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네레우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레우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바다의 신으로, "바다의 노인"으로 불린다. 그는 폰토스와 가이아의 아들이며, 도리스와의 사이에서 50명의 딸인 네레이데스를 낳았다. 네레우스는 변신술과 예언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정직하고 덕망 있는 인물로 묘사된다. 그의 이름은 다양한 어원적 해석이 존재하며, 예술 작품에서도 종종 묘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물의 신 - 에르사
  • 물의 신 - 코볼트
    코볼트는 독일 민속에 등장하는 집이나 광산에 깃든 요정으로, 집안일을 돕거나 광부들을 괴롭히며, 고블린과 유사하고 다양한 모습으로 변신할 수 있으며, 어원은 'kob'과 'walt'의 합성어 또는 그리스어 "코발로스"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고, 현대 대중문화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등장하며 집주인의 성향에 따라 긍정적이거나 악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진다.
  • 바다와 강의 남신 - 포세이돈
    포세이돈은 그리스 신화에서 바다, 지진, 말을 다스리는 중요한 신으로, 다양한 칭호를 가지고 있으며 그리스 전역과 이탈리아에서 숭배받았지만, 신화 속에서 여성에 대한 폭력적인 행위도 나타난다.
  • 바다와 강의 남신 - 오케아노스
    오케아노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티탄 신으로, 세상 둘레를 흐르는 거대한 강이자 모든 강과 바다의 근원이며 강의 신들과 오케아니스들의 아버지로서 신화 속 세계관과 우주론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티탄 - 오리온
    오리온은 그리스 신화 속의 사냥꾼으로, 뛰어난 사냥 실력, 연인들과의 갈등, 비극적인 죽음, 그리고 별자리로의 변신을 묘사하며, 다양한 이야기와 연관되어 있다.
  • 티탄 - 셀레네
    셀레네는 그리스 신화에서 달을 의인화한 여신으로, 밤하늘을 가로지르는 마차를 모는 모습으로 묘사되며 엔디미온과의 사랑, 기간토마키아에서의 활약 등 다양한 신화 속 이야기와 예술 작품에 등장하고 출산, 월경 등과 관련된 숭배를 받았으며 현대에는 달 탐사선 이름으로도 사용된다.
네레우스
기본 정보
페르가몬 제단의 네레우스
페르가몬 제단의 네레우스 (베를린)
다른 이름바다의 노인
소속바다 신
거주지에게 해
부모폰토스, 가이아
형제자매타우마스, 포르키스, 케토, 에우리비아
배우자도리스
자녀네리테스, 네레이데스
신화적 정보
역할해신
그리스어
그리스어 표기Νηρεύς
로마자 표기Nēreús

2. 이름

호메로스의 서사시에는 '네레우스'라는 이름이 직접 나타나지 않는다. 일리아스에서는 ἅλιος γέρων|할리오스 게론|바다의 노인grc이라는 형용사로, 오디세이아에서는 ἅλιος γέρων|할리오스 게론grc과 Πρωτεύς|프로테우스|프로테우스grc의 조합으로 등장한다.[2] 네레우스와 프로테우스 외에도 "바다의 노인"이라는 형용사는 포르키스, 글라우코스, 트리톤 등 여러 그리스 신화의 수신들에게 사용되었다.[3]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서 네레우스라는 이름이 처음으로 등장한다. 헤시오도스는 네레우스를 묘사하기 위해 ἀ-ψευδέα|아-프세우데아|거짓말을 하지 않음grc와 ἀ-ληθέα|아-레테아|잊지 않음grc와 같은 동사와 형용사를 사용했는데, 이는 Ψευδέα|프세우데아|거짓말grcΛήθη|레테|망각grc과 대조된다.[7] 학자들은 Ἔρις|에리스|불화grc에서 부정 접두사 νη|네grc를 붙여 ''Ne-Eris'', 즉 Νηρεύς|네레우스grc (νη-ερ(ι)-ευς|네-에르(이)-에우스grc)로 진화했다는 어원을 제안했다.[8]

또 다른 어원으로는 νηρόν|네론|(신선한) 물 또는 물고기grc에서 유래했을 수 있는데, 이는 그리스 형용사 νεαρός|네아로스|새로운, 신선한, 젊은grc의 수축이다.[10]

로버트 S. P. 비크스는 접미사 εύς|에우스grc에서 알 수 있듯이 그리스 이전 (인도유럽어족 이전) 기원을 선호한다.[10] 아포스톨로스 아타나사키스는 이 이름의 일리리아 기원을 제안하고 이를 알바니아어 단어 njeri|녜리|사람sq와 비교했다.[12]

아우구스트 피크에 따르면, '네레우스'와 '네레이스'의 가장 가까운 인도유럽어 친족은 리투아니아어 동사 nérti|네르티|잠수하다lt이며, 리투아니아어 명사 nėrõvė|네로베|인어lt가 네레이스와 관련이 있다.[13]

네레이스의 이름은 현대 그리스 민속에서 νεράιδες|네라이데스|요정el으로 남아 있다.[15]

3. 신화 속 모습

일리아스[16]에서 바다의 노인은 네레우스의 아버지로 묘사되지만, 네레우스가 직접적으로 언급되지는 않는다. 네레우스는 프로테우스처럼 변신 능력을 가진 예언자로, 헤라클레스[17]와 같이, 그가 변신하는 와중에도 붙잡을 수 있었던 영웅들을 도왔다. 네레우스와 프로테우스("최초의")는 크로노스를 몰아낸 제우스에 의해 포세이돈에게 자리를 내준 바다의 신의 두 가지 모습인 것으로 보인다.

페레퀴데스에 따르면, 네레우스를 헤라클레스의 과업과 연결한 최초의 시인은 로도스의 아폴로니우스의 '''주해'''였다.[18]

기원전 5세기 동안, 네레우스는 점차 트리톤으로 대체되었는데, 트리톤은 호메로스에서는 등장하지 않으며, 헤라클레스와 바다의 신 사이의 갈등을 묘사하는 이미지에서, 바다의 신이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제지되어야 했다. 이 이미지는 어떤 문학적 증언과도 무관하게 도자기 화가들에 의해 사용되었다.[19]

후기의 등장에서, 조각난 '''파피루스'''에 따르면,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결정적인 이수스 전투 (기원전 333년) 전에 시리아 해안에서 잠시 멈춰 서서 기도했는데, "테티스, 네레우스와 바다의 요정 네레이드에게 부르짖고, 포세이돈에게 간청했다. 그는 사두마차를 파도에 던지라고 명령했다."[20]

네레우스는 정직함과 덕으로 알려져 있었다.

아테네의 도자기 화가들은 긴 뱀 모양의 비늘이 있는 물고기 꼬리에서 나오는 네레우스의 옷을 입은 상반신을 묘사했다.[22] 수염을 기른 네레우스는 일반적으로 권위의 지팡이를 휘두른다. 그는 또한 펠레우스가 그들의 자매 테티스와 레슬링을 하는 장면에서 네레이드의 도주를 묘사하는 장면에도 등장했다.

아일리안의 자연사에서, 3세기 초에 쓰여졌는데,[23] 네레우스는 또한 아프로디테의 물의 배필이자, 포세이돈의 연인인 네리테스의 아버지였는데, 그는 "나선형 껍질을 가진 조개로 변했는데, 크기는 작지만 뛰어난 아름다움을 지녔다."

네레우스는 네레이데스 중 한 명인 테티스의 아버지였고, 테티스는 위대한 그리스 영웅 아킬레우스의 어머니이자, 포세이돈과 결혼한 암피트리테의 어머니였다. 폰토스 (바다)와 가이아 (대지)의 아들로, 타우마스, 포르키스, 케토, 에우뤼비아와 형제이다.[24][25][26] 오케아노스의 딸 도리스와의 사이에서, 네레이데스 (네레이스들)라고 불리는 무리의 바다의 여신들을 낳았다.[27][28][26] 티탄 신족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헤시오도스에 따르면 사람들은 네레우스를 "노인"이라고 불렀다.[29] 호메로스도 『일리아스』에서 네레우스를 "바다의 노인"이라고 부르고 있다.[30] 하지만 『오디세이아』에서는 같은 바다의 신인 프로테우스도 "바다의 노인"이라고 부르고 있다.[31] 고대 미술에서도 노인의 모습으로 표현된다. 그 때문에 프로테우스와 혼동되기도 했다.

네레우스는 정직하고, 온화하며 총명한 신이며, 예언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32] 딸들 네레이스의 수는 50명이라고도[33][26], 100명이라고도 하며, 포세이돈의 아내가 된 암피트리테펠레우스와 결혼하여 영웅 아킬레우스를 낳은 테티스, 갈라테이아, 프사마테와 같은 유명한 여신도 있다. 그녀들과 함께 에게 해의 해저에 살았다.

네레우스는 헤라클레스 전설에 등장한다. 네레우스는 해안에서 잠자고 있던 중 헤라클레스에게 붙잡혀, 도망치려 다양한 모습으로 변신했지만 헤라클레스의 힘에 저항할 수 없었기에, 헤스페리데스의 정원으로 가는 방법을 헤라클레스에게 가르쳐주었다고 한다.[34]

4. 예술 작품에서의 묘사

일리아스[16]에서 네레우스는 직접적으로 언급되지는 않지만, '바다의 노인'은 네레우스의 아버지로 묘사된다. 네레우스는 프로테우스처럼 변신술과 예언 능력을 가진 존재로, 헤라클레스[17]와 같이 자신을 붙잡은 영웅들을 돕는 바다의 노인으로 나타난다. 네레우스와 프로테우스("최초의")는 크로노스를 몰아낸 제우스에 의해 포세이돈에게 자리를 내준 바다 신의 두 가지 모습으로 보인다.

페레퀴데스에 따르면, 네레우스를 헤라클레스의 과업과 연결한 최초의 시인은 로도스의 아폴로니우스의 '''주해'''였다.[18]

기원전 5세기 동안, 네레우스는 점차 트리톤으로 대체되었는데, 트리톤은 호메로스에서는 등장하지 않으며, 헤라클레스와 바다의 신 사이의 갈등을 묘사하는 이미지에서 바다의 신이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제지되어야 했다. 이 이미지는 문학적 증언과는 무관하게 도자기 화가들에 의해 사용되었다.[19]

후기 기록인 파피루스에 따르면,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이수스 전투 (기원전 333년) 전에 시리아 해안에서 멈춰 서서 "테티스, 네레우스와 바다의 요정 네레이드에게 부르짖고, 포세이돈에게 간청했다. 그는 사두마차를 파도에 던지라고 명령했다."[20]

네레우스는 정직함과 덕으로 알려져 있었다.

아테네의 도자기 화가들은 긴 뱀 모양의 비늘이 있는 물고기 꼬리에서 나오는 네레우스의 옷을 입은 상반신을 묘사했다.[22] 수염을 기른 네레우스는 일반적으로 권위의 지팡이를 휘두른다. 그는 또한 펠레우스가 그들의 자매 테티스와 레슬링을 하는 장면에서 네레이드의 도주를 묘사하는 장면에도 등장했다.

3세기 초 아일리안의 자연사에서,[23] 네레우스는 아프로디테의 물의 배필이자, 포세이돈의 연인인 네리테스의 아버지였는데, 그는 "나선형 껍질을 가진 조개로 변했는데, 크기는 작지만 뛰어난 아름다움을 지녔다."라고 언급되었다.

고대 미술에서 네레우스는 노인의 모습으로 표현되며, 프로테우스와 혼동되기도 했다. 네레우스는 헤라클레스 전설에 등장하는데, 해안에서 잠자고 있던 중 헤라클레스에게 붙잡혀, 도망치려 다양한 모습으로 변신했지만 헤라클레스의 힘에 저항할 수 없었기에, 헤스페리데스의 정원으로 가는 방법을 헤라클레스에게 가르쳐주었다고 한다.[34]

5. 가계도

폰토스와 가이아의 자식
네레우스타우마스포르키스케토에우리비아
네레우스와 도리스의 자식 (50명의 네레이데스)
네레이데스
타우마스와 엘렉트라의 자식
이리스알레토오키페테
포르키스와 케토의 자식
펨프레도에뉘오데이노스테노에우리알레
메두사포세이돈의 자식
크리사오르페가수스
크리사오르와 칼리로에의 자식
게리온
티폰에키드나의 자식
케르베로스오르트로스히드라라돈키마이라
오르트로스와 키마이라의 자식
스핑크스네메아의 사자


참조

[1] 문서 Hesiod, ''[[Theogony]]'' 233-36, is unequivocal that Nereus is ''the'' [[Old Man of the Sea]] (ἅλιος γέρων), whereas the ''[[Odyssey]]'' gives the sobriquet to Nereus (xxiv.58) to [[Proteus]] (iv.365, 387), and to [[Phorkys]] (xiii.96, 345).
[2] 웹사이트 Νηρεύς – Ancient Greek (LSJ) https://lsj.gr/wiki/[...]
[3] 간행물 harvnb|Rudhardt|1992|p=82
[4] 간행물 harvnb|Beekes|van Beek|2010|pp=ix, xliii, 1017
[5] 간행물 harvnb|Beekes|van Beek|2010|pp=ix, xliii, 1017
[6] 간행물 harvnb|Litchfield West|1966|p=233
[7] 간행물 harvnb|Litchfield West|1966|pp=232–234
[8] 간행물 harvnb|Scully|2015|p=18
[9] 간행물 harvnb|Prier|1976|p=40
[10] 간행물 harvnb|Beekes|van Beek|2010|pp=ix, xliii, 1017–1018
[11] 간행물 harvnb|Tsantsanoglou|2015|pp=11–12
[12] 간행물 harvnb|Athanassakis|2004|p=43
[13] 간행물 harvnb|Tsantsanoglou|2015|p=14
[14] 간행물 harvnb|Papachristophorou|1998|p=190
[15] 간행물 harvnb|Chantraine|1968|p=751
[16] 문서 Iliad i.358, 538, 556; xviii.141; xx.107; xxiv.562.
[17] 문서 Or, as [[Proteus]], [[Menelaus]].
[18] 문서 On Argonautica iv.1396f, noted by Ruth Glynn, "Herakles, Nereus and Triton: A Study of Iconography in Sixth Century Athens", ''American Journal of Archaeology'' '''85'''.2 (April 1981, pp. 121–132) p 121f.
[19] 문서 Glynn 1981:121–132.
[20] 문서 Karl Wilhelm Ludwig Müller's ed. Papyrus Oxyrrhincus ''Fragmenta Historicorum Graecorum'' 148, 44, col. 2; quoted by Robin Lane Fox, ''Alexander the Great'' (1973) 1986:168 and note. Thetis was the mother of Alexander's hero [[Achilles]].
[21] 문서 Hesiod, ''Theogony'' 233
[22] 문서 Beazley Archive http://www.beazley.o[...]
[23] 웹사이트 Aelian, ''On Animals'' 14.28 http://www.theoi.com[...]
[24] 문서 ヘーシオドス、233行-239行。
[25] 문서 アポロドーロス、1巻2・6。
[26] 문서 ヒュギーヌス、序文。
[27] 문서 ヘーシオドス、240行-264行。
[28] 문서 アポロドーロス、1巻2・7。
[29] 문서 ヘーシオドス、234行。
[30] 문서 『イーリアス』18巻140行-141行。
[31] 문서 『オデュッセイア』4巻365行。
[32] 문서 ヘーシオドス、233行-236行。
[33] 문서 ヘーシオドス、264行。
[34] 문서 アポロドーロス、2巻5・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