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철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제철학은 경제학의 기초, 방법론, 윤리적 문제 등을 철학적 관점에서 탐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경제철학은 경제학의 정의와 범위를 비롯하여, 경제 이론의 인식론적 문제, 합리적 선택, 결정 이론, 게임 이론 등을 다룬다. 또한, 경제 시스템의 윤리, 정의, 분배 문제, 그리고 공리주의, 정치 이념과의 관계를 탐구하며, 비주류 경제학의 관점도 포함한다. 주요 연구자로는 아리스토텔레스, 애덤 스미스, 존 롤스 등이 있으며, 경제학, 정치 철학, 윤리학, 경제학사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제철학 - 사회적 선택과 개인의 가치
사회적 선택과 개인의 가치는 개인의 선호와 사회적 선호, 그리고 애로의 불가능성 정리 등의 개념을 통해 집단 의사 결정 과정의 어려움을 설명하고, 한국 사회의 다양한 함의와 더 나은 사회적 선택을 위한 노력을 강조하는 사회적 선택 이론을 소개한다. - 경제철학 - 세테리스 파리부스
세테리스 파리부스는 "다른 모든 조건이 동일하다면"이라는 라틴어 표현으로, 특정 변수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른 모든 조건을 일정하게 유지한다는 가정이며, 경제학적 모델을 단순화하고 정책 효과를 예측하는 데 사용되지만 현실의 복잡성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경제철학 | |
---|---|
경제 철학 개요 | |
분야 | |
일부 하위 분야 | 행동 경제학 계산 경제학 개발 경제학 생태 경제학 경제 윤리 페미니스트 경제학 신경제 사회학 사회 경제학 복지 경제학 |
주요 개념 | |
방법론 | 합리적 선택 이론 계량 경제학 게임 이론 일반 균형 후생 경제학 기본 정리 |
역사적 맥락 | 자본 논쟁 데카르트 자유방임주의 마르크스 경제학 중농주의 중상주의 오스트리아 학파 |
윤리적 고려 사항 | 이타주의 공리주의 자유지상주의 정의 시장 실패 사회 복지 |
철학적 영향 | |
철학 분야 | 인식론 윤리학 논리학 정치 철학 |
핵심 질문 | 경제학은 과학인가? 경제 이론은 어떻게 구축되어야 하는가? 경제 이론은 무엇을 가정해야 하는가? 경제적 가치는 어떻게 측정되어야 하는가? 경제학의 목적은 무엇이어야 하는가? 좋은 사회는 어떤 모습인가? |
경제 이론가 | |
주요 인물 | 애덤 스미스 칼 마르크스 존 메이너드 케인스 밀턴 프리드먼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아마르티아 센 마사 누스바움 |
추가 인물 | 케네스 애로우 대니얼 카너먼 존 내쉬 엘리너 오스트롬 토머스 피케티 |
관련 주제 | |
주변 분야 | 철학 정치학 사회학 심리학 역사 |
추가 주제 | 경제 성장 세계화 불평등 지속 가능성 기술 규제 |
추가 정보 | |
참고 문헌 | 스탠포드 철학 백과사전의 경제 철학 항목 |
관련 주제 | 철학 정치 경제학 |
2. 정의 및 범위
어떤 철학의 하위 분야(''X''의 철학)에서 일반적으로 다루는 질문은 "''X''는 무엇인가?"이다. "경제학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철학적 접근은 답변을 제시하기보다는 정의 및 영역의 어려움과 논쟁에 대한 조사를 제시할 가능성이 더 높다. 유사한 고려 사항은 주제의 방법론에 대한 추가 논의에 대한 서론으로 적용된다. 경제학의 정의는 주제의 현대적 기원부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양해졌으며, 이는 설명자의 프로그램적 관심사와 구분을 반영한다.[5]
인식론은 우리가 어떻게 사물을 '알게' 되는지를 다룬다. 경제철학에서 이것은 경제 이론이 어떤 종류의 "진리 주장"을 하는지, 예를 들어 그 이론이 현실과 관련이 있는지 아니면 인식과 관련이 있는지, 경제 이론을 어떻게 증명할 수 있거나 증명해야 하는지 (예를 들어 모든 경제 이론은 경험적으로 검증 가능해야 하는지), 경제 이론은 얼마나 정확하며 정확한 과학의 지위를 주장할 수 있는지 (예를 들어 경제 예측은 자연 과학에서의 예측만큼 신뢰할 수 있는지, 그리고 그 이유는 무엇인지) 묻는 것을 의미한다. 이 문제를 표현하는 또 다른 방법은 경제 이론이 "법칙"을 진술할 수 있는지 묻는 것이다. 과학 철학자들과 경제학자들은 30년 전 알렉산더 로젠버그와 다니엘 M. 하우스먼의 연구 이후 이러한 문제들을 집중적으로 탐구해 왔다.[7]
존재론적 질문은 "(경제적) 가치란 무엇인가?" 또는 "시장이란 무엇인가?"와 같은 근본적인 경제 현상에 대한 추가적인 "무엇인가..." 질문과 함께 이어진다. 이러한 질문에 실제 언어적 정의로 답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러한 질문을 제기하는 철학적 가치는 실제로 경제학의 기초의 본질에 대한 전체 관점을 바꾸는 것을 목표로 한다. 존재론적 변화 시도가 드물게 광범위한 수용을 얻는 경우, 그 파급 효과는 경제학 전체 분야로 확산될 수 있다.[6]
3. 경제학의 방법론과 인식론
3. 1. 합리적 선택, 결정 이론, 게임 이론
결정 이론의 철학적 접근 방식은 선택, 선호, 합리성, 위험과 불확실성 그리고 경제 주체의 본질과 같은 결정 이론의 기본적인 개념에 초점을 맞춘다.[8]
게임 이론은 수학, 경제학, 철학을 비롯한 여러 학문 분야에서 공유된다. 게임 이론은 경제철학 분야 내에서 여전히 광범위하게 논의되고 있다. 게임 이론은 결정 이론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하고, 마찬가지로 매우 강력한 학제 간 성격을 띤다.[9]
4. 윤리와 정의
경제 시스템의 윤리는 경제적 재화를 어떻게 유지하거나 분배하는 것이 옳은지 (정의로운지, 공정한지)와 같은 문제를 다룬다. 경제 시스템은 집단적 활동의 산물이므로, 모든 참여자에 대한 윤리적 결과를 검토할 수 있다. ''윤리학과 경제학''은 윤리적 연구를 후생 경제학과 관련시킨다.[10] 후생 경제학과 현대 윤리 연구의 밀접한 관계는 사회적 상호 의존성을 고려할 때 행동의 합리성에 대한 예측 및 묘사적 경제학을 포함하여 두 분야를 풍요롭게 할 수 있다고 주장되어 왔다.[11]
윤리학과 정의는 다양한 방식으로 학문 분야가 겹친다. 존 롤스의 ''정의론''(1971)[12] 및 로버트 노직의 ''무정부, 국가, 유토피아''(1974)와 같이 기본 원리를 연구할 때는 더 철학적인 접근 방식으로 간주된다. 경제학에서의 '정의'는 후생 경제학의 하위 범주이며,[13] 모델은 종종 주어진 이론의 윤리-사회적 요구 사항을 표현한다. 법[14] 및 비용 편익 분석[15]과 같은 주제는 "실용적인" 문제에 해당한다.
공리주의는 윤리적 방법론 중 하나로, 현대 경제 사상의 출현과 불가분하게 얽혀 있다. 오늘날 공리주의는 응용 윤리학 전반에 걸쳐 여러 접근 방식 중 하나로 확산되었다. 응용 윤리학에서는 권리 기반(의무론적) 접근 방식[16]과 같이 공리주의가 아닌 접근 방식도 경제 시스템의 윤리성에 의문을 제기할 때 사용된다.
많은 정치 이념은 경제 시스템의 윤리에 대한 성찰의 직접적인 결과였다. 마르크스는 주로 철학자로 간주되지만, 그의 가장 주목할 만한 작품은 경제 철학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마르크스의 자본주의에 대한 경제적 비판은 윤리, 정의 또는 어떤 형태의 도덕성에 의존하지 않고, 오늘날 변증법적 유물론이라고 불리는 과정을 통해 자본주의의 내재적 모순에 초점을 맞추었다.
4. 1. 분배 정의와 경제 정의
경제 시스템의 윤리는 경제적 재화를 어떻게 유지하거나 분배하는 것이 옳은지(정의로운지, 공정한지)와 같은 문제를 다룬다. 경제 시스템은 집단적 활동의 산물로서, 모든 참여자에 대한 윤리적 결과를 검토할 수 있게 해준다. '윤리학과 경제학'은 윤리적 연구를 후생 경제학과 관련시킨다.[10] 후생 경제학과 현대 윤리 연구의 밀접한 관계는 사회적 상호 의존성을 고려할 때 행동의 합리성에 대한 예측 및 묘사적 경제학을 포함하여 두 분야를 풍요롭게 할 수 있다고 주장되어 왔다.[11]윤리학과 정의는 다양한 방식으로 학문 분야가 겹친다. 접근 방식은 예를 들어 존 롤스의 ''정의론''(1971)[12] 및 로버트 노직의 ''무정부, 국가, 유토피아''(1974)와 같이 기본 원리를 연구할 때 더 철학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경제학에서의 '정의'는 후생 경제학의 하위 범주이며[13], 모델은 종종 주어진 이론의 윤리-사회적 요구 사항을 표현한다. "실용적인" 문제는 법[14] 및 비용 편익 분석[15]과 같은 주제를 포함한다.
윤리적 방법론 중 하나인 공리주의는 현대 경제 사상의 출현과 불가분하게 얽혀 있다. 오늘날 공리주의는 여러 접근 방식 중 하나로서 응용 윤리학 전반에 걸쳐 확산되었다. 응용 윤리학에서 공리주의가 아닌 접근 방식도 이제 경제 시스템의 윤리성에 의문을 제기할 때 사용된다. 예: 권리 기반(의무론적) 접근 방식.[16]
많은 정치 이념은 경제 시스템의 윤리에 대한 성찰의 직접적인 결과였다. 예를 들어 마르크스는 일반적으로 주로 철학자로 간주되며, 그의 가장 주목할 만한 작품은 경제 철학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마르크스의 자본주의에 대한 경제적 비판은 윤리, 정의 또는 어떤 형태의 도덕성에 의존하지 않고, 오늘날 변증법적 유물론이라고 불리는 과정을 통해 자본주의의 내재적 모순에 초점을 맞추었다.
5. 비주류 경제학
경제철학은 경제학의 기초나 가설에 대한 질문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경제학의 기초와 가설은 주목할 만하지만 일반적으로 소외된 집단의 관점에서 질문을 받아 왔다. 따라서 이러한 영역은 경제철학에 포함되어야 한다.
- 실천학: 철학적으로 참이라고 여겨지는 전제에 기반한 인간 행위에 대한 연역적 이론 (이마누엘 칸트의 분석-종합 구분을 따름). 오스트리아 학파 내에서 루트비히 폰 미제스가 개발한 것으로, 신고전 경제학을 검증하기 위한 수학적 모델링과 가설 검증에 대한 자각적인 반대이다.[17][18]
- 경제 인류학: 경제학에 대한 문화 간 관점. 예시로는 불교에서 영감을 받은 부탄의 "국민총행복" 개념 (GNI/GDP보다 더 나은 개발 지표로 제시됨)이 있다. 아마르티아 센은 문화 간 현상을 경제적 사고에 통합하는 것으로 유명하다.[19]
- 페미니스트 경제학: 경제학에 대한 페미니즘적 관점.[20]
6. 한국 경제와 경제철학
(이전 응답에서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처리할 수 없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수정할 결과물도 없으므로, 이 요청 역시 처리할 수 없습니다.)
7. 주요 연구자
다음은 경제철학의 주요 연구자 목록이다.
이름 | 주요 연구 분야 |
---|---|
아리스토텔레스 | |
케네스 애로 | |
로저 E. 백하우스 | |
켄 빈모어 | |
케빈 카슨 | |
밀턴 프리드먼 | |
프랭크 한 | |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 |
마틴 홀리스 | |
다니엘 M. 하우스만 | |
테렌스 윌모트 허치슨 | |
데이비드 흄 | |
존 네빌 케인스 | |
존 메이너드 케인스 | |
토니 로슨 | |
존 로크 | |
우스칼리 매키 | |
토머스 로버트 맬서스 | |
카를 마르크스 | |
존 스튜어트 밀 | |
루트비히 폰 미제스 | |
피에르조제프 프루동 | |
존 E. 로머 | |
머레이 로스바드 | |
존 롤스 | |
라이오넬 로빈스 | |
조앤 로빈슨 | |
알렉산더 로젠버그 | |
폴 새뮤얼슨 | |
E. F. 슈마허 | |
아마르티아 센 | |
브라이언 스카이름스 | |
애덤 스미스 | |
막스 베버 | |
칼 멩거 | |
버나드 윌리엄스 | |
안나 알렉산드로바 | 과학 모델, 행복의 측정 |
폴 아난드 | 의사결정론 |
에릭 앙그너 | 합리성/복지 개념, 하이에크 |
로저 백하우스 | 경제사, 방법론 |
세바스티아노 바베타 | 후생경제학 |
크리스티나 비키에리 | 합리적 선택론, 사회 규범 |
존 브룸 | 의사결정론, 후생 경제학 |
이안 카터 | 자유/권리/평등 개념 |
낸시 카트라이트 | 과학철학 |
존 데이비스 | 경제학에서의 개인 |
키스 도딩 | 합리적 선택론 |
마크 플레바에 | 후생 경제학 |
틸 그뤼네-야노프 | 의사결정 이론 |
프란체스코 구알라 | 실험경제학 방법론, 실험철학 |
웨이드 핸즈 | |
댄 하우스만 | |
케빈 후버 | 거시 경제학사, 거시 경제학에서의 인과 관계론 |
세르주 콜름 | |
토니 로슨 | 헤테로독스 경제학 |
도널드 매켄지 | 금융의 사회학적 연구 |
가네코 마모루 | 게임 이론 |
필립 미로우스키 | 20세기 경제학사 |
필립 몽갱 | |
메리 모건 | 과학 모델 |
이반 모스카티 | 합리적 선택론의 역사 |
우스칼리 매키 | 경제학에서의 비현실적인 가정, 과학 모델, 학제성 |
줄리안 라이스 | |
알렉스 로젠버그 | 과학철학 |
돈 로스 | 경제학과 인지 과학 |
아리스 스파노스 | 확률, 통계, 계량 경제학의 기초 |
로버트 서그덴 | 합리적 선택론, 진화 게임 이론, 경제학 모델 |
다비드 테이라 | 사회 인식론, 통계 개념의 역사 |
마틴 반 헤스 | 자유주의의 기초 |
짐 우드워드 | 실험 경제학 방법론, 인과 관계론 |
헤수스 사모라 보닐라 | 과학적 지식의 경제학 |
이시카와 고지 | 경제 철학 연구 |
8. 관련 학문 분야
기업 윤리와 경제 철학의 중첩 영역인 ''경제 시스템 윤리''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자신을 정치 철학자로 칭하는 경향이 있다. 경제학의 이론적 문제와 경제 철학은 상당 부분 겹치며, 경제학은 철학에서 기원한 것으로 여겨져 경제사는 경제 철학과 중첩된다.
경제 철학과 관련된 학문 분야는 다음과 같다.
이름 | 소속 | 주요 연구 분야 |
---|---|---|
미주리 대학교 세인트루이스 [http://www.umsl.edu/~philo/Faculty/facultybios/alexandrova.htm 안나 알렉산드로바] | 철학부 | 과학 모델, 행복의 측정 |
영국 오픈 대학교 [http://www.open.ac.uk/socialsciences/staff/people-profile.php?name=Paul_Anand 폴 아난드] | 의사결정론 | |
앨라배마 대학교 버밍엄 [http://homepage.uab.edu/angner 에릭 앙그너] | 철학부 | 합리성/복지 개념, 하이에크 |
영국 버밍엄 대학교 [http://www.socscistaff.bham.ac.uk/backhouse/homepage 로저 백하우스] | 경제학부 | 경제사, 방법론 |
이탈리아 팔레르모 대학교 [http://docenti.economia.unipa.it/sbavetta/index.htm 세바스티아노 바베타] | 후생경제학 | |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http://www.phil.upenn.edu/faculty/bicchieri 크리스티나 비키에리] | 합리적 선택론, 사회 규범 | |
옥스퍼드 대학교 [http://users.ox.ac.uk/~sfop0060 존 브룸] | 의사결정론, 후생 경제학 | |
이탈리아 파비아 대학교 [http://cfs.unipv.it/compo/carter_e.htm 이안 카터] | 자유/권리/평등 개념 | |
영국 LSE [http://personal.lse.ac.uk/cartwrig/Default.htm 낸시 카트라이트] | 과학철학 | |
암스테르담 대학교 [http://www1.fee.uva.nl/pp/jdavis 존 데이비스] | 경제학에서의 개인 | |
오스트레일리아 국립 대학교 [http://polsc.anu.edu.au/staff/dowding/index.htm 키스 도딩] | 합리적 선택론 | |
프랑스 데카르트 대학교 [http://cerses.shs.univ-paris5.fr/spip.php?article106 마크 플레바에] | 후생 경제학 | |
핀란드 헬싱키 대학교 [http://www.infra.kth.se/~gryne 틸 그뤼네-야노프] | 의사결정 이론 | |
영국 엑서터 대학교 [http://huss.exeter.ac.uk/sociology/staff/francesco/index.php 프란체스코 구알라] | 실험경제학 방법론, 실험철학 | |
미국 퓌젯 사운드 대학교 [http://www.ups.edu/x6295.xml 웨이드 핸즈] | ||
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 [http://philosophy.wisc.edu/hausman/default.htm 댄 하우스만] | ||
미국 듀크 대학교 [http://www.econ.duke.edu/~kdh9 케빈 후버] | 거시 경제학사, 거시 경제학에서의 인과 관계론 | |
프랑스 사회과학고등연구원 [http://www.ehess.fr/kolm 세르주 콜름] | ||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 경제학부 [http://www.econ.cam.ac.uk/faculty/lawson/index.htm 토니 로슨] | 헤테로독스 경제학 | |
에든버러 대학교 [http://www.sps.ed.ac.uk/staff/sociology/mackenzie_donald 도널드 매켄지] | 금융의 사회학적 연구 | |
일본 쓰쿠바 대학교 대학원 시스템 정보 공학 연구과 [http://infoshako.sk.tsukuba.ac.jp/~kaneko 가네코 마모루] | 게임 이론 | |
미국 노트르담 대학교 [http://www.nd.edu/~pmirowsk 필립 미로우스키] | 20세기 경제학사 | |
프랑스 국립 과학 연구 센터 [https://studies2.hec.fr/jahia/Jahia/mongin 필립 몽갱] | ||
LSE 경제사 [http://www.lse.ac.uk/collections/economicHistory/whosWho/profiles/m.morgan@lse.ac.uk.htm 메리 모건] | 과학 모델 | |
이탈리아 보코니 대학교 [http://didattica.unibocconi.eu/docenti/cv.php?rif=50280&cognome=MOSCATI&nome=IVAN 이반 모스카티] | 합리적 선택론의 역사 | |
핀란드 헬싱키 대학교 [http://www.helsinki.fi/filosofia/tint/maki/index.htm 우스칼리 매키] | 경제학에서의 비현실적인 가정, 과학 모델, 학제성 | |
네덜란드 에라스무스 대학교 로테르담 [http://www.jreiss.org/Home.html 줄리안 라이스] | ||
미국 듀크 대학교 철학부 [http://www.duke.edu/~alexrose 알렉스 로젠버그] | 과학철학 | |
앨라배마 대학교/케이프타운 대학교 [http://www.uab.edu/philosophy/ross.html 돈 로스] | 경제학과 인지 과학 | |
버지니아 공과대학교 경제학부 [http://www.econ.vt.edu/faculty/facultybios/spanosbio.htm 아리스 스파노스] | 확률, 통계, 계량 경제학의 기초 | |
영국 이스트 앵글리아 대학교 경제학부 [http://www.uea.ac.uk/eco/ecopeople/SugdenR.html 로버트 서그덴] | 합리적 선택론, 진화 게임 이론, 경제학 모델 | |
스페인 방송대학교 [http://www.uned.es/personal/dteira 다비드 테이라] | 사회 인식론, 통계 개념의 역사 | |
네덜란드 흐로닝언 대학교 [http://www.rug.nl/staff/martin.van.hees/index 마틴 반 헤스] | 자유주의의 기초 | |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http://www.hss.caltech.edu/people/faculty/jfw 짐 우드워드] | 실험 경제학 방법론, 인과 관계론 | |
스페인 방송대학교 [http://www.uned.es/dpto_log/jpzb/index.html 헤수스 사모라 보닐라] | 과학적 지식의 경제학 | |
일본 교토 대학교 이시카와 고지 | 경제 철학 연구 |
9. 학술 정보
경제철학 분야의 학술 정보는 다음과 같다.
- '''학술지'''
제목 | 설명 | 링크 |
---|---|---|
경제와 철학 |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에서 발행 | [http://journals.cambridge.org/action/displayJournal?jid=EAP&bVolume=y] |
철학과 경제를 위한 에라스무스 저널 | [http://ejpe.org] | |
경제 방법론 저널 | ||
철학과 공공 문제 | 블랙웰에서 발행 | [https://web.archive.org/web/20080821182922/http://www.blackwellpublishing.com/journals/papa] |
정치, 철학 및 경제학 | [https://archive.today/20130201192007/http://www.sagepub.com/journalsProdAims.nav?prodId=Journal201490 목적 및 범위] | |
경제 방법론 저널 | 루틀리지에서 발행 | [http://www.tandf.co.uk/journals/routledge/1350178x.html] |
에라스무스 경제철학 저널 | 에라스무스 대학원생 편집, 무료 열람 가능 | [http://ejpe.org/] |
- '''연구자'''
이름 | 소속 | 연구 분야 |
---|---|---|
안나 알렉산드로바 | 미주리 대학교 세인트루이스 철학부 | 과학 모델, 행복의 측정 |
폴 아난드 | 영국·오픈 대학교 | 의사결정론 |
에릭 앙그너 | 앨라배마 대학교 버밍엄교 철학부 | 합리성/복지 개념, 하이에크 |
로저 백하우스 | 영국·버밍엄 대학교 경제학부 | 경제사, 방법론 |
세바스티아노 바베타 | 이탈리아·팔레르모 대학교 | 후생경제학 |
크리스티나 비키에리 |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 합리적 선택론, 사회 규범 |
존 브룸 | 옥스퍼드 대학교 | 의사결정론, 후생 경제학 |
이안 카터 | 이탈리아·파비아 대학교 | 자유/권리/평등 개념 |
낸시 카트라이트 | 영국·LSE | 과학철학 |
존 데이비스 | 암스테르담 대학교 | 경제학에서의 개인 |
키스 도딩 | 오스트레일리아 국립 대학교 | 합리적 선택론 |
마크 플레바에 | 파리·데카르트 대학교 | 후생 경제학 |
틸 그뤼네-야노프 | 핀란드·헬싱키 대학교 | 의사결정 이론 |
프란체스코 구알라 | 영국·엑서터 대학교 | 실험경제학 방법론, 실험철학 |
웨이드 핸즈 | 미국·퓌젯 사운드 대학교 | |
댄 하우스만 | 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교 | |
케빈 후버 | 미국·듀크 대학교 | 거시 경제학사, 거시 경제학에서의 인과 관계론 |
세르주 콜름 | 프랑스 사회과학고등연구원 | |
토니 로슨 | 케임브리지 대학교 경제학부 | 헤테로독스 경제학 |
도널드 매켄지 | 에든버러 대학교 | 금융의 사회학적 연구 |
가네코 마모루 | 쓰쿠바 대학교 대학원 시스템 정보 공학 연구과 | 게임 이론 |
필립 미로우스키 | 미국·노트르담 대학교 | 20세기 경제학사 |
필립 몽갱 | 프랑스 국립 과학 연구 센터 | |
메리 모건 | LSE 경제사 | 과학 모델 |
이반 모스카티 | 이탈리아·보코니 대학교 | 합리적 선택론의 역사 |
우스칼리 매키 | 헬싱키 대학교 | 경제학에서의 비현실적인 가정, 과학 모델, 학제성 |
줄리안 라이스 | 네덜란드·에라스무스 대학교 로테르담 | |
알렉스 로젠버그 | 듀크 대학교 철학부 | 과학철학 |
돈 로스 | 앨라배마 대학교/케이프타운 대학교 | 경제학과 인지 과학 |
아리스 스파노스 | 버지니아 공과대학교 경제학부 | 확률, 통계, 계량 경제학의 기초 |
로버트 서그덴 | 영국·이스트 앵글리아 대학교 경제학부 | 합리적 선택론, 진화 게임 이론, 경제학 모델 |
다비드 테이라 | 스페인 방송대학교 | 사회 인식론, 통계 개념의 역사 |
마틴 반 헤스 | 네덜란드·흐로닝언 대학교 | 자유주의의 기초 |
짐 우드워드 |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 실험 경제학 방법론, 인과 관계론 |
헤수스 사모라 보닐라 | 스페인 방송대학교 | 과학적 지식의 경제학 |
이시카와 고지 | 교토 대학교 | 경제 철학 연구 |
- '''연구 기관'''
- 런던 정치경제대학교 철학, 논리학 및 과학적 방법론 부서
- 에라스무스 철학 경제 연구소 (에라스무스 대학교, 네덜란드 로테르담)
- 경제 방법론 국제 네트워크
참조
[1]
논문
Model Pluralism
https://doi.org/10.1[...]
2019
[2]
서적
Philosophy of Economics,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3]
간행물
The epistemology of modern finance
https://jpe.episcien[...]
2009
[4]
간행물
Epistemic Limits of Empirical Finance: Causal Reductionism and Self-Reference
https://www.ssrn.com[...]
2023
[5]
문서
Roger E. Backhouse and Steven Medema (2008). "economics, definition of", The New Palgrave Dictionary of Economics, 2nd Edition
http://www.dictionar[...]
[6]
문서
Roger E. Backhouse and Steven Medema (2008). "economics, definition of", The New Palgrave Dictionary of Economics, 2nd Edition
http://www.dictionar[...]
[7]
문서
D. Wade Hands (2008). "philosophy and economics", The New Palgrave Dictionary of Economics, 2nd Edition
http://www.dictionar[...]
[8]
서적
Foundations of Rational Choice Under Risk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1995
[9]
서적
Rationality and Coordination
http://www.cambridge[...]
Cambridge
1993
[10]
문서
Amartya K. Sen (1970 [1984]). Collective Choice and Social Welfare
Elsevier
[11]
서적
On Ethics and Economics
Blackwell
1987
[12]
간행물
Justice: Means versus Freedoms
https://www.jstor.or[...]
1990
[13]
문서
In the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classification codes at JEL: D63, wedged on the same line between 'Equity (economics)' and 'Economic inequalityInequality'
[14]
서적
The Economics of Justice
http://www.hup.harva[...]
1981
[15]
문서
cost–benefit analysis: philosophical issues
http://www.dictionar[...]
Online Edition
2010
[16]
문서
ethics and economics
http://www.dictionar[...]
2008
[17]
웹사이트
What Is the Mises Institute? Mission Statement
https://mises.org/ab[...]
[18]
웹사이트
Praxeology: The Methodology of Austrian Economics Praxeology: The Methodology of Austrian Economics
https://mises.org/li[...]
1976
[19]
웹사이트
Culture and Development
http://www.pyinnya.c[...]
2008
[20]
서적
Towards a feminist philosophy of economics
Routledge
[21]
웹사이트
MA Philosophy and Economics
https://www.ed.ac.uk[...]
2022-07-09
[22]
웹사이트
Master's in Philosophy and Economics About P&E
https://ssc-phil.uni[...]
univie
2022-08-14
[23]
논문
Model Pluralism
https://doi.org/10.1[...]
2019
[24]
웹인용
Philosophy of Economics,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plato.stanfor[...]
[25]
서적
Foundations of Rational Choice Under Risk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1995
[26]
서적
Rationality and Coordination
http://www.cambridge[...]
Cambridge
1993
[27]
문서
[28]
서적
On Ethics and Economics
Blackwell
198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