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일반 국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는 대한민국 내 주요 도시 및 지역을 연결하는 도로망으로, 파란색 타원 안에 흰색 숫자로 표기된다. 남북 방향 노선은 홀수, 동서 방향 노선은 짝수 번호를 부여하며, 한 자리 수 노선은 주요 간선, 두 자리 수 노선은 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1938년 최초 지정 이후 여러 차례 개정을 거쳐 현재의 노선 체계를 갖추었으며, 2024년 현재 국도 제1호선, 제3호선, 제5호선, 제7호선, 제31호선, 제43호선이 북한과 연결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 -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37호선은 경상남도 거창군에서 경기도 파주시까지 총 연장 405km에 걸쳐 6개 도를 연결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지만, 노선 변경에 따른 주민 불편과 일부 구간의 교통 혼잡 문제도 안고 있는 일반국도이다. - 도로 - 녹사평대로
녹사평대로는 반포대교 북단에서 시작하여 남산3호터널을 지나 소공로와 연결되며, 이태원 관광특구 등 상권과 남산으로의 접근성을 가지는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도로이다. - 도로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부산민주공원
부산민주공원은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공원 내에 위치하며 부마민주항쟁 20주년 기념으로 1999년에 개관한 공원으로, (사)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가 부산광역시로부터 위탁받아 운영하며, 부산광역시 조례에 따라 관리된다.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한강공원
한강공원은 서울과 경기도에 걸쳐 조성된 대규모 공원 시스템으로, 1982년부터 1986년까지의 한강종합개발계획을 통해 조성되었으며, 한강르네상스 사업을 통해 문화, 예술, 레저 공간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행사와 활동을 제공하며 생태계 보전에도 기여한다.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 | |
---|---|
일반 국도 정보 | |
개요 | 대한민국의 국도 체계 중 하나 |
정의 | 주요 도시를 연결 산업 기반 시설 연결 교통망 연계 |
관리 주체 | 국토교통부 (국토관리청) |
법적 근거 | 도로법 |
노선 지정 | 국토교통부 장관 |
특징 | |
번호 부여 방식 | 간선 노선: 2자리 수 (주요 남북 노선은 홀수, 주요 동서 노선은 짝수) 보조 노선: 3자리 수 (간선 노선 번호 + 1자리 수) |
도로 등급 | 특별시도, 광역시도, 시군도와 함께 '지방도'에 속함 (법률상) 실제 기능: 고속도로 다음가는 주요 도로 |
도로 상태 | 포장률 높음 선형 양호 (과거에 비해) 2차선 이상 도로 많음 |
제한 속도 | 설계 속도: 80km/h (일반 구간) 제한 속도: 60~80km/h (일반 구간), 30km/h (도시부) |
통행료 | 무료 (전 구간) |
자동차 전용도로 | 지정 구간 존재 (일부) |
역사 | |
기원 | 일제강점기 '국도' (고속도로 개념) |
변화 | 1960년대 이후 포장 시작 1970년대 이후 도로 확장 및 선형 개선 1990년대 이후 자동차 전용도로 지정 |
문제점 | 고속도로 개통으로 인한 기능 약화 (일부 구간) 교통량 증가로 인한 정체 (일부 구간) |
기타 정보 | |
관련 법규 | 도로법 도로교통법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
관련 기관 | 국토교통부 국토관리청 지방자치단체 |
관련 정보 | 국가지원지방도 지방도 시도 군도 구도 (도로) |
2. 노선 번호 부여 체계
대한민국의 일반국도 노선을 표기할 때는 -- 파란색 타원에 흰색 숫자로 표기한다. 일반국도 노선 번호는 한자리 또는 두 자리 수로 구성되어 있다. 남북 방향 노선은 홀수, 동서 방향 노선은 짝수로 번호를 붙인다. 한 자리 수 일반국도는 가장 기본이 되는 축 역할을 하는 노선이며, 두 자리 수 일반국도는 각 한 자리 수 일반국도를 이어주는 간선 역할을 한다.[9][10]
朝鮮道路令중국어에 의해 1938년 12월 1일에 국도 노선이 최초로 지정되었다.[11] 1962년 1월 1일에 조선도로령이 폐지되었으나,[11] 1963년 2월 5일, '''각령 제1191호 1급국도와2급국도의노선지정의건'''에 의해 기존 노선이 유지되었다.[11]
번호
3. 역사
1966년 12월 27일, 위 각령이 개정되면서 조선도로령과는 다른, 현재와 유사한 노선 체계가 형성되었다.[12] 1969년 12월 1일에는 '''1급국도와2급국도의노선지정령'''으로 변경되었고,[13] 1971년 8월 31일에는 이 '''1급국도와2급국도의노선지정령'''이 폐지되고[14] '''일반국도노선지정령'''이 제정되었다.[15] 이 과정에서 일부 1급국도는 고속국도로 분리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 노선 신설, 연장, 변경이 이루어졌다. 주요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다.날짜 주요 변경 내용 1972년 2월 22일 국도 제27호선 신설, 국도 제32호선 기점 변경[16] 1981년 3월 14일 국도 12개 노선 신설, 13개 노선 연장, 3개 노선 경유지 변경[17] 1981년 6월 24일 국도 제3호선 기점 연장, 국도 제14호선 경유지 변경, 국도 제23호선 기점 연장[18] 1986년 5월 13일 직할시 출범 등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주요 경유지 수정[19] 1990년 10월 30일 국도 제29호선 시점 변경, 국도 제38호선 종점 연장[20] 1996년 7월 1일 국도 3개 노선 신설, 6개 노선 연장, 41개 노선 경유지 변경, 1개 노선 폐지[21] 2001년 8월 25일 국도 7개 노선 신설, 15개 노선 변경[22] 2008년 1월 3일 국도 제4호선 기점 연장[23] 2008년 11월 17일 국도 5개 노선 연장, 18개 노선 경유지 변경, 5개 노선 폐지[24] 2012년 1월 26일 13개 노선 경유지 변경[25] 2013년 12월 24일 국도 제43호선 기점 연장 및 노선명 변경[26] 2014년 7월 14일 도로법 전면개정으로 일반국도 노선 지정령 폐지[27] 2015년 3월 27일 국토교통부고시로 일반국도 노선 지정 및 일부 노선 변경[28] 2016년 4월 8일 진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 개통으로 국도 제2호선,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3호선 진주시 구간 경유지 변경[29] 2016년 7월 13일 국도 제34호선 종점 지번 변경[30] 2017년 7월 11일 수원시 국도대체우회도로 개통으로 국도 제43호선 경유지 변경, 국도 제87호선 총 연장 변경[31] 2020년 11월 13일 새만금 동서도로 개통을 앞두고 국도 제12호선 지정[32] 2021년 6월 22일 8개 국도 노선 변경[33] 2024년 8월 2일 국도 제11호선 신규 지정, 국도 제25호선 기점 변경, 국도 제29호선 경유지 변경[34]
4. 노선 목록 (2024년 기준)
시점 종점 길이[35] 1 전라남도 목포시 달동
(신항 교차로)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평안북도 신의주시)509.9 km
(전체 1068.3 km)2 전라남도 신안군 장산면 오음리
(장산도항)부산광역시 중구 동광동1가
(옛시청사거리)477.4 km 3 경상남도 남해군 미조면 송정리
(초전삼거리)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철원읍
(평안북도 초산군 초산면)540.9 km
(전체 1096.3 km)4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하서면 백련리
(수조교차로)경상북도 경주시 감포읍 전촌리
(전촌삼거리)417.9 km 5 경상남도 통영시 도남동
(발개삼거리)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김화읍
(평안북도 자성군 중강진)576.5 km
(전체 1252.2 km)6 인천광역시 중구 북성동2가
(인천역사거리)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연곡면 동덕리
(연곡 교차로)274.3 km 7 부산광역시 중구 동광동1가
(옛시청사거리)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현내면
(함경북도 온성군)484.3 km
(전체 1191.7 km)11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항동
(가덕도신공항)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
(송정육교사거리)11.9 km 12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옥도면 관리도리
(관리도)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진봉면 심포리
(새만금나들목)34.2 km 13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가용리
(완도 교차로)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 양전리
(양전삼거리)308.9 km 14 경상남도 거제시 남부면 저구리
(저구사거리)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청림동
(청림삼거리)315.9 km 15 전라남도 고흥군 봉래면 예내리
(나로우주센터)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주천면 송치리
(장안교차로)223.5 km 17 전라남도 여수시 돌산읍 신복리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추곡리 437.6 km 18 전라남도 진도군 군내면 둔전리
(금골 교차로)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
(화엄사)282.6 km 19 경상남도 남해군 미조면 미조리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서석면 풍암리 494.6 km 20 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 중산리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동촌동
(현대제철삼거리)230.2 km 21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대강면 사석리
(대강면사무소)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 진암리
(진암 나들목)430.9 km 22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연지동
(연지사거리)전라남도 순천시 중앙동
(의료원앞 교차로)204.5 km 23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 동성리
(동성사거리)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신부동
(천안 나들목)395.7 km 24 전라남도 신안군 임자면 진리
(임자면사무소)울산광역시 남구 무거동
(삼호교남 교차로)414.5 km 25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자은동
(석동교차로)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내수읍 국동리
(국동교차로)326.0 km 26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옥서면 선연리
(군산공항)대구광역시 서구 내당동
(두류네거리)235.6 km 27 전라남도 완도군 고금면 덕암리
(고금도성당)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중앙로1가
(중앙사거리)287.5 km 28 경상북도 영주시 영주동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성곡리
(성곡 나들목)204.8 km 29 전라남도 보성군 미력면 용정리
(보성 나들목)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 독곶리 330.1 km 30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보안면 영전리
(영전사거리)대구광역시 서구 내당동
(두류네거리)355.1 km 31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삼성리
(일광 교차로)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동면
(함경남도 안변군 신고산)627.6 km
(전체 750.0 km)32 충청남도 태안군 소원면 모항리
(만리포)대전광역시 중구 오류동
(서대전네거리)180.7 km 33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신월리
(신월 나들목)경상북도 구미시 도개면 신림리
(도개 교차로)211.3 km 34 충청남도 당진시 원당동
(원당 교차로)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덕곡리
(덕곡 교차로)311.5 km 35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
(덕천 교차로)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옥천동 458.6 km 36 충청남도 보령시 신흑동
(대천항)경상북도 울진군 울진읍 온양리
(울진북부 교차로)356.3 km 37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송정리
(절부사거리)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당동리
(당동 나들목)448.2 km 38 충청남도 태안군 이원면 내리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단봉동
(단봉삼거리)362.4 km 39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탑리
(가탑 교차로)경기도 의정부시 가능동
(가능 교차로)225.4 km 40 충청남도 당진시 합덕읍 운산리
(운산1교)충청남도 공주시 신관동
(전막 교차로)145.6 km 42 인천광역시 중구 북성동2가
(인천역사거리)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송정동
(동해항 교차로)336.1 km 43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
(모개고가차도)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김화읍
(강원도 고성군 고성읍)277.2 km
(전체 294.4 km)44 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덕평리
(상평 교차로)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양양읍 청곡리
(청곡 교차로)137.2 km 45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휴암리
(해미 교차로)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청평리
(청평댐입구삼거리)202.6 km 46 인천광역시 중구 북성동2가
(인천역사거리)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간성읍 신안리
(상리 교차로)281.7 km 47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
(양촌 나들목)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김화읍 학사리
(김화 교차로)133.8 km 48 인천광역시 강화군 양사면 인화리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서울도로원표)68.0 km 56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김화읍 학사리
(학사 교차로)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양양읍 청곡리
(청곡 교차로)205.7 km 58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남양동
(마천육교)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동산리
(매전삼거리)82.8 km 59 전라남도 광양시 태인동
(용지삼거리)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양양읍 월리
(송현사거리)494.2 km 67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왜관리
(왜관 교차로)대구광역시 군위군 군위읍 금구리
(군위 나들목)40.5 km 75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신천리
(신천삼거리)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사내면 사창리 85.0 km 77 부산광역시 중구 동광동1가
(옛시청사거리)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마정리
(자유 나들목)1239.4 km 79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무전리
(백야오거리)경상남도 창녕군 유어면 부곡리
(유어삼거리)111.6 km 82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내기리
(내기삼거리)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하갈리
(향남 교차로)31.2 km 87 경기도 포천시 내촌면 내리
(내촌육교)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철원읍 사요리
(대마사거리)61.1 km 88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문암리
(문암삼거리)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 평해리
(평해 교차로)38.5 k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