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K3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아 K3는 기아에서 생산하는 준중형차로, 2012년 포르테의 후속으로 출시되었다. 1세대는 2012년부터 2018년까지, 2세대는 2018년부터 2024년까지 생산되었으며, 2024년에는 3세대가 출시될 예정이다. 1세대 모델은 4도어 세단, 5도어 해치백, 2도어 쿠페 형태로 출시되었으며, 2015년 페이스리프트를 거친 더 뉴 K3가 출시되었다. 2세대는 올 뉴 K3와 더 뉴 K3로 출시되었으며, 2024년 7월 대한민국 내수 시장에서는 단종되었다. K3는 다양한 엔진과 변속기, 안전 및 편의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만화 또봇에 등장하기도 했다. 경쟁 차종으로는 현대 아반떼, 혼다 시빅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2년 도입된 자동차 - 인피니티 QX60
인피니티 QX60은 3열 좌석을 갖춘 중형 크로스오버 SUV로, 2012년 JX35로 처음 출시되어 2014년 QX60으로 이름이 변경되었고, 2022년에는 V6 엔진과 9단 자동변속기를 탑재한 2세대 모델이 출시되었다. - 2012년 도입된 자동차 - 푸조 오닉스
푸조 오닉스는 푸조 디자인 센터에서 디자인한 콘셉트카로, 탄소 섬유와 구리 포일을 사용하고 V8 3.7L 엔진을 탑재하여 680마력의 출력을 내며 비디오 게임에도 등장한다. - 기아의 차종 - 기아 프라이드
기아 프라이드는 기아에서 생산했던 소형차로, 1987년부터 2017년까지 판매되었으며, 1세대부터 3세대까지 다양한 모델이 출시되었고, 4세대는 기아 리오라는 이름으로 해외에서 판매된다. - 기아의 차종 - 기아 콩코드
기아 콩코드는 1987년부터 1995년까지 기아자동차에서 마쓰다 카펠라를 기반으로 생산한 전륜구동 중형 세단으로, 대한민국 최초로 에어백을 선택 사양으로 제공했으며, 영화 '투캅스'에 등장하기도 했다. - 기아 - 기아 프라이드
기아 프라이드는 기아에서 생산했던 소형차로, 1987년부터 2017년까지 판매되었으며, 1세대부터 3세대까지 다양한 모델이 출시되었고, 4세대는 기아 리오라는 이름으로 해외에서 판매된다. - 기아 - 기아 콩코드
기아 콩코드는 1987년부터 1995년까지 기아자동차에서 마쓰다 카펠라를 기반으로 생산한 전륜구동 중형 세단으로, 대한민국 최초로 에어백을 선택 사양으로 제공했으며, 영화 '투캅스'에 등장하기도 했다.
기아 K3 - [자동차]에 관한 문서 | |
---|---|
자동차 정보 | |
이름 | 기아 K3 |
![]() | |
차종 | 준중형차 |
제조사 | 기아자동차 |
별칭 | 기아 쎄라토(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러시아, 홍콩, 마카오, 터키 등) 기아 포르테(북아메리카, 필리핀, 이스라엘 등) |
생산 년도 | 2012년~2024년 |
조립 | 경기도 화성시 장쑤성 옌청시 누에보레온주 몬테레이 칼리닌그라드 |
선행 차량 | 기아 포르테 |
후속 차량 | 기아 K4 기아 EV4 |
차체 형식 | 4도어 세단(2012년~2024년) 5도어 해치백(2013년~2024년) 2도어 쿠페(2013년~2017년) |
구동 방식 | 전륜구동 |
차대 | 모노코크 |
엔진 | |
엔진 | 현대 감마엔진 1.6ℓ GDI (2012년~2018년 2월) 스마트스트림 G 1.6 MPI (2018년 2월~2024년 7월) 현대 감마엔진 1.6ℓ T-GDI (2014년~2015년, 2018년~2024년) U2 1.6ℓ e-VGT(CRDI) (2016년~2018년) |
변속기 | |
변속기 | 수동 6단 자동 6단 듀얼 클러치 자동 7단 CVT |
연료 | |
연료 | 가솔린(2008년~2024년) 디젤(2009년~2017년) |
관련 차량 | |
관련 차량 | 현대 아반떼 |
설계 | |
설계자 | 피터 슈라이어 |
2. 역사
2. 1. 1세대 (YD/YK, 2012년 9월 ~ 2018년 2월)
2. 1. 1. K3 (2012년 9월 ~ 2015년 11월)
2012년 9월 17일에 포르테의 후속 차종으로 출시되었다. 같은 해 7월 23일에 외관 렌더링 이미지가 공개되었고,[1] 7월 26일부터 7월 29일까지 코엑스몰에서 실차의 헤드 램프와 후면부, 휠 등이 단계적으로 공개되었다.[2] 2009년부터 YD(K3 쿱은 YK)라는 프로젝트명으로 개발되었으며, 아반떼(MD/JK)와 엔진과 부품, 플랫폼을 공유한다. 대한민국산 준중형차 최초로 운전석 시트 이지 억세스 기능이 적용되었고, 기아자동차의 텔레메틱스 시스템인 UVO 시스템이 적용되어 스마트폰으로도 자유롭게 엔진 시동, 실내 온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2013년 3월에 뉴욕 국제 오토쇼에서 쿠페가 공개되었고 8월 27일에 K3 쿱으로 출시되었다.[3] 중국에서는 K3 쿱이 슈마 쿱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
2013년 9월 24일에는 해치백인 K3 유로가 출시되었고,[4] 12월 5일에는 세단에 1.6ℓ U Ⅱ VGT 디젤 엔진이 추가되었다.
2. 1. 2. 더 뉴 K3 (2015년 11월 ~ 2018년 2월)


2015년 11월 27일에 출시되었다. 페이스 리프트를 통해 스포티한 디자인을 발전시켜 세련미를 높였고, 1.6ℓ 감마 GDI 가솔린 엔진의 최고 출력을 132마력으로 낮추어 실용 영역인 저중속에서의 성능을 개선시켰다. 트림을 세분화시켜 선택의 폭을 넓혔고, 스티어링 휠의 데이터 처리 단위를 32bit로 개선하였다. 어드밴스드 주차 조향 보조 시스템과 스마트 트렁크, 후측방 경보 시스템 등의 신기술도 적용되었다. 같은 해 12월 15일에는 유로 6 기준을 만족시키는 1.6ℓ U Ⅱ VGT 디젤 엔진이 추가되었다. 2016년 3월 16일에는 더 뉴 K3 유로와 더 뉴 K3 쿱이 출시되었다. 더 뉴 K3 쿱은 페이스 리프트를 거치지 않아 디자인에는 변화가 없으나, 개선된 6단 자동변속기의 신규 적용과 주행 모드 통합 제어 시스템의 기본화를 통하여 한층 매끄러운 변속 성능은 물론 운전자의 기호에 맞춘 주행을 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으며, 2016년 현재 생산 중인 대한민국 유일의 쿠페이다. 아울러 스마트 트렁크와 D컷 스티어링 휠을 새롭게 적용되었다. 1.6ℓ 감마 GDI 가솔린 터보 엔진에 조합되던 기존의 6단 자동변속기는 7단 듀얼 클러치 자동변속기로 대체되었다. 중국에서도 페이스 리프트를 거쳤는데, 세계적으로 판매되는 것과는 다른 독자적인 디자인을 갖추었다. 2016년 5월에 기아자동차의 멕시코 현지공장이 완공되어 현지에서도 생산이 개시되었다.[5] 같은 해 7월 19일에는 편의 사양이 확대 적용된 2017년형이 선보였다. 2017년 5월 18일에는 2018년형이 선보였고, 동시에 더 뉴 K3 쿱은 단종되었다.
2. 2. 2세대 (BD, 2018년 2월 ~ 2024년 7월)
2. 2. 1. 올 뉴 K3 (2018년 2월 ~ 2021년 4월)
2018년 2월 27일에 출시되었다. X-크로스 LED 주간 주행등과 풀 LED 헤드 램프는 존재감을 더하고 방향 지시등이 범퍼에 적용되어 독창성을 높였다. 보다 역동적인 느낌을 구현하기 위해 전장이 늘어났으며, 지붕에서 트렁크로 이어지는 C 필러도 쿠페와 같은 느낌을 주어 스포티하게 꾸며졌다.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는 화살을 형상화하였고 방향 지시등과 후진등이 범퍼에 내장되어 전면과 조화를 이룬다.

같은 해 10월 4일에는 GT가 추가되고, 차로 이탈방지 보조, 운전자 주의 경고, 하이빔 보조가 기본 적용된 2019년형이 출시되었다. 5도어 해치백은 204마력 1.6리터 가솔린 터보 엔진이 장착되는 GT 사양만 판매한다.
2020년 4월 20일에는 트림 및 사양이 재편된 2021년형으로 이어 모델이 출시되었으며, 4도어 GT와 수동변속기 모델이 단종되었다.
2. 2. 2. 더 뉴 K3 (2021년 4월 ~ 2024년 7월)
2021년 4월 14일 내외장 디자인이 공개된 후 2021년 4월 20일 1.6 가솔린 및 1.6 가솔린 터보 5도어(GT) 2가지로 출시됐다. 더 뉴 K3는 3년 만에 선보이는 모델로 세련되고 스포티한 느낌을 더해 역동적인 이미지를 구현했다. 전면부는 슬림한 LED 전조등과 연결된 라디에이터 그릴로 와이드한 이미지를 구현했으며, 크롬 가니쉬를 통해 입체감을 표현했다. 또한, 방향지시등을 전조등에 통합해 간결한 이미지를 보여주고 전투기 날개를 연상시키는 범퍼 하단부로 세련된 이미지를 표현했다. 5도어 GT 모델에는 레드 컬러를 라디에이터 그릴과 범퍼 하단부를 적용했다. 후면부는 안정적이면서도 스포티한 감성을 살렸으며, 속도감을 형상화한 디자인을 후미등에도 적용해 전면부와 통일감을 줬다. 실내는 10.25인치 대화면 UVO 내비게이션과 10.25인치 클러스터를 탑재했으며, 내비게이션 부분에 터치 스위치를 적용했다. 또한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와 오토 홀드, 원격 시동 스마트키, 후석 승객 알림 기능 등 편의사양이 적용됐다.외장 컬러는 미네랄 블루, 내장 컬러는 오렌지 브라운 컬러가 추가됐다.
2024년 7월에 대한민국 내수에서는 완전 단종되며, 내연기관 차종으로써의 후속 모델은 출시 계획이 없지만 2025년 출시 예정인 전기 세단 EV4가 K3의 자리를 간접적으로 대체한다.
2. 3. 3세대 (CL4, 2024년 ~ 현재)
2024년 출시될 예정이며, 대한민국 내수에는 출시하지 않는다.3. 디자인
3. 1. 1세대 (YD/YK)
3. 2. 2세대 (BD)
4. 성능
1.6ℓ 감마 GDI
1.6ℓ 감마 GDI
에코 플러스(ISG 장착)
1.6ℓ U Ⅱ VGT
1.6ℓ 감마 GDI
1.6ℓ 감마 GDI
1.6ℓ 감마 GDI 터보
(mm)
(mm)
(mm)
(mm)
(전, mm)
1,555(R16)
1,557(R17)
1,545(R18)
(후, mm)
1,568(R16)
1,570(R17)
1,558(R18)
자동 6단
자동 6단
(전/후)
(cc)
(ps/rpm)
(kg*m/rpm)
(km/ℓ)
도심 12.7/고속 16.1/복합 14.0(자동 6단)
도심 10.1/고속 13.9/복합 11.5(자동 6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