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허무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허무주의는 '아무것도 없음'을 의미하는 라틴어에서 유래된 용어로, 18세기 유럽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다양한 철학 분야에서 여러 입장을 포괄하며, 진정한 도덕적 가치의 부정을 주장한다. 불교, 야코비, 키르케고르, 니체 등 여러 철학자들이 허무주의와 관련된 개념을 제시했으며, 러시아 허무주의는 당시의 혁명적 경향과 맞물려 문화 운동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허무주의는 우주적, 인식론적, 실존적, 형이상학적, 도덕적, 정치적, 치료적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니체, 하이데거, 데리다 등 여러 철학자들이 허무주의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제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허무주의 - 권력 의지
    권력 의지는 니체 철학의 핵심 개념으로, 힘을 추구하고 자기 극복을 통해 성장하려는 의지를 의미하며, 생명체의 본질적 욕구 설명, 기존 도덕과 가치관 비판, 초인 사상 제시 등에 사용되었고, 후대에 다양한 영향을 미쳤으나 왜곡 사례도 존재하며, 자기 극복과 창조적 힘으로 발전하여 영원회귀 사상과도 연결된다.
  • 허무주의 - 허무주의 운동
    허무주의 운동은 19세기 러시아에서 기존 가치와 신념 체계에 대한 회의주의와 거부를 특징으로 하는 지적, 문화적 운동이며, 이반 투르게네프의 소설 《아버지와 아들》을 통해 알려졌고, 도덕적, 인식론적 회의주의 철학에 기반하여 사회 변혁과 민족 해방을 추구했다.
  • 윤리 이론 - 객관주의
    객관주의는 아인 랜드가 제시한 철학으로, 객관적 현실에 기반한 지식과 가치를 인간의 이성을 통해 발견하고, 합리적 이기주의와 개인의 자유를 옹호하며, 예술을 현실 재창조로 정의한다.
  • 윤리 이론 - 의무론
    의무론은 결과보다는 의무와 규칙 준수를 중시하며, 칸트의 정언명령과 같은 보편적 도덕 규칙, 신의 명령, 혹은 다양한 일차적 의무를 강조하는 윤리 이론으로, 공리주의와의 관계 및 추상성과 의무 충돌 문제 등이 주요 쟁점이다.
  • 형이상학 이론 - 마음
    마음은 의식, 사고, 지각, 감정, 동기, 행동, 기억, 학습 등을 포괄하는 심리적 현상과 능력의 총체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인간 삶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 형이상학 이론 - 심신 문제
    심신 문제는 마음과 몸, 정신과 물질의 관계를 다루는 철학 및 과학 분야의 핵심 질문으로, 마음과 몸이 서로 다른 실체라는 이원론과 하나의 실체라는 일원론으로 나뉘며, 현대 신경과학과 인지과학은 뇌 활동과 의식 간의 관계를 밝히는 데 주력하고 있다.
허무주의
허무주의
허무주의 단어 구름
허무주의 관련 단어 구름
어원라틴어 'nihil'(무)에서 유래
정의모든 가치는 근거가 없으며, 아무것도 알거나 소통할 수 없다는 믿음.
극단적인 비관주의와 존재를 부정하는 급진적인 회의주의와 관련됨.
진정한 도덕적 진리나 가치의 존재를 부정하는 철학적 및 미학적 입장.
삶이나 우주의 궁극적인 무의미함이나 목적 없음을 주장.
특징삶을 부정하고 존재를 폄하하는 것.
모든 가치의 부정, 거부 또는 부인.
사고 또는 삶의 일부 또는 전부를 부정.
주요 사상
관련 개념회의주의
실존주의
무신론
염세주의
유형
인식론적 허무주의지식의 가능성을 부정
형이상학적 허무주의존재의 객관적 의미를 부정
윤리적 허무주의도덕적 가치를 부정
정치적 허무주의사회적, 정치적 질서를 부정
부분학적 허무주의사물의 존재를 부정
실존적 허무주의삶의 의미를 부정
역사적 배경
19세기프리드리히 니체의 철학에서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짐.
러시아에서 급진적 지식인들의 철학적, 정치적 관점의 일부로 나타남.
사회적 영향
현대 문화포스트모던 문화의 허무주의와 외로움.
인간 삶의 의미를 현재의 관심사로 축소시키는 경향.
문학러시아 문학에서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짐.
이반 투르게네프의 "아버지와 아들"에서 구체화됨.
기타
관련 인물프리드리히 니체
이반 투르게네프
알베르 카뮈
같이 보기도덕적 허무주의
정치적 허무주의
인식론적 허무주의
형이상학적 허무주의
부분학적 허무주의
언어별 명칭
영어Nihilism
독일어Nihilismus
일본어ニヒリズム

2. 어원, 용어 및 정의

'니힐리즘(nihilism)'의 어원은 '아무것도 없음'을 의미하는 라틴어 어근 ''nihil''이며, 이는 '무로 만들다'를 의미하는 ''annihilate''와 '무(無)'를 의미하는 ''nihility''에서도 유사하게 발견된다.[5][20] ''니힐리즘''이라는 용어는 18세기 동안 유럽의 여러 곳에서 등장했고 특히 독일어 형태인 ''Nihilismus''로 나타났으나,[22][21] 중세시대에는 특정 형태의 이단을 나타내는 데에도 사용됐다.[23] 이 개념 자체는 20세기 이전의 니힐리즘에 대한 두 가지 주요 담론 흐름을 각각 나타내는 러시아 및 독일 철학에서 처음 형성됐다.[22] 이 용어는 아마도 독일어 ''Nihilismus'', 후기 라틴어 ''nihilismus'' 혹은 프랑스어 ''nihilisme''에서 영어로 들어왔을 것이다.[24]

이 용어가 사용된 초기 사례는 독일 출판물에서 찾을 수 있다. 1733년 독일 작가 프리드리히 레베레히트 괴츠는 이 용어를 ''Neinismus''와 함께 문학 용어로 사용했다.[25] 프랑스 혁명을 둘러싼 시기에 이 용어는 또한 기독교와 유럽 전통 전반에 대한 부정과 같은 근대성의 특정 가치파괴적 경향에 대한 경멸적 표현이었다.[21] 니힐리즘은 칸트와 칸트 이후 철학을 둘러싼 담론 내에서 처음 철학 연구에 들어왔고, 특히 1787년 스위스 밀교주의자 야콥 헤르만 오베라이트와 1799년 독일 철학자 프리드리히 하인리히 야코비의 글에 등장했다.[26] 이 용어는 이미 1824년에 독일 저널리스트 요제프 폰 괴레스가 기존의 사회적, 정치적 제도의 부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하면서 사회적 의미를 갖기 시작했다.[27] 이 단어의 러시아어 형태인 ''nigilizm''(нигилизм)은 1829년 니콜라이 나데즈딘이 회의주의와 동의어로 사용했을 때 출판됐다. 러시아 저널리즘에서 이 단어는 계속해서 중요한 사회적 의미를 갖는다.[28]

야코비 시대부터 이 용어는 유럽 전역에서 거의 완전히 사용되지 않다가 1862년 소설 ''아버지와 아들''에서 이 단어를 대중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많은 학자들이 그가 이 용어를 만들었다고 믿게 됐다.[29] 소설의 허무주의적 인물들은 자신을 "''모든것을'' 부정하는" 사람, "어떤 원칙도 신앙으로 삼지않는 사람", "어떤 경의를 표하든 그 원칙을 받아들이지 않는 사람", "현재로서는 부정이 가장 유용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으로 정의한다.[30]

3. 역사

일리야 레핀의 허무주의자 학생 초상화


프리드리히 니체


닐스 크리스티안 키르케고르가 그린 쇠렌 키르케고르의 1840년 경 미완성 스케치


허무주의의 역사는 다양한 사상과 철학적 흐름 속에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

  • '''불교:''' 불교삼장에는 석가모니가 논의한 허무주의 개념이 기록되어 있다. 석가모니는 허무주의를 ''natthikavāda''로, 허무주의적 견해를 ''micchādiṭṭhi''라고 불렀다.[36][37] 그는 도덕적 허무주의자들이 선행과 악행의 결과, 죽음 이후의 삶, 환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사람의 존재를 부정한다고 설명했다.[38]
  • '''야코비:''' 프리드리히 하인리히 야코비는 '니힐리즘'이라는 용어를 철학에 처음 도입하여 합리주의, 특히 스피노자의 결정론과 계몽주의를 비판했다.[45] 그는 모든 합리주의가 결국 니힐리즘으로 귀결된다고 보았으며, 이를 피하기 위해 신앙계시로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했다.[46]
  • '''키르케고르:''' 쇠렌 키르케고르는 평준화라고 불리는 초기 형태의 허무주의를 제시했다.[47] 그는 평준화를 개인의 독특성이 사라지고 존재에서 의미 있는 것을 단언할 수 없게 될 때까지 개성을 억압하는 과정으로 보았다. 키르케고르는 평준화와 그 허무주의적 결과에 반대했지만, 평준화 시대에 사는 것은 사람들이 평준화의 심판에 홀로 직면하도록 강요받기 때문에 교육적일 것이라고 믿었다.[48]
  • '''러시아 허무주의:''' 1860년부터 1917년까지 러시아 허무주의는 초기 형태의 허무주의 철학이자 당시의 특정 혁명적 경향과 겹치는 광범위한 문화 운동이었다.[54] 러시아 허무주의는 기존의 가치와 이상을 해체하는 데 중점을 두었고, 결정론, 무신론, 유물론, 실증주의, 합리적 이기주의 이론을 통합하면서 형이상학, 감상주의, 미학주의를 거부했다.[56]
  • '''니체:''' 프리드리히 니체는 허무주의를 서구 문화 전반에 걸친 현상으로 보고 자세히 분석했다. 그는 허무주의를 세상, 특히 인간 존재의 의미, 목적, 진리, 본질적 가치를 부정하는 것으로 보았다. 니체는 기독교의 자기 해체가 또 다른 형태의 허무주의를 낳는다고 주장했다. 그는 기독교가 자신을 유일한 해석으로 설정했기 때문에, 이러한 해체는 회의주의를 넘어 모든 의미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진다고 보았다.
  •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구조주의 사상은 서구 문화가 '진실'이라고 믿어왔던 것들의 근본적인 기반에 의문을 제기했다. 자크 데리다탈구축은 흔히 허무주의적이라는 평가를 받지만, 데리다 자신은 허무주의적 입장을 취하지 않았다. 장프랑수아 리오타르는 포스트모던 조건을 메타 서사 및 이에 의한 정당화 과정을 모두 거부하는 것으로 정의했다. 장 보드리야르는 《시뮬라크르와 시뮬라시옹》에서 포스트모던 관점에서 허무주의에 대해 간략하게 기술했다.

3. 1. 불교

상좌부 불교와 대승 불교의 ''삼장''에는 석가모니(기원전 563년~기원전 483년)가 논의한 허무주의 개념이 기록되어 있다. ''삼장''은 허무주의를 ''natthikavāda''로, 허무주의적 견해를 ''micchādiṭṭhi''라고 부른다.[36][37]

석가모니는 도덕적 허무주의자들이 다음과 같은 견해를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38]

  • 베푸는 행위는 아무런 유익이 없다.
  • 선행과 악행은 아무런 결과를 낳지 않는다.
  • 죽음 이후에는 이 세계나 다른 세계로 태어나지 않는다.
  • 이 세계에는 환생 여부를 직접적인 지식으로 확인할 수 있는 사람이 없다.


석가모니는 이러한 견해를 가진 사람들은 선행의 미덕과 악행의 위험을 보지 못하고 악행으로 기울어진다고 말했다.[38]

3. 1. 1. 열반과 허무주의

석가모니가 가르친 길의 정점은 열반이며, "무(nothingness)의 장소 ... 무소유와 ... 무집착 ... [이것은] 죽음과 쇠퇴의 완전한 종말"이다.[39] 40년 이상 불교 승려로 안수받은 아잔 아마로는 영어로 nothingness가 허무주의처럼 들릴 수 있다고 말한다. 그러나 이 단어는 다른 방식으로 강조될 수 있는데, 즉 ''no-thingness''가 되어, 열반이 발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무집착의 현실을 경험하는 상태라는 것을 나타낸다.[39]

''알라가두파마 숫타''에서 석가모니는 어떤 사람들이 자신의 가르침을 따르면 ''자아''가 파괴될 것이라고 믿기에 그의 가르침을 두려워하는 모습을 묘사한다. 그는 이것을 변하지 않는 영원한 ''자아''에 대한 잘못된 믿음으로 인한 불안으로 묘사한다. 모든 것은 변할 수 있으며, 무상한 현상을 ''자아''로 여기는 것은 고통을 초래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비판자들은 그를 존재의 소멸과 절멸을 가르치는 허무주의자라고 불렀다. 석가모니는 그가 단지 고통의 소멸을 가르친다고 대답했다. 개인이 갈망과 '나는 있다'는 자만심을 포기하면 그들의 마음은 해방되고 더 이상 '존재'의 상태에 들어가지 않으며 더 이상 재탄생하지 않는다.[40]

''아기-바차고타 숫타''는 석가모니와 Vaccha라는 개인 간의 대화를 기록하며 이를 더 자세히 설명한다. 이 경에서 Vaccha는 석가모니에게 석가모니의 존재와 관련하여 다음 중 하나를 확인해달라고 요청한다.[41]

  • 사후에 부처는 다른 어딘가에 다시 나타난다.
  • 사후에 부처는 다시 나타나지 않는다.
  • 사후에 부처는 다시 나타나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한다.
  • 사후에 부처는 다시 나타나지도 않고 그렇지 않기도 않다.


석가모니는 네 가지 질문에 모두 "다른 어딘가에 다시 나타난다", "다시 나타나지 않는다", "다시 나타나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한다", "다시 나타나지도 않고 그렇지 않기도 않다"는 용어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답한다. Vaccha가 당혹감을 표하자 석가모니는 Vaccha에게 다음과 같은 반론을 한다. 불이 꺼지고 누군가가 불이 북쪽, 남쪽, 동쪽, 서쪽으로 갔는지 묻는다면 어떻게 대답하겠는가? Vaccha는 그 질문이 적용되지 않으며 꺼진 불은 '꺼졌다'고만 분류할 수 있다고 답한다.[41]

타니사로 비구는 석가모니와 열반에 관한 '재현' 등의 단어에 대한 분류 문제를 자세히 설명하면서 "목표[열반]을 달성한 사람은 설명할 수 없는 존재이다. 왜냐면 그들은 설명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버렸기 때문이다"고 말했다.[42] 경전 자체에서 해방된 마음을 '추적할 수 없음' 혹은 '특징없는 의식'으로 설명하며 살아있는 해방된 존재의 마음과 더 이상 살아있지 않은 존재의 마음을 구별하지 않는다.[40][43]

석가모니의 설명과는 달리, 불교 수행자들은 때때로 허무주의적 방식으로 불교에 접근할 수 있다. 아잔 아마로는 이를 설명하기 위해 어린시절에 열반에 대한 허무주의적 접근방식을 취했던 불교 승려 아잔 수메도의 이야기를 다시 들려준다. 불교에서 열반의 뚜렷한 특징은 그것을 얻은 개인이 더 이상 환생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아잔 수메도는 스승 아잔 차와 대화하는 동안 "이번 생에서 열반을 완전히 실현하기로 무엇보다도 결심했다... 인간 상태에 깊이 지쳐있고... 다시 태어나지 않기로 결심했다"고 말했다. 이에 아잔 차는 "나머지 사람들은 어떤가, 수메도? 뒤에 남을 사람들에 대해 신경쓰지 않는가?"라고 대답한다. 아잔 아마로는 아잔 차가 제자가 진정한 초연함보다는 삶에 대한 허무주의적 혐오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아차렸다고 말한다.[44]

3. 2. 야코비

프리드리히 하인리히 야코비(1743~1819)는 '니힐리즘'이라는 용어를 철학에 처음 도입했다. 그는 이 용어를 합리주의, 특히 스피노자의 결정론과 계몽주의를 비판하는 데 사용했다.[45] 야코비는 모든 합리주의(비판으로서의 철학)가 결국 니힐리즘으로 귀결된다고 보았으며, 따라서 이를 피하고 어떤 형태의 신앙계시로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했다.[46] 그는 피히테의 관념론이 니힐리즘으로 귀결된다고 비판하며, 피히테의 자아 절대화('절대적 자아'가 '비자아'를 설정함)는 신의 절대적 초월성을 부정하는 주관성의 팽창이라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되지만 반대되는 개념으로 신앙주의가 있는데, 이는 이성을 신앙에 비해 적대적이고 열등한 것으로 간주한다.

3. 3. 키르케고르



쇠렌 키르케고르(1813~1855)는 평준화라고 불리는 초기 형태의 허무주의를 제시했다.[47] 그는 평준화를 개인의 독특성이 사라지고 존재에서 의미 있는 것을 단언할 수 없게 될 때까지 개성을 억압하는 과정으로 보았다.

생의 철학을 옹호한 키르케고르는 평준화와 그 허무주의적 결과에 대해 일반적으로 반대했지만, "평준화 시대에 사는 것은 진정으로 교육적일 것이라고 믿었다. 왜냐하면 사람들은 [평준화]의 심판에 홀로 직면하도록 강요받을 것이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48] 조지 코트킨은 키르케고르가 "19세기의 영적, 정치적 신념의 표준화와 평준화"에 반대했으며, "개인을 순응의 암호와 지배적인 의견에 대한 복종으로 환원하려는 대중 문화의 경향에 반대했다"고 주장한다.[49] 그의 시대에 타블로이드(코르사렌과 같이)와 배교한 기독교는 평준화의 도구였고 19세기 유럽의 "반성적인 무관심한 시대"에 기여했다.[50] 키르케고르는 평준화 과정을 극복할 수 있는 개인은 더 강해지며, 그것은 "진정한 자아가 되는"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는 한 단계를 나타낸다고 주장한다.[48][51] 휴버트 드라이푸스와 제인 루빈은 키르케고르의 관심은 "점점 더 허무주의적인 시대에 우리가 삶이 의미 있다는 감각을 어떻게 회복할 수 있는가"에 있다고 주장한다.[53]

3. 4. 러시아 허무주의



1860년부터 1917년까지 러시아 허무주의는 초기 형태의 허무주의 철학이자 당시의 특정 혁명적 경향과 겹치는 광범위한 문화 운동이었으며,[54] 종종 정치 테러의 한 형태로 잘못 해석되기도 했다.[55] 러시아 허무주의는 기존의 가치와 이상을 해체하는 데 중점을 두었고, 결정론, 무신론, 유물론, 실증주의, 합리적 이기주의 이론을 통합하면서 형이상학, 감상주의, 미학주의를 거부했다.[56] 이 사상 학파의 주요 철학자로는 니콜라이 체르니셰프스키와 드미트리 피사레프가 있다.[57]

러시아 허무주의 운동의 지적 기원은 1855년 또는 그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으며,[58] 주로 극단적인 도덕적 회의주의와 인식론적 회의주의의 철학이었다.[59] 그러나 "허무주의"라는 이름이 대중화된 것은 1862년 이반 투르게네프가 그의 소설 ''아버지와 아들''에서 이전 세대의 진보주의자와 전통 보수주의자 모두에 대한 젊은 세대의 환멸을 묘사하는 데 이 용어를 사용하면서였다.[60] 또한 부정과 가치 파괴가 현재 상황에 가장 필요하다는 견해도 이 소설에서 나타났다.[61] 소설이 처음에는 보수주의자와 젊은 세대 양측 모두에게 혹평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이 운동은 곧 그 이름을 채택했다.[62]

철학적으로 허무주의적이고 회의적이었지만, 러시아 허무주의는 윤리와 지식을 일방적으로 부정하지 않았고, 무의미함을 명확하게 주장하지도 않았다.[63]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 학계는 러시아 허무주의를 단순한 회의주의와 동일시하는 것에 이의를 제기하고 대신 이를 근본적으로 프로메테우스적 운동으로 식별한다.[64] 부정의 열렬한 옹호자로서, 허무주의자들은 원형적 개인 계층, 또는 그들 자신의 말로는 새로운 유형으로 구체화된 러시아 사람들의 프로메테우스적 힘을 해방하고자 했다.[65] 피사레프에 의하면, 이러한 개인들은 모든 권위에서 자유로워짐으로써 도덕적 권위에서도 면제되고, 광대 무리와 구별된다.[66]

허무주의에 대한 후기 해석은 러시아 허무주의에 대한 반응으로 생겨난 표도르 도스토옙스키의 작품과 같은 반허무주의 문학 작품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67] 현대 학자 니시타니는 "자신의 허무주의적 감수성을 마비시키고 방종을 통해 자신을 잊으려 한 [현실 세계의] 타락한 허무주의자들과 대조적으로, 도스토옙스키의 인물들은 자발적으로 허무주의로 뛰어들어 그 경계 내에서 자신이 되려고 노력한다"고 썼다. "'신이 없다면, 모든 것이 허용된다' 또는 '나의 사후에는 대홍수가'에 표현된 허무함은 그들이 끝까지 살고자 하는 성실성의 원칙을 제공한다. 그들은 신이 사라진 후 자아가 스스로를 정당화할 방법을 찾고 실험한다."[68]

3. 5. 니체



프리드리히 니체는 허무주의를 서구 문화 전반에 걸친 현상으로 보고 자세히 분석했다. 니체는 '허무주의'라는 용어를 다양한 의미로 사용했지만, 그의 사상에서 이 개념은 자주 등장한다.

니체는 허무주의를 세상, 특히 인간 존재의 의미, 목적, 진리, 본질적 가치를 부정하는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관점은 "지식"이란 항상 누군가의 관점에 얽매여 있으며, 결코 객관적인 사실일 수 없다는 니체의 관점주의에서 비롯되었다. 즉, 세상을 이해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해석에 달려있으며, 우리는 해석 없이 살아갈 수 없다.

니체는 도덕을 세상을 해석하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로 보았다. 그는 스스로 가치를 구성하는 건강한 도덕과 외부의 것에 투영되는 약한 도덕을 구분했다. 특히, 니체는 기독교의 도덕 교리가 사람들에게 내재적 가치, 신에 대한 믿음, 객관적 지식의 기초를 제공한다고 보았다. 기독교는 무의미함에 대한 절망, 즉 초기 형태의 허무주의에 대한 해독제 역할을 했다. 그러나 니체는 기독교 교리의 진실성 추구가 결국 자기모순을 드러내고 해체로 이어진다고 주장했다. 그는 "우리가 기독교에서 너무 멀리 살았기 때문이 아니라 너무 가까이 살았기에" 기독교를 벗어났다고 말했다.

기독교의 자기 해체는 또 다른 형태의 허무주의를 낳는다. 니체는 기독교가 자신을 유일한 해석으로 설정했기 때문에, 이러한 해체는 회의주의를 넘어 모든 의미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진다고 주장했다. 즐거운 지식에 나오는 '광인'의 격언에서처럼, "우리가 그를 죽였다"는 신의 죽음은 기독교 교리의 자기 해체를 의미한다. 과학의 발전으로 인해 기독교의 신 개념은 더 이상 도덕의 기초가 될 수 없게 되었다.

니체는 의미 상실에 대한 반응으로 쇼펜하우어의 염세주의 철학에서 나타나는 '수동적 허무주의'를 언급했다. 쇼펜하우어의 가르침은 고통을 줄이기 위해 의지와 욕망에서 벗어나는 것을 강조하는데, 니체는 이를 "무(無)를 향한 의지"라고 비판했다. 그는 수동적 허무주의자가 세상의 모든 가치를 부정하면서도 여전히 가치를 평가하는 모순을 보인다고 지적했다.

니체는 허무주의의 문제를 개인적인 문제로 접근하며, 이 문제가 "의식화된" 문제라고 말했다. 그는 허무주의가 극복되어야만 문화가 번성할 수 있다고 믿었다. 그는 기독교의 자기 해체 이후, 모든 가치와 의미가 파괴된 후에도 멈추지 않고 새로운 것을 창조하기 위해 파괴하는 '능동적 허무주의'가 나타날 가능성을 제시했다. 니체는 능동적 허무주의를 "힘의 표시"로 보았으며, 이는 자신의 가치를 설정하고 삶을 예술 작품처럼 살아가는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위버멘쉬와 연결될 수 있다.

3. 5. 1. 니체의 하이데거적 해석

마르틴 하이데거의 니체 해석은 프리드리히 니체가 제기한 허무주의 문제를 연구한 많은 포스트모더니스트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하이데거는 니체의 허무주의를 그때까지 최고의 가치였던 것들의 평가절하를 통해 승리를 얻으려는 시도로 이해하려 한다. 하이데거에 따르면 이러한 평가절하의 원리는 권력 의지이다.[89]

하이데거는 철학, 특히 형이상학이 "하나의" 존재("seiende")와 "존재"(Sein)의 개념을 조사하는 것을 구분하는 것을 잊었다고 비판한다. 그는 서구 사상의 역사를 형이상학의 역사로 보았으며, 형이상학이 존재의 개념(하이데거가 "Seinsvergessenheit"라고 부르는 것)에 대해 묻는 것을 잊었기 때문에, 그것은 존재의 파괴에 관한 역사라고 주장한다. 그렇기 때문에 하이데거는 형이상학을 허무주의적이라고 부른다.[90] 그는 니체의 형이상학이 허무주의에 대한 승리가 아니라 그 완성이라고 보았다.[91]

하이데거는 니체 해석에서 어른스트 융거에게 영감을 받았다. 그는 나치 시대에 니체를 너무 생물학적이거나 인류학적인 해석으로부터 옹호한 융거를 칭찬하기도 했다.[92]

하이데거의 니체 해석은 지아니 바티모, 들뢰즈, 푸코, 데리다, 카치아리, 세베리노, 유르겐 하버마스, 장-프랑수아 리오타르, 리처드 로티 등 여러 포스트모더니스트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94][95]

3. 5. 2. 니체의 들뢰즈적 해석

질 들뢰즈니체의 허무주의 개념을 일반적인 정의와 다르게, 어떤 면에서는 정반대로 해석한다. 들뢰즈는 니체의 허무주의를 "삶을 부정하고 존재를 폄하하는 행위"로 해석한다.[97] 그는 기독교플라톤주의, 그리고 그것들과 함께 형이상학 전체가 본질적으로 허무주의적이라고 말한다.[96]

3. 6.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던 및 포스트구조주의 사상은 서구 문화가 '진실'이라고 믿어왔던 것들의 근본적인 기반, 즉 절대적인 지식과 의미, 저작의 '탈중심화', 긍정적 지식의 축적, 역사적 진보, 인본주의계몽주의의 특정 이상과 실천에 의문을 제기했다.

3. 6. 1. 데리다

자크 데리다탈구축은 흔히 허무주의적이라는 평가를 받지만, 데리다 자신은 허무주의적 입장을 취하지 않았다. 데리다적 해체주의자들은 탈구축이 텍스트, 개인, 조직을 제한적인 진리에서 해방시키고, 다른 존재 방식의 가능성을 열어준다고 주장한다.[98] 예를 들어, 가야트리 차크라보르티 스피박은 탈구축을 통해 서구 학문을 피지배층의 목소리와 서구 텍스트 정전에 포함되지 않는 철학에 개방하는 윤리를 만들었다.[99] 데리다 자신은 '타자에 대한 책임'을 강조하며 자신의 철학을 구축했다.[100] 따라서 탈구축은 진리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진리를 알 수 있다는 우리의 능력을 부정하는 인식론적 주장을 하는 것으로, 허무주의의 존재론적 주장과는 차이가 있다.

3. 6. 2. 리오타르

리오타르는 철학자들이 주장을 증명하기 위해 객관적인 진실이나 방법에 의존하기보다는, 이야기가 속한 시대와 체계와 분리될 수 없는 세계에 대한 이야기를 언급함으로써 진실을 정당화한다고 주장한다. 리오타르는 이를 ''메타 서사''라고 부른다. 그는 포스트모던 조건을 이러한 메타 서사 및 이에 의한 정당화 과정을 모두 거부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진실과 의미의 불안정성이라는 개념은 허무주의로 이어지지만, 리오타르는 허무주의를 수용하지 않는다.[26]

리오타르는 "우리는 메타 서사 대신 변화하는 관계와 가변적인 진실에 의존하는 우리의 주장을 정당화하기 위해 새로운 언어 게임을 만들어냈다. 이 중 어느 것도 궁극적인 진실에 대해 말할 수 있는 특권을 누리지 못한다."라고 주장한다.[26]

3. 6. 3. 보드리야르

포스트모던 이론가 장 보드리야르는 《시뮬라크르와 시뮬라시옹》에서 포스트모던 관점에서 허무주의에 대해 간략하게 기술했다. 그는 주로 실제 세계를 구성하는 시뮬라시옹보다는 실제 세계에 대한 해석이라는 주제에 집중했다. 의미의 사용은 보드리야르의 허무주의 논의에서 중요한 주제였다.

> 묵시록은 끝났고, 오늘은 중립의 세차, 중립의 형태와 무관심의 세차이다... 남은 것은 사막과 같은 무관심한 형태에 대한 매혹, 우리를 소멸시키는 체계의 작동 그 자체에 대한 매혹뿐이다. 이제 매혹은 (외관에 붙어있던 유혹과 의미에 붙어있던 변증법적 이성과 대조적으로) 탁월한 허무주의적 열정이며, 사라지는 방식에 고유한 열정이다. 우리는 모든 형태의 사라짐, 우리의 사라짐에 매혹된다. 우울하고 매혹된 것은 비자발적 투명성의 시대에 우리의 일반적인 상황이다.

탈근대(Postmodern) 및 포스트구조주의 사상은 서구 문화가 그 '진실'을 기반으로 해 온 토대 자체에 의문을 제기해 왔다. 즉, 절대적 지식과 의미, 저자의 '탈중심화', 긍정적 지식의 축적, 역사적 진보, 그리고 인본주의와 계몽주의의 특정 이상과 관행 등에 의문을 제기해 왔다.

4. 입장들

19세기부터 허무주의는 다양한 철학 분야에서 여러 입장을 포괄했다.[22]


  • '''러시아 철학'''과 '''독일 철학''': 20세기 이전 니힐리즘 담론의 두 가지 주요 흐름이다.
  • 야코비 시대 이후, 이 용어는 러시아 작가 이반 투르게네프에 의해 그의 소설 『아버지와 아들』에서 사용되며 부활했다.[29] 소설의 니힐리즘 인물들은 스스로를 "모든 것을 부정하는" 자들 등으로 정의한다.[30]
  • 프리드리히 니체는 이 용어를 서구 세계의 전통적인 도덕성의 붕괴를 묘사하는 데 사용했다.[32] 니체에게 니힐리즘은 '신의 죽음'에서 표현된 가치 파괴의 현대적 경향과 그가 기독교의 생명을 부정하는 도덕성으로 보았던 것 모두에 적용되었다.[71][33]

  • '''종교''': 토마스 J. J. 알티저와 같은 종교 학자들은 니힐리즘은 반드시 종교와 관련하여 이해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35]

  • '''다다이즘''': 제1차 세계 대전 중에 발생한 예술 운동으로, 반예술(anti-art) 운동이라고 주장한다. 발견된 사물(found objects)을 사용하기도 한다. 많은 사람들이 다다를 본질적으로 허무주의적인 운동이었다고 주장한다.[117]

  • '''대중 매체''':
  • 브렛 이스턴 엘리스의 1991년 소설 《아메리칸 싸이코》와 2000년 영화 《아메리칸 싸이코》의 패트릭 베이트먼은 도덕적 허무주의와 실존적 허무주의를 모두 보여준다.
  • 1993년 코미디 영화 《해피 데스데이》의 필 코너스는 영화 중반부에 실존적 허무주의적 경향을 보인다.
  • 2004년 영화 《콜래터럴》의 주요 악당인 빈센트는 인간의 본성이 본질적으로 악하며, 삶에는 의미가 없다고 믿는다.
  • 2022년 영화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에서 주요 악당인 조부 투파키는 다중우주의 무한한 혼돈이 존재를 계속할 이유가 없다는 실존적 허무주의적 결론에 도달한다.
  • 2023년 비디오 게임 《붕괴: 스타레일》에서 '허무'는 다중우주의 궁극적인 운명이 무(無)이며 따라서 가치가 없다고 믿는 캐릭터들이 걷는 경로이다.

5. 한국 사회와 니힐리즘

대한민국에서 허무주의(니힐리즘)는 1990년대 말 IMF 외환 위기 이후, 그리고 2008년 세계 금융 위기 이후 사회경제적 불안과 불평등 심화와 함께 청년 세대를 중심으로 확산되는 경향을 보여 왔다. 특히, 취업난, 경제적 불평등, 사회적 불공정에 대한 좌절감은 젊은 층 사이에서 허무주의적 태도를 증폭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한편, 국민의힘으로 대표되는 보수 진영은 개인의 책임과 노력을 강조하며, 허무주의적 태도가 사회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비판한다. 이는 사회적 문제의 책임을 개인에게 돌리고, 청년 세대의 어려움을 외면하는 태도로 해석될 수 있다.

문화예술 분야에서는 허무주의적 주제 의식과 표현 방식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의 발달은 허무주의적 정서와 냉소주의가 빠르게 확산되는 데 영향을 미치고 있다.

6. 대표적인 인물

7. 같이 보기

참조

[1] 백과사전 Nihilism Taylor and Francis
[2] 서적 Nietzsche and Philosophy The Athlone Press
[3] 학술지 Existential Nihilism: The Only Really Serious Philosophical Problem https://doi.org/10.1[...] 2018-01-01
[4] 백과사전 Nihilism Taylor and Francis
[5] 웹사이트 Nihilism http://www.utm.edu/r[...]
[6] 웹사이트 The Meaning of Life#Nihilism https://plato.stanfo[...]
[7] 서적 Nihilism Before Nietzsc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8] 서적 Nihilism Before Nietzsc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9] 백과사전 Nihilism Taylor and Francis
[10] 서적 Nietzsche and Philosophy The Athlone Press
[11] 서적 Nihilism Before Nietzsc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2] 웹사이트 Nihilism and the Postmodern in Vattimo's Nietzsche https://web.archive.[...]
[13] 서적 Game with Vestiges
[14] 서적 On Nihilism
[15] 서적 A Study of History
[16] 서적 Dialectic of Nihilism
[17] 웹사이트 The Postmodern Challenge: Facing the Spirit of the Age http://www.equip.org[...] Christian Research Institute
[18] 학술지 Deconstructing the Mass http://www.latinmass[...]
[19] 웹사이트 Existential Nihilism | Nihilism http://www.utm.edu/r[...]
[20] 사전 Nihility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21] 학술지 The Problem of Nihilism: A Sociological Approach
[22] 백과사전 Nichilismo https://www.treccani[...] Treccani: Istituto della Enciclopedia Italiana
[23] 백과사전 Nihilism https://www.britanni[...] 2024-01-03
[24] 사전 nihilism 2003-09-01
[25] 서적 Zwischen Glück und Tragik Wilhelm Fink
[26] 사전 Continuum
[27] 사전 nihilism
[28] 백과사전 Nihilism https://www.britanni[...] 2024-01-03
[29] 서적 Nihilism Before Nietzsc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0] 서적 Dostoevsky: The Miraculous Years, 1865–1871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31] 학술지 'Strike out, right and left!': a conceptual-historical analysis of 1860s Russian nihilism and its notion of negation
[32] 백과사전 Nihilism https://www.britanni[...] 2024-01-03
[33] 서적 Nietzsche and Philosophy The Athlone Press
[34] 학술지 Triumph of the Will
[35] 학술지 Review: ''Nihilism before Nietzsche'' by Michael Allen Gillespie and ''Metaphysics'' by Michel Haar & Michael Gendr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6] 웹사이트 Buddhists celebrate birth of Gautama Buddha https://www.history.[...] 2020-04-07
[37] 서적 The Connected Discourses of the Buddha: A New Translation of the Samyutta Nikkaya
[38] 서적 The Middle Length Discourses of the Buddha
[39] 간행물 Knowing, Emptiness and the Radiant Mind http://www.fsnewslet[...] 2009-10-01
[40] 서적 Alagaddupama Sutta, The Middle Length Discourses of the Buddha http://lirs.ru/lib/s[...] 2019-06-24
[41] 서적 Aggi-Vacchagotta Sutta: To Vacchagotta on Fire https://www.accessto[...] 2019-06-24
[42] 서적 Mind Like Fire Unbound 2019-06-24
[43] 서적 Kevatta (Kevaddha) Sutta: To Kevatta https://www.accessto[...] 2019-06-24
[44] 간행물 A Dhamma article by Ajahn Amaro – The View from the Centre https://www.amaravat[...] 2015-05-07
[45] 웹사이트 Friedrich Heinrich Jacobi https://plato.stanfo[...] 2022-07-14
[46] 논문 Zen After Zarathustra: The Problem of the Will in the Confrontation Between Nietzsche and Buddhism
[47] 웹사이트 Kierkegaard on the Internet: Anonymity vs. Commitment in the Present Age http://socrates.berk[...] 2004-01-01 # 추정 날짜
[48] 서적 Kierkegaard
[49] 서적 Existential America
[50] 서적 The Present Age
[51] 서적 The Sickness Unto Death
[52] 서적 Kierkegaard, Pietism, and Holiness
[53] 서적 Heidegger, Authenticity, and Modernity
[54] 백과사전 Nihilism https://www.britanni[...] Taylor and Francis 2024-01-03
[55] 백과사전 Nihilism https://www.britanni[...] 2024-01-03
[56] 논문 'Strike out, right and left!': a conceptual-historical analysis of 1860s Russian nihilism and its notion of negation
[57] 백과사전 Nihilism, Russian Taylor and Francis
[58] 백과사전 Nihilism, Russian Taylor and Francis
[59] 백과사전 Nihilism https://www.britanni[...] 2024-01-03
[60] 백과사전, 논문, 서적 'Strike out, right and left!': a conceptual-historical analysis of 1860s Russian nihilism and its notion of negation
[61] 서적 Dostoevsky: The Miraculous Years, 1865–1871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62] 백과사전, 잡지 Fathers and Sons https://www.britanni[...]
[63] 백과사전, 논문 Nihilism https://www.britanni[...] 2024-01-03
[64] 서적 Nihilism Before Nietzsc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5] 서적, 논문 Nihilism Before Nietzsc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6] 서적 Dostoevsky: The Miraculous Years, 1865–1871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67] 논문 'Strike out, right and left!': a conceptual-historical analysis of 1860s Russian nihilism and its notion of negation
[68] 서적 The Self-Overcoming of Nihilism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69] 서적 Nietzsches Philosophie des europäischen Nihilismus Berlin / New York
[70] 서적 Nachweis aus Nicolai Karlowitsch, Die Entwickelung des Nihilismus (1880) und aus Das Ausland (1880). In: Nietzsche-Studien, Vol. 51
[71] 서적 The Banalisation of Nihilism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72] 논문 KSA 12:6
[73] 웹사이트 Nietzsche, Nihilism, and the Virtue of Nature https://web.archive.[...] 2004-10-31
[74] 논문 KSA 12:10
[75] 논문 KSA 13:14
[76] 논문 KSA 12:5
[77] 논문 KSA 12:2
[78] 논문 KSA 12:2
[79] 서적 Nihilism: A Philosophical Essay Yale University Press
[80] 서적 The Gay Science
[81] 서적 On the Genealogy of Morals
[82] 논문 KSA 12:7
[83] 논문 KSA 12:9
[84] 간행물 Consistent Nihilism
[85] 서적 Heidegger und Nietzsche. Nietzsche-Interpretationen III
[86] 서적 Nietzsche I: The Will to Power as Art & Nietzsche II: The Eternal Recurrence of the Same Harper & Row
[87] 서적 Heidegger und Nietzsche
[88] 서적 Nietzsche II: The Eternal Recurrence of the Same Harper & Row
[89] 서적 Heidegger und Nietzsche
[90] 웹사이트 What remains unquestioned and forgotten in metaphysics is being; and hence, it is nihilistic. http://www.iep.utm.e[...] 2010-06-14
[91] 서적 Heidegger und Nietzsche
[92] 서적 Heidegger und Nietzsche
[93] 서적 Heidegger und Nietzsche
[94] 서적 Heidegger und Nietzsche
[95] 서적 Heidegger und Nietzsche
[96] 서적 Nietzsche and Philosophy The Athlone Press
[97] 서적 Nietzsche and Philosophy
[98] 웹사이트 Nihilism and Affirmation https://web.archive.[...] 2010-01-07
[99] 서적 Can The Subaltern Speak? Macmillan Education
[100] 간행물 The Other of Derridean Deconstruction: Levinas, Phenomenology and the Question of Responsibility https://web.archive.[...] 2011-06-14
[101] 백과사전 Nihilism https://www.britanni[...] 2024-01-03
[102] 백과사전 Nihilism Taylor and Francis
[103] 웹사이트 Ontological Nihilism https://www.oxfordsc[...] Oxford University Press 2019-12-31
[104] 웹사이트 AskOxford: nihilism https://web.archive.[...] www.askoxford.com 2005-11-22
[105] 서적 The American Heritage Medic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Harcourt 2016-01-27
[106] 웹사이트 Solipsism and the Problem of Other Minds -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www.iep.utm.e[...] The University of Tennessee, Martin 2015-11-03
[107] 논문 Moral Nihilism
[108] 백과사전 Friedrich Nietzsche § Nietzsche's Mature Philosophy https://www.britanni[...] 2024-08-21
[109] 백과사전 Nihilism Taylor and Francis
[110] 간행물 German Nihilism
[111] 서적 Medical Nihilism Oxford University Press
[112] 논문 The case for medical nihilism and "gentle medicine" https://blogs.bmj.co[...] 2018-06-00
[113] 웹사이트 The Argument for Medical Nihilism https://philosophica[...] 2019-04-12
[114] 서적 Las vanguardias artísticas del siglo XX Alianza Forma
[115] 서적 "Approximate Man" & Other Writings Black Widow Press 2005-12-00
[116] 서적 Las vanguardias artísticas del siglo XX Alianza Forma
[117] 서적 Dada and Beyond, Volume 2: Dada and Its Legacies Brill 2012
[118] 웹사이트 Nihilism http://www.iep.utm.e[...] The University of Tennessee, Martin 2012-04-01
[119] 서적 Nihilism: Philosophy of Nothingness https://books.google[...] 2015-01-05
[120] 웹사이트 A Journey into the Realm of Human Destructiveness in Bret Easton Ellis's American Psycho http://dspace.univ-m[...] CHAIB, Ahlem, and Yamina GHALEB 2017
[121] 웹사이트 "Manifestations of nihilism in selected contemporary media." https://core.ac.uk/d[...] Olivier, Marco René 2007
[122] 잡지 Everything Everywhere All at Once Perfects Optimistic Nihilism https://www.wired.co[...] 2022-03-22
[123] 서적 倫理学概説 ミネルヴァ書房
[124] 서적 『ドリアン・グレイの画像』におけるニヒリズム 松柏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