고스 제도카리브해 연안[17]에 서식하며, 플로리다에 유입[5]되어 있다. 몸길이 약 145cm이다. 플라밍고 중에서 가장 붉은색이 선명하다.[5] 1957년경부터 구대륙의 큰플라밍고와 같은 종이라는 설이 제기되었지만, 다른 종으로 판명되었다.[19]
  • 칠레플라밍고 Phoenicopterus chilensis|la: 남미의 페루 중부에서 티에라 델 후에고까지, 동쪽은 브라질 남부, 우루과이, 아르헨티나까지[17]염호 등에 서식한다. 연한 분홍색을 띠고 있으며, 등에는 붉은색 줄무늬가 있다. 1938년경부터 1990년경까지 큰플라밍고나 붉은플라밍고와 같은 종이라는 설이 있었다.[20]
  • 작은플라밍고 Phoeniconaias minor|la: 아프리카의 동부, 나미비아에서 보츠와나, 세네갈에서 모리타니, 아시아의 인도와 남동파키스탄[17]에 서식한다. 비교적 소형의 플라밍고이다. 가장 개체수가 많은 플라밍고이며, 400만 마리 이상이 서식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단형속으로 분류되어 왔지만, 2014년에 안데스플라밍고속과의 유전적 변이가 작아 안데스플라밍고속으로 옮기는 것이 제안되었다.[18]
  • 안데스플라밍고 Phoenicoparrus andinus|la: 페루 남부, 볼리비아 서부, 칠레, 아르헨티나 북서부에 서식한다.
  • 작은부리플라밍고(제임스플라밍고) Phoenicoparrus jamesi|la: 페루 남부, 볼리비아 서부, 칠레, 아르헨티나 북서부에 서식한다.


플라밍고과에는 그 외에 화석 속으로 엘로르니스 (Elornis|la)와 페니코노티우스 (Phoeniconotius|la)가 있다.[21]

에오세의 윤키타르수스 (Juncitarsus|la)도 한때 플라밍고과로 분류되었으나,[21] 아마 플라밍고목에도 속하지 않고, 밀란돌니테스(플라밍고목+가마우지목)의 자매군이다.[22]

플라밍고과는 토머스 헨리 헉슬리(Huxley) (1867)에 의해 독립된 목으로 분류되었다.[23] 하지만 항상 독립된 목으로 분류된 것은 아니었고, 조지 로버트 그레이(G. Gray) (1849)에 의해 기러기목(당시 학명은 Anseres|la), 알프레드 헨리 개로드(Garrod) (1873; 1874)에 의해 꿩목(Galliformes|la), 필립 스클래터(P. Sclater) (1880)에 의해 황새목(당시 학명은 Gressores|la) 등으로 분류되어 왔다.[23] 황새목설은 시블리-알퀴스트 분류(Sibley & Ahlquist (1988))의 분자계통에서 지지되었지만(단, 그들의 황새목은 현재의 것 또는 그들 이전의 것과 상당히 다르다), 비교적 최근까지 유력한 설 중 하나였다.[16]

7. 인간과의 관계

사육되는 홍학은 붉은홍학, 큰홍학, 칠레홍학, 미국홍학 4종이다. 천장이 없는 개방적인 전시 시설에서는 깃털을 다듬기도 하지만, 수컷이 번식 행동을 하지 않는 경우도 있어 전시장을 그물로 둘러싼 시설도 있다.[14] 번식기에 사육사가 둥지 만들기를 돕기도 한다.

참조

[1] 서적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https://www.biodiver[...] Laurentii Salvii
[2] 서적 Check-List of Birds of the World https://www.biodiver[...] Museum of Comparative Zoology
[3] 서적 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Christopher Helm
[4] 웹사이트 Grebes, flamingos https://www.worldbir[...]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1-07-00
[5] 백과사전 日本大百科全書 小学館
[6] 백과사전 世界大百科事典 平凡社
[7] 백과사전 New Oxford American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8] 백과사전 大辞林 4.0 三省堂
[9] 백과사전 百科全書 丸善
[10] 백과사전 具氏博物学 文部省
[11] 백과사전 輿地誌略 文部省
[12] 서적 North Atlantic Right Whales: From Hunted Leviathan to Conservation Icon ジョンズ・ホプキンズ大学出版局
[13] 서적 動物園を100倍楽しむ!飼育員が教えるどうぶつのディープな話 緑書房 2023-07-10
[14] 서적 動物園を100倍楽しむ!飼育員が教えるどうぶつのディープな話 緑書房 2023-07-10
[15] 뉴스 Study of Aquatic Bird Genes Reveals Surprising Relationships and Evolutionary History http://www.science.p[...] 2001-07-07
[16] 서적 脊椎動物の多様性と系統 裳華房
[17] 웹사이트 IOC World Bird Names http://www.worldbird[...]
[18] 논문 A multi-locus inference of the evolutionary diversification of extant flamingos (Phoenicopteridae) http://www.biomedcen[...]
[19] 웹사이트 Treat Phoenicopterus roseus as separate species from ''P. ruber'' http://www.museum.ls[...]
[20] 웹사이트 A Classification of the Bird Species of South America http://www.museum.ls[...]
[21] 웹사이트 PalaPhoenicopteridae (flamingo): eobiology Database http://paleobiodb.or[...]
[22] 논문 Morphological evidence for sister group relationship between flamingos (Aves: Phoenicopteridae) and grebes (Podicipedidae)
[23] 논문 A comparative study of the egg-white proteins of non-passerine birds http://peabody.yale.[...] Yale University
[24] 논문 An unbiased molecular approach using 3’UTRs resolves the avian family-level tree of life https://academic.ou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밀란도르니테스
플라밍고과
플라밍고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