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경기도 (일제강점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기도 (일제강점기)는 일제강점기 당시의 경기도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1925년부터 1944년까지의 인구 통계와 1944년의 인구 구성, 행정 구역, 역대 도지사, 사법, 형무소, 경찰, 세무, 임정, 전매, 기상, 의료, 교육, 군사, 교통, 광산, 신사, 기업, 미디어, 출신 유명인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이 시기 경기도는 일본인과 조선인, 기타 민족으로 구성되었으며, 철도, 도로, 항만 등의 교통 시설이 건설되었다. 또한, 조선총독부의 수탈 정책으로 인해 광산 개발과 기업 활동이 이루어졌고, 신사 참배 강요 등 민족 말살 정책이 시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개성시 - 개성공업지구
    개성공업지구는 남북 경제협력 사업의 상징으로 시작되어 북한 경제에 기여했으나, 남북관계 경색으로 운영 중단과 폐쇄를 반복하다 2016년 최종 폐쇄된, 성공과 리스크, 논쟁을 동시에 가진 복잡한 사업이다.
  • 개성시 - 기정동
    기정동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선전 목적으로 건설한 비무장지대 내 마을로, 북한은 200가구가 거주하는 집단 농장이라고 주장하나, 대한민국은 무인 마을로 대남 선전, 탈북 방지, 군사적 목적으로 활용된다고 본다.
  • 경기도의 역사 - 백제
    백제는 기원전 18년부터 660년까지 한반도 중서부에 위치했던 고대 왕국으로, 고구려에서 온 온조왕이 건국하여 한성, 웅진, 사비로 수도를 옮기며 발전했고, 중국 남조 및 왜와의 교류를 통해 문화를 융성시켰으나 660년 신라-당 연합군에 의해 멸망했다.
  • 경기도의 역사 - 마한
    마한은 기원전 3세기부터 5세기까지 한반도 서남부에 존재했던 소국 연맹으로, 농업 기반의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키다 백제에 병합되었다.
  • 일제강점기의 도 - 전라북도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일제강점기)는 1910년부터 1945년까지 일본 제국의 지배 아래 놓인 전라북도 지역으로, 조선인이 다수를 차지하고 일본인이 소수를 이루었으며, 부, 군, 면으로 구성된 행정 구역과 전주지방법원, 전주형무소 등의 사법 및 치안 기관, 그리고 전주지방전매국, 군산세무서 등의 경제 기관이 설치되어 농업, 광업, 제조업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 활동과 철도, 도로, 항만을 중심으로 교통이 발달하고 일본어 신문과 라디오 방송국이 운영되었으며, 황민화 정책의 일환으로 전주신사를 비롯한 여러 신사가 설치되었다.
  • 일제강점기의 도 - 경상남도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경상남도는 인구가 증가하고 농림수산업, 광업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했으며, 철도와 항만이 주요 교통 시설로 이용되었고, 부산, 마산 등지에 신사가 있었으며, 조선방송협회 방송국이 운영되었다.
경기도 (일제강점기)
개요
이름경기도 (京畿道)
유형이전 행정 구역
국가일제강점기 조선
관할한국
통치
정치 체제총독부
식민지
수도
수도경성부
역사
시작한일 병합
1910년
종료광복
1945년
지도
1945년 8월 15일 경기도
1945년 8월 15일 경기도
현재 상태
현재대한민국
북한
관련 정보
일본어 이름게이키도 (京畿道, けいきどう)

2. 인구

1944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조선인이 2,886,724명으로 대다수를 차지했고, 일본어일본어를 사용하는 일본인은 197,929명, 기타 민족은 7,581명이었다.[1] 1936년에는 일본인 인구가 153,723명이었다.

일제강점기 경기도 인구 변화 (1925년 ~ 1944년)
연도인구
1925년2,019,108명
1930년2,157,413명
1935년2,392,296명
1940년2,864,389명
1944년3,092,234명


2. 1. 1944년 인구 구성

1944년에 실시된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일제강점기 경기도의 인구 구성은 다음과 같았다.[1]

  • 전체 인구: 3,092,234명
  • 조선인: 2,886,724명
  • 일본인: 197,929명
  • 그 외의 민족: 7,581명

3. 행정 구역

1945년 당시 경기도는 3부 20군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20개의 군(郡)과 각 군에 속한 읍(邑)·면(面)은 다음과 같다.

한국어한자일본어 독음읍·면(한국어)읍·면(한자)읍·면(일본어 독음)
고양군高陽郡コウヤウグン|고요군일본어
광주군廣州郡クワウシウグン|고슈군일본어
양주군楊州郡ヤウシウグン|요슈군일본어
연천군漣川郡レンセングン|렌센군일본어
포천군抱川郡ホウセングン|호센군일본어
가평군加平郡カヘイグン|가헤이군일본어
양평군楊平郡ヤウヘイグン|요헤이군일본어
여주군驪州郡レイシウグン|레이슈군일본어
이천군利川郡リセングン|리센군일본어
용인군龍仁郡リユウジングン|류진군일본어
안성군安城郡アンジヤウグン|안조군일본어
평택군平澤郡ヘイタクグン|헤이타쿠군일본어
수원군水原郡スイゲングン|스이겐군일본어
시흥군始興郡シコウグン|시코군일본어
부천군富川郡フウセングン|후센군일본어
김포군金浦郡キンポグン|긴포군일본어
강화군江華郡カウクワグン|고카군일본어
파주군坡州郡ハシウグン|파주군일본어
장단군長湍郡チヤウタングン|조탄군일본어
개풍군開豊郡カイホウグン|가이호군일본어


3. 1. 부 (府)

1945년 당시 경기도에는 3개의 부(府)가 있었다.

경성부에는 8개의 구(區)가 있었다.

경성부 구
일본식 명칭한국식 명칭
에이토호구 (永登浦区)영등포구
조토구 (城東区)성동구
쇼로구 (鐘路区)종로구
세이다이몬구 (西大門区)서대문구
추구 (中区)중구
토다이몬구 (東大門区)동대문구
류잔구 (龍山区)용산구
마호구 (麻浦区)마포구


3. 2. 군 (郡)

부·군구·읍·면
한국어한자일본어 독음한국어한자일본어 독음
고양군高陽郡コウヤウグン|고요군일본어
광주군廣州郡クワウシウグン|고슈군일본어
양주군楊州郡ヤウシウグン|요슈군일본어
연천군漣川郡レンセングン|렌센군일본어
포천군抱川郡ホウセングン|호센군일본어
가평군加平郡カヘイグン|가헤이군일본어
양평군楊平郡ヤウヘイグン|요헤이군일본어
여주군驪州郡レイシウグン|레이슈군일본어
이천군利川郡リセングン|리센군일본어
용인군龍仁郡リユウジングン|류진군일본어
안성군安城郡アンジヤウグン|안조군일본어
평택군平澤郡ヘイタクグン|헤이타쿠군일본어
수원군水原郡スイゲングン|스이겐군일본어
시흥군始興郡シコウグン|시코군일본어
부천군富川郡フウセングン|후센군일본어
김포군金浦郡キンポグン|긴포군일본어
강화군江華郡カウクワグン|고카군일본어
파주군坡州郡ハシウグン|파주군일본어
장단군長湍郡チヤウタングン|조탄군일본어
개풍군開豊郡カイホウグン|가이호군일본어



각 군(郡)의 읍(邑)과 면(面)은 다음과 같다.

4. 역대 도지사

호적이름한자 표기취임퇴임비고
내지인히가키 나오스케檜垣 直右|히가키 나오스케일본어1910년 10월 1일1916년 3월 28일경기도 장관
내지인마쓰나가 다케키치松永 武吉|마쓰나가 다케키치일본어1916년 3월 28일1919년 9월 26일장관, 1919년 8월부터 경기도지사
내지인구도 에이이치工藤 英一|구도 에이이치일본어1919년 9월 26일1923년 2월 24일
내지인도키자네 아키호時實 秋穗|도키자네 아키호일본어1923년 2월 24일1926년 3월 8일
내지인요네다 진타로米田 甚太郞|요네다 진타로일본어1926년 3월 8일1929년 1월 21일
내지인와타나베 시노부渡邊 忍|와타나베 시노부일본어1929년 1월 21일1931년 9월 23일
내지인마쓰모토 마코토松本 誠|마쓰모토 마코토일본어1931년 9월 23일1934년 11월 5일
내지인도미나가 후미카즈富永 文一|도미나가 후미카즈일본어1934년 11월 5일1936년 5월 21일
내지인야스이 세이이치로安井 誠一郞|야스이 세이이치로일본어1936년 5월 21일1936년 10월 16일
내지인유노무라 다쓰지로湯村 辰二郎|유노무라 다쓰지로일본어1936년 10월 16일1937년 7월 3일
내지인간자 요시쿠니甘蔗 義邦|간자 요시쿠니일본어1937년 7월 3일1940년 5월 30일
내지인스즈카와 도시오鈴川 壽男|스즈카와 도시오일본어1940년 5월 30일1941년 11월 19일
내지인마쓰자와 다쓰오松沢 龍雄|마쓰자와 다쓰오일본어1941년 11월 19일1942년 4월 7일
내지인단게 이쿠타로丹下 郁太郎|단게 이쿠타로일본어1942년 4월 7일1942년 6월 2일
내지인고 야스히코高 安彦|고 야스히코일본어1942년 6월 2일1943년 12월 1일
내지인세토 미치카즈瀬戸 道一|세토 미치카즈일본어1943년 12월 1일1945년 6월 16일
내지인이쿠타 세이자부로生田 清三郎|이쿠타 세이자부로일본어1945년 6월 16일1945년 8월 15일광복



1945년 광복 이후에는 한국인 도지사가 임명되었다.

5. 사법

경성복심법원

경성지방법원

경성지방법원 개성지청, 수원지청, 인천지청

6. 형무소

1941년 당시 경기도에는 경성형무소, 서대문형무소, 인천소년형무소, 개성소년형무소가 있었다.

서대문형무소는 일제강점기에 많은 독립운동가들이 투옥되었던 곳으로, 한국 독립운동 역사에서 중요한 장소로 여겨진다.

7. 경찰

일제강점기 초기에는 헌병경찰제도에 따라 헌병이 경찰 업무를 담당했다. 1910년 12월, 한국 주차 헌병사령부 산하에 경성헌병대를 설치하고, 경기도 지역에 헌병분대를 배치하였다.[1]

1915년 당시 경기도 지역 헌병 부대는 다음과 같다.

본대분대
경성헌병대



1919년 3.1 운동 이후에는 헌병경찰제도에서 보통경찰제도로 바뀌었지만, 일제 경찰은 여전히 한국인들의 독립운동을 탄압하고 민족 문화를 말살하는 데 앞장섰다. 특히 3.1 운동 당시 경기도 지역에서 일제 경찰은 시위대를 무자비하게 진압하고, 수많은 사람들을 학살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1927년 당시 경기도 지역 경찰서는 다음과 같다.

경찰부경찰서
경기도 경찰부


8. 세무

세무서/세관소재지
경성세무서경성부
인천세무서인천부
개성세무서개성부
인천세관인천부
인천세관 경성세관지서경성부



일제는 이러한 세무 기관들을 통해 조선에서 세금을 가혹하게 거두어 갔으며, 이는 조선인들의 경제적 어려움을 더욱 심화시켰다.

9. 임정

1941년 당시 경성영림서가 있었으며, 이는 일제의 산림 수탈 기관이었다.[1]

10. 전매

1941년 당시 경성지방전매국이 있었다.[1]

11. 기상

1942년 당시 조선총독부 기상대와 경성출장소가 있었다.

12. 의료

경성제국대학 의학부 부속 병원, 경성 의학전문학교 부속 병원, 용산 철도 병원이 있었다.[1]

13. 교육

일제강점기 경기도에는 고등 교육기관과 중등 교육기관이 설립되었다. 이들 교육기관은 조선인의 민족의식을 일깨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13. 1. 고등 교육기관

13. 2. 중등 교육기관

일제강점기 경기도의 중등 교육 학교 목록

14. 군사

1936년 당시 경기도에는 다음과 같은 일본군 부대가 주둔하고 있었다.[1]


  • 조선군 사령부 (경성부 용산)
  • 조선 헌병대 사령부 (경성부 용산)
  • 보병 제78연대 (경성부 용산)
  • 보병 제40여단 (경성부 용산)
  • 보병 제79연대 (경성부 용산)
  • 기병 제28연대 (경성부 용산)
  • 야포병 제26연대 (경성부 용산)
  • 공병 제20연대 (경성부 용산)


이는 일본이 식민 통치를 강화하고 조선인들을 억압하기 위한 것이었다.

15. 교통

일제강점기 경기도의 교통은 크게 철도, 도로, 항만으로 나눌 수 있다. 철도와 도로는 현재 한국 교통 체계의 근간이 되었으며, 인천항은 개항 이후 주요 항구로 성장했다.

15. 1. 철도

1945년 당시 경기도에는 경부선, 경인선, 경의선, 경원선, 경경선, 용산선 등 여러 철도 노선이 있었다. 이 노선들은 현재 한국 철도 체계의 근간이 되었다.[1]

조선철도 경동선(이후 수려선, 수인선이 됨), 조선경남철도 경기선, 경춘선과 같은 사설 철도도 있었다.[1]

이 철도들은 일제가 자원을 수탈하고 군사적 목적으로 이용했다는 비판을 받는다.[1]

15. 2. 도로

1927년 당시 경기도 내 1등 및 2등 도로는 다음과 같았다.

도로명
경성부-부산선
경성부-목포선
경성부-인천선
경성부-의주선
경성부-원산선
의정부-평양선
경성-오리진
경성-해주선
경성-강릉선



이 도로들은 현재 대한민국 도로망의 기본 골격이 되었다.

15. 3. 항만

인천항은 개항 이후 급속히 성장하였으며, 마포항, 교동항 등이 주요 항구였다.

16. 광산

직산 금광은 일제강점기 조선 경기도에서 활발하게 채굴이 이루어진 주요 금광 중 하나였다. 일제는 조선의 광물 자원을 수탈하기 위한 목적으로 광산 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으며, 직산 금광 역시 이러한 정책의 일환으로 개발되었다.

17. 신사

일제강점기 경기도에는 조선신궁, 경성신사, 인천신사, 경성호국신사, 개성신사, 수원신사, 가토신사 등이 있었다.

일제는 신사 참배를 강요했는데, 이는 단순한 종교적 행위를 넘어 한국인의 민족 종교와 전통을 훼손하고 황국신민화 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된 것이었다.

18. 기업

1940년 당시 경기도에 본사를 둔 자본금 50만 원 이상 기업들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이들 기업의 활동은 대부분 일본 자본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조선 경제의 종속성을 심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1]

1940년 경기도 본사 자본금 50만 원 이상 기업
분야기업 목록
농림수산업조선농업, 후지흥업, 동영흥업, 동아잠사, 조선개척, 조선산업, 일선산금, 양동식산, 공동광업, 조선농업개량, 임전조선농사개량, 대동임업, 조선개척제당, 성업사, 길촌농림부, 동방식산, 대동흥업, 계성, 선만척식, 제주도흥업, 조선임업개발, 조선축산, 성산농업, 조선어량, 조선수산개발
광업명양광업, 리원철산, 일조조선광업, 일본산광, 조선무연탄, 갑암광산, 삼성광업, 명치산업, 의주광산, 일질광산개발, 조선합동탄광, 보광광업, 조선사금광업, 동척광업, 고바야시광업, 금평광산, 대창산업, 동방광업, 조선제연, 일본산보금산, 조선석유, 일본마그네사이트화학, 남양광산, 봉광업, 학성광업, 합성광업, 삼척개발, 친화광업, 팔주광업, 삼화광산, 동양탄업, 조선광업경영, 회문탄광, 국근광산, 일선광업, 조선광업, 중천광업, 석풍광산, 대동광업, 보인광업, 서안광업, 광장금산, 혜산광업, 조선아연, 김해철산, 와카바야시광업, 고치호채탄, 남선광업, 금강특종광산, 천안산금흥업, 조양광업, 금성광업, 삼국광업, 전태광업, 소양광업, 조선특종광업, 경수광산, 학산광업, 흥아광업, 조선흑연, 욱산금광업, 조선마그네사이트개발, 조선금산개발, 조선마그네사이트개발, 순창드레지광업, 조선운모개발판매, 조선유연탄, 이나바광업, 운송광업, 와카야마니켈광탄, 중정광산, 조선산업, 옥계금산, 삼국상회, 조선산업, 흥아산금, 조선광업
건설업북륙조, 반도흥산, 츠다구미, 아라이구미, 미야케구미, 이키공업, 시바타구미, 일만토목, 경인기업
제조업조선피혁, 조선인수, 남북면업, 경성방직, 조선산업무역, 아사히 비누, 풍강제분, 대륙고무공업, 용산공작, 조선계기, 동양제사, 조선직물, 조선유지, 태창직물, 함경목재, 조선연탄, 일본고주파중공업, 태양제유, 조선방직, 조선제빙, 조선목재공업, 조선제분, 경성코르크공업, 조선화약제조, 협동유지, 조선기계제작소, 조선제강소, 홍중상공, 천일제약, 조선리암기공작소, 조선화학공업, 조선화학비료, 협동유지, 일본정공, 동아합동목재, 동양연료, 중외제작소, 조선공작, 조선중앙전기제작소, 조선탄닌공업, 조선강업, 국산자동차, 조선이견고무조대, 경성화학공업, 조선화공, 일본목재공업, 제2일본유리, 조선주조, 서선화학, 일본탄소공업, 한성철공소, 조선농기구제조, 재생공업, 아사히 양조, 조선맥주, 쇼와기린맥주, 도야양조, 경인합동음료, 조선정미, 조선서적인쇄
전기업경성전기, 남선합동전기, 장진강수전, 조선송전, 조선전력, 조선압록강수력발전, 한강수력전기
운수업조선철도, 조선경동철도, 경성궤도, 삼척철도, 경춘철도, 북선척식철도, 조선우선, 조선운송, 조선미곡창고, 아사히구미, 조철자동차, 경충버스, 조선상선, 경인상선, 경성주택, 흥아해운, 조선협동해운, 경성자동차
도소매업대창무역, 동양물산, 석기상점, 정자옥 백화점, 조선화약총포, 횡산상점, 조선관염판매, 삼중정 백화점, 이등상행, 역무물산, 신정약방, 모리나가 제품 조선판매, 흥화산업, 경성덕력, 화신, 대창사, 일만물산, 대동상사, 신기 신성당 약품 직수입, 삼국상회, 경기산업, 아사히상사, 친화목재, 광택상회, 길천상점, 광창상회, 교구 금물점, 수남상회, 내선석유, 화신연쇄점, 조선중앙미유, 유풍상회, 유한양행, 천향원, 선만망단, 경성식료품, 개성삼업, 십본상점, 히카리 모터스, 목라사점, 고거상점, 대영상회, 경성 도요타 자동차 판매, 고복상점, 조선원피판매, 경성중앙청과, 화신무역, 조선제재판매, 대흥무역, 조선제혁판매, 야려극상사, 동아교통기재, 조선산금매입, 신전상사, 조선상사, 산안천우당
금융업조선은행, 조선식산은행, 조선상업은행, 한성은행, 동일은행, 조선생명보험, 조선화재해상보험, 광장, 경성창고금융, 조선기업금융, 동아흥업, 경성공동, 경성흥산, 대창흥업, 조선증권금융, 조선신탁, 대광흥업, 조선실업, 영화산업, 조선중앙무진, 조선거래소, 대원증권, 동아증권, 제일증권, 안동증권, 조선대행, 조선미곡시장
부동산업조선도시경영, 친화토지건물, 조선기업, 마쓰시마 유원, 조선빌딩, 후지 빌딩, 조선건물, 일본해상빌딩, 조선공영
서비스업조선 영화


19. 미디어

일제강점기 경기도에는 조선방송협회 경성중앙방송국(호출 부호: JODK)과 개성보조방송소, 경성일보, 중선신보, 朝鮮新聞|조선신문일본어, 경성신문 등 여러 일본어 신문들이 있었다. 라디오 방송은 일제의 선전 도구로 활용되었고, 일본어 신문들은 일제의 검열을 받아 조선인의 목소리를 제대로 대변하지 못했다.[1]

19. 1. 라디오 방송국

조선방송협회 경성중앙방송국(호출 부호: JODK)과 개성보조방송소가 있었다. 이 방송들은 일제의 선전 도구로 활용되었다.[1]

19. 2. 일본어 신문

경성일보[1], 중선신보, 朝鮮新聞|조선신문일본어, 경성신문은 일제의 검열 하에 놓여 조선인의 목소리를 제대로 대변하지 못했다.

20. 출신 유명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