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륙아시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내륙 아시아는 다양한 정의를 가지는 용어로, 농업 문명과 대조되거나 중국 왕조의 관심사 및 통치 범위를 연구하는 데 사용된다. 모리스 로사비는 중앙아시아 5개국과 아프가니스탄, 신장 위구르 자치구, 몽골, 만주, 이란 일부를 포함하는 지역으로 정의하며, 하버드 대학교는 서투르케스탄, 동투르케스탄, 동부 이란, 파키스탄 북부, 아프가니스탄, 티베트, 칭하이, 쓰촨, 간쑤, 윈난 북서부로 정의한다. 케임브리지 대학교는 몽골을 중심으로 유라시아 대초원 지역을 히말라야 산맥까지 확장하는 지역으로 정의한다. 내륙 아시아 연구는 헝가리에서 시작되었으며, 19세기 탐험가와 학자들이 민족 기원을 찾기 위해 이 지역을 탐사했다. 중국 왕조는 한나라 시대부터 내륙 아시아에 대한 통제권을 행사했으며, 당나라, 원나라, 명나라, 청나라 시대에도 이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유지하려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내륙아시아 - 만주
만주는 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을 포함한 중국 동북 지역을 가리키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왕조가 지배했으며, 지리적으로는 광활한 평야와 산맥을 특징으로 하며, 현재는 중국 정부가 "동북"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 내륙아시아 - 하바롭스크 변경주
하바롭스크 변경주는 러시아 극동에 위치하며 광대한 면적에 다양한 지형과 하천, 뚜렷한 계절 변화를 보이는 대륙성 기후를 가지고 있고, 하바롭스크를 중심으로 기계 제작, 목재 가공, 어업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했으며, 러시아인과 소수 민족이 함께 거주하고 경상남도, 효고현과 자매결연을 맺은 러시아의 연방 주체이다.
내륙아시아 | |
---|---|
지도 | |
개요 | |
정의 | 지리적 정의: 유라시아 대륙의 해안에서 멀리 떨어진 내륙 지역 역사적, 문화적 정의: 유목민족의 활동 무대 |
위치 | 유라시아 대륙의 중심부 |
특징 | 바다와의 접근성이 낮음 건조한 기후 유목 문화 발달 |
역사적 맥락 | |
주요 민족 | 튀르크족 몽골족 퉁구스족 스키타이족 흉노 유에지 토하라족 티베트족 페르시아인 슬라브족 기타 유목 및 반유목 민족 |
주요 국가 및 제국 | 흉노 돌궐 위구르 몽골 제국 티무르 제국 청나라 소련 |
역사적 중요성 | 동서 문명 교류의 통로 (실크로드) 유목 민족의 활동 무대 지정학적 요충지 |
연구 분야 | |
관련 학문 분야 | 역사학 고고학 언어학 인류학 정치학 지리학 |
연구 기관 | 하버드 대학교 내륙 아시아 및 알타이 연구 위원회 (Committee on Inner Asian and Altaic Studies) 케임브리지 대학교 몽골 및 내륙 아시아 연구 유닛 (Mongolia and Inner Asia Studies Unit) 인디애나 대학교 블루밍턴의 시노르 내륙 아시아 연구소 (Sinor Research Institute for Inner Asian Studies) 토론토 대학교 중앙 유라시아 연구 센터 (Central Eurasian Studies) |
연구 범위 | CIAS (토론토 대학교 중앙 유라시아 연구 센터): 동쪽으로는 만주, 서쪽으로는 헝가리 평원, 북쪽으로는 시베리아, 남쪽으로는 티베트 고원까지 SRI (인디애나 대학교 블루밍턴 시노르 내륙 아시아 연구소): 몽골, 티베트, 중국, 중앙아시아, 시베리아 일부 지역 |
현대적 의미 | |
현대 국가 | 몽골 티베트 중국 중앙아시아 국가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시베리아 (러시아 연방) 만주 (중국) |
지정학적 중요성 | 자원 개발 경쟁 강대국 간의 영향력 경쟁 테러 및 분쟁의 가능성 |
2. 용어 및 정의
오늘날 "내륙 아시아"는 다양한 정의와 용법을 가지고 있다.[5] 신청사를 편찬한 학자나 청나라 역사가들은 중국 본토 밖의 청나라의 관심사나 통치를 연구할 때 이 용어를 자주 사용했다.[7] 하지만 한나라, 당나라, 명나라와 같은 이전의 중국 왕조 또한 내륙 아시아로 그들의 영토와 영향력을 확장했다.
하버드 대학교의 내륙 아시아 및 알타이 연구 위원회는 내륙 아시아를 서 투르케스탄, 동 투르케스탄 (즉, 신장), 이란 동부, 파키스탄 북부, 아프가니스탄, 티베트, 칭하이, 쓰촨, 간쑤, 윈난 북서부로 구성된 지역으로 정의한다.[3]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몽골 및 내륙 아시아 연구 부서는 내륙 아시아를 "몽골을 중심으로 거대한 초원 지역을 히말라야 산맥까지 확장하는 지역"으로 정의하며,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동 투르케스탄, 티베트, 칭하이, 간쑤, 쓰촨, 윈난, 네팔, 시킴, 부탄, 내몽골, 랴오닝, 지린, 헤이룽장, 알타이, 투바, 부랴티야, 치타를 포함한다.[4]
프랑스어에서는 Asie centrale프랑스어이 "중앙아시아" 또는 "내륙 아시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몽골과 티베트는 Haute Asie|상부 아시아프랑스어로 묶인다.[9] 내륙 아시아 자체 언어에서 "내륙 아시아"를 의미하는 용어는 모두 유럽 언어, 주로 러시아어의 현대 번역어이다.[9]
2. 1. 중앙아시아와의 관계
오늘날 "내륙 아시아"는 다양한 정의와 용법을 가지고 있다.[5] 데니스 시노어는 "내륙 아시아"를 농업 문명과 대조하여 사용하며, 로마 속주가 훈족에게 점령당하고, 중국 북부 지역이 몽골족에게 점령당하고, 아나톨리아가 튀르크화되어 헬레니즘 문화를 소멸시키는 등 그 경계가 변화해 왔다고 언급했다.[6]모리스 로사비에 따르면, 내륙 아시아는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 카자흐스탄 등 5개의 중앙아시아 국가뿐만 아니라 아프가니스탄, 신장 위구르 자치구, 몽골, 만주, 이란 일부 지역도 포함한다.[8]
중앙아시아는 일반적으로 내륙 아시아의 서부 지역을 의미하며,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을 지칭하며, 때로는 아프가니스탄도 중앙아시아의 일부로 포함되기도 한다. 미국 의회도서관의 주제 분류 시스템에서는 "중앙아시아"와 내륙 아시아를 동의어로 취급한다.[9]
2. 2. 중앙 유라시아
오늘날 "내륙 아시아"는 다양한 정의와 용법을 가지고 있다.[5] 데니스 시노어는 "내륙 아시아"를 농업 문명과 대조하여 사용하며, 그 경계가 로마 속주가 훈족에게 점령당하고, 중국 북부 지역이 몽골족에게 점령당하고, 아나톨리아가 튀르크화되어 헬레니즘 문화를 소멸시키는 등 변화해 왔다고 언급했다.[6]신청사를 편찬한 학자나 청나라 역사가들은 중국 본토 밖의 청나라의 관심사나 통치를 연구할 때 "내륙 아시아"라는 용어를 자주 사용했지만,[7] 한나라, 당나라, 명나라와 같은 이전의 중국 왕조 또한 내륙 아시아로 그들의 영토와 영향력을 확장했다.
모리스 로사비에 따르면, 내륙 아시아는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 카자흐스탄 등 5개의 중앙 아시아 국가뿐만 아니라 아프가니스탄, 신장 위구르 자치구, 몽골, 만주, 이란 일부 지역도 포함한다.[8]
하버드 대학교의 내륙 아시아 및 알타이 연구 위원회는 내륙 아시아를 서 투르케스탄, 동 투르케스탄 (즉, 신장), 이란 동부, 파키스탄 북부, 아프가니스탄, 티베트, 칭하이, 쓰촨, 간쑤, 윈난 북서부로 구성된 지역으로 정의한다.[3]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몽골 및 내륙 아시아 연구 부서는 내륙 아시아를 "몽골을 중심으로 거대한 초원 지역을 히말라야 산맥까지 확장하는 지역"으로 정의하며,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동 투르케스탄, 티베트, 칭하이, 간쑤, 쓰촨, 윈난, 네팔, 시킴, 부탄, 내몽골, 랴오닝, 지린, 헤이룽장, 알타이, 투바, 부랴티야, 치타를 포함한다.[4]
모리스 로사비는 "내륙 아시아"라는 용어가 문헌에서 널리 사용되는 용어이지만, 존재하지 않는 "외부 아시아"를 암시하는 등 이 용어의 결점 때문에 데니스 시노어는 대륙 간 교류에서 이 지역의 역할을 강조하는 "중앙 유라시아"라는 신조어를 제안했다.[10] 시노어에 따르면:[11]
> 중앙 유라시아의 공간적 정의는 부정적이다. 그것은 유라시아 대륙의 주요 정주 문명 경계 너머에 위치한 부분이다... 중앙 유라시아 지역은 변동에 취약하지만, 전반적인 추세는 감소하는 것이다. 정주 문명의 영토가 성장함에 따라 그 경계선이 확장되고 새로운 야만족들이 정착할 더 넓은 표면을 제공한다.
3. 내륙 아시아 연구의 기원
중앙유럽은 서구에서 내륙 아시아 연구가 시작된 곳이다. 19세기 초 헝가리 탐험가와 학자들은 자신들의 민족 기원을 찾기 위해 내륙 아시아로 여행을 떠났다. 초마 샨도르 쾨뢰시는 티베트학의 창시자가 되었다. 헝가리 백작 세체니 벨러는 1877~1880년 내륙 아시아로 과학 탐험대를 이끌었고, 1913년에는 저널 ''투란''을 창간했다. "내륙 아시아 연구"라는 용어(belső-ázsiai kutatások|뵈르쇠-아저여이 쿠터타쇼크hu, innerasiatische Studien|이너아시아티셰 슈투디엔de)는 ''투란''의 제호에 처음 등장했다.[9]
1940년 러요시 리게티는 부다페스트 대학교에 내륙 아시아 연구를 위한 최초의 학문적 의장을 설립했다.[9]
3. 1. 헝가리의 역할

중앙유럽은 서구에서 내륙 아시아 연구가 시작된 곳이다. 19세기 초 헝가리 탐험가와 학자들은 자신들의 민족 기원을 찾기 위해 내륙 아시아로 여행을 떠났다. 초마 샨도르 쾨뢰시는 이들 탐험가 중 가장 먼저 티베트학의 창시자가 되었다. 헝가리 백작 세체니 벨러는 1877~1880년 내륙 아시아로 과학 탐험대를 이끌었고, 이후 1913년에는 저널 ''투란''을 창간했다. "내륙 아시아 연구"라는 용어(belső-ázsiai kutatások|뵈르쇠-아저여이 쿠터타쇼크hu, innerasiatische Studien|이너아시아티셰 슈투디엔de)는 처음으로 ''투란''의 제호에 등장했다.[9]
아우렐 스타인의 내륙 아시아 고대 유물 발견은 이 지역 문명에 대한 지식에 크게 기여했다. 1928년 그는 4권으로 된 저서 ''가장 내륙의 아시아: H.M. 인도 정부의 명령에 따라 수행되고 기술된 중앙 아시아, 간쑤 및 동부 이란 탐험의 상세 보고서''를 출판했다. 1940년에는 러요시 리게티에 의해 부다페스트 대학교에 내륙 아시아 연구를 위한 최초의 학문적 의장이 설립되었다.[9]
3. 2. 아우렐 스타인의 공헌
아우렐 스타인은 내륙 아시아 고대 유물 발견을 통해 이 지역 문명에 대한 지식에 크게 기여했다. 그는 1928년에 4권으로 된 저서 ''가장 내륙의 아시아: H.M. 인도 정부의 명령에 따라 수행되고 기술된 중앙 아시아, 간쑤 및 동부 이란 탐험의 상세 보고서''를 출판했다.[9]4. 중국 왕조사와 내륙 아시아
한나라는 흉노를 비롯한 유목 민족과의 관계 속에서 내륙 아시아에 대한 정책을 발전시켰다. 당나라는 서역 원정을 통해 내륙 아시아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했다. 원나라는 몽골 제국을 기반으로 내륙 아시아 대부분을 지배했으며, 명나라는 몽골과의 대립과 교류, 티베트 불교 후원, 만주 지역의 여진족 성장 등 복잡한 관계를 맺었다. 청나라는 몽골 제국의 후계자를 자처하며 내륙 아시아의 여러 민족에게 영향력을 행사했다.[1]
4. 1. 한나라와 내륙 아시아
내륙 아시아의 한나라 문서를 참조하여 작성한다.4. 2. 당나라와 내륙 아시아
당나라는 내륙 아시아 지역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자세한 내용은 내륙 아시아의 당나라 문서를 참조.4. 3. 원나라와 내륙 아시아
내륙 아시아의 원나라 문서를 참조하여 작성해야 한다.4. 4. 명나라와 내륙 아시아
명나라는 몽골 제국의 후계자를 자처하며 북방 유목민족과의 관계에서 이전의 중국 왕조들과는 다른 모습을 보였다. 명나라는 원나라와 마찬가지로 티베트 불교를 후원하고 몽골의 정치 전통을 일부 계승했다. 그러나 명나라는 만리장성을 다시 건설하고 유목민족과의 교역을 엄격히 통제하는 등 방어적인 정책을 펼치기도 했다.[1]명나라 초기에는 몽골과 여러 차례 전쟁을 벌였다. 영락제는 직접 군대를 이끌고 몽골을 공격하여 북원을 멸망시키고 오이라트와 타타르를 복속시켰다. 그러나 영락제 사후 명나라는 북방 정책에 소극적으로 변했고, 몽골은 다시 세력을 회복하여 명나라를 위협했다.[1]
16세기 중반, 알탄 칸이 이끄는 몽골은 명나라를 여러 차례 침공하여 큰 피해를 입혔다. 이에 명나라는 알탄 칸과 화친을 맺고 교역을 허용하는 한편, 만리장성을 보수하고 방어 시설을 강화했다. 이후 명나라와 몽골 사이에는 대체로 평화로운 관계가 유지되었지만, 몽골의 위협은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다.[1]
명나라는 티베트에 대해서도 영향력을 행사하려 했다. 영락제는 티베트 불교의 고승들을 초청하고 사원을 건립하는 등 티베트 불교를 후원했다. 그러나 명나라는 티베트를 직접 지배하지는 않았고, 티베트의 자치를 인정하는 간접적인 통치 방식을 택했다.[1]
만주 지역에서는 여진족이 성장하여 명나라의 새로운 위협으로 떠올랐다. 명나라는 여진족을 분열시키고 통제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17세기 초 누르하치가 여진족을 통일하고 후금을 건국하면서 명나라는 심각한 위기에 직면하게 되었다.[1]
4. 5. 청나라와 내륙 아시아
청나라는 이전의 명나라와 마찬가지로 내륙 아시아에 적극적으로 개입했다. 청나라는 몽골 제국의 후계자를 자처하며 몽골, 티베트, 위구르 등 내륙 아시아의 여러 민족과 복잡한 관계를 맺었다. 청나라는 이들을 직접 지배하거나 조공국으로 삼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영향력을 행사했다.5. 지역사
내륙아시아는 만주, 몽골, 티베트, 신장 지역을 포함한다. 각 지역의 역사는 만주사, 몽골사, 티베트사, 신장사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
5. 1. 만주사
만주사5. 2. 몽골사
몽골사5. 3. 티베트사
티베트사5. 4. 신장사
신장 지역의 역사는 신장/역사 문서를 참조.참조
[1]
웹사이트
Where is East Asia?: Central Asian and Inner Asian Perspectives on Regionalism
http://japanfocus.or[...]
Japan Focus
2005-10
[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10, Part 1
[3]
웹사이트
The Committee on Inner Asian and Altaic Studies
https://iaas.fas.har[...]
null
[4]
웹사이트
Mongolia and Inner Asia Studies Unit: About us
https://www.miasu.so[...]
null
[5]
Webarchive
Book Abstract: "Inner Asia: Making a Long-Term U.S. Commitment."
http://www.stormingm[...]
2009-08-22
[6]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Early Inner Asia, Volume 1
https://books.google[...]
2009-08-22
[7]
서적
'New Qing Imperial History: The Making of Inner Asian Empire at Qing Chengde'
[8]
간행물
Central Asia: A Historical Overview
[9]
웹사이트
Research Institute for Inner Asian Studies (RIFIAS)
http://www.indiana.e[...]
null
[10]
서적
China and Inner Asia: from 1368 to the present day
Pica Press
[11]
서적
Inner Asia: History, civilization, languages: a syllabu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