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버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버어는 퉁구스어족 남부 그룹에 속하는 언어로, 만주어와 상호 이해가 가능하지만 8개의 모음 음소를 가지는 등 차이점을 보인다.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차푸차얼 시버 자치현을 중심으로 사용되며, 시버 문자를 사용해 표기한다. 교착어이며, 만주어와 유사한 격 체계를 가지고 있다. 어휘는 만주어 외에 중국어, 러시아어, 튀르크어 등 주변 언어의 영향을 받았다. 유네스코는 시버어를 "심각한 위기에 처한 언어"로 분류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버족 - 구왈기야 할라
    구왈기야 할라는 청나라 시대 주요 가문으로, 여러 갈래로 나뉘어 활동했으며, 군공을 세워 관직을 받거나 유명 인물을 배출한 만주족의 8대 성씨 중 하나이다.
  • 시버족 - 기오로 할라
    기오로 할라는 여진족의 성씨로 추정되며, 조선왕조실록과 《용비어천가》에 다른 표기로 기록되어 있고, '갸온'이라는 여진 고유의 성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으며, 건륭제의 기록 조작 가능성과 성씨 기원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존재한다.
  • 퉁구스어족 - 여진어
    여진어는 퉁구스어족에 속하며 만주어와 가까운 관계를 가진 언어로, 금나라 시대에 여진 문자가 창제되어 사용되었고 명나라 시대에는 네 가지 방언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현대 언어학자들은 명나라 시대의 사전과 금사의 「금국어해」를 통해 연구하고 있다.
  • 퉁구스어족 - 만주어
    만주어는 퉁구스어족에 속하는 교착어로, 과거 여진어와 관련이 깊었으며 청나라 황실의 주요 언어로 사용되었으나, 한화로 인해 사용자가 감소하여 현재는 소수 지역에서만 사용되고 부흥 운동이 진행 중인 언어이다.
  • IPA - 한어병음
    한어병음은 중국어 발음의 로마자 표기법으로, 1950년대에 개발되어 1958년 공식 채택되었으며 표준 중국어 교육 및 문맹 퇴치에 널리 사용되고, 성모와 운모의 조합 및 성조 부호로 구성되어 국제 표준으로 인정받고 있다.
  • IPA - 몽골어
    몽골어는 몽골의 공용어이자 내몽골 자치구의 공식 지방 언어로, 몽골족이 사용하는 몽골어족에 속하는 언어이며, 다양한 방언, 모음조화, 교착어적 특징, SOV 어순 등을 가진다.
시버어
언어 정보
언어 이름시베어
다른 이름시버어
사용 국가중국
사용 지역신장 위구르 자치구 이리 카자흐 자치주 차푸차얼 시베족 자치현, 타르바가타이 지구, 토크즈타라 현 등
사용자시버족
화자 수30,000명 (2000년)
어족알타이 제어 (가설)
하위 어족퉁구스어족
세부 어족만주어군
문자시베 문자 (만주 문자 변형), 로마자
ISO 639-3sjo
Glottologxibe1242
Glottolog 이름시베어
언어 생존력심각
문자 정보
문자 종류시베 문자 (만주 문자 변형)

2. 역사

청나라 시대에 만주에서 서북 변방을 지키기 위하여 파견된 군인들의 후손으로 시버족이 추정되며, 이 때문에 시버어는 만주어와 매우 유사하다. 또한 시버어의 문자 역시 만주 문자를 변형한 것이다.[8]

시버어는 1764년 시버 병력이 신장 변경으로 파견된 이후 퉁구스어를 사용하는 핵심 지역과 200년 이상 떨어져 발전해 왔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만주어와 함께 퉁구스어족의 남부 그룹 내에서 별도의 언어로 간주된다. 제리 노먼과 같은 일부 연구자들은 시버어를 만주어의 방언으로 간주하는 반면, 안 쥔과 같은 시보학자들은 시버어를 만주어의 "후계자"로 간주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민족사적으로, 시버족은 17세기에 추장 누르하치의 부족 연합에서 제외되었기 때문에 만주족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이 연합에 "만주"라는 이름이 나중에 적용되었다.[8]

3. 분류

시버어는 퉁구스어족의 남부 그룹에 속하며, 만주어와 함께 별개의 언어로 간주된다. 1764년 시버 병력이 신장 변경으로 파견된 이후 퉁구스어를 사용하는 핵심 지역과 200년 이상 떨어져 발전해 왔다.[8] 제리 노먼 등 일부 연구자들은 시버어를 만주어의 방언으로 간주하지만, 안 쥔과 같은 시버학자들은 시버어를 만주어의 "후계자"로 간주해야 한다고 주장한다.[8] 민족사적으로 시버족은 17세기에 추장 누르하치의 부족 연합에서 제외되었기 때문에 만주족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이 연합에 "만주"라는 이름이 나중에 적용되었다.[8]

시버어는 8개의 모음을 가지며, 만주어와 대략 상호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4. 음운

시버어는 만주어와 상호 이해가 가능하지만,[3] 만주어와 달리 8개의 모음 구별을 가지고 있으며, 형태론의 차이점과 더 복잡한 모음 조화 체계를 가지고 있다고 보고된다.[4]

4. 1. 자음


  • 마찰음 는 공명음 뒤에서 종종 로 유성음화된다.
  • 는 단어 중간에서 종종 로 유성음화된다.
  • 은 앞에서 순치음 으로 실현될 수 있다.

4. 2. 모음

시버어는 만주어와 상호 이해가 가능하지만,[20] 6개의 모음 음소를 갖는 만주어와 달리 8개의 변별적인 모음 음소를 가지고 있다.[21] 만주어와의 차이점으로는 형태론적 차이 외에도 더욱 복잡한 모음조화 체계를 지니고 있다.[21]



/œ/, /ə/, /o/의 변이음은 [ø], [ɤ], [ɔ]이다.[22]

5. 문자

시버어는 만주 문자를 개량한 시버 문자를 사용해 표기된다.[21] 시버 문자는 만주 문자와 비교했을 때 몇몇 단어의 철자 순서가 다르며, 만주어의 131음절에 비해 13음절이 적고, 만주어에는 없는 음절 (wi, wo, wu)이 있다는 차별점이 있다.[23]

다음 표는 시버 문자와 만주 문자에서 차이를 보이는 글자를 나타낸다. 파란색은 만주어와 다른 형태의 글자, 녹색은 만주 문자와 다른 유니코드 코드를 할당받은 것이다.

글자전사(묄렌도르프/압카이/CMCD)유니코드 인코딩설명
단독어두어중어말
rowspan="4" |
i의 어두형
i의 어중형 1
i의 어말형 2
i185Eb, p와 여성 k, g, h 뒤에서는 세 번째 열의 형태로 나타난다.
style="background: PowderBlue" |
rowspan="2" |
ū/v/uu1861남성 k, g, h 뒤에만 나타난다.
style="background: PowderBlue" |ng1862음절 끝에만 나타난다.
rowspan="3" |
q의 어두형
q의 어중형
k1863a, o, ū 앞에서는 첫 번째 열의 형태로 나타난다.
style="background: PowderBlue" |style="background: PowderBlue" |
k의 어두형
k의 어중형
j1의 어두형
j1의 어중형
j/j/zh186A첫 음절에만 나타난다.
r1의 어중형
style="background: PowderBlue" |r1837고유 시버어 단어는 r로 시작하지 않는다.
f186B시버어의 f는 만주 문자와 달리 한 가지 형태만 갖는다.
w의 어두형
w의 어중형
w1838a, e, i, o, u 앞에 나타날 수 있다.
style="background: PowderBlue" |j/j''/zh1872jy는 중국어 차용어 (병음) zhi를 표기하는 데 사용된다.



찹찰 신문(cabcal serkin)과 같은 시버어 신문은 시버 문자로 작성된다.

6. 형태

시버어는 교착어로서, 조사어근에 붙어 문법적 기능을 나타낸다. 시버어에는 7개의 격 표지 (주격, 속격, 여격-처격, 대격, 탈격, 향격, 공구격-사회격)가 있으며, 이 중 일부는 만주어와 다르게 사용된다.[5]

격 이름접미사예시영어 번역
주격-∅ɢazn-∅마을
속격-iɢazn-i마을의
여격-처격-də/-tɢazn-t마을에
대격-f/-vəɢazn-və그 마을(목적어)
탈격-dəriɢazn-dəri마을로부터
향격-ćiɢazn-ći마을로
공구격-사회격-maqɢazn-maq마을과 함께


7. 어휘

시버어는 만주어와 어휘를 공유하지만, 중국어, 러시아어, 위구르어, 카자흐어 등 주변 언어의 영향을 받아 차용어가 존재한다. 정치, 경제 분야에서는 중국어 차용어가 많이 사용되며, 문화 분야에서는 튀르크어족 언어의 차용어가 나타난다.

시버어는 만주어만큼 중국어의 영향을 많이 받지 않았다. 그러나 정치 분야에서 ''gəming''(革命|혁명중국어)과 ''zhuxi''(主席|주석중국어)와 같은 많은 중국어 사회학 용어를 흡수했다.[6] 경제 분야에서는 ''chūna''(出纳|출납원중국어)와 ''daikuan''(贷款|대출중국어) 등이 있다.[8] 구어 시버어에는 만주어 기반의 ''niyalma'' 대신 "남자"를 의미하는 ''nan''(男중국어)과 같은 중국어 파생 어휘가 더 많이 포함되어 있다.[8]

러시아어의 영향도 있었으며,[7] ''konsul''(консул|영사ru) 및 ''mashina''(машина|재봉틀ru)와 같은 단어가 포함된다.[8] 위구르어에서 유래된 ''namas''("이슬람 축제")와 카자흐어에서 유래된 ''baige''("경마")와 같이 소규모 신장 언어는 주로 문화 용어를 제공한다.[8]

8. 사용 현황

신장 웨이우얼 자치구 북부 이리 카자흐 자치주 이리 사범대학에서는 시버어를 제2언어로 가르치고 있으며, 2005년에 시버어 전공이 개설되었다.[12] 차푸차얼 시버 자치현에서는 시버어 교육이 이루어지며, 1998년에는 중국어를 수업 매체로 사용하지만 시버어 수업이 필수로 이루어지는 초등학교 8곳이 있었다. 1954년부터 1959년까지 우루무치의 인민 출판사는 정부 문서, 문학, 교과서를 포함하여 285편 이상의 주요 작품을 시버어로 출판했다.[8] 1946년부터는 이닝 시에서 시버어 신문인 카프칼 뉴스가 발행되었다. 차푸차얼에서는 시버어 프로그램으로 하루 15분 분량의 라디오 방송과 한 달에 한두 번 15~30분 분량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방영되고 있다.[11] 만주어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는 시버어가 모국어로 사용되는 환경을 경험하기 위해, 몇몇 만주어 애호가들이 차푸차얼 시버 자치현을 방문하기도 했다.[13]

참조

[1] 문서 Li Zhong 1986 p=1
[2] 서적 The Languages of China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7
[3] 문서 Gordon 2005 loc=[http://www.ethnologue.com/show_language.asp?code=sjo Xibe]
[4] 문서 Ramsey 1989 p=215
[5] 서적 Spoken Sibe: Morphology of the Inflected Parts of Speech Karolinum Press
[6] 문서 Ramsey 1989 p=216
[7] 문서 Guo 2007
[8] 서적 Post-Soviet Central Asia Tauris Academic Studies
[9] 서적 Multilingualism in China: The Politics of Writing Reforms for Minority Languages, 1949–2002 Mouten de Gruyter 2003
[10] 서적 Mǎnwén de chuánchéng: Xīnjiāng Xíbózú Xiuwei zixun keji gufen youxian gongsi 2019
[11] 문서 Zhang 2007
[12] 뉴스 "Chábùcháěr bào" – Xíbórén zhǐ shàng de jīngshén jiāyuán http://www.tianshann[...] 2007-06-06
[13] 뉴스 In China, the Forgotten Manchu Seek to Rekindle Their Glory https://www.wsj.com/[...] 2009-10-03
[14] 문서 Li 1986 p=1
[15] 웹사이트 Xibe | Ethnologue http://www.ethnologu[...]
[16] 서적 承志『ダイチン・グルンとその時代:帝国の形成と八旗社会』p.6(名古屋大学出版会,2009,2, ISBN 978-4-8158-0608-8)
[17] 웹사이트 シボ族 xibo zu Xibe ethnic minority group http://japanese.chin[...]
[18] 간행물 清代における言語接触 http://id.nii.ac.jp/[...] 岩手大学人文社会科学部 2019-03
[19] 서적 The Languages of China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 문서 Gordon 2005 loc=[http://www.ethnologue.com/show_language.asp?code=sjo Xibe]
[21] 문서 Ramsey 1989 p=215
[22] 서적 Xíbóyǔ jiǎzhì Minzu chubanshe 1986
[23] 서적 Post-Soviet Central Asia Tauris Academic Studies
[24] 서적 锡汉教学词典 {{만몽 유니코드|ᡧᡳᠪᡝ
ᠨᡳᡴᠠᠨ
ᡤᡳᠰᡠᠨ
ᡴᠠᠮᠴᡳᠪᡠᡥᠠ
ᡨᠠᠴᡳᠪᡠᡵᡝ
ᠪᡠᠯᡝᡴᡠ
ᠪᡳᡨᡥᡝ|lang=mnc}} http://worldcat.org/[...]

[25] 문서 Ramsey 1989 p=216
[26] 문서 Guo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