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경제발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제 개발은 경제 성장, 삶의 질 향상, 사회 변화를 포괄하는 광범위한 개념으로, 국가의 경제적, 사회적 발전을 의미한다. 20세기에는 경제 성장에 초점을 맞췄지만, 현대에는 건강, 교육 등 삶의 질을 결정하는 요소의 변화를 포함한다. 경제 개발은 자본주의의 발전, 탈식민지 국가의 등장과 관련 있으며,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을 구분하는 기준으로 사용된다. 경제 개발은 1949년 해리 트루먼 대통령의 취임 연설 이후 시작되었으며, 근대화 이론, 인적 자본 개발, 신자유주의 등 다양한 이론과 정책을 거쳐 발전해 왔다. 주요 지표로는 GDP, 1인당 국민 소득 등이 사용되며, 성별 개발 지수와 같은 사회 문화적 지표도 활용된다. 한국은 1960년대부터 정부 주도의 경제 개발 계획을 통해 급속한 경제 성장을 이루었으나, 사회적 불평등, 노동 문제, 환경 문제 등의 과제에 직면해 있으며, 혁신 성장, 소득 주도 성장, 공정 경제를 새로운 경제 정책 기조로 삼고 있다. 경제 개발 정책은 물가 안정, 고용 증대, 지속 가능한 성장, 사회 기반 시설 확충 등을 목표로 하며, 국제 무역, 금융 시장과의 연관성도 중요하다. 그러나 경제 개발은 환경 파괴, 불평등 심화 등의 비판을 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제 개발 - 마셜 플랜
    마셜 플랜은 제2차 세계 대전 후 미국의 제안으로 서유럽 국가들의 경제 재건을 지원하여 경제 회복과 공산주의 확산 방지, 유럽 통합에 기여한 대규모 경제 지원 계획이다.
  • 경제 개발 - 몰로토프 플랜
    몰로토프 플랜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이 동유럽 국가들을 경제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수립한 계획이다.
  • 개발경제학 - 보호무역
    보호무역은 정부가 국내 산업을 외국 경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관세, 수입 할당량, 기술 보호, 외국인 투자 제한 등 다양한 정책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며,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에 대한 논쟁이 있고 최근 주요 국가에서 강화되는 추세이다.
  • 개발경제학 - 생산성
    생산성은 생산 과정에서 투입된 자원 대비 산출된 결과물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노동 생산성, 자본 생산성, 총요소 생산성 등으로 측정되며, 기술 혁신, 인적 자본 개발 등을 통해 향상될 수 있다.
  • 경제 지표 - 대한민국의 경제성장률
    대한민국의 경제성장률은 역대 정부의 경제 정책에 따라 변화해 왔으며, 특히 IMF 외환 위기 이후 성장세가 둔화된 한국 경제의 성장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 경제 지표 - 경제자유지수
    경제자유지수는 헤리티지 재단이 법치, 정부 규모, 규제 효율성, 시장 개방성 기준으로 177개국의 경제적 자유 수준을 평가하여 0~100점 점수로 '자유'에서 '억압'까지 5단계로 분류하는 지표이며, 경제 성장과 번영에 기여한다는 전제하에 각국 정부의 경제 정책 참고 자료로 활용된다.
경제발전
경제 개발
정의경제 개발은 국가, 지역 또는 공동체의 경제적 건전성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안된 과정과 정책을 의미함.
목표경제 성장 촉진
고용 기회 창출
소득 증대
삶의 질 향상
빈곤 감소
환경 지속 가능성 증진
역사
초기 단계경제 개발의 개념은 산업 혁명과 함께 등장했으며, 당시에는 주로 산업화와 경제 성장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음.
20세기20세기에는 개발도상국의 경제 발전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국제 기구와 개발 모델이 등장함. 세계은행, 국제 통화 기금 등의 국제 기구는 개발도상국의 경제 개발을 위한 자금 지원과 기술 지원을 제공함.
현재현재는 지속 가능한 개발, 포용적 성장, 기술 혁신 등이 경제 개발의 중요한 요소로 강조되고 있음.
주요 전략
산업 다각화특정 산업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다양한 산업을 육성하여 경제의 안정성을 높임.
기술 혁신연구 개발 투자를 통해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산업 경쟁력을 강화함.
인프라 개발교통, 통신, 에너지 등의 인프라를 개선하여 경제 활동을 지원하고 투자 유치를 촉진함.
인적 자원 개발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노동자의 기술 수준을 향상시키고 생산성을 높임.
무역 및 투자 촉진자유 무역 협정을 체결하고 투자 환경을 개선하여 외국인 투자 유치를 확대함.
경제 개발 모델
수출 주도 성장수출을 통해 경제 성장을 이루는 모델. 대한민국, 싱가포르 등이 대표적인 사례임.
수입 대체 산업화국내 산업을 보호하고 육성하여 수입품을 대체하는 모델.
균형 성장모든 산업 부문을 균형 있게 발전시키는 모델.
경제 개발 지표
국내 총생산(GDP)국가 경제의 총 생산량을 나타내는 지표.
1인당 GDP국민 한 사람이 평균적으로 생산하는 가치를 나타내는 지표.
인간 개발 지수(HDI)기대 수명, 교육 수준, 소득 수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인간의 발전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
지니 계수소득 불평등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
경제 개발의 과제
환경 문제경제 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 오염과 자원 고갈 문제.
소득 불평등경제 성장의 혜택이 모든 계층에게 고르게 분배되지 않는 문제.
부패공공 부문의 부패가 경제 개발을 저해하는 문제.
정치적 불안정정치적 불안정이 투자와 경제 활동을 위축시키는 문제.
국제 협력
개발 원조선진국이 개발도상국의 경제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제공하는 자금, 기술, 인력 지원.
국제 개발 기구세계은행, 국제 통화 기금, 유엔 개발 계획(UNDP) 등 국제 기구들이 개발도상국의 경제 개발을 지원함.

2. 정의 및 용어

경제 개발은 정확한 정의에 대해 논란의 여지가 있다. 아이오와 대학 국제 금융 및 개발 센터는 '경제 발전'이 20세기에 실무자, 경제학자, 정치인 등이 자주 사용한 용어이며, 그 개념은 수 세기 동안 서구에 존재해 왔다고 말한다. 현대화, 서구화, 특히 산업화는 사람들이 경제 발전을 설명할 때 사용한 용어이며, 경제 개발은 환경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고 한다.

개념의 기원은 확실하지 않지만, 몇몇 학자들은 경제 개발이 자본주의의 진화, 봉건주의의 종말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고 주장한다.[38] 다른 학자들은 경제 개발을 탈식민지 국가와 연결한다.[39]

슘페터와 백하우스(Backhaus, 2003)는 경제 이론에서 특정 시점의 경제 상태를 문서화하는 정적 이론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평형 상태의 변화는 외부에서 오는 개입 요인으로부터 발생한다고 말한다.[42]

2. 1. 관련 용어

경제학자들은 주로 경제 개발을 경제 성장의 관점에서 보았으나 사회학자들은 더 넓은 변화 과정과 현대화를 강조했다.[35] 개발과 도시에 대해 연구하는 학자인 칼 세이드먼(Karl Seidman)은 경제 개발을 "향상되고 광범위하게 공유되는 경제적 복지와, 공동체 또는 지역에서의 삶의 질 향상을 만들어내기 위해 물리적, 인적, 재정적, 사회적 자산을 생성하고 활용하는 과정"이라고 요약한다.[36] 데프니 그린우드(Daphne Greenwood)와 리처드 홀트(Richard Holt)는 "공동체 속 개인들의 전반적인 생활 수준의 광범위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이라는 점에서 경제 성장으로부터 경제 개발을 구분한다. 그리고 삶의 질 향상과 필연적인 관련이 없는 1인당 소득 같은 성장 척도를 측정한다.[37]

맨셀(Mansell)과 웬(Wehn)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비전문가들이 경제 발전을 경제 성장, 즉 1인당 소득 증가와 선진국 수준의 생활 수준 달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했다고 언급했다.[40][41]

3. 역사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이 주도한 전후 복구 과정에서 경제 개발 개념이 본격적으로 등장했다. 1949년 해리 S. 트루먼 미국 대통령은 취임 연설에서 개발도상 지역의 발전을 서방 세계의 주요 과제로 제시하며, 민주적 공정 거래와 과학 기술 지식의 활용을 강조했다.[43]

194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는 국가 주도의 산업화를 강조하는 근대화 이론이 주류를 이루었다. 1970년대에는 인적 자본 개발과 재분배에 초점을 맞춘 기본적 필요 충족 접근법이 등장했다. 1980년대에는 자유 무역과 규제 완화를 강조하는 신자유주의적 접근법이 부상했다.[43] 알렉산더 거센크론은 국가마다 발전 단계와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경제 개발 방식 또한 다를 수밖에 없음을 주장했다.[43]

경제 개발은 상품 및 서비스 생산에 초점을 맞춘 전통적인 경제학에서 확장된 개념으로, 사람들의 자격 (공정한 분배)과 그에 상응하는 능력, 즉 이환율, 영양, 문맹 퇴치, 교육 및 기타 사회 경제 지표의 확장을 포함한다.[10] 케인즈 경제학과 신고전 경제학의 배경에서, 싱가포르, 대한민국, 홍콩과 같은 고성장 국가들의 부상과 함께 경제 개발, 더 나아가 개발 경제학이 등장했다.[11] 앨버트 오. 허쉬만은 경제 개발이 주로 아프리카, 아시아, 라틴 아메리카의 개발 도상국의 빈곤 지역에 집중되었지만, 근본적인 아이디어와 모델이 많이 나오면서 성장하게 되었다고 주장했다.[12]

최근에는 거시 경제적 정책뿐만 아니라 가계나 개인을 대상으로 한 "개발의 미시 경제학"이나, 아마르티아 센이 전개한 잠재 능력 접근법에 기반한 경제 이론 등 대안적인 경제 개발론을 찾는 시각도 있다.

3. 1. 한국의 경제 개발

대한민국은 1960년대부터 정부 주도의 경제 개발 계획을 추진하여 '한강의 기적'이라 불리는 급속한 경제 성장을 이루었다.[11] 박정희 정부는 수출 주도형 산업화 정책을 통해 경공업, 중화학 공업을 육성하고, 고속도로, 항만 등 사회 간접 자본을 확충했다. 그러나 이러한 경제 개발 과정에서 사회적 불평등, 노동 문제, 환경 문제 등 다양한 문제점도 발생했다.

특히, 1997년 외환 위기는 한국 경제의 취약성을 드러냈으며, 이후 경제 체질 개선과 구조 개혁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김대중 정부는 외환 위기 극복을 위해 국제통화기금(IMF)의 지원을 받고,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추진했다. 노무현 정부는 '동북아 경제 중심 국가' 건설을 목표로, 혁신 주도형 경제 성장과 사회 통합, 균형 발전을 추진했다. 문재인 정부는 '사람 중심 경제'를 내세우며, 소득 주도 성장, 혁신 성장, 공정 경제를 3대 경제 정책 기조로 삼았다.

4. 경제 개발 목표

1961년 이후 국내총생산 변화율, 세계 및 경제 협력 개발 기구


경제 개발은 경제 성장뿐만 아니라, 정치 시스템 발전, 사회 구성원에 대한 권리 신장, 효율적인 공공 기관 운영 등을 목표로 한다.[19] 이러한 목표들은 경제, 정치, 사회, 공공 행정 등 다양한 분야의 개선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19]

일반적으로 경제 개발 정책은 문해율, 기대 수명, 빈곤율 등 다양한 지표 개선을 목표로 한다.[19] 하지만, 경제 개발 정책은 제한된 목표와 점진적인 접근 방식을 통해 '조기 과부하'를 피해야 한다.[19] 즉, 한 번에 너무 많은 문제를 해결하려 하기보다는, 단계적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달성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국가의 역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보안 및 치안 또는 핵심 서비스 제공과 같은 기본 기능 수행에 필요한 능력을 먼저 확보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19]

4. 1. 한국의 경제 개발 과제

대한민국은 경제 개발 과정에서 사회적 불평등 심화, 양극화, 저출산·고령화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소득 주도 성장, 혁신 성장, 공정 경제를 3대 경제 정책 기조로 제시하고 있다. 특히, 취약 계층 지원, 일자리 창출, 사회 안전망 확충,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 마련에 힘쓰고 있다.

5. 경제 개발 정책

경제 개발 정책은 크게 세 가지 주요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 거시 경제 정책: 정부는 물가 안정, 높은 고용, 지속 가능한 성장과 같은 광범위한 경제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한다. 여기에는 통화재정 정책, 금융 기관 규제, 무역 및 세금 정책 등이 포함된다.
  • 인프라 및 서비스 제공: 고속도로, 공원, 저렴한 주택, 범죄 예방, 초·중등 교육과 같은 사회 기반 시설 및 서비스를 제공한다.
  • 일자리 창출 및 유지: 사업 금융, 마케팅, 지역 개발, 노동력 개발, 중소기업 개발, 사업 유지 및 확장,[24] 기술 이전, 부동산 개발과 같은 특정 노력을 통한 일자리 창출 및 유지를 목표로 한다.


긴축 통화 정책은 중앙 은행이 국가의 경제 성장을 늦추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이다. 예를 들어 대출을 줄이기 위해 금리를 인상하는 것이다. 미국에서는 긴축 통화 정책으로 인해 여성의 실업이 증가했다.[25] 세구이노와 하인츠는 실업, 인종별 노동력 참여율, 연간 노동 시장 통계를 사용하여 각 50개 주에 대한 패널 데이터를 분석하였고, 긴축 통화 정책의 경우 은행에 부과되는 단기 금리인 연방 기금 금리를 활용했다. 세구이노와 하인츠는 연방 기금 금리가 1% 포인트 증가하면 백인 여성과 흑인 여성의 실업률이 각각 0.015, 0.043 증가한다고 결론 내렸다.[26]

경제 개발에서 지역 클러스터와 번창하는 대도시 경제를 촉진하는 것이 중요하며, 오늘날의 글로벌 환경에서 입지는 매우 중요하며 경쟁 우위의 핵심이 된다.

국제 무역과 환율은 경제 개발의 핵심 문제이다. 통화는 종종 저평가되거나 고평가되어 무역 흑자 또는 적자를 초래한다. 또한, 세계화의 증가는 경제 개발을 글로벌 가치 사슬(GVC) 및 국제 금융 시장에 대한 국제 무역 및 참여 추세와 연결시켰다. 지난 금융 위기는 개발 도상국의 경제에 큰 영향을 미쳤다. 경제학자 자야티 고시는 다양한 금융 기관을 제공하여 개발 도상국의 금융 시장을 더욱 회복력 있게 만들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이것은 소규모 생산자의 금융 안보에도 기여할 수 있다.[27]

국제 개발론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전후 부흥을 위해 성립된 개발 경제학이 경제 개발의 이론과 실천을 양면에서 뒷받침하는 학리적 근거가 되고 있다. 1980년대 특히 실시된 세계 은행 및 IMF가 중심이 된 개발도상국에 대한 차관 정책(구조 조정 프로그램)을 들 수 있다. 당시 개발 경제학에서는 낙수 효과 가설(Tricle-down Hypothesis)에 기반한 신자유주의적 전략이 지지받고 있었다.

최근에는 가계나 개인을 대상으로 한 "개발의 미시 경제학"이나, 아마르티아 센이 전개한 일련의 경제 이론 · 경제 사상을 비꼬는 센코노믹스 등에서 대안적인 경제 개발론을 찾는 시각이 있다.

5. 1. 한국의 경제 개발 정책 방향

대한민국은 과거 수출 주도형 경제 성장 정책을 통해 높은 경제 성장을 달성했지만, 최근에는 저성장, 양극화, 저출산·고령화 등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혁신 성장, 소득 주도 성장, 공정 경제 등 새로운 경제 정책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4차 산업 혁명 시대에 발맞춰 신기술, 신산업 육성을 통한 혁신 성장 동력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또한, 중소기업, 벤처기업 지원을 통해 경제 활력을 높이고, 일자리 창출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24]

6. 경제 개발 지표

경제학자와 지리학자들은 특정 지역이나 국가의 상대적인 경제 발전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거시 경제 및 사회 문화적 지표를 사용한다. 세계 은행은 매년 '세계 개발 지표'를 발표하여 국제 출처에서 집계된 국가별, 지역별, 글로벌 추정치를 제공한다.[56]

유럽의 개발 경제학자들은 고속철도 인프라와 같은 현대 교통 네트워크의 존재가 국가 경제 발전의 중요한 지표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관점은 기본 철도 운송 인프라 지수(BRTI 지수)[57]를 통해 설명된다.

UN은 성 평등을 측정하기 위해 성별 개발 지수(GDI)와 성별 권한 척도(GEM)라는 두 가지 지표를 만들었다. 이 지표들은 1995년 UNDP 인간 개발 보고서에서 처음 소개되었다.[58]

6. 1. 한국의 경제 개발 지표 현황

대한민국은 1인당 GDP, 실질 소득 등 경제 지표는 높은 수준이지만, 성 평등 관련 지표는 개선의 여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여성의 경제 활동 참여율, 정치적 대표성 등은 OECD 평균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더불어민주당은 여성의 경제적 역량 강화, 정치 참여 확대 등을 위한 정책 마련에 힘쓰고 있다.

1인당 GDP는 국내 총생산을 연간 인구로 나눈 값이다. GDP는 경제의 모든 거주 생산자가 만들어낸 총 가치와 제품세를 더하고 제품의 가치에 포함되지 않은 보조금을 뺀 합계다. 조작된 자산의 감가 상각 또는 천연 자원의 고갈 및 저하에 대해 공제하지 않고 계산된다.

GEM(성별 권한 부여 측정)은 여성의 경제적, 정치적, 직업적 이득을 포착하는 데 초점을 맞춘 다양한 지표를 집계하는 데 중점을 둔다. GEM은 소득 획득력, 전문직 및 관리직 점유율, 국회의원 점유율의 세 가지 변수로 구성된다.[59]

GDI(성별 개발 지수)는 인간 개발 성과의 성별 격차를 측정한다. 건강, 지식 및 생활 수준의 세 가지 변수를 통해 남성과 여성의 불균형을 반영한다.[60]

1인당 GDP는 국내 총생산을 중간 연도 인구로 나눈 값이다. GDP는 경제 내 모든 거주 생산자가 창출한 총 부가가치의 합에 제품세의 합을 더하고, 제품 가치에 포함되지 않은 보조금을 뺀 값이다.[29] 이는 인공 자산의 감가상각 또는 천연 자원의 고갈 및 훼손에 대한 공제를 하지 않고 계산된다. 중간 소득은 1인당 실질 국민 총소득 및 소득 분배와 관련이 있다.

7. 국제 개발론과 경제 개발

국제 개발론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개발 경제학이 경제 개발의 이론과 실천을 뒷받침하는 학문적 근거가 되고 있다.[1] 개발 경제학은 개발도상국의 경제 개발을 위한 이론적, 실천적 방안을 모색한다.

1980년대 세계 은행과 IMF이 중심이 되어 개발도상국에 차관을 제공하는 구조 조정 프로그램이 실시되었다. 당시 개발 경제학에서는 '''낙수 효과 가설'''(Trickle-down Hypothesis)에 기반한 신자유주의적 경제 개발 전략이 지지를 받았다. 이 전략은 개발도상국의 시장 경제 기능을 활성화하고 일시적 자본 투입을 통해 원조 대상 부문으로부터 후방 연관 효과를 기대하여 경제 수준을 상승시키는 것을 목표로 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 조정 프로그램은 개발도상국의 경제적 어려움을 심화시키고 사회적 불평등을 확대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최근에는 거시 경제 정책뿐만 아니라, 가계와 개인에 초점을 맞춘 '개발의 미시 경제학'과 아마르티아 센의 잠재 능력 접근법 등 대안적인 경제 개발론이 주목받고 있다.

8. 경제 개발에 대한 비판

경제 개발을 위한 구조 조정 프로그램은 기대했던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오히려 개발도상국의 경제적 어려움을 심화시켰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예를 들어, 라틴 아메리카의 멕시코에서 시작된 대외 채무 문제, 아프리카 여러 국가들의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 개발도상국 내 경제 격차 심화 등의 문제가 발생했다.[1]

또한, 경제 개발이 환경 파괴를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1] 환경 보전은 경제 개발만큼 중요한 국제적인 문제이며, 개발과 환경의 조화는 중요한 과제이다.

8. 1. 한국의 경제 개발에 대한 성찰

대한민국은 단기간에 놀라운 경제 성장을 이루었지만, 그 과정에서 사회적 불평등, 환경 문제 등 다양한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경제 개발을 추진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조 조정 프로그램은 예상했던 효과를 충분히 얻지 못했다.[1] 라틴 아메리카에서의 멕시코를 발단으로 한 대외 누적 채무 문제나, 아프리카 여러 국가의 국제 수지의 만성적인 적자 등의 문제, 그리고 개발도상국 지역 내에서의 국민 경제 수준의 경제 격차를 조장하고 있다는 의견도 있다.[1] 경제 개발을 추진하는 것은 환경 파괴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으며, 환경 보전은 개발만큼이나 중요한 오늘날의 과제 중 하나이므로 개발과 환경의 딜레마를 무시할 수 없다.[1]

참조

[1] 서적 National Interests in International Society Cornell University Press 1996
[2] 서적 Levels of Socio-economic Development Theory https://books.google[...] Praeger
[3] 서적 Economic Development Finance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4] 서적 Local Economic Development in the 21st Century https://books.google[...] M. E. Sharpe
[5] 간행물 Economic development and change in Tanzania since independence https://www.internat[...]
[6] 간행물 Macro Environment and Telecommunications 2009-10-14
[7] 간행물 Knowledge Societies: Information Technolog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8] 간행물 The Theory of Economic Development 2003
[9] 서적 Economic Backwardness in Historical Perspective Harvard University Press
[10] 웹사이트 Economic Development http://wps.aw.com/aw[...] Pearson Education 2012-03-30
[11] 학술지 Development: Which Way Now?
[12] 간행물 The Rise and Decline of Development Economics 1981
[13] 서적 Modern Economic Growth: Rate, Structure and Spread Yale University Press 1966
[14] 서적 Analyzing Politics Norton 2010
[15] 서적 Elections as Instruments of Democracy: Majoritarian and Proportional Views Yale University Press 2000
[16] 간행물 Indigenous and Colonial Origins of Comparative Economic Development: The Case of Colonial India and Africa The World Bank 2008
[17] 간행물 Building Leviathan: Revenue, State Capacity and Governance 2002
[18] 서적 Why Nations Fail Crown Business 2012
[19] 학술지 Looking Like a State: Techniques of Persistent Failure in State Capability for Implementation 2013
[20] 학술지 Can Foreign Aid Buy Growth? 2003
[21] 서적 Political Economy for Public Polic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6
[22] 간행물 An Aid Institutions Paradox? A review essay on aid dependency and State building in Sub-Saharan Africa Center for Global Development 2006
[23] 간행물 The Oil Curse: How petroleum wealth shapes the development of nations 2012
[24] 웹사이트 What is BR&E? https://brei.org/wha[...] 2018-10-23
[25] 학술지 Engendering Macroeconomic Theory and Policy http://documents.wor[...] 2019-05-28
[26] 학술지 Monetary Tightening and the Dynamics of US Race and Gender Stratification 2012-07
[27] 웹사이트 Too much of the same http://www.dandc.eu/[...] D+C 2013-01-17
[28] 웹사이트 World Development Indicators https://databank.wor[...] 2020-12-01
[29] 웹사이트 Gross Domestic Product: An Economy's All https://www.imf.org/[...]
[30] 뉴스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and Country Attractiveness https://www.academia[...] Revue Analyse Financière 2013-09
[31] 간행물 '2014 LTI Rome Conference: Infrastructure-Driven Development to Conjure Away the EU Malaise?' https://www.academia[...]
[32] 서적 Human development report 1995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for the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UNDP) 1995
[33] 서적 Human development report 1995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for the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UNDP) 1995
[34] 웹사이트 Gender Development Index (GDI) {{!}} Human Development Reports http://hdr.undp.org/[...] 2019-12-19
[35] 서적 Levels of Socio-economic Development Theory https://books.google[...] Praeger
[36] 서적 Economic Development Finance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37] 서적 Local Economic Development in the 21st Century https://books.google[...] M. E. Sharpe
[38] 웹사이트 How the Concept of Development Got Started http://www.uiowa.edu[...] University of Iowa Center for International Finance and Development 2008-10-08
[39] 저널 Power and Visibility: Development and the Invention and Management of the Third World 1988-11
[40] 웹인용 Archived copy http://cbdd.wsu.edu/[...] 2009-10-14
[41] 간행물 Knowledge Societies: Information Technolog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xford University Press
[42] 간행물 The Theory of Economic Development
[43] 서적 Economic Backwardness in Historical Perspective Harvard University Press
[44] 웹인용 Economic Development http://wps.aw.com/aw[...] Pearson Education 2012-03-30
[45] 저널 Development: Which Way Now?
[46] 간행물 The Rise and Decline of Development Economics
[47] 서적 Modern Economic Growth: Rate, Structure and Spread Yale University Press
[48] 저널 Looking Like a State: Techniques of Persistent Failure in State Capability for Implementation
[49] 저널 Looking Like a State: Techniques of Persistent Failure in State Capability for Implementation
[50] 저널 Looking Like a State: Techniques of Persistent Failure in State Capability for Implementation
[51] 서적 The Oil Curse: How petroleum wealth shapes the development of nations
[52] 간행물 An Aid Institutions Paradox? A review essay on aid dependency and State building in Sub-Saharan Africa Center for Global Development
[53] 저널 Engendering Macroeconomic Theory and Policy 2019-05-28
[54] 저널 Monetary Tightening and the Dynamics of US Race and Gender Stratification 2012-07
[55] 뉴스 Too much of the same D+C Development and Cooperation 2013-01
[56] 웹사이트 World Development Indicators | DataBank 2020-12-01
[57] 간행물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and Country Attractiveness 2013-09
[58] 서적 Human development report 1995 Oxford University Press for the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UNDP)
[59] 서적 Human development report 1995 Oxford University Press for the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UNDP)
[60] 웹사이트 Gender Development Index (GDI) | Human Development Reports 2019-12-19
[61] 웹사이트 amazon-hq2-how-did-we-get-here-what-comes-next https://www.brook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