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술법은 IT 법의 주요 분야, 인터넷 규제와 관할권, 유럽 연합(EU)의 IT 법제, 인터넷 법의 주요 논쟁, 미국의 인터넷 프라이버시 법 등을 포괄하는 법률 분야이다. IT 법은 계약, 지적 재산, 개인 정보 보호 및 데이터 보호법 등을 포함하며, 인터넷의 글로벌 구조로 인해 관할권, 주권 및 규제 방식에 대한 논쟁이 발생한다. 유럽 연합은 저작권 관련 법제를, 미국은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다양한 법률을 제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술법 - 인공지능 규제
인공지능 규제는 인공지능 기술 발전으로 인한 사회적, 윤리적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법적, 정책적 움직임이며, 국가별로 인식 차이를 보이며 완전 자율 무기 규제 등 다양한 쟁점을 포함한다. - 기술법 - 일반 데이터 보호 규칙
일반 데이터 보호 규칙(GDPR)은 개인 정보 보호를 강화하고 EU 역내 규제를 통합하기 위해 2018년 5월 25일부터 EU 27개 회원국에 시행된 법규이다.
| 기술법 | |
|---|---|
| 정보 기술법 | |
| 분야 | 법학, 정보 기술 |
| 하위 분야 | 사이버법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데이터 보호법 인터넷 법 지적 재산권 법 |
| 관련 개념 | 정보 프라이버시 사이버 보안 디지털 권리 오픈 소스 전자 상거래 온라인 명예훼손 |
| 같이 보기 | |
| 관련 법률 | 컴퓨터 사기 및 남용 방지법 (미국) 디지털 밀레니엄 저작권법 (미국) 일반 데이터 보호 규칙 (유럽 연합) 캘리포니아 소비자 프라이버시법 (미국) |
| 관련 주제 | 기술 윤리 인공지능 법 알고리즘 책임성 디지털 포렌식 정보 격차 |
2. IT 법의 주요 분야
IT 법은 별도의 법률 분야가 아니라, 계약, 지적 재산, 개인 정보 보호 및 데이터 보호법 등 다양한 법률 영역을 포괄한다.[1]
특정 상황 및 관할 구역에서 컴퓨터 통신은 증거로 사용될 수 있으며 계약을 체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컴퓨터로 가능해진 새로운 도청 및 감시 방법은 법 집행 기관에서 이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과 법정 증거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매우 다른 규칙을 가지고 있다.
2. 1. 지적 재산권
지적 재산은 IT 법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며, 여기에는 저작권 및 저작자 권리, 공정 사용에 관한 규칙, 디지털 미디어에 대한 복제 방지 규칙 및 해당 방식의 회피가 포함된다. 소프트웨어 특허 분야는 논쟁의 여지가 많으며 유럽 등지에서 여전히 발전하고 있다.[1]소프트웨어 라이선스, 최종 사용자 사용권 계약,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및 오픈 소스 라이선스와 관련된 주제는 제품 책임, 개별 개발자의 전문 책임, 보증, 계약법, 영업 비밀 및 지적 재산에 대한 논의를 포함할 수 있다.
2. 2. 통신 규제
여러 국가에서 컴퓨팅 및 통신 산업은 정부 기관에 의해 규제되고 있다. 컴퓨터 및 컴퓨터 네트워크 사용에 대한 규칙, 특히 무단 접근, 데이터 프라이버시, 스팸 등에 대한 규칙이 있다. 암호화 사용, 복제 방지 기술을 무력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장비에 대한 제한도 있다. 미국 내 특정 주 간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수출도 통제된다.[2] 한국의 경우, 방송통신위원회가 통신 규제와 관련된 주요 기관이다.2. 3. 인터넷 법
인터넷은 표현의 자유와 검열, 정보 접근권, 개인 정보 보호 등 다양한 법적 문제를 야기한다. 인터넷 상거래, 과세, 소비자 보호, 광고 등에 대한 법률도 존재한다. 법 집행을 위한 데이터 보존 의무,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데이터 수집 및 보존 제한 등에 대한 규정도 마련되어 있다.[2] 사이버 명예훼손, 사이버 모욕 등 인터넷 상에서의 불법 행위에 대한 법적 책임 문제도 중요하다. 전산화된 투표 기술(투표 기계, 인터넷/모바일 투표)은 여러 법적 문제를 야기하며, 한국에서도 전자투표 도입 논의가 있었다.인터넷의 국제화와 사용자들의 급증으로 인해 관할권 문제는 더욱 복잡해졌다. 각국의 법원은 인터넷에 게시된 항목이나 인터넷을 통해 체결된 사업 계약에 대한 관할권을 갖는지에 대해 다양한 견해를 보였다.[8] 이는 계약법, 무역 기준, 세금부터 해킹, 데이터 프라이버시, 스팸 규제, 국가 검열을 통한 표현의 자유와 프라이버시 같은 기본적 권리, 명예 훼손 또는 선동 관련 형사법까지 광범위한 영역을 포괄한다.
단일 거래는 최소한 다음 세 가지 관할권 법률을 포함할 수 있다.[9]
| 관할권 |
|---|
| 사용자가 거주하는 국가/지역의 법률 |
| 거래를 호스팅하는 서버가 위치한 국가/지역의 법률 |
| 거래가 이루어지는 개인 또는 사업체에 적용되는 국가/지역의 법률 |
컴퓨터 기반의 글로벌 통신은 영토 경계를 넘어 확장되면서, 규제, 관할권, 주권 문제가 인터넷 시대에 빠르게 부상했다. 국경을 넘나드는 통신, 협상 또는 주문은 새로운 것이 아니었기에 문제 해결 또한 비교적 빠르게 이루어졌다. 다만, 대량의 접촉, 신원 은폐 가능성, 그리고 시간이 흐르면서 기업에 의한 영역 식민지화가 새로운 문제로 대두되었다.[3]
인터넷 거버넌스는 국제 전기 통신 연합(ITU)과 같은 국제 포럼에서 중요한 문제이며, 현재 미국에 기반을 둔 조정 기관인 인터넷 할당 번호 및 이름 관리 기구(ICANN)의 역할은 2003년 12월 유엔이 후원한 정보 사회 세계 정상 회담(WSIS)에서 논의되었다.
3. 인터넷 규제와 관할권
3. 1. 관할권 문제
인터넷의 초국경적 특성으로 인해 관할권 및 주권 문제가 발생한다. 전기 전신, 전화, 라디오와 달리 인터넷은 명확한 주권 및 영토적 한계를 갖지 않아, 국제적인 법적 분쟁 발생 시 어려움이 있다.[4] 통일된 국제 관할법은 없으며, 국제 조약, 계약, 법의 충돌 원칙(특히 국제 사법)에 따라 해결한다.
예를 들어, 영국에 위치한 서버에 저장된 콘텐츠가 프랑스 시민에 의해 웹 사이트에 게시된 경우, 한 국가에서는 합법이지만 다른 국가에서는 불법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법률 실무자와 판사는 법의 충돌에 대한 일반적인 규칙에 따라 문제를 해결해 왔으며, 정부와 초국가적 기구는 새로운 법적 틀에 대한 개요를 설계했다.[4]
인터넷은 지리적 및 관할권 경계를 명확하게 만들지 않지만, 인터넷 기술(하드웨어), 서비스 제공자 및 사용자는 물리적 관할권 내에 있으며 인터넷 존재 여부와 관계없이 법의 적용을 받는다.[8] 따라서 단일 거래는 최소한 다음 세 가지 관할권의 법률을 포함할 수 있다.
| 번호 | 관할권 |
|---|---|
| 1 | 사용자가 거주하는 국가/지역의 법률 |
| 2 | 거래를 호스팅하는 서버가 위치한 국가/지역의 법률 |
| 3 | 거래가 이루어지는 개인 또는 사업체에 적용되는 국가/지역의 법률 |
따라서 캐나다에 있는 서버를 통해 영국에 거주하는 다른 사용자와 거래를 하는 미국 사용자는 이론적으로 해당 거래와 관련하여 세 국가의 법률과 국제 조약의 적용을 받을 수 있다.[9]
실질적으로, 인터넷 사용자는 온라인에 접속하는 국가 또는 지역의 법률에 적용을 받는다. 한 국가에서 합법적인 행위가 다른 국가에서는 불법일 수 있으며, 민사 소송에서 입증 책임에 관한 서로 다른 기준조차도 관할권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9]
3. 2. 규제 방식에 대한 논쟁
컴퓨터 기반의 글로벌 통신이 영토 경계를 넘어서면서, 규제, 관할권, 주권 문제가 인터넷 시대에 빠르게 부상했다. 국경을 넘나드는 통신, 협상, 주문은 새로운 것이 아니었지만, 대량의 접촉, 신원 은폐 가능성, 그리고 시간이 흐르면서 기업에 의한 영역 식민지화가 새로운 문제로 대두되었다.[3]인터넷을 물리적 공간으로 취급하여 해당 관할 구역의 법률을 적용할 것인지, 아니면 인터넷 자체에 고유한 법적 틀을 가져야 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어 왔다. 후자의 견해를 옹호하는 사람들은 종종 정부가 인터넷을 자율 규제에 맡겨야 한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미국의 시인 존 페리 바로우는 세계 각국 정부에 다음과 같이 연설했다. "진정한 갈등이 있고, 잘못된 일이 있다면, 우리는 그것들을 식별하고 우리의 수단을 통해 해결할 것입니다. 우리는 우리만의 사회 계약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이 거버넌스는 여러분의 세상이 아닌 우리의 세상의 조건에 따라 생겨날 것입니다. 우리의 세상은 다릅니다."[5]
"사이버세션 소개"라는 이름의 위키 웹사이트는 인터넷에서의 절대적인 익명성의 윤리적 타당성을 주장한다.[6] 이 웹사이트는 인터넷을 인간의 정신에 비유하며 다음과 같이 선언한다. "인간은 정신을 소유하고 있으며, 어떤 법적 제약도 없이 그 정신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인류 문명은 자체적인 (집단적인) 정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원하는 것은 어떤 법적 제약도 없이 그 정신을 자유롭게 사용하는 것입니다. 여러분이 우리가 여러분을 해치지 못하도록 한다면, 여러분은 우리의 삶을 침해할 윤리적 권리가 없습니다. 그러니 침해를 멈추십시오!"[7] 이 프로젝트는 "여러분"을 "모든 정부"로, "우리"는 정의되지 않은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일부 학자들은 로렌스 레식의 주장과 같이 두 개념 사이의 절충안을 제시한다. 레식은 "법의 문제는 그 대상이 동시에 두 곳에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두 커뮤니티의 규범을 어떻게 적용할지를 파악하는 것입니다"라고 주장했다.
3. 3. 법률 충돌 문제
인터넷의 국제화와 사용자들의 급증으로 인해 관할권은 더욱 어려운 영역이 되었다. 단일 거래는 최소한 다음 세 가지 관할권의 법률을 포함할 수 있다.[8]| 관할권 |
|---|
| 사용자가 거주하는 국가/지역의 법률 |
| 거래를 호스팅하는 서버가 위치한 국가/지역의 법률 |
| 거래가 이루어지는 개인 또는 사업체에 적용되는 국가/지역의 법률 |
따라서 캐나다에 있는 서버를 통해 영국에 거주하는 다른 사용자와 거래를 하는 미국 사용자는 이론적으로 해당 거래와 관련하여 세 국가의 법률과 국제 조약의 적용을 받을 수 있다.[9]
한 국가에서 합법적인 행위가 다른 국가에서는 불법일 수 있으며, 민사 소송에서 입증 책임에 관한 서로 다른 기준조차도 관할권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명예 훼손 입증 책임이 원고에게 더 유리할 수 있는 영국 법원 시스템에서 명예 훼손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4. 유럽 연합(EU)의 IT 법제
2020년 현재, 유럽 연합의 IT 법제는 유럽 연합 저작권법 등 다양한 법률로 구성되어 있다. 이 법적 틀은 회원국 간 법적 불일치를 줄이고, 창의성과 혁신에 대한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10]
4. 1. 저작권
유럽 연합 저작권법은 저작자, 실연자, 제작자, 방송사의 필수적인 권리를 조화롭게 규정하는 13개의 지침과 2개의 규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법적 틀은 국가 간의 불일치를 줄이고, 창의성과 창의성에 대한 투자를 촉진하는 데 필요한 수준의 보호를 보장한다.[10] 많은 지침들은 베른 협약과 로마 협약에 따른 의무를 반영하며, WTO 'TRIPS 협정'과 1996년 WIPO 인터넷 조약인 WIPO 저작권 조약 및 WIPO 실연 및 음반 조약에 따른 EU 및 회원국의 의무를 반영한다. 2012년과 2016년에 서명된 두 개의 다른 WIPO 조약은 시청각 실연 보호에 관한 베이징 조약과 시각 장애인 또는 인쇄물 열람이 불가능한 사람들을 위한 출판물 접근성 개선을 위한 마라케시 VIP 조약이다. 또한, EU가 다수의 제3국과 체결한 자유 무역 협정은 EU 법의 많은 조항을 반영하고 있다.4. 2. 디지털 서비스법(DSA) 및 디지털 시장법(DMA) (2023)
2022년 유럽 의회는 인터넷 플랫폼을 위한 획기적인 법률을 채택했으며, 이 새로운 규정은 인터넷 소비자 보호 및 온라인 플랫폼 감독을 개선할 것이다. 이는 디지털 서비스법(DSA) 및 디지털 시장법(DMA)이다.[1]5. 인터넷 법의 주요 논쟁
인터넷의 국제화와 사용자 증가로 관할권 문제는 더욱 복잡해졌다. 초기 각국 법원은 인터넷 관련 사안에 대한 관할권에 대해 다양한 견해를 보였다. 이는 계약법, 무역, 세금부터 해킹, 데이터 프라이버시, 스팸, 국가 검열을 통한 표현의 자유와 프라이버시 같은 기본권, 명예훼손이나 선동 관련 형사법까지 광범위한 영역을 포괄한다.[8]
"사이버 공간"에 법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개념은 사실이 아니다. 실제로 서로 다른 관할권의 법률이 동일 사건에 동시에 적용될 수 있다. 인터넷은 지리적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지만, 인터넷 기술(하드웨어), 서비스 제공자, 사용자는 물리적 관할권 내에 존재하며 법의 적용을 받는다.[8] 따라서 단일 거래는 최소 세 곳의 관할권 법률을 포함할 수 있다.[9]
- 사용자가 거주하는 국가/지역의 법률
- 서버가 위치한 국가/지역의 법률
- 거래 당사자에게 적용되는 국가/지역의 법률
예를 들어, 캐나다 서버를 통해 영국 거주자와 거래하는 미국 사용자는 이론적으로 세 국가의 법률과 국제 조약의 적용을 받을 수 있다.[9]
실질적으로 인터넷 사용자는 접속하는 국가/지역의 법률 적용을 받는다. 1997년 미국에서 제이크 베이커는 전자적 행동으로 기소되었고, 여러 P2P 파일 공유 사용자들은 저작권 침해로 민사 소송을 당했다. 그러나 국제적 성격의 소송은 충돌을 야기한다. 한 국가에서 합법인 행위가 다른 국가에서는 불법일 수 있다. 민사 소송의 입증 책임 기준 차이도 관할권 문제를 야기한다. 예를 들어, 미국 잡지에 의해 모욕당했다고 주장하는 미국 유명인은 미국에서 승소하기 어렵지만, 영국과 경제적 연관이 있다면 명예훼손 입증 책임이 유리한 영국 법원에서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인터넷 거버넌스는 국제 전기 통신 연합(ITU) 등 국제 포럼에서 중요한 문제이며, 미국 기반 조정 기관인 인터넷 할당 번호 및 이름 관리 기구(ICANN)의 역할은 2003년 12월 유엔 후원 정보 사회 세계 정상 회담(WSIS)에서 논의되었다.
인터넷 규제 법률은 인터넷 기술 기반 시설의 지리적 범위와 국가 경계를 넘나드는 데이터 처리 맥락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인터넷의 글로벌 구조는 관할권 문제, 즉 인터넷에 영향을 미치는 법 제정 및 집행 권한, 그리고 법 자체의 본질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2008년 데이비드 R. 존슨과 데이비드 G. 포스트는 "사이버 공간에서의 법과 경계 - 법의 부상" 에세이에서, 영토 기반 법 집행 당국이 인터넷을 위협으로 여기며, 인터넷이 스스로 통제하는 데 필요한 아이디어를 낸다고 주장한다. 특정 국가 법 대신, "인터넷 시민"은 서비스 제공자와 같은 전자적 실체의 법을 따를 것이다. 인터넷 시민은 사용자 이름이나 이메일 주소(또는 페이스북 계정)로 알려진다. 시간이 지나면서 인터넷이 자체적인 초국가적 "국가"로 자율 규제될 수 있다는 제안은 여러 수준에서 정부 및 사적인 외부 및 내부 규제 기관과 세력에 의해 대체되고 있다. 인터넷 법의 본질은 여전히 개발 과정에 있는 법적 패러다임 전환이다.[11]
5. 1. 로렌스 레식의 인터넷 규제 모델 (1999)
로렌스 레식은 그의 저서 ''코드와 사이버 공간의 다른 법들''에서 pathetic dot theory라고 칭한 사회 경제적 이론에서 파생된 인터넷 규제의 네 가지 주요 힘 또는 방식을 제시했다.[11]- '''법(Law):''' 로렌스 레식이 "표준 동부 해안 코드"라고 부르는 것으로, 워싱턴 D.C.에서 정부가 제정한 법률에서 비롯된다. 도박, 아동 포르노, 사기와 같은 분야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매우 유사한 방식으로 규제된다. 가장 논란이 많고 불분명한 진화하는 법률 분야 중 하나는 특히 국경 간 거래가 지역 관할 구역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인터넷에서 수행되는 활동(경제 및 기타)에 대한 사물 관할권을 갖는 포럼을 결정하는 것이다.
- '''아키텍처(Architecture):''' 로렌스 레식이 "서부 해안 코드"라고 부르는 것으로, 실리콘 밸리의 프로그래밍 코드에서 비롯된다. 인터넷 필터링 소프트웨어, 암호화 프로그램, TCP/IP 프로토콜의 기본적인 아키텍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이 이에 해당한다.
- '''규범(Norms):''' 온라인에서 특정 활동이나 행위가 인터넷의 코드 아키텍처에 의해 특별히 금지되지 않거나 전통적인 정부 법에 의해 명시적으로 금지되지 않더라도, 이러한 활동이나 행위는 활동이 일어나는 커뮤니티, 즉 인터넷 "사용자"의 기준에 따라 규제된다.
- '''시장(Markets):''' 시장 또한 인터넷에서 특정 행동 패턴을 규제한다. 경제 시장은 인터넷의 비상업적 부분에 제한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인터넷은 또한 정보에 대한 가상 시장을 생성하며, 이러한 정보는 서비스의 비교 가치 평가에서 전통적인 주식 가치 평가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인터넷의 힘 또는 규제자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작용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정부 법은 더 큰 사회적 규범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시장은 특정 시스템을 운영하는 코드의 성격과 품질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11]
5. 2. 망 중립성
망 중립성은 인터넷 인프라 규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문제이다. 대부분의 인터넷 사용자는 잘 모르지만, 인터넷 사용자가 보내고 받는 모든 데이터 패킷은 통신 회사, 대학, 정부 등 사적 및 공적 기관이 소유한 라우터와 전송 인프라를 통과한다. 이 문제는 과거 전기 전신, 전화, 케이블 TV에서도 다루어졌다. 중요한 점은 한 관할권에서 시행되는 법률이 호스트 서버나 통신 회사에 영향을 미칠 때 다른 관할권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네덜란드는 2013년에 칠레에 이어 유럽 최초, 세계에서 두 번째로 관련 법률을 통과시켰다.[12][13] 미국에서는 2015년 3월 12일에 연방 통신 위원회(FCC)가 새로운 망 중립성 규칙의 구체적인 세부 사항을 발표했고, 2015년 4월 13일에는 새로운 규정에 대한 최종 규칙을 발표했다.
5. 3. 인터넷 상의 표현의 자유
세계 인권 선언 제19조는 표현의 자유를 보장한다.[14] 여기에는 간섭 없이 의견을 가질 자유와 국경에 관계없이 모든 매체를 통해 정보와 아이디어를 구하고, 받고, 전달할 자유가 포함된다.인터넷의 접근성과 익명성은 개인의 표현 자유를 확대시켰지만, 동시에 사이버 명예훼손, 사이버 모욕 등 새로운 법적 문제를 야기했다. 거트닉 대 다우 존스 사건은 국제적인 인터넷 환경에서 명예훼손 법 적용의 복잡성을 보여준다. 키스-스미스 대 윌리엄스 사건(영국, 2006)은 인터넷 토론에도 명예훼손 법이 적용됨을 확인했다.[16]
5. 4. 인터넷 검열
많은 국가에서 정보 통신 기술(ICT)을 통한 표현은 정부의 규제 대상이다. 오픈 넷 이니셔티브는 각국의 인터넷 검열 현황을 조사하고 보고한다.[18][19] 중국은 가장 엄격한 인터넷 검열 국가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20] 싱가포르, 이란, 사우디 아라비아, 튀니지 등도 인터넷 검열을 시행한다.일례로, 중국 정부는 한때 구글 검색 엔진에 대한 요청을 자체 통제 검색 엔진으로 전달하기도 했다.
이러한 인터넷 검열은 표현의 자유와 정부의 정보 통제 권한 간의 균형 문제를 제기한다. 예를 들어, 인도에서 블로그스팟 및 기타 웹사이트를 차단한 것은 표현의 자유와 정부의 정당한 우려를 조화시키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는다.[21]
6. 미국의 인터넷 프라이버시 법
19세기 말, 사생활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1890년 새뮤얼 워렌과 루이스 브랜다이스의 "사생활 권리" 논문이 발표되었다.[22] 이는 황색 언론의 부상과 즉석 사진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촉발되었으며, 20세기와 21세기 사생활 관련 법률의 토대가 되었다.
''카츠 대 미국'' 판결(1967)에서는 수정 헌법 제4조 적용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합리적인 프라이버시 기대 테스트가 확립되었다.[1] 이 테스트는 개인이 사생활에 대한 주관적 기대를 보여야 하고, 그 기대가 사회적으로 합리적이어야 한다는 두 가지 조건을 제시한다.
워터게이트 사건 이후, 미국 의회는 연방 기관의 개인 정보 수집 및 사용을 규제하기 위해 1974년 프라이버시법을 제정했다.[1] 1978년 외국 정보 감시법(FISA)은 미국 내 "외국 정보" 수집을 위한 전자 감시 사용 절차를 규정하고, 외국 정보 감시 법원(FISC)을 설립하여 비밀리에 FISA 명령을 검토한다.[1]
1986년 전자 통신 프라이버시 법(ECPA)은 연방 도청법을 현대화한 것으로, 도청법, 저장 통신법, 펜 레지스터 법을 포함한다.[1] 1994년 운전자 개인 정보 보호법(DPPA)은 주 정부가 자동차 기록을 사기업에 판매하는 것을 금지한다.[1]
1999년 그램-리치-블라일리 법(GLBA)은 금융 기관 간의 개인 정보 공유를 허용하며, 미국 증권 거래 위원회(SEC)와 연방 거래 위원회(FTC) 등이 정보 보안 및 기밀 유지를 위한 표준을 수립하도록 요구한다.
2002년 국토안보법은 국토안보부(DHS)를 설립하고 개인정보보호실을 설치하여 개인 정보 보호 정책을 담당하게 했다.[1] 2004년 정보 개혁 및 테러 방지법(IRTPA)은 정보 공유 문화를 장려하고 개인 정보 및 시민 자유 감독 위원회를 설립하여 사생활 보호를 위한 조언을 제공한다.[1]
6. 1. 워렌과 브랜다이스 (1890)
19세기 말, 사생활에 대한 우려가 일반 대중을 사로잡았고, 이는 1890년 새뮤얼 워렌과 루이스 브랜다이스의 "사생활 권리" 논문 발표로 이어졌다.[22] 이 논문은 오늘날 미국 대법원 판례인 ''Kyllo v. United States''(2001)에서 다수의견, 동의의견, 심지어 반대의견에서도 인용될 정도로 큰 영향을 미쳤다.[23]학자들 사이에서는 두 저자가 이 논문을 작성하게 된 동기에 대해 격렬한 논쟁이 벌어지고 있지만, 당시 두 가지 사건이 그 배경으로 짐작된다. 첫째, 남북 전쟁 이후 신문 판매를 촉진하기 위한 선정적인 언론과 "황색 언론"의 부상은 사생활 문제를 대중의 관심사로 만들었다. 둘째, "즉석 사진" 기술의 발전 또한 사생활을 대중적 관심사로 떠오르게 했다. 이 논문은 20세기와 21세기에 걸쳐 모든 사생활 관련 법률의 토대를 마련했다.
6. 2. 합리적인 프라이버시 기대 테스트 (1967)
''카츠 대 미국'' 판결(389 U.S. 347 (1967))은 특정 상황에서 수정 헌법 제4조의 적용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합리적인 프라이버시 기대 테스트(Reasonable Expectation of Privacy Test)를 확립했다.[1] 이 테스트는 다수 의견에서는 언급되지 않았지만, 할란 대법관의 동의 의견에서 명확히 제시되었다.[1] 이 테스트에 따르면, 1) 개인은 "사생활에 대한 실제적(주관적) 기대"를 보여야 하고, 2) "그 기대는 사회가 '합리적'이라고 인정할 준비가 되어 있는 것이어야 한다"를 충족해야 한다.[1]6. 3. 1974년 프라이버시법
워터게이트 사건 이후, 미국 의회는 1974년 프라이버시법을 제정하여 연방 기관의 개인 정보 수집, 유지, 사용 및 배포를 규제했다.[1] 의회는 "개인의 사생활은 연방 기관의 개인 정보 수집, 유지, 사용 및 배포에 의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고 판단했으며, "정부의 효율적인 운영에 필수적인 컴퓨터와 정교한 정보 기술의 사용 증가는 개인 정보의 수집, 유지, 사용 또는 배포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개인 사생활 침해의 피해를 크게 확대시켰다"고 보았다.[1]6. 4. 1978년 외국 정보 감시법(FISA)
Foreign Intelligence Surveillance Act of 1978|1978년 외국 정보 감시법영어(FISA)은 미국 내에서 "외국 정보" 수집을 위한 전자 감시 사용에 대한 표준 및 절차를 규정한다.[1] 외국 정보가 조사의 "중요한 목적"일 때 조사 중에 전자 통신 프라이버시 법을 무효화할 수 있다.[1] FISA는 외국 정보 감시 법원(FISC)을 설립했다.[1] 모든 FISA 명령은 연방 지방 판사로 구성된 이 특별 법원에서 검토된다.[1] FISC는 비밀리에 회합하며, 모든 절차는 일반적으로 대중과 감시 대상으로부터 격리되어 진행된다.[1]6. 5. 1986년 전자 통신 프라이버시 법(ECPA)
ECPA는 미국 의회가 연방 도청법을 현대화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ECPA는 발전하는 컴퓨터 기술과 통신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세 가지 주요 법으로 구성된다.[1]- 도청법: 자세한 내용은 도청법 참조.
- 저장 통신법: 자세한 내용은 저장 통신법 참조.
- 펜 레지스터 법: 자세한 내용은 펜 레지스터 법 참조.
6. 6. 1994년 운전자 개인 정보 보호법(DPPA)
DPPA는 주 정부가 자동차 기록을 사기업에 판매하는 것에 대응하여 통과되었다. 이러한 기록에는 이름, 주소, 전화번호, 사회 보장 번호(SSN), 의료 정보, 신장, 체중, 성별, 눈 색깔, 사진 및 생년월일과 같은 개인 정보가 포함되었다.[1] 1994년, 미국 의회는 이러한 활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운전자 개인 정보 보호법(DPPA)을 통과시켰다.[1]6. 7. 1999년 그램-리치-블라일리 법(GLBA)
이 법은 은행, 보험사, 투자 회사와 같은 금융 기관이 광범위하게 개인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승인한다. GLBA는 제휴 또는 관련 회사 간뿐만 아니라 관련 없는 회사 간에도 개인 정보 공유를 허용한다.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이 법은 미국 증권 거래 위원회(SEC), 연방 거래 위원회(FTC) 등과 같은 다양한 기관이 관할권에 속하는 금융 기관에 대해 "고객 기록 및 정보의 보안과 기밀성을 보장"하고 이 정보에 대한 "무단 접근을 방지"하기 위한 "적절한 표준"을 수립하도록 요구한다.자세한 내용은 그램-리치-블라일리 법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6. 8. 2002년 국토안보법(HSA)
2002년 미국 의회를 통과한 국토안보법은 22개의 연방 기관을 통합하여 오늘날 일반적으로 국토안보부(DHS)로 알려진 기관을 만들었다. 국토안보법은 또한 국토안보부 산하에 개인정보보호실을 설치했다. 국토안보부 장관은 "개인 정보 보호 정책에 대한 주요 책임을 맡을 고위 관계자를 임명해야 한다." 이 개인정보 보호 담당자의 책임에는 1974년 개인정보 보호법 준수 보장, "연방 정부의 개인 정보 수집, 사용 및 공개와 관련된 입법 및 규제 제안" 평가, 의회에 연례 보고서 작성 등이 포함된다.[1]6. 9. 2004년 정보 개혁 및 테러 방지법(IRTPA)
이 법은 정보가 "가장 공유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어야 하며 정보 기관 및 연방 부처의 수장이 "정보 공유 문화를 장려"해야 한다고 규정한다. IRTPA는 또한 사생활 보호 및 시민 자유 확립을 위해 5명의 위원으로 구성된 개인 정보 및 시민 자유 감독 위원회를 설립했다. 이 위원회는 연방 정부의 대통령과 행정부에 정보 공유 정책이 사생활과 시민의 자유를 적절히 보호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조언을 제공한다.[1]참조
[1]
서적
Computer Law: Drafting and Negotiating Forms and Agreements
Law Journal Press
[2]
웹사이트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the California Privacy Rights Act
https://www.adp.com/[...]
2022-10-13
[3]
뉴스
How Europe's new digital law will change the internet
https://www.economis[...]
2023-12-16
[4]
서적
Peer to Peer: Collaboration and Sharing Over the Internet
Addison-Wesley
[5]
웹사이트
A Declaration of the Independence of Cyberspace
http://homes.eff.org[...]
2016-01-20
[6]
웹사이트
Revision history of "An Introduction to Cybersecession" - Cybersecession
https://editthis.inf[...]
2023-12-16
[7]
웹사이트
An Introduction to Cybersecession
http://editthis.info[...]
[8]
문서
"Cyber Law: A Legal Arsenal For Online Business"
New York: World Audience, Inc.
[9]
서적
Emerging Technologies and the Law: Forms and Analysis
Law Journal Press
[10]
웹사이트
The EU copyright legislation {{!}} Shaping Europe's digital future
https://digital-stra[...]
2023-12-15
[11]
웹사이트
Law and Borders – The Rise of Law in Cyberspace
http://www.cli.org/X[...]
Cli.org
2013-11-05
[12]
웹사이트
Netneutraliteit
https://www.acm.nl/n[...]
2023-12-16
[13]
웹사이트
SPACE NET – Netzneutralität
https://www.bpb.de/l[...]
2020-07-17
[14]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 English
https://www.ohchr.or[...]
[15]
간행물
Be Careful What You Ask For: Reconciling a Global Internet and Local Law
[16]
뉴스
Warning to chatroom users after libel award for man labelled a Nazi
https://www.theguard[...]
2006-03-23
[17]
학술지
Wikimmunity: Fitting the Communications Decency Act to Wikipedia
2006-Fall
[18]
웹사이트
opennetinitiative.net
http://www.opennetin[...]
opennetinitiative.net
2012-01-17
[19]
웹사이트
Home {{!}} OpenNet Initiative
https://opennet.net/
2023-12-16
[20]
웹사이트
All Content related to China
http://www.opennetin[...]
OpenNet Initiative
2010-10-11
[21]
웹사이트
Free Speech Implications Of Blocking Blog Posts In India
http://www.aaronkell[...]
Aaron Kelly Internet Law Firm
2011-12-05
[22]
문서
The Right to Privacy
[23]
서적
Privacy, Information, and Technology
Aspen Publish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