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규범윤리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규범윤리학은 도덕적 질문에 대한 답을 제시하는 윤리 이론의 한 분야로, 행위자의 성격에 초점을 맞춘 덕 윤리, 행위, 규칙, 성향 자체에 초점을 맞춘 의무론적 윤리와 결과주의로 구분된다. 덕 윤리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에 기반하며, 의무론은 칸트의 정언 명령, 롤스의 계약주의, 자연권 이론 등을 포함한다. 결과주의는 행위의 결과에 따라 도덕성을 판단하며, 공리주의, 국가 결과주의, 상황 윤리 등이 이에 해당한다. 배려 윤리, 실용주의 윤리, 역할 윤리와 같은 다른 규범 윤리 이론들도 존재하며, 도덕의 구속력과 관련된 논의도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규범윤리학 - 규범적
    규범적이란 철학에서 도덕 판단이나 가치 평가를, 사회과학에서 사회 규범과 가치관을, 법학에서 특정 가치관에 따른 행위 규정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행동이나 결과를 평가하는 기준을 뜻하지만 문맥에 따라 의미가 달라진다.
  • 규범윤리학 - 관습
    관습은 특정 사회나 집단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사회적 규칙으로, 법적 구속력이 없는 사실인 관습과 법령과 동일한 효력을 지닌 관습법으로 나뉘며, 문화, 종교, 시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사회 변화에 따라 법으로 제정되기도 하지만, 성별 특정 규범은 성평등 실현에 걸림돌이 되기도 한다.
  • 윤리 이론 - 허무주의
    허무주의는 존재, 지식, 가치, 도덕의 근본적인 무의미성을 주장하는 철학적, 문화적 개념으로, 유럽에서 기원하여 러시아 니힐리즘 운동과 연관되었으며, 서구 전통 붕괴에 대한 분석과 포스트모더니즘 사상에 영향을 주면서 다양한 영역에서 삶의 무의미함을 탐구하는 주제로 활용된다.
  • 윤리 이론 - 객관주의
    객관주의는 아인 랜드가 제시한 철학으로, 객관적 현실에 기반한 지식과 가치를 인간의 이성을 통해 발견하고, 합리적 이기주의와 개인의 자유를 옹호하며, 예술을 현실 재창조로 정의한다.
  • 삶의 철학 - 책임
    책임은 법률 위반 행위에 대한 법적 제재를 포괄하며, 고의, 과실 등을 고려하여 형사 책임, 민사 책임, 행정 책임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자기 책임론은 사회적 약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삶의 철학 - 윤리학
    윤리학은 도덕적 행위와 가치를 철학적으로 연구하는 분야로, 고대부터 다양한 사상이 발전해 왔으며, 규범 윤리학, 응용 윤리학, 가치론 등 다양한 분야로 나뉜다.
규범윤리학
규범 윤리학
학문 분야윤리학
하위 분야윤리학의 한 분과
설명도덕성 기준을 검토하는 철학 윤리학의 한 분야

2. 규범 윤리 이론

도덕적 질문에 어떻게 답해야 하는지에 대한 세 가지 주요 이론은 덕 윤리, 의무론적 윤리, 결과주의이다. 덕 윤리는 행위자의 성격에, 의무론과 결과주의는 행위, 규칙, 성향 자체의 지위에 초점을 맞춘다.


  • '''의무론'''은 자신의 의무와 권리를 고려하여 윤리적 결정을 내려야 한다고 주장한다. 대표적인 의무론적 이론은 다음과 같다.
  • 임마누엘 칸트정언 명령은 도덕을 인간의 합리적 능력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불가침의 도덕 법칙을 주장한다.
  • 존 롤스계약주의는 "무지의 베일" 뒤에서 편견이 없다면 우리 모두가 동의할 것이라는 도덕적 행위를 주장한다.
  • 존 로크로버트 노직과 같은 자연의 권리 이론은 인간에게 절대적이고 양도 불가능한 자연권이 있다고 주장한다.

  • '''결과주의'''는 행동의 도덕성이 그 행동의 결과에 달려 있다고 주장한다. 결과주의 이론은 무엇을 가치 있게 여기는지에 따라 다음과 같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 공리주의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으로'' 이어지는 행동이 옳다고 주장한다.
  • 묵가적 ''결과주의''라고도 불리는 국가 결과주의는 ''사회 질서'', ''물질적 부'', ''인구 증가를'' 통해 ''국가 복지로'' 이어지는 경우 행동이 옳다고 주장한다.
  • 이기주의(Egoism)는 도덕적인 사람이 자기 이익을 추구하는 사람이라는 믿음으로, 그 행위가 ''자기 이익을'' 극대화할 때 옳다고 주장한다.
  • 기독교적 상황윤리학으로 대표되는 상황 윤리는 행위를 윤리적으로 평가할 때 행위의 특정 맥락을 강조하며, 올바른 행동이 가장 사랑스러운 결과를 가져오는 것이며, ''사랑'' 은 항상 사람들의 목표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 지성주의 ''는 지식''을 가장 잘 육성하고 증진하는 행동이 최선의 행동이라고 말한다.
  • 복지주의는 최선의 조치가 ''경제'' 대부분 증가 ''웰빙 복지되는'' 일이라고 주장한다.
  • 선호 공리주의는 최선의 행동이 가장 전반적인 ''선호 만족으로'' 이어지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2. 1. 덕 윤리

아리스토텔레스가 옹호하고 성 토마스 아퀴나스가 일부 측면을 지지한 덕 윤리는 특정 행동보다는 개인의 고유한 성격에 초점을 맞춘다.[1] 앤스콤, , 매킨타이어, 애들러, 마리탱과 같은 철학자들의 작업을 통해 지난 반세기 동안 덕 윤리의 중요한 부흥이 있었다.[2][3][4] 덕 윤리는 행위자의 인격에 내재적인 성격에 주목하는 반면, 의무론결과주의는 행위, 규칙 혹은 성향 자체의 상태에 주목한다.

2. 2. 의무론

칸트의 정언 명법은 도덕성을 인류의 합리적 능력에 근거하며, 몇 가지 침해할 수 없는 도덕 법칙을 단언한다.[5] 칸트의 이론은 자신의 의무와 권리를 고려하여 결정해야 한다는 의무론에 속한다.

존 롤스의 계약주의는 도덕적 행위가 "무지의 베일" 뒤에서 편견이 없다면 우리 모두가 동의할 것이라고 주장한다.[6][7] 롤스의 정의론은 칸트의 정언 명법처럼 도덕성을 인간의 이성적 능력에 근거하며, 불가침의 도덕 법칙이 있다고 주장하는 의무론에 속한다.

존 로크로버트 노직과 같은 자연의 권리 이론은 인간이 절대적인 자연권을 가진다고 주장한다.[8][9][10] 이러한 자연권 이론은 의무론적 윤리 이론에 속한다.

2. 2. 1. 칸트의 윤리 이론

칸트의 정언 명법은 도덕성을 인류의 합리적 능력에 근거하며, 몇 가지 침해할 수 없는 도덕 법칙을 단언한다.[5] 칸트의 이론은 자신의 의무와 권리를 고려하여 결정해야 한다는 의무론에 속한다.

2. 2. 2. 롤스의 정의론

존 롤스의 계약주의는 도덕적 행위가 "무지의 베일" 뒤에서 편견이 없다면 우리 모두가 동의할 것이라고 주장한다.[6][7] 롤스의 정의론은 칸트의 정언 명법처럼 도덕성을 인간의 이성적 능력에 근거하며, 불가침의 도덕 법칙이 있다고 주장하는 의무론에 속한다.

2. 2. 3. 자연권 이론

존 로크로버트 노직과 같은 자연의 권리 이론은 인간이 절대적인 자연권을 가진다고 주장한다.[8][9][10] 이러한 자연권 이론은 의무론적 윤리 이론에 속한다.

2. 3. 결과주의

결과주의는 행위의 도덕성이 그 행위의 결과에 달려있다고 주장한다. 가치 있는 것을 무엇으로 보느냐에 따라 다양한 결과주의 이론(가치론)이 있으며, 다음과 같다.

  • 공리주의는 가장 많은 사람들에게 가장 큰 ''행복''을 가져다주는 행위가 옳다고 본다. 1958년 G. E. M. 앤스컴이 "결과주의"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기 전까지,[14] ''공리주의''는 ''결과주의''의 일반적인 용어였으며, 행복을 극대화하는 것뿐만 아니라 ''어떤'' 형태의 효용을 극대화하는 것을 촉진하는 모든 이론을 지칭했다.
  • 국가 결과주의 또는 묵자의 결과주의는 ''사회 질서'', ''물질적 부'', ''인구 증가''를 통해 행위가 ''국가 복지''를 가져온다면 옳다고 본다.
  • 상황 윤리는 윤리적으로 행위를 평가할 때 행위의 특정한 맥락을 강조한다. 구체적으로, 기독교 형태의 상황 윤리는 올바른 행위가 가장 사랑스러운 결과를 만들어내는 것이며, ''사랑''이 항상 사람들의 목표가 되어야 한다고 본다.
  • 지성주의는 최고의 행위가 ''지식''을 가장 잘 육성하고 증진하는 행위라고 규정한다.
  • 복지주의는 최고의 행위가 ''경제적 복지 또는 후생''을 가장 많이 증가시키는 행위라고 주장한다.
  • 선호 공리주의는 최고의 행위가 전반적인 ''선호 만족''을 가장 많이 가져다주는 행위라고 본다.

2. 3. 1. 공리주의

결과주의의 한 갈래인 공리주의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가져오는 행동이 옳다고 주장한다. G. E. M. 앤스컴이 1958년에 "결과주의"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기 전까지,[14] ''공리주의''는 ''결과주의''를 포괄하는 일반적인 용어였으며, 행복뿐만 아니라 모든 형태의 효용을 극대화하는 이론을 지칭했다.

2. 3. 2. 국가 결과주의

묵자의 사상에 뿌리를 둔 국가 결과주의는 행위가 ''사회 질서'', ''물질적 부'', ''인구 증가''를 통해 ''국가 복지''를 가져온다면 옳다고 본다.[14] 이는 결과주의의 한 형태로, 공리주의와는 다르게 국가 전체의 이익을 중시하는 윤리 이론이다.

2. 3. 3. 기타 결과주의 이론

결과주의는 행위의 도덕성이 그 행위의 결과에 달려있다고 주장한다. 가치 있는 것을 무엇으로 보느냐에 따라 다양한 결과주의 이론(가치론)이 있으며, 다음과 같다.

  • 공리주의는 가장 많은 사람들에게 가장 큰 ''행복''을 가져다주는 행위가 옳다고 본다. 1958년 G. E. M. 앤스컴이 "결과주의"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기 전까지,[14] ''공리주의''는 ''결과주의''의 일반적인 용어였으며, 행복을 극대화하는 것뿐만 아니라 ''어떤'' 형태의 효용을 극대화하는 것을 촉진하는 모든 이론을 지칭했다.
  • 국가 결과주의 또는 묵자의 결과주의는 ''사회 질서'', ''물질적 부'', ''인구 증가''를 통해 행위가 ''국가 복지''를 가져온다면 옳다고 본다.
  • 상황 윤리는 윤리적으로 행위를 평가할 때 행위의 특정한 맥락을 강조한다. 구체적으로, 기독교 형태의 상황 윤리는 올바른 행위가 가장 사랑스러운 결과를 만들어내는 것이며, ''사랑''이 항상 사람들의 목표가 되어야 한다고 본다.
  • 지성주의는 최고의 행위가 ''지식''을 가장 잘 육성하고 증진하는 행위라고 규정한다.
  • 복지주의는 최고의 행위가 ''경제적 복지 또는 후생''을 가장 많이 증가시키는 행위라고 주장한다.
  • 선호 공리주의는 최고의 행위가 전반적인 ''선호 만족''을 가장 많이 가져다주는 행위라고 본다.

2. 4. 기타 규범 윤리 이론

캐롤 길리건을 비롯한 페미니스트 이론가들에 의해 제창된 배려 윤리는 도덕성이 공감과 동정심의 경험에서 나온다고 주장한다. 배려 윤리는 윤리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호 의존성과 관계성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13]

찰스 샌더스 퍼스, 윌리엄 제임스, 존 듀이 등이 실용주의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으며, 보다 최근의 실용주의 윤리 지지자로는 제임스 D. 왈라스가 있다. 실용주의 윤리는 도덕적 정당성이 다른 종류의 지식, 즉 여러 생애에 걸쳐 사회적으로 진화하며, 규범, 원칙 및 도덕적 기준이 탐구의 결과로 개선될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한다.

앤스콤, 과 같은 철학자들의 영향으로 지난 반세기 동안 덕 윤리학이 부활하면서, 가족 역할이라는 개념에 기반한 '''역할 윤리'''도 등장하였다.

2. 4. 1. 배려 윤리

캐롤 길리건을 비롯한 페미니스트 이론가들에 의해 제창된 배려 윤리는 도덕성이 공감과 동정심의 경험에서 나온다고 주장한다. 배려 윤리는 윤리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호 의존성과 관계성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13]

2. 4. 2. 실용주의 윤리

찰스 샌더스 퍼스, 윌리엄 제임스, 존 듀이 등이 실용주의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으며, 보다 최근의 실용주의 윤리 지지자로는 제임스 D. 왈라스가 있다. 실용주의 윤리는 도덕적 정당성이 다른 종류의 지식, 즉 여러 생애에 걸쳐 사회적으로 진화하며, 규범, 원칙 및 도덕적 기준이 탐구의 결과로 개선될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한다.

2. 4. 3. 역할 윤리

앤스콤, 과 같은 철학자들의 영향으로 지난 반세기 동안 덕 윤리학이 부활하면서, 가족 역할이라는 개념에 기반한 '''역할 윤리'''도 등장하였다.

3. 도덕의 구속력

도덕이 행동에 특별한 구속력을 갖는다는 주장은 때때로 "해야 한다"는 표현이 도덕에 마법적인 힘을 부여하는 오류로 이어진다고 비판받는다. G. E. M. 앤스콤은 "해야 한다"가 "단순한 최면적인 힘을 가진 단어"가 되었다고 우려했다.[14][16]

영국의 윤리학자 필리파 푸트는 도덕이 특별한 구속력을 갖는 것처럼 보이지 않으며, 사람들이 다른 요인에 의해 동기 부여될 때만 도덕적으로 행동한다고 주장했다. 그녀는 "예를 들어, 사람들은 도덕의 '구속력'에 대해 이야기하지만, 우리가 벗어날 수 없다고 느끼지 않는다면 이것이 무슨 의미인지 명확하지 않다."라고 말했다. 즉, 도덕적 의무 자체가 우리가 의무감을 ''느끼지'' 않는다면, 비도덕적인 행동을 막을 힘이 없을 수 있다는 것이다.

풋에 따르면, 인간은 욕구에 의해 동기 부여를 받으며, 적절한 이성은 가언명법을 통해 스스로가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한 행위를 찾아낼 수 있지만, 그 행위가 반드시 도덕적인 것은 아니다.

존 스튜어트 밀은 타인을 만족시키려는 외적인 압력이 인간의 "양심"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감각적인 구속력에 영향을 준다고 보았다. 밀은 좋은 도덕 체계는 인간 본성의 여러 측면에 호소하며, 훈련을 통해 습득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인류의 사회적 감정, 즉 동포와 관계를 유지하고 싶어하는 욕구가 도덕의 굳건한 기초라고 생각했다.

{{quote|

인류의 사회적 감정이야말로 굳건한 기초이다. 그것은 동포와 관계를 유지하고 싶어하는 욕구이며, 인간의 본성에 원래 갖춰진 강력한 원리이다. 다행히, 말로 가르치지 않아도, 문명의 진보의 영향 덕분에, 이 원리는 힘을 더하고 있다.

}}

밀은 도덕적 행동을 움직이는 것은 감정이지만, 일부 사이코패스와 같은 사람들에게는 그러한 감정이 결여되어 있다고 지적하며, 양심을 키우고 도덕적 행동을 촉진하는 요인에 대해 논했다. 조셉 달라이덴과 같은 사상가들은 사회가 과학을 이용하여 사람들을 더 선하게 만들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고찰하기도 했다.

참조

[1] 논문 Obedience to Conscience 1963-1964
[2] 간행물 Virtue Ethics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3
[3] 학술지 Recent Work on Virtue Ethics https://www.jstor.or[...] 2002
[4] 학술지 Contemporary Virtue Ethics and Aristotle https://www.jstor.or[...] 1992
[5] 간행물 Kant's Moral Philosophy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2
[6] 서적 A theory of justic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1999
[7] 뉴스 John Rawls, Theorist on Justice, Is Dead at 82 https://www.nytimes.[...] 2002-11-26
[8] 서적 Natural rights liberalism from Locke to Nozic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9] 학술지 The Light of Nature: John Locke, Natural Rights, and the Origins of American Religious Liberty https://scholarship.[...] 2018-03-01
[10] 학술지 Nozick on Rights, Liberty, and Property https://www.jstor.or[...] 1976
[11] 웹사이트 Social Contract Theory {{!}}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iep.utm.edu/[...] 2024-10-24
[12] 웹사이트 Deontology and the Social Contract http://www.munmund.n[...]
[13] 서적 Moral voices, moral selves: Carol Gilligan and feminist moral theory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1995
[14] 학술지 Modern Moral Philosophy 1958
[15] 웹사이트 Meta-ethics, Normative Ethics, and Applied Ethics http://caae.phil.cmu[...] 2014-02-26
[16] 학술지 Modern Moral Philosophy 1958
[17] 서적 The Limits of Morality https://archive.org/[...] Oxford: Clarendon Press 1989
[18] 논문 Obedience to Conscience 1963-196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