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후위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후위기는 지구 온난화로 인한 심각한 환경 문제를 포괄하는 용어이다. 1980년대부터 사용되었으며, 2010년대 후반부터 대중적으로 확산되었다. 기온 상승, 극단적인 기상 현상, 생물 다양성 감소 등의 영향이 나타나며, 1896년 이산화탄소 증가와 지구 기온 상승의 연관성을 예측한 이래, 국제적인 협약과 과학적 평가가 이루어졌다. 현재 인류는 화석 연료 의존, 온실가스 배출 증가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미래에는 지구 온도 상승 가속화, 해수면 상승, 극단적인 기상 현상 증가가 예상된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화석 연료에서 재생 에너지로의 전환, 에너지 절약, 산림 보전, 기후 변화 적응, 국제 협력 및 혁신 등이 제시된다. '기후 위기'라는 용어 사용은 공포감을 조성할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강력한 감정적 반응을 이끌어낼 수 있다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후 변화 완화 - 기후변화 완화
    기후변화 완화는 온실가스 배출 감축과 흡수원 증진을 통해 지구 온난화를 억제하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환, 효율 향상, 농업 및 산업 정책, 탄소 흡수원 강화, 이산화탄소 제거 기술 개발 등 다양한 조치로 지구 온도 상승을 제한하는 노력이다.
  • 기후 변화 완화 - 지속 가능한 에너지
    지속 가능한 에너지는 경제 성장, 사회적 형평성, 환경 보호를 동시에 추구하며,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모두에게 안정적이고 저렴한 에너지 접근을 보장하며, 재생 가능 에너지 확대, 에너지 효율 향상, 탄소 포집 기술 개발, 정부 정책 지원을 통해 화석연료와 핵에너지 감축 및 지속 가능한 에너지원으로의 전환을 목표하는 에너지 생산 및 소비 방식이다.
  • 2020년대 신조어 - 쿠데타 벨트
    쿠데타 벨트는 2020년대 초 서아프리카를 중심으로 쿠데타를 겪은 국가들이 모여있는 지역을 지칭하며, 낮은 인간 개발 지수를 보이고 프랑스 식민지였던 국가에서 쿠데타가 많이 발생했다는 특징을 갖는다.
  • 2020년대 신조어 - 슈퍼앱
    슈퍼앱은 메시징, 결제, 전자상거래 등 다양한 기능을 하나의 앱에서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필수적인 존재가 되었지만, 데이터 독점 및 개인 정보 보호 문제와 같은 비판도 받고 있다.
  • 기후 변화 - 기후변화
    기후변화는 자연적 요인과 인간 활동으로 지구 기후 시스템이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현상으로, 산업 혁명 이후 온실 기체 농도 증가로 지구 평균 기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며 해수면 상승, 극한 기상 현상 증가 등 심각한 영향을 초래한다.
  • 기후 변화 - 온실 효과
    온실 효과는 대기 중 특정 기체들이 지구 복사열을 흡수하여 지구 표면 온도를 유지하는 현상으로, 산업화 이후 온실가스 증가로 인해 지구 온난화가 심화되고 있으며, 이산화탄소, 메탄, 수증기 등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기후위기
기후 위기
원인인위적인 온실 기체 배출
영향기온 상승
극단적인 기상 현상
자연 재해
생물 다양성 감소
사회 경제적인 영향
대상인류 및 기타 생물
시작 시점19세기 후반 이후

2. 용어의 정의 및 사용

"기후 위기"라는 용어는 지구 온난화와 기후 변화의 심각성을 강조하고, 즉각적인 대응을 촉구하기 위해 사용된다.[73] 이 용어는 "중요하거나 결정적인 시점 또는 상황으로, 임계점에 이를 수 있는 상황"을 의미하며,[33] "전례 없는 상황"을 뜻한다.[33] 또한, "전환점 또는 불안정하거나 위험한 상황"으로, "지금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결과가 재앙적일 것"임을 시사한다.[26]

2019년 1월 9일에 설립이 승인된 미국 하원 기후 위기 특별 위원회의 로고.


2010년대 후반, "기후 위기"라는 문구는 그린 뉴딜, ''The Guardian'', 그레타 툰베리 등이 사용하면서 기후 매파 어휘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았다.[29]

2018년 12월 "기후 위기를 해결하자, 전국 타운 홀"에서 알렉산드리아 오카시오-코르테스 미국 하원의원 당선인과 버니 샌더스 미국 상원의원


2019년, 여러 언론사와 기관에서 기후 위기를 강조하는 용어를 채택하기 시작했다. ''The Guardian''은 '기후 비상사태, 위기 또는 붕괴'라는 용어를 선호한다고 밝혔고,[41][42] 옥스퍼드 사전은 '기후 위기'를 2019년 올해의 단어로 선정했다.[44]

2021년과 2022년, 과학자들은 인류에 대한 과학자들의 경고에서 '기후 위기'와 '기후 비상사태' 용어를 사용하며, "기후 비상사태에 대한 짧고 빈번하며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업데이트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7][15]

2. 1. 20세기

몰디브 대통령 모하메드 나시드가 2009년 기후 취약성 모니터(Climate Vulnerability Monitor)를 출범했을 때, '기후 위기(climate crisis)'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


앨 고어 전 미국 부통령은 1980년대부터 '기후 위기' 용어를 사용해 왔으며, 2004년에 결성된 기후 위기 연합(Climate Crisis Coalition)은 이 용어를 공식화했다.[29] 1989년 "카이로 협약: 기후 위기에 대한 전 세계적 대응을 향하여"에서는 "모든 국가들은 전례 없는 규모로 협력해야 할 것이다. 그들은 이 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지체 없이 어려운 약속을 해야 할 것이다."라고 명시했다.[53]

2. 2. 21세기

2010년대 후반, 그린 뉴딜, ''The Guardian'', 그레타 툰베리 등 언론, 정치권에서 '기후 위기'라는 용어가 기후 매파 어휘의 중요한 부분으로 등장했다.[29] 이는 기후 과학자들의 경고와 활동가들의 노력으로 대중적으로 확산되었다.[29]

2018년 말, 미국 미국 하원은 기후 위기 특별위원회를 설립했다.[12] 이 위원회는 원래 2007년 "에너지 독립 및 지구 온난화 특별 위원회"로 불렸으나, 2011년 공화당이 하원을 장악하면서 폐지되었다.[16][29]

퍼블릭 시티즌의 2018년 보고에 따르면, 미국 50대 주요 신문 기사 중 10% 미만이 기후 변화 관련 '위기' 또는 '비상사태' 용어를 사용했다.[36] 같은 해, 미국 전국 텔레비전 뉴스 세그먼트의 3.5%만이 기후 변화를 위기 또는 비상사태로 언급했다.[10][36] 이에 2019년, 퍼블릭 시티즌은 주요 언론 기관에 '기후 위기' 용어 채택을 촉구하는 캠페인을 시작했다.[10] 시에라 클럽, 선라이즈 무브먼트, 그린피스 등도 이에 동참했다.[19]

2019년은 기후를 묘사하는 언어가 변화하는 시기였다. 2019년 유엔 기후 행동 정상 회담에서 더욱 강조된 표현이 사용되었고, ''The Guardian''은 스타일 가이드를 변경하여 '기후 비상사태, 위기 또는 붕괴' 및 '지구 온난화' 용어를 선호한다고 밝혔다.[32][41][42]

2019년 5월, 기후 현실 프로젝트는 ''기후 변화'' 및 ''지구 온난화'' 대신 ''기후 위기''를 사용하라는 공개 청원을 홍보했다.[29] 6월에는 스페인 통신사 EFE가 '기후 위기'를 선호한다고 발표했고,[36] 11월에는 ''Hindustan Times''도 같은 이유로 이 용어를 채택했다.[51] 폴란드 신문 ''Gazeta Wyborcza''도 '기후 위기' 용어를 사용하며, 기후 변화를 가장 중요한 주제 중 하나로 다루고 있다.[30]

2019년 6월, 캐나다 방송 공사(CBC)는 언어 가이드를 변경하여 '기후 위기' 및 '기후 비상사태'가 '기후 변화'의 동의어로 사용될 수 있지만, 항상 최선은 아니라고 밝혔다.[17]

같은 달, 기후 활동가들은 ''The New York Times'' 사무실 밖에서 시위를 벌여 '기후 비상사태' 또는 '기후 위기' 용어 채택을 촉구했고, 뉴욕 시의회는 뉴욕을 기후 비상사태 선언을 공식 채택한 세계 최대 도시로 만들었다.[61]

2019년 11월, 옥스퍼드 사전은 '기후 위기'를 2019년 올해의 단어로 선정했다.[44]

2021년, 핀란드 신문 ''Helsingin Sanomat''는 북극 해빙 감소를 시각화한 Climate Crisis라는 가변 글꼴을 만들었다.[31]

2021년과 2022년 인류에 대한 과학자들의 경고에서 과학자들은 '기후 위기'와 '기후 비상사태' 용어를 사용하며, "기후 비상사태에 대한 짧고 빈번하며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업데이트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7][15]

3. 기후 위기의 영향

기후 위기의 영향은 전 세계적으로 심각하고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있다.[74] 기온 상승은 자연 환경 악화, 자연 재해, 극단적인 기상 현상, 식량 및 물 부족, 경제적 혼란, 분쟁, 테러리즘 등을 야기한다.[74] 해수면 상승이 일어나고, 북극권은 융해되며, 산호초는 멸망하고, 해양은 산성화되며, 삼림은 소실되고 있다.[74] 이러한 영향은 감당할 수 없는 수준을 넘어섰으며, 일부는 되돌릴 수 없다.[75] 특히 대처 능력이 낮은 사람들과 생태계가 가장 큰 피해를 입고 있으며, 수십억 명이 생명, 건강, 재산을 위협받고 있다.[75]

3. 1. 기온 상승

지구 전체의 평균 기온은 상승하고 있으며, 특히 극지방이나 고산지대 등에서는 그 상승률이 높다. 이로 인해 빙하빙상, 영구 동토 등이 융해되어 해수면 상승이 일어나고, 해수의 온도와 염분 농도가 변화하며, 해류와 기압이 변동한다. 기온 상승은 식물, 동물, 미생물 등의 생물에게도 영향을 미쳐, 서식지나 생태계, 적응 능력에 변화를 가져온다. 기온 상승은 인간에게도 영향을 미쳐, 열사병이나 감염증, 알레르기 등의 건강 문제와 농작물, 수자원, 에너지 수요 등의 경제 문제를 일으킨다.[77]

3. 2. 극단적인 기상 현상

기후 변화로 인해 강수량이나 풍력 등의 기상 요소가 변화하여, 극단적인 기상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가뭄, 홍수, 열파, 한파, 태풍, 허리케인 등의 자연재해가 발생하여 인명과 재산에 피해를 입힌다. 극단적인 기상은 농업, 어업, 임업 등의 생산 활동에도 영향을 미쳐, 식량 안보나 경제 발전에 문제를 일으킨다.[78]

3. 3. 생물 다양성 감소

기후 변화는 생물의 서식지, 생태계, 적응 능력에 변화를 일으켜, 많은 종이 멸종 위기에 놓이게 한다.[79] 생물 다양성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생명 형태의 다양성을 의미하며, 유전자 수준부터 수준까지 폭넓게 포함된다. 생물 다양성은 지구의 자연 자원이자 인류 생존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식량, 의약품, 공업 원료 등의 공급원이며, 토양 비옥화, 수질 정화, 병해충 방제 등 생태계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문화적인 가치를 지니며 인류의 지식, 예술, 종교 등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생물 다양성 감소는 인류 복지에 큰 손실을 초래한다.[79]

4. 기후 위기의 역사



미국 부통령 앨 고어는 1980년대부터 위기 용어를 사용해 왔으며, 2004년에 결성된 기후 위기 연합(Climate Crisis Coalition)은 '기후 위기'라는 용어를 공식화했다.[29] 1990년 ''아메리칸 대학교 국제법 리뷰'' 보고서에는 '위기'라는 단어를 사용한 법적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다.[53] "카이로 협약: 기후 위기에 대한 전 세계적 대응을 향하여"(1989)는 "모든 국가들은 전례 없는 규모로 협력해야 할 것이다. 그들은 이 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지체 없이 어려운 약속을 해야 할 것이다."라고 명시하고 있다.[53]

기후 위기는 최근에 주목받기 시작한 문제이지만, 그 기원은 과거로 거슬러 올라간다.


  • 1979년: 세계 최초의 기후 변화에 관한 국제 회의인 제1회 세계 기후 회의가 개최되었다.
  • 2007년: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가 제4차 평가 보고서를 발표하여 지구 온난화는 "매우 높은 확신"으로 인류의 활동에 의한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또한 기후 변화가 초래하는 영향, 적응책 및 완화책에 대해서도 상세히 보고했다.
  • 2009년: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개최된 COP15에서 코펜하겐 합의가 채택되었다. 코펜하겐 합의는 지구의 평균 기온 상승을 2℃ 이하로 억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에 대해 온실 기체 배출 감축 및 자금 지원 등의 행동을 촉구한 합의이다.
  • 2018년: IPCC가 특별 보고서 "1.5℃의 기후 변화에 관한 영향·위험·적응·취약성 및 배출 경로" (SR15)를 발표하여 지구의 평균 기온이 1.5℃ 상승하면 어떤 영향이 발생하는지, 그리고 이를 회피하기 위해서는 어떤 행동이 필요한지를 보고했다.

4. 1. 주요 사건


  • 1896년: 스웨덴의 과학자 스반테 아레니우스가 이산화탄소 증가가 지구 기온을 상승시킬 수 있음을 예측했다.[53]
  • 1958년: 미국의 과학자 찰스 킬링이 하와이 마우나로아에서 이산화탄소 농도를 관측하기 시작했다. (킬링 곡선)
  • 1988년: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설립.
  • 1992년: 유엔 기후 변화 협약(UNFCCC) 채택.
  • 1997년: 교토 의정서 채택 (선진국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 설정).
  • 2015년: 파리 협정 채택 (지구 온도 상승폭을 산업화 이전 대비 2℃ 이내, 더 나아가 1.5℃ 이내로 억제).
  • 2020년: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한 일시적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
  • 2021년: COP26(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개최, 파리 협정 이행 규칙 구체화 및 온실가스 감축 목표 강화 논의.

5. 기후 위기의 현재 상황

인류는 여전히 화석 연료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온실가스 배출량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104] 이러한 추세는 지구 온난화를 가속화시키고 다양한 기후 위기 현상들을 초래하고 있다.


  • 빙하, 빙상, 영구 동토의 융해: 지구 평균 기온 상승으로 빙하, 빙상, 영구 동토 등이 녹고 있다. 이는 레이저 고도계나 중력 탐사 위성 등으로 관측되며, 연간 변동과 장기적인 감소 추세를 보인다.[109] 융해는 해수면 상승, 해수 온도 및 염분 농도 변화, 해류 변동 등에 영향을 준다. 또한, 영구 동토 융해는 메탄 등 온실가스 방출 가능성이 있다.[110]
  • 극단적인 기상 및 자연 재해: 기후 변화로 강수량과 풍력 등 기상 요소가 변화하고, 극단적인 기상 현상이 빈번해졌다. 가뭄, 홍수, 열파, 한파, 태풍, 허리케인자연재해가 발생하여 인명, 재산 피해를 입히고 있다. 기상 레이더나 위성 관측 등으로 관측되며, 발생 빈도, 강도, 범위가 증가하고 있다.[110] 농업, 어업, 임업 등 생산 활동에 영향을 주어 식량 안보와 경제 발전에 문제를 일으키고, 사회 불안정, 분쟁, 난민 문제 등 평화와 안전 보장에도 영향을 준다.
  • 생물 다양성 감소: 기후 변화로 생물의 서식지, 생태계, 적응 능력이 변화하며 많은 종이 멸종 위기에 처해있다. 생물 다양성은 지구의 자연 자원이자 인류 생존에 필수적이다.[111][112] 식량, 의약품, 공업 원료 공급, 토양 비옥화, 수질 정화, 병해충 방제 등 생태계 서비스를 제공한다.[113]

5. 1. 주요 지표


  • 온실가스 배출량: 인류는 화석 연료를 계속해서 대량으로 소비하면서 이산화탄소와 메탄 등의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있다. 2019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산업 혁명 이전과 비교하여 약 2.4배 증가했으며, 그 중 약 76%가 이산화탄소이다.[104] 온실가스 배출은 에너지, 교통, 공업, 농업, 폐기물 등의 분야에서 발생하며, 에너지 분야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105] 중국, 미국, 인도, 러시아, 일본 등이 주요 배출국이다.[106]
  •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 온실가스는 대기 중에 축적되어 태양열이 빠져나가지 못하게 한다. 2019년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산업 혁명 이전보다 약 47% 증가한 411.3ppm이었다.[106] 이는 기상청에서 발표한 내용이다.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키링 곡선으로 관측되며, 계절에 따른 변화와 장기적인 상승 추세를 보인다.[107] 메탄, 일산화질소 등 다른 온실가스 농도도 함께 상승하고 있다.[106]
  • 지구 평균 기온: 온실가스 증가로 지구 전체 평균 기온이 상승하고 있다. 2019년 지구 평균 기온은 산업 혁명 이전보다 약 1.1℃ 상승하여, 지난 150년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106] 지구 평균 기온은 지상 기온, 해수면 수온, 위성 관측 등으로 관측되며, 연간 변동과 장기적인 상승 추세를 보인다.[108] 지역과 계절에 따라 기온 변화는 다르며, 특히 극지방이나 고산지대에서 상승률이 더 높다.[109]
  • 해수면 상승: 지구 평균 기온 상승으로 해수의 열팽창과 육지 빙설이 녹아 해수면이 상승하고 있다. 해수면은 조석계나 위성 고도계로 관측된다. 2019년 해수면은 산업 혁명 이전보다 약 20cm 상승했다.[110] 해수면 상승은 연안, 도서, 삼각주 등 저지대에 침수, 침식, 염수화 등의 문제를 일으켜, 거주지, 농지, 기반 시설 등에 피해를 주고 이주를 강요할 수 있다.

5. 2. 한국의 상황

한국은 OECD 국가 중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율 상위권에 속하며, 기후 변화에 취약한 국가로 분류된다. 특히, 급격한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해 도시 열섬 현상, 미세먼지 문제 등이 심화되고 있으며, 이는 기후 변화와 결합하여 국민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6. 미래 전망 및 대응

2010년대 후반, 그린 뉴딜, ''The Guardian'', 그레타 툰베리 등 다양한 측에서 "기후 위기"라는 용어를 채택하며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29] 2018년 말 미국에서는 기후 위기 특별위원회가 설립되었는데, 이는 2007년 "에너지 독립 및 지구 온난화 특별 위원회"에서 명칭이 변경된 것이다.[12][29]

퍼블릭 시티즌은 2018년 주요 신문 기사 중 10% 미만이 기후 변화를 "위기" 또는 "비상사태"로 언급했다고 보고했다.[36] 이에 2019년 "기후 위기라고 부르자" 캠페인을 통해 주요 언론 기관에 "기후 위기" 용어 채택을 촉구했으며, 시에라 클럽, 선라이즈 무브먼트, 그린피스 등도 이에 동참했다.[10][19]

''The Guardian''은 2019년 5월 스타일 가이드를 변경하여 "기후 비상사태, 위기 또는 붕괴" 및 "지구 온난화" 용어를 선호한다고 밝혔다.[32][41][42] ''The Guardian''은 Covering Climate Now의 주요 파트너가 되었다.[46][6]

2019년 6월, 캐나다 방송 공사(CBC)는 언어 가이드를 변경하여 "기후 위기" 및 "기후 비상사태"가 "기후 변화"의 동의어로 사용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17] 뉴욕 시의회는 뉴욕을 기후 비상사태 선언을 공식 채택한 세계 최대 도시로 만들었다.[61]

옥스퍼드 사전은 2019년 11월 ''기후 위기''를 올해의 단어로 선정했다.[44] 2021년, 핀란드 신문 ''Helsingin Sanomat''는 북극 해빙 감소를 시각화한 Climate Crisis라는 가변 글꼴을 만들었다.[31]

2021년과 2022년 인류에 대한 과학자들의 경고 업데이트에서 과학자들은 ''기후 위기''와 ''기후 비상사태''라는 용어를 사용했다.[15][7]

블룸버그의 2019년 9월 보도에 따르면, 워싱턴 포스트와 카이저 가족 재단의 여론 조사에서 미국 성인의 38%가 기후 변화를 "위기"라고 답했다.[16]

기후 위기의 주요 원인은 화석 연료 사용으로 인한 온실 기체 배출이다.[74]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보고서에 따르면, 지구 평균 기온은 산업 혁명 이전 대비 약 1℃ 상승했으며, 현재 추세대로라면 2100년까지 3℃ 이상 상승할 수 있다.[75]

기후 위기는 해수면 상승, 북극권 융해, 산호초 멸망, 해양 산성화, 삼림 소실 등 광범위한 영향을 초래한다.[74] 이러한 영향은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을 넘어섰고, 일부는 되돌릴 수 없다.[75]

기후 위기 대응에는 기후 변화 완화와 기후 변화 적응이 필요하며, 국제 협력이 필수적이다.[76][74] 기후 변화에 관한 국제 연합 기본 협약(UNFCCC) 아래 교토 의정서파리 협정 등이 채택되었다.[74] 기후 위기 대응은 지속 가능한 개발, 평화, 안보, 인권, 사회 정의 등에 기여할 수 있으며, 재생 가능 에너지, 순환 경제, 자연 보호, 지역 공동체 등의 가치관, 라이프스타일, 사회 시스템을 촉진할 수 있다.

기후 위기는 미래에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그 영향은 더욱 심각해질 수 있다.


  • 온실 가스 배출량 및 대기 중 농도: 현재 배출 추세가 유지되면 지구 평균 기온 상승을 1.5℃ 이내로 억제하기 어렵다. IPCC SR15 보고서에 따르면, 2030년까지 2010년 대비 45% 감축, 2050년까지 넷 제로(Net-Zero)를 달성해야 하며, 2100년까지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를 420ppm 이하로 억제해야 한다.[114]
  • 지구 평균 기온: 현재 배출량을 유지하면 2100년까지 약 3℃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 빙하, 빙상, 영구 동토 융해: 지구 온난화로 인해 빙하, 빙상, 영구 동토가 융해되고, 메탄 등 온실가스 방출 가능성이 높아진다.
  • 해수면 상승: 해수 열팽창과 육상 빙설 융해로 해수면이 상승하여 해안, 도서, 삼각주 등 저지대에 침수, 침식, 염수화 등의 문제를 야기한다.
  • 극단적인 기상 현상 및 자연재해: 가뭄, 홍수, 폭염, 한파, 태풍, 허리케인 등 자연재해가 빈번해지고 강력해져 인명, 재산 피해 및 사회 불안정을 초래한다.
  • 생물 다양성 감소: 기후 변화로 인해 생물 서식지, 생태계가 변화하고 많은 종이 멸종 위기에 처하며, 산호초열대 우림 등 생물 다양성이 높은 생태계도 위협받는다.[116][117][118]

6. 1. 목표

IPCC는 SR15 보고서에서 지구 온도 상승폭을 1.5℃ 이내로 억제하기 위해, 2030년까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0년 대비 최소 45% 감축하고 2050년까지 탄소 중립(Net-Zero)을 달성해야 한다고 제시했다.[114][115] 이를 위해 2100년까지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를 420ppm 이하로 억제해야 한다.[114]

그러나 현재 각국이 제출한 NDC는 이 목표를 달성하기에 불충분하다는 지적이 있다.[114][115]

기후 위기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행동이 필요하다.

  • 화석 연료에서 재생 에너지로 전환: 태양광, 풍력, 수력, 지열, 바이오매스 등 재생 에너지는 온실 가스 배출량이 적고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119]
  • 에너지 절약에너지 효율 향상: 가정, 기업, 공공 시설 등에서 에너지 낭비를 막고 에너지 이용 효율을 높여야 한다.
  • 산림 보전, 조림, 녹화 촉진: 숲과 식물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온실 가스 배출량을 억제한다.
  • 기후 변화 적응 강화: 방재, 농업 기술, 보건 위생, 사회 보장 등의 분야에서 기후 변화에 대한 적응책을 마련해야 한다.
  • 국제 협력 및 혁신 추진: 온실 가스 배출 감축 목표, 자금 지원, 기술 이전 등에 관한 국제 협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기술, 제품, 서비스 등을 개발해야 한다.

6. 2. 행동

화석 연료 사용을 중단하고 재생 에너지로의 전환을 가속화해야 한다.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에너지 절약을 생활화해야 한다. 산림 보전 및 복원, 탄소 흡수원 확대를 통해 온실 가스 배출량을 줄여야 한다.[119][120]

기후 변화 적응 정책을 강화하여 재난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고, 취약 계층을 지원해야 한다. 기후 변화 대응 기술 및 재정 지원,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 협력 증진 등 국제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74] 기후 변화 교육 및 인식 개선, 시민 실천 운동 활성화 등 시민 사회의 참여를 확대해야 한다.

6. 3. 용어 사용에 대한 우려

'기후 위기'라는 용어는 지구 온난화와 기후 변화의 심각성을 강조하고 적극적인 대응을 촉구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일각에서는 이 용어가 과도한 공포감을 조성하여 오히려 역효과를 낼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한다.[16] 이러한 우려는 '위기 피로감'으로 이어져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용어의 효과가 감소할 수 있다는 지적과도 연결된다.[33]

일부 전문가들은 공포감을 유발하는 용어 대신 희망과 해결책에 초점을 맞춘 용어 사용을 제안하기도 한다. 이들은 긍정적이고 건설적인 접근 방식이 기후 변화 문제 해결에 더 효과적이라고 주장한다.

참조

[1] 논문 Consensus on consensus: a synthesis of consensus estimates on human-caused global warming 2016
[2] 논문 Scientists Reach 100% Consensus on Anthropogenic Global Warming https://journals.sag[...] 2020-11-15
[3] 논문 Greater than 99% consensus on human caused climate change in the peer-reviewed scientific literature 2021-10-19
[4] 논문 Consensus revisited: quantifying scientific agreement on climate change and climate expertise among Earth scientists 10 years later 2021-10-20
[5] 간행물 Chapter 17: Decision-Making Options for Managing Risk https://www.ipcc.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
[6] 잡지 Covering Climate Now signs on over 170 news outlets https://www.cjr.org/[...] 2019-08-28
[7] 논문 World Scientists' Warning of a Climate Emergency 2022 2022-10-26
[8] 뉴스 Why many scientists are now saying climate change is an all-out emergency https://www.washingt[...] 2023-10-30
[9] 뉴스 Climate Change: The Facts https://www.abc.net.[...] 2019-08
[10] 웹사이트 Call it a Climate Crisis https://actionnetwor[...] 2019-07-26
[11] 뉴스 Leaders to UN: If virus doesn't kill us, climate change will https://apnews.com/a[...] 2020-09-27
[12] 잡지 Democrats Establish a New House 'Climate Crisis' Committee https://www.theatlan[...] 2018-12-28
[13] 뉴스 Climate change: should we change the terminology? https://www.sciencef[...] 2020-01-03
[14] 논문 World Scientists' Warning of a Climate Emergency https://academic.oup[...] 2020-01-20
[15] 논문 World Scientists' Warning of a Climate Emergency 2021 https://academic.oup[...] 2021-08-08
[16] 뉴스 When Is Change a 'Crisis'? Why Climate Terms Matter https://www.bloomber[...] 2019-09-17
[17] 뉴스 Treat climate change like the crisis it is, says journalism professor https://www.cbc.ca/r[...] 2019-07-05
[18] 뉴스 Does the term "climate change" need a makeover? Some think so — here's why https://www.cbsnews.[...] 2019-05-16
[19] 웹사이트 Letter to Major Networks: Call it a Climate Crisis – and Cover it Like One https://www.citizen.[...] Public Citizen 2019-06-06
[20] 뉴스 Climate Change or Climate Crisis – What's the right lingo? https://www.cleanene[...] 2019-09-19
[21] 뉴스 Why Arnold Schwarzenegger Wants Us To Focus On ''Pollution'' Rather Than ''Climate Change'' https://cleantechnic[...] 2023-06-06
[22] 논문 Should we change the term we use for "climate change"? Evidence from a national U.S. terminology experiment 2024-08-12
[23] 웹사이트 Why Do We Call It the Climate Crisis? https://www.climater[...] The Climate Reality Project 2019-05-01
[24] 뉴스 'Climate emergency': Over 11,000 scientists sound thunderous warning / The dire words are a call to action. https://www.cnet.com[...] 2019-11-05
[25] 웹사이트 Making Climate Hot / Communicating the Urgency and Challenge of Global Climate Change https://sciencepolic[...] 2004-12
[26] 웹사이트 What does climate crisis mean? / Where does climate crisis come from? https://www.dictiona[...] 2019-12
[27] 논문 Climate Crisis? The Politics of Emergency Framing https://www.bmartin.[...] 2009-09-05
[28] 웹사이트 Greta Thunberg Warns Humanity 'Still Speeding in Wrong Direction' on Climate https://www.ecowatch[...] 2020-12-11
[29] 뉴스 How climate change got labeled a 'crisis' https://www.eenews.n[...] 2019-07-10
[30] 웹사이트 Do European media take climate change seriously enough? https://en.ejo.ch/sp[...] 2020-02-18
[31] 잡지 This chilling font visualizes Arctic ice melt https://www.fastcomp[...] 2021-02-16
[32] 잡지 The language of climate is evolving, from 'change' to 'catastrophe' https://www.fastcomp[...] 2021-12-06
[33] 뉴스 Climate crisis – what's it good for? https://www.thefifth[...] 2019-09-30
[34] 뉴스 Should we reconsider the term 'climate change'? https://www.theweath[...] 2019-05-13
[35] 잡지 Why your brain doesn't register the words 'climate change' https://grist.org/ar[...] 2019-04-29
[36] 간행물 Is it time to retire 'climate change' for 'climate crisis'? https://grist.org/ar[...] 2019-06-17
[37] 간행물 Global warming should be called global heating, says key scientist https://grist.org/ar[...] 2018-12-16
[38] 간행물 11,000 scientists say that the 'climate emergency' is here https://grist.org/ar[...] 2019-11-05
[39] 간행물 "'It makes climate change real': How carbon emissions got rebranded as 'pollution'" https://grist.org/he[...] 2022-09-29
[40] 뉴스 Why The Guardian is changing the language it uses about the environment / From now, house style guide recommends terms such as 'climate crisis' and 'global heating' https://www.theguard[...] 2019-05-17
[41] 뉴스 The Guardian's editor has just issued this new guidance to all staff on language to use when writing about climate change and the environment... https://twitter.com/[...] Journalist [[Leo Hickman]] on Twitter 2019-11-15
[42] 뉴스 Why The Guardian is changing the language it uses about the environment http://www.theguardi[...] 2021-01-31
[43] 뉴스 Climate crisis: 11,000 scientists warn of 'untold suffering' https://www.theguard[...] 2019-11-05
[44] 뉴스 Oxford Dictionaries declares 'climate emergency' the word of 2019 https://www.theguard[...] 2019-11-20
[45] 뉴스 2019 has been a year of climate disaster. Yet still our leaders procrastinate https://www.theguard[...] 2019-12-19
[46] 뉴스 The climate emergency is here. The media needs to act like it https://www.theguard[...] 2021-04-12
[47] 뉴스 Pakistan declares floods a 'climate catastrophe' as death toll tops 1,000 https://www.theguard[...] 2022-08-28
[48] 뉴스 "'Off-the-charts records': has humanity finally broken the climate?" https://www.theguard[...] 2023-08-28
[49] 뉴스 "'The stakes could not be higher': world is on edge of climate abyss, UN warns" https://www.theguard[...] 2024-05-09
[50] 뉴스 We need better strategies for the approaching climate breaking point https://thehill.com/[...] 2023-08-22
[51] 뉴스 Recognising the climate crisis https://www.hindusta[...] 2019-11-24
[52] 웹사이트 Stop saying 'climate change' and start saying 'climate breakdown.' https://twitter.com/[...] 2018-08-29
[53] 논문 Selected International Legal Materials on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 https://digitalcommo[...] 2019-07-30
[54] 뉴스 August is coming. Prepare for climate calamity https://www.latimes.[...] 2022-07-28
[55] 간행물 Review: ''An Inconvenient Sequel'' https://mediummagazi[...] 2017-12-18
[56] 뉴스 Is it time to rethink our language on climate change? https://lens.monash.[...] Monash University (Melbourne, Australia) 2020-01-03
[57] 웹사이트 Words That (Don't) Matter: An Exploratory Study of Four Climate Change Names in Environmental Discourse / Investigating the Best Term for Global Warming https://naaee.org/ee[...] North Americ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 2013
[58] 논문 Climate tipping points — too risky to bet against 2019
[59] 간행물 The Case for Declaring a National Climate Emergency https://www.newyorke[...] 2019-07-11
[60] 뉴스 Climate Chaos Is Coming — and the Pinkertons Are Ready https://www.nytimes.[...] 2019-04-10
[61] 뉴스 "A 'Climate Emergency' Was Declared in New York City. Will That Change Anything?" https://www.nytimes.[...] 2019-07-05
[62] 뉴스 Australia Is Committing Climate Suicide https://www.nytimes.[...] 2020-01-03
[63] 뉴스 Apocalypse When? Global Warming's Endless Scroll https://www.nytimes.[...] 2022-02-03
[64] 뉴스 Who pays for climate havoc? https://www.nytimes.[...] 2022-09-27
[65] 웹사이트 ScienceAlert Editor: Yes, It's Time to Update Our Climate Change Language https://www.sciencea[...] 2019-05-25
[66] 웹사이트 Secretary-General's opening remarks at press conference on climate https://www.un.org/s[...] United Nations 2023-07-27
[67] 웹사이트 There is an exit off 'the highway to climate hell', Guterres insists https://news.un.org/[...] United Nations 2024-06-05
[68] 웹사이트 United States House Select Committee on the Climate Crisis / About https://climatecrisi[...] United States House of Representatives 2019
[69] 뉴스 Debunking the claim 'they' changed 'global warming' to 'climate change' because warming stopped https://www.washingt[...] 2018-01-29
[70] 뉴스 Americans broadly accept climate science, but many are fuzzy on the details https://www.washingt[...] 2019-12-09
[71] 웹사이트 Tackling Threats That Impact the Earth https://www.worldwil[...] 2019
[72] 간행물 What's in a Name? Global Warming versus Climate Change https://www.research[...] 2020-01-05
[73] 웹사이트 climate crisis | Meaning & Origin | Dictionary.com https://www.dictiona[...] 2022-12-13
[74] 웹사이트 The Climate Crisis – A Race We Can Win | United Nations https://www.un.org/e[...] 2022-12-13
[75] 웹사이트 Climate change: a threat to human wellbeing and health of the planet. Taking action now can secure our future — IPCC Newsroom Post https://www.ipcc.ch/[...] IPCC 2022-12-13
[76] 웹사이트 The Climate Crisis is a Child Rights Crisis | UNICEF https://www.unicef.o[...] 2022-12-13
[77] 웹사이트 気候変動の影響 https://www.unic.or.[...] 国連広報センター
[78] 웹사이트 地球温暖化が進むとどうなる?その影響は? https://www.wwf.or.j[...] WWFジャパン
[79] 웹사이트 気候危機 ― 勝てる競争 https://www.unic.or.[...] 国連広報センター
[80] 간행물 On the Influence of Carbonic Acid in the Air upon the Temperature of the Ground
[81] 간행물 The Concentration and Isotopic Abundances of Carbon Dioxide in the Atmosphere
[82] 웹사이트 First World Climate Conference (WCC-1) - 1979 https://public.wmo.i[...] WMO 2022-12-13
[83]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the IPCC - IPCC Factsheet: What is the IPCC? - October 2019 (AR6) https://www.ipcc.ch/[...] IPCC 2022-12-13
[84] 웹사이트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UNFCCC) - Text of the Convention - Article 2: Objective https://unfccc.int/r[...] UNFCCC 2022-12-13
[85] 웹사이트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UNFCCC) - Status of Ratification of the Convention - Entry into force: 21 March 1994, in accordance with article 23 (1) of the Convention. The Convention entered into force on 21 March 1994, that is, on the ninetieth day after the date of deposit of the fiftieth instrument of ratification, acceptance, approval or accession. https://unfccc.int/p[...] UNFCCC 2022-12-13
[86] 웹사이트 Kyoto Protocol to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 Article 3: Commitments https://unfccc.int/r[...] UNFCCC 2022-12-13
[87] 웹사이트 Kyoto Protocol to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 Annex B: Quantified emission limitation or reduction commitments for Annex I Parties for the commitment period 2008–2012 (percentage of base year or period) https://unfccc.int/r[...] UNFCCC 2022-12-13
[88] 웹사이트 Kyoto Protocol - Status of Ratification - Entry into force: The Kyoto Protocol entered into force on 16 February 2005. The Kyoto Protocol was adopted in Kyoto, Japan, on 11 December 1997 and entered into force on 16 February 2005. 192 Parties of the Convention have ratified its Protocol to date. The Kyoto Protocol implements the objective of the UNFCCC to fight global warming by reducing greenhouse gas concentrations in the atmosphere to "a level that would prevent dangerous anthropogenic interference with the climate system" (Art. 2). The Kyoto Protocol applies to the six greenhouse gases listed in Annex A: Carbon dioxide (CO2); Methane (CH4); Nitrous oxide (N2O); Hydrofluorocarbons (HFCs); Perfluorocarbons (PFCs); and Sulphur hexafluoride (SF6). https://unfccc.int/p[...] UNFCCC 2022-12-13
[89] 보고서 Climate Change 2007: Synthesis Report - Summary for Policymakers - SPM 1.1 Changes in atmospheric concentrations of greenhouse gases (GHGs) and aerosols, land cover and solar radiation alter the energy balance of the climate system and are drivers of climate change. They affect the absorption, scattering and emission of radiation within the atmosphere and at the Earth’s surface. The resulting positive or negative changes in energy balance due to these factors are expressed as radiative forcing, which is used to compare how a range of human and natural factors drive warming or cooling influences on global climate. Since the TAR, new observations and related modelling of greenhouse gases, solar activity, land surface properties and some aspects of aerosols have led to improvements in the quantitative estimates of radiative forcing. {2.1, 6.1} Global GHG emissions due to human activities have grown since pre-industrial times, with an increase of 70% between 1970 and 2004 (high confidence). {2.3} Carbon dioxide (CO2) is the most important anthropogenic GHG. Its annual emissions grew by about 80% between 1970 and 2004. The long-term trend of declining CO2 emissions per unit of energy supplied reversed after 2000. The atmospheric concentration of CO2 in 2005 exceeds by far the natural range over the last 650,000 years (180 to 300 ppm) as determined from ice cores. The annual CO2 concentration growth-rate was larger during the last 10 years (1995–2005 average: 1.9 ppm per year), than it has been since the beginning of continuous direct atmospheric measurements (1960–2005 average: 1.4 ppm per year) although there is year-to-year variability in growth rates. {2.3, FAQ 7.1, Figure 1} The primary source of the increased atmospheric concentration of CO2) is fossil fuel combustion, followed by land-use change. The global atmospheric concentration of CO2 has increased from a pre-industrial value of about 280 ppm to 379 ppm in 2005. The atmospheric concentration of CO2 in 2005 exceeds by far the natural range over the last 650,000 years (180 to 300 ppm) as determined from ice cores. The annual CO2 concentration growth-rate was larger during the last 10 years (1995–2005 average: 1.9 ppm per year), than it has been since the beginning of continuous direct atmospheric measurements (1960–2005 average: 1.4 ppm per year) although there is year-to-year variability in growth rates. {2.3, FAQ 7.1, Figure 1} https://www.ipcc.ch/[...] IPCC 2022-12-13
[90] 웹사이트 Climate Change 2007: Synthesis Report - Contents https://www.ipcc.ch/[...] IPCC 2022-12-13
[91] 웹사이트 Copenhagen Accord - Decision -/CP.15 -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 Takes note of the Copenhagen Accord of 18 December 2009. https://unfccc.int/r[...] UNFCCC 2022-12-13
[92] 웹사이트 わかる!国際情勢 コペンハーゲン合意の先へ~気候変動をめぐる国際交渉 https://www.mofa.go.[...] 外務省 2022-10-30
[93] 웹사이트 パリ協定 - 歴史的合意に至るまでの道のり https://www.mofa.go.[...] 外務省 2022-10-30
[94] 뉴스 COP15 合意文書を承認、採択見送り決裂回避 - 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2-10-30
[95] 웹사이트 気候変動枠組条約第15回締約国会議(COP15) - Ministry of the Environment https://www.mofa.go.[...] Ministry of the Environment 2022-10-30
[96] 웹사이트 Paris Agreement - Article 2 - 1. This Agreement ... aims ... (a) Holding the increase in the global average temperature to well below 2°C above pre-industrial levels and pursuing efforts to limit the temperature increase to 1.5°C above pre-industrial levels, recognizing that this would significantly reduce the risks and impacts of climate change; (b) Increasing the ability to adapt to the adverse impacts of climate change and foster climate resilience and low greenhouse gas emissions development, in a manner that does not threaten food production; (c) Making finance flows consistent with a pathway towards low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climate-resilient development. https://unfccc.int/s[...] UNFCCC 2022-12-13
[97] 웹사이트 Paris Agreement - Article 2 - 1. This Agreement ... aims ... (a) Holding the increase in the global average temperature to well below 2°C above pre-industrial levels and pursuing efforts to limit the temperature increase to 1.5°C above pre-industrial levels, recognizing that this would significantly reduce the risks and impacts of climate change; (b) Increasing the ability to adapt to the adverse impacts of climate change and foster climate resilience and low greenhouse gas emissions development, in a manner that does not threaten food production; (c) Making finance flows consistent with a pathway towards low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climate-resilient development. https://unfccc.int/s[...] UNFCCC 2022-12-13
[98] 웹사이트 Paris Agreement - Article 4 - 2. Each Party shall prepare, communicate and maintain successive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 that it intends to achieve. Parties shall pursue domestic mitigation measures, with the aim of achieving the objectives of such contributions. 3. Each Party’s successive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will represent a progression beyond the Party’s then current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and reflect its highest possible ambition, reflecting its common but differentiated responsibilities and respective capabilities, in the light of different national circumstances. 4. Developed country Parties should continue taking the lead by undertaking economy-wide absolute emission reduction targets. Developing country Parties should continue enhancing their mitigation efforts, and are encouraged to move over time towards economy-wide emission reduction or limitation targets in the light of different national circumstances. 5. Support shall be provided to developing country Parti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is Article, in accordance with Articles 9, 10 and 11, recognizing that enhanced support for developing country Parties will allow for higher ambition in their actions. 6. The least developed countries and small island developing States may prepare and communicate strategies, plans and actions for low greenhouse gas emissions development reflecting their special circumstances. 7. Mitigation co-benefits resulting from Parties’ adaptation actions and/or economic diversification plans can contribute to mitigation outcomes under this Article. 8. In communicating their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 all Parties shall provide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clarity, transparency and understanding in accordance with decision 1/CP.21 and any relevant decisions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is Agreement. 9. Each Party shall communicate a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every five years in accordance with decision 1/CP.21 and any relevant decisions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is Agreement and be informed by the outcomes of the global stocktake referred to in Article 14. https://unfccc.int/s[...] UNFCCC 2022-12-13
[99] 웹사이트 Paris Agreement - Contents https://unfccc.int/p[...] UNFCCC 2022-12-13
[100] 웹사이트 Global Warming of 1.5 ºC - Summary for Policymakers - A. Understanding Global Warming of 1.5°C - A.1. Human activities are estimated to have caused approximately 1.0°C of global warming above pre-industrial levels, with a likely range of 0.8°C to 1.2°C. Global warming is likely to reach 1.5°C between 2030 and 2052 if it continues to increase at the current rate. (high confidence) (Figure SPM.1) {1.2} https://www.ipcc.ch/[...] IPCC 2022-12-13
[101] 간행물 Temporary reduction in daily global CO2 emissions during the COVID-19 forced confinement
[102] 웹사이트 United in Science 2020: A multi-organization high-level compilation of the latest climate science information https://public.wmo.i[...] WMO 2022-12-13
[103] 웹사이트 COP26 - What is COP26? - The COP26 summit will bring parties together to accelerate action towards the goals of the Paris Agreement and the UN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The UK is committed to working with all countries and joining forces with civil society, companies and people on the frontline of climate change to inspire climate action ahead of COP26. https://ukcop26.org/ UK Government 2022-12-13
[104] 보고서 Emissions Gap Report 2020 https://www.unep.org[...] 国連環境計画(UNEP)
[105] 보고서 CO2 Emissions from Fuel Combustion 2020 https://www.iea.org/[...] 国際エネルギー機関(IEA)
[106] 간행물 地球温暖化に関する最新の科学的知見 https://www.data.jma[...] 気象庁
[107] 웹사이트 Trends in Atmospheric Carbon Dioxide https://www.esrl.noa[...]
[108] 간행물 WMO Statement on the State of the Global Climate in 2020 https://library.wmo.[...] 世界気象機関(WMO)
[109] 간행물 第6次評価報告書第1作業部会報告書要約 https://www.meti.go.[...] 気候変動に関する政府間パネル(IPCC)
[110] 논문 Summary for Policymakers. In: IPCC Special Report on the Ocean and Cryosphere in a Changing Climate [H.-O. Pörtner, D.C. Roberts, V. Masson-Delmotte, P. Zhai, M. Tignor, E. Poloczanska, K. Mintenbeck, A. Alegría, M. Nicolai, A. Okem, J. Petzold, B. Rama, N.M. Weyer (eds.)]. In press. IPCC 2019
[111] 간행물 生物多様性と気候変動に関するIPBES-IPCC合同ワークショップ報告書 https://www.ipbes.ne[...] 国連環境計画(UNEP) 2021
[112] 간행물 令和3年版 環境・循環型社会・生物多様性白書 状況第1部第1章第2節 気候変動問題の影響 https://www.env.go.j[...] 環境省 2021
[113] 웹사이트 気候変動の次は「生物多様性」:ESG投資で注目 https://www.nomuraho[...] Nomura 2020
[114] 논문 Summary for Policymakers. In: Global Warming of 1.5°C. An IPCC Special Report on the impacts of global warming of 1.5°C above pre-industrial levels and related global greenhouse gas emission pathways, in the context of strengthening the global response to the threat of climate chang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fforts to eradicate poverty [Masson-Delmotte, V., P. Zhai, H.-O. Pörtner, D. Roberts, J. Skea, P.R. Shukla, A. Pirani, W. Moufouma-Okia, C. Péan, R. Pidcock, S. Connors, J.B.R. Matthews, Y. Chen, X. Zhou, M.I. Gomis, E. Lonnoy, T. Maycock, M. Tignor, and T. Waterfield (eds.)].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Geneva, Switzerland, 32 pp. IPCC 2018
[115] 뉴스 IPCC報告 “短期に気温上昇1.5度に到達 大幅な排出削減策を” https://www3.nhk.or.[...] NHK 2023-03-21
[116] 간행물 1.5℃の地球温暖化:気候変動の脅威への世界的な対応の強化、持続可能な開発及び貧困撲滅への努力の文脈における、工業化以前の水準から1.5℃の地球温暖化による影響及び関連する地球全体での温室効果ガス(GHG)排出経路に関するIPCC 特別報告書 https://www.env.go.j[...] IPCC 2018
[117] 뉴스 気温が4度上昇すると、動植物の半分が絶滅の危機に…IPCCの最新の報告書で | Business Insider Japan https://www.business[...]
[118] 문서 同上
[119] 웹사이트 なっとく!再生可能エネルギー https://www.enecho.m[...] 資源エネルギー庁
[120] 웹사이트 2050年カーボンニュートラルを目指す 日本の新たな『エネルギー基本計画』 https://www.enecho.m[...] 資源エネルギー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