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 (성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奇)는 한국의 성씨 중 하나로, 2015년 대한민국 인구 조사에서 28,829명이 기씨 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기씨는 행주 기씨이며, 기자조선을 건국한 기자(箕子)를 시조로 한다. 행주 기씨 외에도 다양한 본관이 존재하며, 고려 시대에는 기황후의 영향으로 권문세가로 성장했고, 조선 시대에는 문과 급제자를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씨 - 기노 오이와
    기노 오이와는 5세기 후반 백제와 갈등을 겪고 임나를 장악하려 했으며, 소가노 카라코 암살 시도에 실패하고 고구려와 결탁하여 삼한의 왕이 되려 했으나 백제와의 전투에서 패하여 왜국으로 돌아갔다.
기 (성씨)
성씨 정보
한글
한자奇, 寄, 箕, 紀
로마자 표기Gi
매큔-라이샤워 표기Ki
통계 정보
인구 (5인 이상)전국
출처통계청

2. 역사

기(奇)씨는 기자조선을 연 기자(箕子)를 시조로 하며, 그의 41세손 기준위만의 침입으로 마한으로 이동하였다고 한다. 기준의 7세손 기훈(箕勳)은 아들 3형제를 두었는데, 기우성은 덕양 기씨의 시조, 기우량은 상당 한씨, 기우평은 선우씨의 시조가 되었다고 전해진다.

하지만 그 후대의 기록은 전해지지 않으며, 고려 인종 때 평장사(平章事)를 지낸 '''기순우'''(奇純祐)를 1세조로 삼고 있다. 고려기황후원나라의 왕후가 되면서 기철 등 기씨 일가가 권문세가가 되었다.

2. 1. 한국의 기(奇)씨

한국의 기(奇)씨는 대부분 행주 기씨이다.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28,829명으로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순위 80위이다. 본관은 '''행주'''(幸州) 단본이다. 행주(幸州)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동 일대의 지명이다.

행주 기씨 족보에서는 기자조선을 연 기자(箕子)를 선계조라고 하며, 그로부터 41세손 기준위만의 침입으로 마한으로 천도하였다고 한다. 기준의 7세손 기훈의 아들 3형제 중 기우성은 행주 기씨의 시조가 되었고, 기우량은 상당 한씨, 기우평은 선우씨의 시조가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그 후대의 기록이 전하지 않아 고려 인종 때 평장사(平章事)를 지낸 '''기순우'''를 1세조로 하고 있다. 고려기황후원나라의 왕후가 되면서 기철 등 기씨 일가가 권문세가가 되었다.

2. 1. 1. 행주 기씨

기자조선을 연 기자(箕子)를 시조로 한다. 기자의 41세손 기준위만의 침입으로 마한으로 천도하였다. 기준의 7세손 기훈의 아들 3형제 중 기우성은 행주 기씨의 시조가 되었다. 그러나 그 후대의 기록이 전하지 않아 고려 인종 때 평장사(平章事)를 지낸 기순우를 1세조로 하고 있다. 고려기황후원나라의 왕후가 되면서 기철 등 기씨 일가가 권문세가가 되었다. 행주 기씨조선 시대 문과 급제자 22명을 배출하였다.

2. 1. 2. 기타 기(奇)씨, 기(箕)씨

대한민국 통계청의 2015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행주 기씨 외에도 소수의 기(奇)씨는 28,829명,[1] 기(箕)씨는 56명(본관은 행주 28명, 평양 25명)으로 조사되었다.[1]

기(箕)씨는 《조선씨족통보》에 기자의 후손이라고 기록되어 있어 행주 기씨와 같은 근원으로 추정된다.[1]

증보문헌비고》와 《도곡총설》의 298성 중에는 보이지 않고, 1930년 인구조사 때 처음으로 포항, 인제, 덕천에 각 1가구씩 3가구가 나타났다.[1]

2. 2. 중국의 기(奇)씨

주나라 제후국 노나라 노소공의 아들 이름에서 유래한 계통이 있다. 노소공 희조(姬稠)의 5번째 아들 이름이 奇라서 奇씨로 창성하였다고 한다. 다른 아들은 공(公)씨가 되었다. (참조- 노나라 공실 가계도)[1]

고려 공민왕기철을 비롯한 행주 기씨 일족이 멸족의 화를 입을 당시 많은 기씨들이 원나라로 피신하였다. 그 후예들이 현재 존재하는지는 알 수 없다.[1]

만주족, 시버족 등 퉁구스 민족 계열의 성씨에서 유래한 계통이 있다. 퉁구스어족만주어 혹은 시버어로 발음되는 치더리(Cideri, 奇德哩)씨, 치두무(Cidumu, 奇杜穆)씨, 치렁(Cileng, 奇楞)씨, 치모시(Cimosi, 奇墨斯)씨, 치르고터(Cirgote, 奇爾果特)씨, 치터라(Citela, 奇塔喇)씨, 치러이(Cilei, 奇壘)씨와 같은 전통 성씨를 중국식 한 글자 성씨로 줄이는 과정에서 나왔다.[1]

3. 인물

기(奇)씨는 한국 및 중국의 성씨이다. 역사 속 인물로는 고려 시대의 기탁성, 기순우, 기홍수, 기철, 기황후, 조선 시대의 기건, 숙의 기씨, 기준, 기대항, 기대승, 기자헌, 기정진, 기우만, 기삼연, 기산도 등이 있다.

현대 인물로는 다음과 같은 인물들이 있다.

3. 1. 역사 속 인물

3. 1. 1. 고려

기탁성(?~1179) 고려의 무신. 판병부사를 역임했다.

기강탁 (1142~1143) 돌하르방 암살자, 도구, 숟가락 포지션을 지님

기순우(?~?) 고려의 문신. 행주 기씨 중시조이다.

기홍수(1148~1209) 고려의 무신.

기철(?~1356) 고려의 문신. 친원파 권문세족이었다.

기황후(?~1370) 고려 출신의 원나라 마지막 황후. 원나라 혜종(토곤 테무르)의 황후였다.[1]

기자오(1266–1328) 고려의 무관이자 귀족.

기철(1315년 이전–1356) 고려의 정치가이자 귀족.

3. 1. 2. 조선


  • 기건 (?~1460): 조선의 문신으로, 대사헌, 판중추원사를 역임했다.
  • 숙의 기씨 (?~1457): 정종의 후궁이다.
  • 기준 (1492~1521): 조선의 문신으로, 이조판서로 추증되었다.
  • 기대항 (1519~1564): 조선 중기 문신으로, 이조참판, 한성부윤을 역임했다.
  • 기대승 (1527~1572): 조선 중기 문신, 대사간을 역임했으며, 이황과의 사칠논쟁으로 알려진 성리학자이다.
  • 기자헌 (1562~1624): 조선 중기 문신으로, 1614년부터 1617년까지 영의정을 역임했다.
  • 기정진 (1798~1879): 조선의 유학자이자 성리학자이다.
  • 기우만 (1846~1916): 조선의 유학자, 독립운동가, 항일의병장이다.
  • 기삼연 (1851~1908): 조선의 독립운동가, 항일의병장이다.
  • 기산도 (1878~?): 조선의 독립운동가이다.

3. 2. 현대 인물

이름출생연도직업비고
기국서1952배우, 연출가
기주봉1955배우
기형도1960시인1989년 사망
기동민1966정치인더불어민주당 소속, 제20대 국회의원 역임
기승호1985농구선수창원 LG 세이커스 소속
기보배1988양궁선수2012 런던 개인전, 단체전, 2016 리우데자네이루 단체전 금메달 (올림픽 3회 금메달)
기성용1989축구선수FC서울 소속
기세중1990뮤지컬 배우
기원빈1991종합격투기 선수
Lily Ki|릴리 기영어1991인터넷 인플루언서, 음악가, 성우릴리피츄(LilyPichu)로 더 잘 알려짐, 오프라인TV 멤버
기무간1993한국무용가, 모델
기희현1995가수, 배우걸그룹 다이아 멤버
기도훈1995배우, 모델
기현우2000배우
기준영1972작가
기태영1978배우
기석복1913정치인북한 정치인, 1979년 사망


3. 2. 1. 대한민국

3. 2. 2. 기타 국적

4. 본관

기(奇)씨는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2015년 기준 28,829명으로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순위 80위이다. 본관은 '''행주''' 단본이다.

4. 1. 행주 기씨

행주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동 일대의 지명이다.

행주 기씨 족보에서는 기자조선을 연 기자를 선계조라고 한다. 그로부터 41세손 기준(箕準)이 위만(衛滿)의 침입으로 마한의 금마군(金馬郡:전라북도 익산시, 평양, 경기도 광주의 경안(옛 지명은 회안), 한강 유역 등)으로 천도했다는 설이 존재한다.

준왕의 7세손 기훈(箕勳)에 이르러 아들 3형제를 두었는데, 기우성(箕友誠)은 덕양 기씨(德陽 箕氏:덕양은 행주)의 시조가 되었고, 기우량(箕友諒)은 상당 한씨(上黨 韓氏:상당은 청주의 옛 지명)의 시조가 되었으며, 기우평(箕友平)은 선우씨(鮮于氏)의 시조가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그 후대의 기록이 전하지 않아 고려 인종 때 평장사(平章事)를 지낸 '''기순우'''(奇純祐)를 1세조로 하고 있다. 기황후원나라의 왕후가 되면서 기철 등 기씨 일가가 고려 말기 권문세가가 되었다. 행주 기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22명을 배출하였다.

4. 2. 기타 본관

2015년 인구조사 기준으로 행주 기씨 외에도 다양한 본관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2]

본관인구 (2015년)
강릉 기씨17
개성 기씨37
고양 기씨103
고주 기씨17
길주 기씨9
김해 기씨33
나주 기씨33
반주 기씨5
백천 기씨12
선산 기씨6
성주 기씨19
신주 기씨351
양주 기씨20
장성 기씨112
장수 기씨10
조양 기씨21
진주 기씨24
청주 기씨159
춘천 기씨30
충주 기씨40
평양 기씨18
해주 기씨35
항주 기씨7
행단 기씨5
행산 기씨15
행천 기씨39
향주 기씨56
화주 기씨8
횡주 기씨11


참조

[1] 웹사이트 성씨ㆍ본관별 인구(5인 이상) - 전국 https://kosis.kr/sta[...]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24-11-16
[2]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