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서 (역사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서》는 남조 양나라의 역사를 기록한 역사서이다. 요사렴 등이 편찬했으며, 본기 6권, 열전 50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기'는 황제의 기록을, '열전'은 다양한 인물들의 전기를 담고 있다. 특히 제54권에는 고구려, 백제, 신라, 왜 등 동아시아 여러 국가에 대한 기록이 포함되어 있어 한국 고대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7세기 역사책 - 진서
진서는 당 태종의 명으로 방현령 등이 편찬한 사마의부터 동진 공제까지의 역사를 다룬 정사로, 오호십육국시대의 여러 국가들의 흥망성쇠가 기록되어 당시 사회의 복잡한 국제 관계와 민족 갈등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 7세기 역사책 - 수서 (역사서)
수서는 당나라 초기에 위징, 장손무기 등이 편찬한 수나라의 역사를 단대기전체 형식으로 기록한 역사서로, 고구려를 포함한 동이 관련 기록이 있어 한국사 연구에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는다. - 이십사사 - 삼국지
진수가 쓴 《삼국지》는 위, 촉, 오 삼국의 역사를 기록한 기전체 역사서로, 위지, 촉지, 오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후대에 《삼국지연의》에 영향을 주고 동아시아 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쓰인다. - 이십사사 - 명사 (역사서)
명사(明史)는 청나라가 편찬한 명나라의 역사서로, 명나라 황제, 제도, 인물들의 기록을 담고 있으며, 자료적 가치가 높지만 명나라에 대한 부정적 묘사 및 역사 왜곡 가능성도 제기된다. - 당나라의 문학 - 전기소설
전기소설은 당나라 시대 중국에서 발생한 소설 유형으로, 괴이하고 초자연적인 이야기부터 현실적인 이야기까지 다루며, 당나라 초기에 지괴소설에서 발전하여 중당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고 송대 이후 쇠퇴했으나 후대 문학에 큰 영향을 주었다. - 당나라의 문학 - 전당시
《전당시》는 강희제의 칙령으로 편찬된 당나라 시대 시가집으로, 다양한 계층의 시 4만 8천여 수를 수록하여 당시 사회상과 문학적 경향을 보여주지만, 편찬상의 한계와 비판적 검토 필요성이 존재하며, 에도 시대 일본과 조선에 큰 영향을 미쳤다.
양서 (역사서) | |
---|---|
개요 | |
제목 | 양서 |
원제 | 梁書 |
저자 | 요사렴 |
편찬 시기 | 636년 (정관 10년) |
시대 | 당나라 |
분류 | 기전체 |
권수 | 56권 |
수록 범위 | 양나라 |
언어 | 한문 |
내용 | |
구성 | 본기 6권, 열전 50권 |
누락된 내용 | 지와 표가 없음 |
관련 정보 | |
정사 | 이십사사 |
이전 역사서 | 송서 |
다음 역사서 | 진서 |
2. 편찬 과정
《양서》는 총 56권으로, 본기 6권과 열전 50권으로 이루어진 기전체 역사서이다.[1] 이 책의 편찬은 수(隋)대에 요사렴의 아버지인 요찰(姚察)이 시작하였으나, 606년 그가 세상을 떠나면서 미완성으로 남았다.[1] 이후 아들 요사렴이 629년 당 태종의 명을 받아 아버지의 저본을 바탕으로 내용을 보충하고 정리하여 7년 만에 완성하였다.[1]
편찬 과정에는 당시 양(梁)·진(陳)·제(齊)·주(周)·수(隋) 다섯 왕조의 역사서 편찬을 감독하던 위징(魏徵)도 일부 관여하였으며[1], 양나라 때부터 진나라에 걸쳐 편찬된 《양사(梁史)》라는 책도 참고 자료로 활용되었다.[1]
《양서》는 현존하는 양나라의 역사를 비교적 원시적으로 기록한 것으로 평가받으며, 특히 범진(范縝), 완효서(阮孝緖), 도홍경(陶弘景) 등의 열전에는 당시의 사상, 도서 목록, 의학 관련 역사 자료가 잘 보존되어 있다.[1] 다만, 다른 정사들과 달리 표(表)와 지(志)가 없다는 구조적 특징이 있다.[1] 또한, 《진서》 등 같은 시기에 국가 주도로 편찬된 다른 정사들과는 달리, 사마담과 사마천 부자의 《사기》처럼 개인이 2대에 걸쳐 완성한 사찬(私撰) 사서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2]
2. 1. 요찰의 저본 편찬
양서의 저본은 요사렴의 아버지인 요찰(姚察)이 수(隋)대에 편찬하기 시작했다.[1] 요찰은 606년에 세상을 떠났고, 이후 아들 요사렴이 629년 당 태종의 명을 받아 아버지의 저본을 바탕으로 내용을 보충하고 정리하여 7년 만에 완성했다.[1]당시 위징(魏徵)이 양(梁)·진(陳)·제(齊)·주(周)·수(隋) 다섯 왕조의 역사서 편찬을 감독하는 5사감수관(五史監修官)을 맡고 있었기에, 양서의 〈경제기(敬帝紀)〉 뒤에는 위징이 직접 쓴 논찬(論贊)이 실려 있다.[1] 편찬 과정에서는 양나라 때부터 진나라에 걸쳐 편찬되었던 《양사(梁史)》라는 책도 참고하였다.[1]
《양서》는 같은 시기에 완성된 《진서(晉書)》 등 조정에서 편찬한 다른 정사들과 달리, 사마담과 사마천 부자가 사기(史記)를 편찬한 것처럼 개인이 2대에 걸쳐 완성한 사서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2] 후대의 평가는 대체로 내용이 공정하고 구성이 좋다는 의견이 있으나, 열전의 구성 형태나 편찬 순서가 체계적이지 못하다는 비판도 존재한다.[2] 또한, 인용문을 제외한 서술 부분에서 당시 사용하던 문체가 아닌 옛 문자(古文)를 사용하여 작성한 것도 특징으로 꼽힌다.[2]
2. 2. 요사렴의 완성
양서는 요사렴이 아버지 요찰의 작업을 이어받아 완성한 역사서이다. 요찰은 수대에 양서의 저본 편찬을 시작했으나 606년에 사망하였다. 이후 당 조정의 명으로 629년에 요사렴이 역사 편찬 작업을 맡게 되었고, 아버지의 저본을 바탕으로 내용을 보충하고 정리하여 7년 만에 양서를 완성했다. 당시 위징이 양·진·제·주·수 다섯 왕조의 역사서 편찬을 감독하는 5사감수관(梁陳齊周隋五史監修官)을 맡고 있었기 때문에, 양서의 〈경제기(敬帝紀)〉 뒤에는 위징이 작성한 논찬(論贊)이 실려 있다. 또한 편찬 과정에서 양나라 때부터 진나라에 걸쳐 편찬되었던 양사(梁史)라는 책도 참고하였다.양서는 진서 등 같은 시기에 조정에서 편찬한 다른 정사들과는 달리, 사마담과 사마천 부자가 사기(史記)를 편찬한 것처럼 개인이 2대에 걸쳐 완성했다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후대의 평가는 대체로 내용이 공정하고 구성이 좋다는 의견이 많지만, 열전의 구성이나 편찬 순서가 다소 혼란스럽다는 비판도 있다. 또한 인용문을 제외한 서술 부분에서 당시의 일상적인 문장이 아닌 옛스러운 문체(古文)를 사용한 것도 특징 중 하나이다.
2. 3. 위징의 참여
《양서》가 편찬될 당시 위징(魏徵)은 양(梁)·진(陳)·제(齊)·주(周)·수(隋) 다섯 왕조의 역사서 편찬을 감독하는 5사감수관(五史監修官)을 맡고 있었다. 이 때문에 《양서》의 〈경제기(敬帝紀)〉 뒤에는 위징이 직접 지은 논찬(論贊)이 실려 있다.3. 구성
양서는 총 56권으로 구성된 기전체(紀傳體) 형식의 역사서이다.[1] 구체적으로 황제의 기록인 본기(本紀) 6권과 여러 인물의 전기인 열전(列傳) 50권으로 이루어져 있다.[1]
편찬은 수대의 요찰(姚察)이 시작하여 그의 아들 요사렴(姚思廉)이 당 태종의 명을 받아 629년부터 7년간 작업하여 완성하였다.[1][2] 다른 정사들과 달리 표(表)와 지(志)가 없다는 점이 구성상의 특징이다.[1]
3. 1. 본기(本紀)
무제 상무제 중
무제 하
간문제
원제
후경(侯景)
효원제(孝元帝) 소역(蕭繹)
경제
경제(敬帝) 소방지(蕭方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