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화살자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살자리는 프톨레마이오스의 48개 별자리에 포함되었으며, 현대 88개 별자리에도 속한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화살자리를 '화살'로 불렀으며, 헤라클레스가 유피테르의 독수리를 죽이는 데 사용한 무기로 여겨졌다. 화살자리는 은하수 위에 위치하며, 가장 밝은 별 4개가 화살 모양을 이룬다. 주요 별로는 샴(Sham), 화살자리 γ, 화살자리 δ 등이 있으며, 변광성, 구상 성단, 행성상 성운 등 다양한 천체를 포함한다. 한국 전통 천문학에서는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았으나, 일부 별들이 우수에 속하는 '좌기' 성관에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2. 역사

화살자리는 프톨레마이오스의 48개 별자리에 포함되었으며, 현대 88개 별자리에도 속한다.[12] 고대 그리스에서는 Oistos|화살grc라고 불렀다.[5] 에라토스테네스는 이 별자리를 아폴론키클롭스를 전멸시키는 데 사용한 화살이라고 주장했다.[2] 기원전 3세기 전반 마케도니아 시인 아라토스는 시편 『파이노메나()』에서 "화살"을 의미하는 '''Ὀϊστός'''라는 호칭을 사용했다. 기원전 3세기 후반 천문학자 에라토스테네스는 천문서 『카타스테리스모이()』에서 "활"을 의미하는 '''Τόξον'''이라는 호칭을 사용했다. 18세기 이전 라틴어에서는 다트나 창을 의미하는 '''Telum'''이라는 호칭이 많이 사용되었다.

1922년 5월 로마에서 개최된 IAU(국제천문연맹) 설립 총회에서 현행 88개 별자리가 정해졌을 때 그중 하나로 선정되었고, 별자리 명칭은 '''Sagitta''', 약칭은 '''Sge'''로 공식적으로 정해졌다.

18세기 초기에 편찬된 『흠정고금도서집성』「하고삼성도」。중간의 「좌기」에서 야좌의 특징적인 Y자형을 볼 수 있다.


독일인 선교사 등이 편찬하여 건륭제 치세의 1752년에 완성된 성표 『흠정의상고성』에서는 야좌의 α・β・δ・ζ・γ・VZ・11・14의 7개 별이 이십팔수현무 칠수 중 두 번째 별자리인 「우수」의 「좌의 군기」를 나타내는 성관 「좌기」에 배정되었다고 한다.

세계적으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라틴어 학명은 Sagitta이며, 일본어 학술 용어로는 "'''야'''"라고 정식으로 정해져 있다. 1874년 (메이지 7년) 문부성에서 출판된 세키토 나리오의 천문서 『성학첩경』에서는 "'''사짓타'''"라는 읽기와 "'''箭'''"이라는 해설이 소개되었다. 1879년 (메이지 12년) 노먼 로키어의 저서 『Elements of Astronomy』를 번역한 『락씨 천문학』에서는 "'''아로우'''"라고 소개되었다. 1908년 (메이지 41년) 4월 창간된 일본 천문학회 회보 『천문 월보』 제1권 3호에 게재된 "6월의 하늘"이라는 기사에서는 '''矢'''라고 불리고 있었다. 1925년 (다이쇼 14년) 초판 간행된 『이과 연표』에도 "'''矢(야)'''"로 이어졌으며, 1944년 (쇼와 19년) 천문학 용어가 재검토되었을 때에도 "'''矢'''"가 계속 사용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1952년 (쇼와 27년) 7월 일본 천문학회가 "별자리 이름은 히라가나 또는 가타카나로 표기한다"라고 했을 때 Sagitta의 일본어 이름은 '''야'''로 정해졌다.

현대 중국에서는 '''천전좌'''라고 불린다.

3. 특징

은하수 안쪽에 놓여 있는 별자리로 북쪽부터 시계방향으로 여우자리, 헤라클레스자리, 독수리자리, 돌고래자리가 있다. 가장 밝은 별 4개는 밝은 별 알타이르의 정북쪽에 위치한 화살 모양의 별자리를 이룬다.[6] 79.9제곱도(하늘의 0.194%) 면적으로, 88 현대 별자리 중 86번째로 작다. 작은말자리와 남십자자리만이 이보다 작다.[8] 북반구에서는 늦봄부터 초가을까지 가장 잘 보이며, 7월 17일에 자정에 남중한다.[7] 북천구에 위치하여 69°S 이북에서 전체를 관측할 수 있다.[8] 북쪽으로 여우자리, 서쪽으로 헤라클레스자리, 남쪽으로 독수리자리, 동쪽으로 돌고래자리와 접한다. 1922년 국제천문연맹에서 채택한 세 글자 약어는 "Sge"이다.[9] 1930년 외젠 조제프 들포르트가 설정한 공식 경계는 12개 선분으로 이루어진 다각형이다. 적도 좌표계에서 적경 좌표는 와 사이, 적위 좌표는 16.08°와 21.64° 사이에 있다.[10]

4. 별과 천체

M71 구상 성단


화살자리는 메시에 71(M71)을 포함하여 몇몇 주목할 만한 천체를 가지고 있다. M71은 느슨한 구상 성단으로, 한때는 밀집된 산개 성단으로 여겨지기도 했다.[6] 지구로부터 약 13,000광년 떨어져 있으며,[66] 1745년 또는 1746년에 프랑스 천문학자 필리프 루아 드 셰조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67] M71은 약 53,000 태양 질량과 대략 19,000 태양 광도의 광도를 가지고 있으며,[68] M71의 별들은 일반적인 구상 성단과 마찬가지로 약 90억 - 100억 년 된 늙은 별이 많다.

허블 우주 망원경의 광역 행성 카메라 ACS의 관측 데이터로 합성된 구상 성단 M71의 이미지.

4. 1. 항성

화살자리의 주요 별들은 다음과 같다.

  • 화살자리 α (α Sge): '샴(Sham)'이라는 별칭이 있다. 황색의 밝은 거성이며, 화살의 깃털 부분에 해당한다.[11]
  • 화살자리 γ: 화살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로, 적색 거성이다.[13]
  • 화살자리 δ: 이중성으로 추정된다.[17]
  • 화살자리 ε: 4연성이다.[26]
  • 화살자리 η: '히야데스 이동군'에 속한다.[33]
  • HD 231701: 외계 행성 'Babylonia'를 가진 항성으로, 이라크 공화국에 의해 명명되었다.
  • HAT-P-34: 외계 행성 'Ġgantija'를 가진 항성으로, 몰타 공화국에 의해 명명되었다.
  • 화살자리 β: 황색 거성이며, 4등성이다.[23]
  • 궁수자리 R별: 황소자리 RV형 변광성 (RV Tau)이다.
  • V별: 백색 왜성과 주계열성으로 이루어진 근접 쌍성계이다.
  • 궁수자리 FG별: post-AGB별이며, 행성상 성운 Hen 1-5의 중심성이다.
  • PSR J1959+2048: 중성자별과 갈색 왜성에 의한 근접 쌍성이며, 밀리초 펄서이다.


화살자리의 주요 항성 목록
이름밝기분광형거리특징
α Sge (샴)4.37 등급G1 II[21]황색 밝은 거성, 화살 깃털
γ Sge3.47 등급M0 III[14]적색 거성, 화살촉, 화살자리에서 가장 밝음
δ Sge3.82 등급M2 II + B9.5V광년적색 초거성 + 청백색 주계열성, 이중성
ε Sge5.66 등급G8 III[28]황색 거성, 4연성계
η Sge5.09 등급K2 III[31]오렌지색 거성, 히야데스 이동군
HD 2317018.97 등급F8V약 354 광년황백색 주계열성, 외계 행성 Babylonia (이라크 공화국 명명)
HAT-P-3410.40 등급F8[61]외계 행성 Ġgantija (몰타 공화국 명명)
β Sge4.38 등급G8IIIaCN0.5[23]황색 거성, 4등성
R별8.0 ~ 10.4 등급 (변광)G8Ib약 5,980 광년황소자리 RV형 변광성
V별변광약 7,780 광년백색 왜성과 주계열성으로 이루어진 근접 쌍성계
FG별변광약 1만 1600 광년post-AGB별, 행성상 성운 Hen 1-5의 중심성
PSR J1959+2048변광약 7,340 광년중성자별과 갈색 왜성에 의한 근접 쌍성, 밀리초 펄서


4. 2. 변광성

R 화살자리는 희귀한 RV 타우리 변광성에 속하는 별이다. 겉보기 등급은 8.2에서 10.4 사이에서 변한다.[38] 항성 진화의 점근 거성 가지 단계를 벗어나 행성상 성운이 되기 위한 과정에 있는 노화된 별이다.[40]

FG 화살자리는 "다시 태어난" 별로, 백색 왜성이 되기 직전에 헬륨 껍질의 핵융합을 재점화하여, 100년도 안 되는 기간 동안 청색 초거성으로 팽창한 후 K형 초거성으로 진화했다.[42]

S 화살자리는 8.38일마다 5.24에서 6.04 사이의 겉보기 등급으로 변하는 고전 세페이드 변광성이다. 스펙트럼형 F6 Ib에서 G5 Ib 사이에서 맥동하는 황백색 초거성이다.[44]

U 화살자리는 3.4일 동안 6.6에서 9.2 사이의 겉보기 등급으로 변하는 식쌍성이다.[6] 이 별은 스펙트럼형 B8 V의 청백색 별과, 냉각되어 팽창하여 스펙트럼형 G4 III-IV의 황색 준거성으로 진화한 별, 두 개의 구성 별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은 차가운 준거성이 로슈 로브를 채우고 뜨거운 별로 물질을 전달할 정도로 가까이 공전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반분리 쌍성 시스템이 된다.[51]

V 화살자리는 V 화살자리 변광성의 원형이며, 또한 초연성 X선원이기도 한 격변 변광성이다.[38]

WZ 화살자리는 또 다른 격변 변광성으로, 백색 왜성과 스펙트럼형 L2의 갈색 왜성으로 구성되어 있다.[56]

4. 3. 성단

메시에 71(M71)은 느슨한 구상 성단이며, 한때는 밀집된 산개 성단으로 여겨지기도 했다.[6] 지구로부터 약 13,000광년 떨어진 거리에 위치하며,[66] 1745년 또는 1746년에 프랑스 천문학자 필리프 루아 드 셰조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67] 이 성긴 구상 성단은 약 53,000 태양 질량과 대략 19,000 태양 광도의 광도를 가지고 있다.[68] M71의 별들은 일반적인 구상 성단과 마찬가지로 약 90억 - 100억 년 된 늙은 별이 많다.

4. 4. 기타

화살자리는 은하수 안쪽에 놓여 있는 별자리로, 북쪽부터 시계방향으로 여우자리, 헤라클레스자리, 독수리자리, 돌고래자리가 있다.[1] 화살 끝은 동쪽 백조자리 쪽을 향하고 있다.[1]

5. 신화

화살자리는 다양한 신화와 관련되어 있다. 헤라클레스독수리를 죽일 때 사용한 화살로 여겨졌는데, 이 독수리는 제우스프로메테우스를 괴롭히기 위해 보낸 것이었다.[2] 에라토스테네스는 화살자리를 아폴론이 키클롭스를 죽인 화살이라고 주장하였다.[2] 큐피드의 화살로 여겨지기도 했다.

돌고래, 독수리, 궁수, 화살의 그림이 중세 별자리에 겹쳐져 있음
우라니아의 거울》(1825)에 실린 이 판화에서 화살자리는 독수리자리 위에 보인다.


고대 그리스인은 화살자리를 Oistosgrc '화살'이라고 불렀다.[5] 게르마니쿠스는 아라투스의 『파이노메나』를 라틴어로 번역할 때 "미소년 가니메데를 붙잡아 제우스 곁으로 데려온 새가 지키는 제우스의 화살을 나타낸다"는 이야기를 덧붙였다. 에라토스테네스는 천문서 『카타스테리스모이』에서 에우리피데스가 전하는 이야기로 "아들 아스클레피오스를 키클롭스가 만든 벼락으로 제우스에게 맞아 죽은 것을 원망한 아폴론이 키클롭스를 쏘아 죽인 화살이다"라는 이야기를 소개했다. 아폴론은 극북의 땅 히페르보레오스에 있는 신전에 이 화살을 숨겼고, 아폴론의 죄가 제우스에게 용서받자마자 그의 손으로 돌아갔다고 한다. 그리고 아폴론은 자신의 싸움을 기념하기 위해 화살을 별자리로 삼아 별들 사이에 두었다고 한다. 히기누스는 에라토스테네스와 같은 이야기를 전하는 것과 함께, "코카서스 산에 묶여 독수리에게 간을 쪼아 먹히고 있는 프로메테우스를 본 헤라클레스가, 독수리를 죽인 화살이다"라는 이야기도 전하고 있다.

6. 한국과 화살자리



독일선교사 Ignaz Kögler|이그나츠 쾨글러영어 (대진현) 등이 편찬하여, 건륭제 치세의 1752년에 완성, 봉진된 성표 『흠정의상고성』에서는, 화살자리의 α・β・δ・ζ・γ・VZ・11・14의 7개 별이, 이십팔수현무 칠수의 두 번째 별자리인 우수에 있는 「좌의 군기」를 나타내는 성관 「좌기」에 배정되었다고 한다.[2][3]

참조

[1] 사전 Sagitta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Astronomica http://www.theoi.com[...] 2020-01-31
[3] 서적 Star-Names and Their Meanings https://books.google[...] Dover Publications
[4] 서적 The Star Atlas Companion: What You Need to Know about the Constellations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Springer 2012
[5] 간행물 Albumasariana http://opar.unior.it[...] Rivista del Dipartimento di Studi Asiatici e del Dipartimento di Studi e Ricerche su Africa e Paesi Arabi 2002
[6] 서적 The Observer's Year: 366 Nights in the Univers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7] 서적 Illustrated Guide to Astronomical Wonders: From Novice to Master Observer https://books.google[...] O'Reilly Media, Inc.
[8] 웹사이트 Constellations: Lacerta–Vulpecula http://www.ianridpat[...] 2015-05-22
[9] 간행물 The New International Symbols for the Constellations
[10] 웹사이트 Sagitta, Constellation Boundary https://www.iau.org/[...]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20-10-20
[11] 서적 Lost Stars: Lost, Missing and Troublesome Stars from the Catalogues of Johannes Bayer, Nicholas Louis de Lacaille, John Flamsteed, and Sundry Others The McDonald & Woodward Publishing Company
[12] 웹사이트 Sagitta http://www.ianridpat[...] 2015-05-22
[13] 간행물 PEPSI deep spectra. II. Gaia benchmark stars and other M-K standards
[14] 간행물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2007
[15] 간행물 Precise radial velocities of giant stars. X. Bayesian stellar parameters and evolutionary stages for 372 giant stars from the Lick planet search
[16] 간행물 Determining parameters of cool giant stars by modeling spectrophotometric and interferometric observations using the SAtlas program 2008
[17] 간행물 Winds and accretion in delta Sagittae 1995
[18] 간행물 A catalogue of multiplicity among bright stellar systems 2008-09
[19] 간행물 MK Classification of 142 Visual Binaries 1969-10
[20] 간행물 A study of the bright A stars. I. A catalogue of spectral classifications 1969-04
[21] DR2
[22] 웹사이트 Sham http://stars.astro.i[...] University of Illinois 2015-05-22
[23] DR2
[24] 간행물 The Lithium Abundances of a Large Sample of Red Giants 2014
[25] 간행물 Supergiant temperatures and linear radii from near-infrared interferometry
[26] 서적 Turn Left at Orion: Hundreds of Night Sky Objects to See in a Home Telescope – and How to Find Them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간행물 Spectroscopic study on the beryllium abundances of red giant stars
[28] DR2
[29] 간행물 The Washington Visual Double Star Catalog
[30] DR2
[31] 간행물 The Spectra of the Bright Stars of Types F5-K5 1952-07
[32] 간행물 UBV photometry of 550 F, G and K type stars
[33] 간행물 Local kinematics of K and M giants from CORAVEL/Hipparcos/Tycho-2 data. Revisiting the concept of superclusters 2005
[34] 간행물 Visual multiples. VIII. 1000 MK types 1985
[35] DR2
[36] DR2 1829590410954063744
[37] 웹사이트 Variables: What Are They and Why Observe Them? https://www.aavso.or[...] AAVSO 2017-08-24
[38] 서적 Observing Variable Stars: A Guide for the Beginner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39] DR2 1808748613981554176
[40] 학술지 Physical Properties of Galactic RV Tauri Stars from Gaia DR2 Data
[41] DR2 1828750899461025536
[42] 학술지 The remarkable evolution of the post-AGB star FG Sge http://real.mtak.hu/[...]
[43] 학술지 Photometry, Spectrometry, and Polarimetry of FG Sge in the Active State
[44] 웹사이트 S Sagittae http://www.aavso.org[...] AAVSO 2010-01-04
[45] 웹사이트 S Sagittae http://stars.astro.i[...] University of Illinois 2013-10-04
[46] DR2 1820309639468685824
[47] DR2 4323280515006629760
[48] 학술지 HD 183143: A Hypergiant
[49] 학술지 Identification of More Interstellar C60+ Bands
[50] 학술지 Wolf–Rayet nebulae as tracers of stellar ionizing fluxes. I. M1-67
[51] 학술지 Semidetached double-lined eclipsing binaries: Stellar parameters and rare classes 2020
[52] DR2 4516549576568929408
[53] 학술지 JHKLM Photometry for Carbon Stars 2004
[54] 웹사이트 Binary star V Sagittae to explode as very bright nova by century's end https://phys.org/new[...] 2020-01-07
[55] 웹사이트 There will be a new brightest star in the sky, when it explodes in about 60 years http://m.cnn.com/en/[...] CNN 2020-01-08
[56] 학술지 Dynamical Constraints on the Component Masses of the Cataclysmic Variable WZ Sagittae 2007-09
[57] 학술지 A millisecond pulsar in an eclipsing binary
[58] 웹사이트 B1957+20: A Cocoon Found Inside the Black Widow's Web https://chandra.harv[...]
[59] 학술지 Five Intermediate-Period Planets from the N2K Sample
[60] 학술지 Radial Velocities from the N2K Project: Six New Cold Gas Giant Planets Orbiting HD 55696, HD 98736, HD 148164, HD 203473, and HD 211810
[61] DR2 1810218734055374720
[62] 학술지 HAT-P-34b – HAT-P-37b: Four Transiting Planets More Massive Than Jupiter Orbiting Moderately Bright Stars 2012
[63] 학술지 XHIP: An extended hipparcos compilation
[64] 학술지 The Dynamical Mass and Three-Dimensional Orbit of HR7672B: A Benchmark Brown Dwarf with High Eccentricity 2012
[65] 서적 Sky Vistas: Astronomy for Binoculars and Richest-Field Telescopes https://books.google[...] Springer
[66] 서적 Astronomy of the Milky Way: The Observer's Guide to the Northern Sk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7
[67] 서적 Illustrated Guide to Astronomical Wonders: From Novice to Master Observer https://books.google[...] O'Reilly Media 2007
[68] 학술지 The WAGGS project-III. Discrepant mass-to-light ratios of Galactic globular clusters at high metallicity 2020-03
[69] 학술지 Expansion patterns and parallaxes for planetary nebulae
[70] 웹사이트 NGC Objects: NGC 6850 - 6899 http://cseligman.com[...]
[71] 보도자료 Hubble Offers a Dazzling 'Necklace' https://www.nasa.gov[...] NASA 2011-08-11
[72] 뉴스 Hubble Offers a Dazzling View of the 'Necklace' Nebula https://web.archive.[...] 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 2011-08-11
[73] 간행물 First release of the IPHAS catalogue of new extended planetary nebulae 2014-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