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곡과 마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곡과 마곡은 성경, 특히 에제키엘서와 요한 계시록에 등장하는 인물 및 지명으로, 종말론적 의미를 지닌다. 에제키엘서에서는 마곡 땅의 곡이 이스라엘을 공격하지만 멸망하고, 요한 계시록에서는 천년 왕국 이후 사탄의 유혹으로 곡과 마곡이 전쟁을 일으킨다. 창세기에서는 마곡이 야벳의 아들이자 노아의 손자로 묘사된다.

곡과 마곡은 역사적으로 다양한 민족과 동일시되었으며, 유대교와 기독교, 이슬람교 등 종교적 전승에서 종말론적 적대 세력으로 해석된다. 특히, 기독교에서는 알렉산더 대왕이 곡과 마곡을 가두었다는 전설이 있으며, 이슬람교에서는 야주즈와 마주즈로 불리며 알렉산더에 의해 쇠로 된 벽 뒤에 갇혔다가 종말에 해방된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현대에는 나폴레옹, 소련, 이란 등이 곡과 마곡으로 비유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야벳 - 하이크
    하이크는 아르메니아 민족의 시조로, 폭군 벨과의 싸움에서 승리하여 아르메니아인들의 자유를 지킨 전설적인 영웅으로, 그의 이름은 아르메니아와 아르메니아인을 뜻하는 말의 어원으로 여겨지며 아르메니아 문화와 정체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야벳 - 마곡
    마곡은 기원이 불분명하며 다양한 민족의 조상으로 여겨지거나 종말론적 존재로 언급되었고, 현대 대중문화에서도 여러 형태로 등장한다.
  • 유대교 종말론 - 하느님의 나라
    하느님의 나라는 구약성서에서 기원하여 예수와 바울을 거쳐 기독교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다루어지며, 개혁주의는 이를 권능, 은총, 영광의 왕국으로 해석한다.
  • 유대교 종말론 - 최후의 심판
    최후의 심판은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등 종교에서 모든 인간의 행위에 따라 심판받는 날을 의미하며, 예술 작품의 중요한 주제로도 다루어진다.
곡과 마곡
성경 및 쿠란 정보
유형집단, 민족, 땅
관련 종교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등장 문헌히브리어 성경
신약성경
코란
이름
히브리어(고그 우-마고그)
아랍어(야ʾ주주 와-마ʾ주주)
영어Gog and Magog (고그 앤 매곡)
성경 속 역할
구약에제키엘서에 언급된 종말론적 적대자
신약요한계시록에 언급된 사탄의 군대
쿠란 속 역할
종말론적 존재세상 종말 전에 나타날 것임
기원 및 해석
어원불분명
상징때로는 북쪽에서 온 이교도 민족을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됨.
관련 인물 및 장소
관련 인물알렉산더 대왕
둘카르나인
성경 속 민족야완
토발
메섹
테라스
기타
관련 개념종말론

2. 성경의 기록

곡과 마곡은 주로 '곡과 마곡'이라는 숙어처럼 사용되며, 곡은 인명, 마곡은 지명을 나타낸다.[2] 에제키엘서 38장에 따르면, 곡은 마곡 땅에 살며 메섹과 두발의 통치자이다. 곡 이름의 의미는 여전히 불확실하며, 에제키엘 예언의 저자는 그것에 특별한 중요성을 부여하지 않는 것 같다.[2]

창세기 10장에서 마곡은 야벳의 아들이자 노아의 손자로 묘사되지만, 곡이라는 인물에 대한 언급은 없다. 마곡 자체의 이름은 출처가 불분명하다. 리디아와 관련이 있거나, 바빌론의 암호일 수 있다.[2]

"곡과 마곡"은 칠십인역에서 사용된 것을 바탕으로 "곡과 마곡의 땅"을 줄여서 표현한 것으로 보이며, 히브리어(''곡 우-마곡'') 형태는 사해 문서의 단편에만 보존되어 있다. 요한 계시록에서 곡과 마곡은 함께 세상의 적대적인 민족으로 나타난다.[10] 르우벤 지파의 곡은 역대기상 5장 4절에 나오지만, 에제키엘의 곡이나 창세기의 마곡과는 관련이 없다.

2. 1. 에제키엘서

אֶת־גֹּ֣וג׀ אֶ֣רֶץ הַמָּגֹ֗וג נְשִׂ֕יא רֹ֖אשׁ מֶ֣שֶׁךְ וְתֻבָ֑לhe (메섹과 두발의 통치자 마곡 땅의 곡)[5]에 대한 내용은 에제키엘서 38-39장에 나타난다. 에제키엘서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 곡은 마곡 땅에 있으며, 메섹과 두발의 통치자이다.
  • 곡의 군대는 강대한 대군으로 묘사된다.
  • 곡은 마지막 날에 이스라엘을 공격할 것이나, 하나님의 심판으로 멸망할 것이 예언되어 있다.
  • 곡의 동맹 세력으로는 페르시아, 구스(에티오피아), 붓(리비아), 고멜, 벳 도갈마 등이 언급된다.[5]


이 연합은 이스라엘을 둘러싼 다국적 동맹을 나타낸다. 성경 학자 다니엘 I. 블록은 "예언자가 왜 이 특정 민족들에게 시선을 집중했는지 명확하지 않다"고 말하지만, 그들의 멀리 떨어져 있고 폭력과 신비로움에 대한 평판은 아마도 "곡과 그의 동맹국들을 하느님과 그의 백성을 거스르는 전형적인 적으로 완벽한 상징으로 만들었다"고 한다.[5]

70인역민수기 24:7에서 "아각" 대신 "곡"으로 읽는다.

2. 2. 요한계시록

요한계시록에 따르면, 천년 왕국이 끝나면 사탄이 무저갱에서 풀려나 땅의 사방에 있는 여러 나라의 백성 "곡과 마곡"을 미혹하여 전쟁을 일으킨다.[10] 이들은 성도들의 진과 사랑하시는 성을 에워싸지만, 하늘에서 불이 내려와 멸망한다.

> 첫째 부활에 참여하는 자는 복되며 거룩하도다 둘째 사망이 그들을 다스리는 권세가 없고 도리어 그들이 하나님과 그리스도의 제사장이 되어 천 년 동안 그리스도와 더불어 왕 노릇 하리라 천 년이 차매 사탄이 그 옥에서 놓여 나와서 땅의 사방 백성 곧 곡과 마곡을 미혹하고 모아 싸움을 붙이리니 그 수가 바다의 모래 같으리라 그들이 땅의 넓은 곳으로 올라가 성도들의 진과 사랑하시는 성을 에워싸매 하늘에서 불이 내려와 그들을 태워 버리고 또 그들을 미혹하는 마귀가 불과 유황 못에 던져지니 거기는 그 짐승과 거짓 선지자도 있어 세세토록 밤낮 괴로움을 받으리라 (개역개정: 요한계시록 20장 6-10절)

3. 야벳의 자손들

창세기 10장에 따르면, 마곡은 야벳의 아들이자 노아의 손자이다.[47] 야벳의 다른 아들들로는 고멜, 마대, 야완, 두발, 메섹, 디라스가 있다.[47] 이들이 구체적으로 누구를 가리키는지는 논쟁의 대상이지만, 일부 학자들은 고멜은 유럽, 독일, 터키, 아르메니아 등, 마대는 현재의 이란 북부, 마곡은 스키타이족, 두발은 조지아, 메섹은 러시아와 연관 짓는다.[48]

4. 유대교 전승

유대교의 고전 랍비 문학에 나오는 설교적이고 비법률적인 주석 텍스트인 아가다는 곡과 마곡을 마지막 전쟁에서 이스라엘에 대항할 동일한 민족의 두 이름으로 취급한다.[7] 랍비들은 이스라엘 북쪽의 위치 외에는 특정한 국가나 영토와 그들을 연관시키지 않았다.[7] 위대한 유대 학자 라시는 기독교인들을 그들의 동맹으로 간주하고 하나님이 모든 이스라엘을 죽이려는 그들의 계획을 좌절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의인의 열매" 또는 주간 토라의 나소에 대한 "프리 짜디크"는 곡과 마곡을 '''아말렉'''과 연결한다. 랍비 차도크 하코헨 오브 루블린의 이 작품 제15장 2절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

> "이 모든 일 후에, 곡과 마곡의 전쟁이 요셉의 아들 메시아에게 있을 것입니다. 곡과 마곡은 아말렉의 씨앗이며, 아말렉은 항상 이스라엘의 거룩함의 반대편에 깊이 대응합니다...".[8]

타나크, 판관기 5:14(JPS 1985)에도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

> "에브라임에서 아말렉에 뿌리를 둔 자들이 왔다".[9]

5. 기독교 전승

요한 계시록 19장 11절~21장 8절은 서기 1세기 말에 기록되었으며,[10] 사탄이 천 년 동안 감금된 후 풀려나 "땅의 사방 백성 곧 곡과 마곡"을 모아 그리스도와 그의 성도들과 마지막 전쟁을 벌이는 과정을 설명한다.

> 천 년이 차면 사탄이 그 옥에서 놓여 나와서 땅의 사방 백성 곧 곡과 마곡을 미혹하고 모아 싸움을 붙이리니 그 수가 바다 모래 같으리라.[10]

가짜 칼리스테네스의 ''알렉산드로스 로맨스''는 "북쪽의 젖가슴"(Μαζοί Βορράel)이라고 불리는 두 산 사이에 알렉산더 대왕이 건설한 문에 대해 묘사하고 있다. 두 산은 처음에는 약 5.49m 떨어져 있었고, 통로는 꽤 넓었지만, 알렉산더가 하느님께 기도하자 산들이 더 가까워져 통로가 좁아졌다. 그는 그곳에 청동으로 카스피 해 관문을 건설하고, 빨리 달라붙는 기름으로 코팅했다. 그 문은 22개 국가와 곡과 마곡(거기서는 "고트와 마고트"라고 불림)을 포함한 그들의 군주들을 가두었다. 이 산들의 지리적 위치는 다소 모호하게 묘사되어 있는데, 알렉산더가 벨시리안의 적(현대 북터키의 비티니아에 거주하는 베브리케스)을 물리친 후 북쪽으로 50일 행군 거리에 있다고 묘사되어 있다.

말을 탄 "곡과 마곡"의 땅의 왕, 행렬이 따름(''아랫부분''); 알렉산드로스, 적그리스도, 기계식 나팔수(''왼쪽 위'')를 보여주는 알렉산드로스의 관문.


시리아 알렉산더 전설(7세기 후반)과 псев도-메토디우스 묵시록(7세기)과 같은 알렉산더 로맨스의 전통을 따른 기독교 텍스트는 곡과 마곡을 알렉산더의 벽 뒤에 갇힌 야만족 집단으로 계속 동일시했지만, 이들은 또한 요한계시록의 묵시록적 모티프와 결합하여 세상의 종말은 야만족 집단이 벽을 뚫고 들어가 종말을 초래하는 것을 포함한다고 주장했다.[11]

1세기 유대인 역사가 플라비우스 요세푸스는 『유대 고대사』에서 마곡을 스키타이인과 동일시했지만, 곡에 대해서는 언급한 적이 없다.[30] 유대 전쟁에서, 요세푸스는 알란족(그는 이들을 스키타이 부족이라고 부름)이 히르카니아의 왕으로부터 통행 허가를 받았다고 전하는데, 이 왕은 알렉산드로스가 세운 철문의 감시자였다.[30] 요세푸스 시대에 알렉산드로스는 이미 유대인 민간 영웅이었다.[30] 그러나 알렉산드로스의 관문과 종말론적인 곡과 마곡 민족의 최초의 결합은 후기 고대 시대의 산물로, 이른바 ''시리아 알렉산더 전설''에서 나타난다.

629~630년에 제작된 시리아어 '''알렉산더 전설'''에서 곡(ܓܘܓ|syr, gwg)과 마곡(ܡܓܘܓsyrܵ, mgwg)은 훈족 국가의 왕으로 등장한다. 메소포타미아에 거주하던 기독교인이 쓴 이 전설은 곡과 마곡이 종말에 역할을 할 운명이라는 생각과 문을 연결한 최초의 작품으로 여겨진다. 이 전설은 알렉산더가 문에 예언을 새겨서, 24개 국가로 구성된 이 훈족들이 문을 부수고 세계의 더 큰 부분을 정복할 날짜를 표시했다고 주장한다.

원래 시리아어로 쓰인 '''가짜 메토디오스'''는 서양판 알렉산더 로맨스에 포함된 곡과 마곡 이야기가 전해지는 근원으로 여겨진다. 이보다 더 오래된 시리아어 '''알렉산더 전설'''은 곡과 마곡 자료를 약간 다르게 다루고 있으며, 이는 사라진 아랍어 버전 또는 에티오피아어와 이후 동양판 알렉산더 로맨스로 전해졌다.

'''가짜 메토디오스''' (7세기)는 기독교 전통에서 새로운 요소를 처음으로 제시한 자료이다. 이 요소는 두 산이 함께 움직여 복도를 좁히고, 곡과 마곡에 대항하여 문으로 봉인하는 것이다. 이 아이디어는 또한 코란에도 있으며, 서양의 알렉산더 로맨스에도 영향을 미쳤다.

곡과 마곡 전설은 기원전 3세기에 가장 오래된 필사본이 있는 유사 칼리스테네스의 알렉산더 로맨스 초기 판본에서는 발견되지 않지만 8세기경의 판본에 삽입되었다. 최신이자 가장 긴 그리스어 버전에는 고트와 마고스를 왕으로 둔 '부정한 민족'이 묘사되어 있으며, 이들은 벌레, 개, 인간 시체, 태아를 먹는 습관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북쪽으로 50일 행군 거리에 있는 산 쌍봉인 "북쪽의 가슴" 너머에 봉인되어 있었으며, 베브리케스(오늘날 북 터키의 비티니아 출신)와 동맹을 맺었다.

곡과 마곡은 로맨스의 약간 늦은 고대 프랑스어 버전에도 등장한다. 랑베르 르 토르의 ''알렉산드르 로망''의 제3부(약 1170년)에서 곡과 마곡("Gos et Margos", "Got et Margot")은 인도 왕 포루스의 가신으로 40만 명의 지원군을 제공했다. 알렉산더에게 격파된 그들은 지세를 따라 투스 (또는 투르스) 산맥을 통해 탈출하여 그곳에 세워진 벽에 봉인되어 적그리스도의 출현까지 지속되었다. 시 사이클의 제4부에서는 곡과 마곡을 지키는 임무와 시리아와 페르시아의 통치가 안티고노스에게 할당되었는데, 그는 알렉산더의 후계자 중 한 명이었다.

인간을 소비하는 곡과 마곡.


곡과 마곡은 또한 토마스 드 켄트의 ''로망 드 투테 슈발레리''(약 1180년)에 등장하며, 그곳에서 그들은 인간의 살을 먹는 동굴 거주자로 묘사된다. 요약된 이야기는 파생 작품인 중세 영어 ''킹 알리사운더''에 나타난다. 13세기 프랑스어 ''로망 달렉상드르 앙 프로즈''에서 알렉산더는 곡과 마곡의 역할을 넘겨받은 식인종과 마주한다. 이것은 불완전한 전송의 경우인데, ''프로즈 알렉산더''의 출처인 나폴리의 레오 대주교의 라틴어 작품인 ''히스토리아 데 프렐리스''는 적어도 일부 필사본에서 "Gogh et Macgogh"를 언급하기 때문이다.

곡과 마곡은 인간의 살을 먹을 뿐만 아니라, "소리 지도"와 같은 예에서 "두드러지게 부리 모양의 코"를 가진 남자로 묘사된다. 곡과 마곡이 성스러운 도시를 공격하는 모습을 묘사한 소형 그림에서 갈고리 코를 가진 인물로 희화화되었으며, 앵글로노르만어로 된 ''묵시록''의 필사본에서 발견된다.

6. 이슬람 전승

알-카즈위니 (1203–1283)의 곡과 마곡의 괴물.


두 명의 바이킹의 보호를 받는 비잔틴 통치자, 종종 곡과 마곡에 비유됨


코란에서는 '''야주즈와 마주즈''' (يأجوج ومأجوجar)라는 이름으로 곡과 마곡이 언급된다. 이들은 줄 카르나인()에 의해 쇠로 된 벽 뒤에 갇히게 된다. 줄 카르나인은 알렉산드로스 3세(알렉산드로스 대왕)를 지칭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코란의 동굴의 장 및 예언자의 장에 따르면, 세상 종말에 벽이 무너지고 야주즈와 마주즈가 쳐들어올 것이라고 한다.

일부 전승에서는 이 벽이 만리장성과 관련이 있다고 해석하기도 한다.

이븐 한발의 무스나드 아흐마드에는 다음과 같은 하디스가 기록되어 있다.

> 매일 야주즈와 마주즈는 벽을 뚫으려 하지만 실패한다. 신의 뜻에 따라 그들이 세상에 나올 때가 되면, 그들은 모든 물을 마시고 사람들을 공격할 것이다.

7. 브리튼 섬의 전승

영국에는 성경에 기록된 "곡과 마곡"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전승이 있다. 이 "곡과 마곡"은 성경의 기록과는 달리 "거인의 악마"로 여겨졌다. 내용은 다양하다.

로마 황제 디오클레티아누스에게는 딸이 있었는데, 그녀는 남편 살해 혐의로 브리튼 섬으로 유배되어 악마의 아내가 되어 "거인의 악마"들을 낳았다고 한다.

"곡과 마곡"의 형제는 포로가 되어 성(후에 런던 시의 길드홀)의 문지기가 되었고, 런던 시의 수호자가 되었다고 한다.[4]

헨리 5세 시대부터 "로드 메이어 쇼"(Lord Mayor's show)라는 런던 시 중심부에서 열리는 축제에서 "곡과 마곡" 퍼레이드가 시작되었다고 한다.

8. 현대적 해석

현대에는 곡과 마곡을 특정 국가나 세력과 연결 짓는 해석이 등장한다. 냉전 시대에는 소련을 곡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에스겔이 곡을 "메섹의 왕자"로 묘사했는데, 히브리어 ''로쉬 메섹''이 러시아와 모스크바와 비슷하게 들렸기 때문이다.[45] 로널드 레이건도 이러한 해석을 받아들였다.[45]

냉전 이후에는 이슬람 국가나 중국 등이 곡과 마곡으로 지목되기도 한다. 일부 천년왕국론자들은 여전히 곡을 러시아와 동일시하면서도, 이란을 포함한 이슬람 국가 동맹을 강조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들은 아마겟돈까지의 카운트다운이 유대인의 이스라엘 귀환으로 시작되었으며, 핵무기, 유럽 통합, 1967년 6일 전쟁에서 예루살렘 동부의 이스라엘 합병, 아프가니스탄과 페르시아 만에서의 미국의 전쟁 등이 최종 전투가 임박했음을 가리키는 추가적인 징후라고 주장한다.

이슬람 종말론적 전통에서 세상의 종말은 곡과 마곡의 해방으로 시작될 것이며, 이들을 하룻밤 사이에 하느님이 파괴함으로써 부활의 날이 도래할 것이다. 현대에는 곡과 마곡이 공산주의 러시아와 중국으로 지목되는 새로운 종말론 문헌이 등장하기도 했다. 이러한 주장에서 제기되는 문제 중 하나는 곡과 마곡을 막는 장벽이 현대 세계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에 대한 해답은 다양하며, 일부는 곡과 마곡이 몽골인이고 장벽은 사라졌다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이들은 장벽과 곡과 마곡 모두 보이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9. 한국의 관점

한국의 보수 진영은 전통적으로 북한을 포함한 공산주의 세력을 '곡과 마곡'에 비유하며 경계하는 시각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관점은 성경의 종말론적 해석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공산주의를 세계 평화를 위협하는 악의 세력으로 간주한다.[2]

반면, 진보 진영에서는 '곡과 마곡'에 대한 문자적 해석보다는, 이를 평화와 화해를 방해하는 특정 세력에 대한 비유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 이들은 남북 간의 대화와 협력을 강조하며, '곡과 마곡'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대립과 갈등을 조장하는 것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한다.

참조

[1] 서적 Kings and Vikings: Scandinavia and Europe, A.D. 700–1100 https://books.google[...] Methuen 1982-04-10
[2] 문서 Lust and Bøe cite Brownlee (1983) "Son of Man Set Your Face: Ezekiel the Refugee Prophet", ''HUCA'' '''54'''.
[3] 서적 Oxford Dictionary of English Folklor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 서적 Gog and Magog: The Giants in Guildhall; Their Real and Legendary History https://books.google[...] John Camden Hotten
[5] 기타 Ezekiel 38 NRSV
[6] 간행물 Version anglo-normande en vers de l'Apocalypse http://gallica.bnf.f[...]
[7] 문서 Mikraot Gedolot HaMeor p. 400
[8] 서적 Pri Tzaddik https://www.sefaria.[...]
[9] 웹사이트 Judges 5:14 https://www.sefaria.[...] 2024-11-08
[10] 기타 Revelation 20:7–10 NIV
[11] 서적 Gog and Magog: contributions toward a world history of an apocalyptic motif De Gruyter 2023
[12] 웹사이트 Iskandar Oversees the Building of the Wall http://www.cbl.ie/cb[...] 2016-08-24
[13] 학위논문 La Leyenda de Alejandro segn el Šāhnāme de Ferdowsī. La transmisión desde la versión griega hast ala versión persa https://rua.ua.es/ds[...] Universidad de Alicante
[14] 문서 Simek, Rudolf (2005) "the emergence of the viking age: circumstances and conditions", "The vikings first Europeans VIII – XI century – the new discoveries of archaeology", other, pp. 24–25
[15] 문서 Bruno Dumézil, master of Conference at Paris X–Nanterre, Normalien, aggregated history, author of conversion and freedom in the barbarian kingdoms. 5th – 8th centuries (Fayard, 2005)
[16] 서적 "Franques Royal Annals" cited in Sawyer, Peter (2001) ''The Oxford Illustrated History of the Vikings''.
[17] 서적 Decaux, Alain and Castelot, André (1981) ''Dictionnaire d'histoire de France''. Perrin.
[18] 서적 Boyer, R. (2008) ''Les Vikings: histoire, mythes, dictionnaire''. R. Laffont.
[19] 문서 Lund, Niels "The Danish Empire and the End of the Viking Age", in Sawyer, ''History of the Vikings'', pp. 167–181.
[20] 웹사이트 The Royal Household, "Sweyn" http://www.royal.gov[...] 2015-03-15
[21] 서적 "Cnut: England's Viking King 1016–35" The History Press Ltd
[22] 웹사이트 The Royal Household, "Canute The Great" http://www.royal.gov[...] 2015-03-15
[23] 서적 The Timechart of Military History Worth Press Ltd
[24] 문서 [[Sahih Muslim]], 2937, The Book of Tribulations and Portents of the Last Hour
[25] 문서 (Shahadat-ul-Qur’an, Ruhani Khazain, Volume 6, Pages 361–362
[26] 웹사이트 Gog and magog Archives https://ghayb.com/ta[...]
[27] 간행물 Gog and Magog in Malay-Indonesian Islamic Exegetical Works https://www.degruyte[...] De Gruyter 2024-03-09
[28] 서적 Al-Kafi Islamic Seminary Incorporated 2015
[29] 웹사이트 Story of Ya'juj and Ma'juj (Gog and Magog) form The Quran – Link To Islam https://www.linktois[...]
[30] 학술지 Review of Alexander's Gate, Gog and Magog, and the Inclosed Nations https://www.jstor.or[...] 1933
[31] 서적 The Church in the Shadow of the Mosque: Christians and Muslims in the World of Islam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32] 서적 Chronology of Prophetic Events Ta-Ha Publishers Ltd. 2001
[33] 문서 ''Living Religions: An Encyclopaedia of the World's Faiths'', Mary Pat Fisher, 1997, page 338, I.B. Tauris Publishers.
[34] 서적 Gog and Magog: contributions toward a world history of an apocalyptic motif De Gruyter 2023
[35] 서적 Gog and Magog: contributions toward a world history of an apocalyptic motif De Gruyter 2023
[36] 서적 Gog and Magog: contributions toward a world history of an apocalyptic motif De Gruyter 2023
[37] 서적 Gog and Magog: contributions toward a world history of an apocalyptic motif De Gruyter 2023
[38] 서적 Gog and Magog: contributions toward a world history of an apocalyptic motif De Gruyter 2023
[39] 서적 Gog and Magog: contributions toward a world history of an apocalyptic motif De Gruyter 2023
[40] 서적 Gog and Magog: contributions toward a world history of an apocalyptic motif De Gruyter 2023
[41] 서적 Gog and Magog: contributions toward a world history of an apocalyptic motif De Gruyter 2023
[42] 논문 Gog and Magog on Mappaemundi and early printed world maps: Orientalizing ethnography in the apocalyptic tradition. 1998
[43] 서적 The Legends on the Yale Martellus Map. Springer, Cham 2019
[44] 문서 2011
[45] 서적 When Time Shall Be No More: Prophecy Belief in Modern Culture https://books.google[...] Belknap Press 1992
[46] 문서 에스겔 38장 2절의 로스(Rosh)는 NASB에는 표기되어 있으나 KJV를 포함한 다른 영어성경에는 표기되어 있지 않다. 히브리어 성경에는 로쉬(רֹאשׁ)로 표기되어 있다.
[47] 문서 (2절) 야벳의 아들은 고멜과 마곡과 마대와 야완과 두발과 메섹과 디라스요.(개역개정, 창세기 10장)
[48] 뉴스 NEW 노아의 후손들은 어디로 갔을까 (11) https://www.christia[...] 크리스천투데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