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곤지는 백제의 왕족으로, 개로왕의 아들이자 문주왕의 동생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458년 중국 유송으로 파견되어 정로장군 좌현왕에 봉해졌으며, 461년에는 개로왕의 명으로 일본에 파견되었다. 일본 체류 중 고구려의 침략으로 개로왕이 사망하고 문주왕이 웅진으로 천도하자 귀국하여 내신좌평을 지냈으나, 477년 해구가 보낸 자객에게 암살되었다. 곤지는 일본 오사카부 하비키노시에 있는 아스카베 신사의 수호신으로 숭배받고 있으며, 그의 가계와 관련된 다양한 설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백제의 내신좌평 - 문주왕
문주왕은 백제 제22대 왕으로, 고구려 침략 후 혼란을 수습하고자 수도를 웅진으로 옮기는 등 노력했으나, 귀족 간 갈등과 해구의 전횡으로 477년 암살당했으며, 이름, 가계, 암살 동기 등은 사서 기록이 달라 논쟁의 대상이다. - 백제의 내신좌평 - 부여우복
부여우복은 구수왕의 후손으로 백제 왕족이며, 사반왕, 비류왕과 형제 관계일 가능성이 있는 인물이지만 배우자나 자녀에 대한 기록은 없다. - 477년 사망 - 유욱 (창오왕)
유욱은 남조 송의 제7대 황제로,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폭정과 잦은 살인, 기행으로 악명을 떨치다 소도성에 의해 살해당해 창오왕으로 강등되었으며, 그의 폭정은 과장되었을 가능성도 있지만 중국 역사상 대표적인 폭군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 477년 사망 - 바실리스쿠스
바실리스쿠스는 동로마 제국의 군 장교 출신으로, 누나 베리나와 결탁하여 제논을 몰아내고 황제가 되었으나, 과도한 세금과 이단적인 종교 정책으로 민심을 잃어 제논에게 복위당한 후 유배되어 굶어 죽었다. - 백제의 장군 - 흑치상지
흑치상지는 백제 부흥 운동에 참여했다가 당나라에 투항하여 당나라 장군으로 활약하며 티베트, 돌궐과의 전쟁에서 공을 세웠으나, 모함으로 옥사 후 명예를 회복한 인물이다. - 백제의 장군 - 계백
계백은 660년 황산벌 전투에서 5천 결사대를 이끌고 신라-당 연합군에 맞서 싸우다 전사한 백제의 장군으로, 충절의 상징으로 숭앙받았으며 《삼국사기》에 기록되어 있다.
곤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한글 이름 | 부여곤지 |
한자 이름 | 扶餘昆支 |
로마자 표기 | Buyeo Gonji |
한국어 음독 | 부 여 곤 지 |
곤지왕 정보 | |
한글 이름 | 곤지 |
한자 이름 | 扶餘昆支 |
일본어 (히라가나) | こんきおう |
일본어 (가타카나) | プヨコンジ |
왕족 정보 | |
이름 | 곤지 (昆支) |
사망일 | 477년 7월 |
작위 | 백제의 내신좌평 |
자녀 | 무령왕(武寧王), 동성왕(東城王) |
부모 | 개로왕(蓋鹵王) |
2. 생애
458년 곤지는 아버지 또는 형인 개로왕의 추천으로 유송으로부터 정로장군 좌현왕(征虜將軍左賢王)에 봉해졌다.[3] 461년 개로왕의 명으로 일본에 파견되었다가 475년 고구려의 침입으로 개로왕이 사망하고 문주왕이 즉위하자 귀국하였다. 477년 4월, 왕자 삼근이 태자로 책봉될 때 내신좌평에 임명되었으나, 그해 7월 해구가 보낸 자객에게 암살되었다.[2]
사후 일본 오사카부 하비키노시의 아스카베 신사(飛鳥戸神社)에 제신으로 모셔졌다. 곤지는 아스카베 마을의 수호신이자 조상신으로 숭배받고 있다.
2. 1. 출생과 가계 논란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따르면, 곤지는 개로왕의 아들이자 문주왕의 동생이라고 한다. 중국 사서인 《송서》나 《양서》에는 곤지가 개로왕의 아들로 등장한다. 반면 《일본서기》에서는 곤지왕이 개로왕의 동생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신찬성씨록》에는 곤지가 비유왕의 아들이라고 되어 있어,[2] 일본 측 자료에 따르면 그는 비유왕의 아들이 된다.한편, 곤지는 개로왕의 동생이며, 개로왕이 임신한 자신의 아내를 곤지에게 주었고, 곤지가 일본에 도착했을 때 낳은 아들이 무령왕이라는 설도 있다. 곤지가 일본에서 게이타이 천황이 되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昆支王|곤지왕일본어의 가계에 대한 기록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2. 2. 일본 파견
461년(백제 개로왕 7년) 10월 개로왕의 명으로 형수(혹은 계모)로 추정되는 여성과 함께 일본에 파견되었다. 곤지는 백제로부터 장군의 벼슬을 받았다.[2]461년부터 약 15년간 곤지는 일본 간사이(關西) 지방 가와치(河內) 등지를 개척하며 머물렀다. 475년 고구려의 침입으로 개로왕이 사망하고 문주왕이 도읍을 한성에서 웅진으로 천도하자 곤지는 귀국하였다.[4]
『일본서기』에 따르면, 461년 4월(웅략천황 5년), 곤지는 형인 개로왕(가스리군)에 의해 일본에 파견되었다. 이때 개로왕은 임신 중인 자신의 부인을 곤지에게 주었다. 6월에 지쿠시의 각라도(加唐島)에서 부인이 사내아이를 낳았고, 시마군(斯麻)이라 이름 지었다. 이 아이와 부인은 백제로 돌려보내졌으며, 훗날 무령왕이 되었다. 곤지는 7월에 일본 궁정에 들어갔는데, 이때 이미 5명의 아이가 있었다고 한다. 479년 4월(웅략천황 23년), 백제 문주왕(문근왕)이 급사하자, 곤지의 둘째 아들 말다왕이 총명하여 천황이 지쿠시의 군사 500명을 붙여 백제로 귀국시켜 왕위에 앉혔다. 이가 곧 동성왕이다.
2. 3. 백제 귀국과 죽음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따르면, 곤지는 개로왕의 아들이자 문주왕의 동생이라 한다. 중국인이 쓴 사서 《송서》나 《양서》에는 곤지가 개로왕의 아들로 등장한다. 그런데 《일본서기》에서는 곤지왕이 개로왕의 동생이라 한다. 《신찬성씨록》에는 곤지가 비유왕의 아들이라 한다.[2]461년(백제 개로왕 7년) 10월 개로왕에 의해 형수(또는 계모)인 여성과 함께 일본에 파견되었던 곤지는 약 15년간 머물면서 간사이(關西) 지방 가와치(河內) 등을 개척하다가 475년 고구려가 침입하여 개로왕이 죽고 문주왕이 도읍을 한성에서 웅진으로 천도하자 귀국하였다.[4] 477년 4월 왕자 삼근을 태자로 책봉할 때 내신좌평에 취임하였다.
곤지는 개로왕의 동생이며 개로왕이 자신의 임신한 아내를 곤지에게 주었으며 곤지가 이를 데리고 일본에 도착했을 때 낳은 아들이 무령왕이라고 한다. 곤지가 일본에서 게이타이 천황이 되었다고 하는 주장도 있다.
477년 7월 곤지는 해구가 보낸 자객에게 암살되었다.
『삼국사기』 백제본기 문주왕에는, 문주왕 3년(477년) 4월에 "왕의 동생인 '''곤지'''를 받들어 내신좌평으로 삼았다"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같은 해 7월에 "내신좌평 곤지가 죽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3. 가계
日本일본어 아스카베 신사의 자료와 일본서기 유랴쿠 천황조 23년 기사에 따르면 곤지의 둘째 아들이 동성왕이라 한다.[1] 신찬성씨록에 따르면 곤지는 다섯 아들을 두었는데, 무령왕이 장남이고, 동성왕이 차남이었으며, 어머니는 서로 달랐다고 한다.[1] 日本일본어 기록에 따르면, 아치와 아사쿠사의 후대 통치자들은 곤지의 손자였다.[1]
4. 유적 및 숭배
오사카부 하비키노시의 하비키노야스카 마을에 아스카베 신사가 있는데, 이 신사에는 아스카의 조상신이 모셔져 있다. 이 조상신은 백제의 곤지왕이다. 이들에 의하면 무령왕과 동성왕 외에도 곤지에게 3명의 다른 아들들에게서 나온 다른 자손들이 있었고, 이 자손들이 하비키노야스카 마을에 정착하였다고 한다.
관련 유적으로는 오사카부 카시와라시의 다카이다 산 고분에서 초기 횡혈식 석실의 채용과 무령왕릉 출토 사례와 유사한 불상 출토가 확인되어 5세기 후반 경 왕족급 백제계 도래인의 묘로 추정되고 있으며, 곤지가 일본에서 사망했다면 그 묘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10]
5. 곤지왕비의 출신
고대 조선사학자인 노중국[5], 김현구[6], 홍성화(홍성화|洪성화한국어, 건국대학교)[7][8], 김기섭(김기섭|金起燮한국어, 공주대학교)[9] 등 대한민국 연구자들은 백제 제18대 왕 전지왕의 왕비인 팔수부인이 왜인이었다고 주장하며, 이와 관련하여 김현구 등은 곤지왕, 동성왕, 무령왕의 왕비 역시 왜인이었으며, 왜 왕가가 정책적으로 혼인시켰다고 주장한다.
6. 기타
『삼국사기』에 따르면 곤지는 개로왕의 아들이자 문주왕의 동생이다. 중국의 『송서』에 따르면 그는 개로왕의 동생이다. 더욱 복잡하게는 일본의 『일본서기』에서는 그를 백제 제20대 왕인 비유왕의 아들이라고 부른다.[2]
458년 곤지는 아버지의 추천으로 중국의 유송으로 보내졌다.[3]
461년 그는 백제에서 온 아내(혹은 계모)와 함께 야마토 시대 일본에 사신이자 인질로 파견되었다. 『일본서기』에는 그의 아들 동성왕이 일본 여성의 자식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는 약 15년 동안 효고현 가사이(關西)와 가와치국(河內)에 머물렀다.[4]
475년 고구려가 백제를 침략했고 개로왕이 살해되었다. 477년 그의 형인 문주왕이 한성에서 웅진으로 떠났을 때 곤지는 백제로 돌아와 태자 삼근을 보호했지만 그 해 7월 갑자기 사망했다. 사망 원인은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 기록되어 있지 않다.
다른 이야기에 따르면, 곤지는 개루왕의 동생이며, 개루왕은 임신한 아내를 곤지에게 주었고, 곤지가 그녀와 함께 일본에 도착했을 때 낳은 아들이 무령왕이 되었다고 한다. 곤지가 게이타이 천황이 되었다는 주장도 있다. 이 설을 따른다면, 무령왕의 수백 명의 딸과 결혼했다는 설과 앞뒤가 맞지 않게 된다.
일본에서는 곤지를 모시기 위해 오사카의 하비키노시 하비키노야스카 마을에 아스카베 신사가 세워졌으며, 그는 아스카 마을의 수호신이자 조상으로 숭배받고 있다.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무령왕과 동성왕 외에도 곤지에게 다른 자손들이 있었고, 이 후손들이 하비키노야스카 마을에 정착했다.
참조
[1]
서적
백제의중앙과지방
Juryuseong
2005
[2]
문서
Samguk Sagi
[3]
문서
Book of Song
[4]
문서
Nihon Shoki
[5]
뉴스
5世紀の韓日関係史-『宋書』倭国伝の検討-
https://www.jkcf.or.[...]
日韓歴史共同研究
2005
[6]
서적
임나일본부설은 허구인가
Changbi Publishers, Inc.
2010-12-24
[7]
뉴스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https://www.khan.co.[...]
2021-06-28
[8]
뉴스
石上神宮 七支刀에 대한 一考察
https://www.krm.or.k[...]
한일관계사학회
2009
[9]
서적
백제의 주민과 이주 여성
한국여성사학회
2017
[10]
뉴스
安宿郡の古墳と寺院~10~
http://www.city.kash[...]
2019-06-02
[11]
간행물
『日本書記』에 인용된 百濟三書에 관한 연구
http://academic.nave[...]
2015-12-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