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네팔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팔군은 네팔의 군대로, 대통령이 최고 사령관이며, 국방회의가 군의 동원, 작전, 사용에 대한 권고를 내각에 한다. 네팔 육군과 육군 항공대로 구성되며, 해군과 공군은 없다. 네팔은 역사적으로 네팔 통일 전쟁, 영국과의 전쟁, 제1,2차 세계 대전 등 다양한 전쟁에 참전했으며, 유엔 평화유지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현재 유엔에 두 번째로 많은 병력을 제공하고 있다. 네팔 육군은 6개의 사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징병제를 실시하고 있다. 또한, 고르카 용병으로도 유명하며, 영국과 인도 육군에서 네팔 출신 용병을 모병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팔의 군사 - 구르카
    구르카는 네팔 고르카 지방에서 유래한 용어로, 오늘날에는 네팔, 영국, 인도 등에서 용맹한 전투력을 지닌 구르카 용병 부대를 지칭하며, 특히 영국군 구르카 여단에서 활약하며 다양한 전쟁과 분쟁에 참여해왔다.
네팔군
기본 정보
군 표식
국가네팔
명칭네팔군
로마자 표기Nepali Sena
본부카트만두
지휘부
최고 사령관람 찬드라 파우델 대통령
최고 사령관 직함최고 사령관
국방부 장관만비르 라이
국방부 장관 직함국방부 장관
참모총장아쇽 라지 시그델 대장
참모총장 직함육군 참모총장
병력
징병제없음
가용 인구15,140,727명
복무 가능 인구11,649,090명
현역 병력98,500명 (2023년)
예비군82,000명
재정
예산4억 4천만 달러 (2024년)
GDP 대비 비율1.0% (2024년)
병참
해외 공급 업체




조직
군 종류네팔 육군
네팔 육군 항공단
역사
계급
계급네팔의 군 계급
기타 정보
징병 연령16–49세
군사비 (2017/2018)444억 루피 (약 4.16억 미국 달러, 예산의 3.47%)
GDP 대비 군사비 (2017)1.55%
해외 파병국제 연합 레바논 임시군 (UNIFL)

2. 최고사령부

네팔 잠정헌법 제144조는 네팔 대통령이 네팔 육군의 최고 사령관임을 명시하고 있다.[3] 현재 네팔 육군의 최고 사령관은 2023년 3월 13일에 취임한 람찬드라 파우델 네팔 대통령이다.

1990년 헌법 제119조는 국왕을 왕립 네팔 육군의 최고 사령관으로 규정했으나, 2006년 네팔 민주화 운동 이후 잠정헌법으로 대체되면서 국왕은 군대 관련 직책에서 제외되었다. 2008년 5월 28일, 군주제는 공식적으로 폐지되었고 네팔은 공화국으로 선포되었다.

1990년 헌법에서는 지휘권이 국왕에게 있다고 명시되었으나, 현재는 총리, 국방장관, 육군참모총장으로 구성된 군사평의회가 설치되어 군 최고 지휘권은 대통령에게 있다.

3. 국방회의

네팔의 임시헌법 제145조는 국방회의를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총리, 국방장관, 내무장관 및 총리가 임명하는 다른 세 명의 장관으로 구성되며, 네팔군의 동원, 작전 및 사용에 관한 권고를 내각에 한다. 내각의 권고에 따라 대통령은 네팔군의 동원, 작전 및 사용을 승인한다.

1990년 네팔 왕국 헌법을 대체하기 전 임시헌법에는 1990년 헌법에 국방회의에 대한 조항이 있었다. 이 회의는 총리, 국방장관, 육군참모총장 세 명으로 구성되었다. 헌법에 따라 국왕(최고사령관)은 이 회의의 권고에 따라 "왕립 네팔군을 운용하고 사용"했다.[9]

4. 역사

18세기 네팔 통일 전쟁에서 네팔군은 여러 전투를 치렀다. 이러한 전투들은 왕실 네팔군이 더 많은 경험을 쌓고 네팔 통일을 돕는 데 기여했다. 1763년 미르 카심과의 전투에서 네팔군은 500정의 소총과 대포 2문을 노획하고, 이를 바탕으로 스리나트, 칼리복스, 바르다 바하두르, 사부즈의 4개 정규 부대를 창설하여 네팔 왕립군의 체계적인 조직 역사가 시작되었다.[4] 네팔군은 게릴라 전술을 활용하여 수적으로 우세한 미르 카심의 군대를 격파하고, 1,700명의 적군을 사살하는 전과를 올렸다.[4]

1814년부터 1816년까지는 영국과 전쟁을 치렀고, 제1차 네팔-티베트 전쟁에서는 티베트와 화폐, 망명, 소금 무역 문제 등으로 갈등을 겪었다. 네팔은 케룽과 쿠티 두 축선을 통해 티베트를 공격하여, 티베트는 네팔에 매년 5만인도 루피의 은화를 공물로 바치기로 하는 케룽 조약을 체결했다. 라수와 가디와 티무레는 이 전쟁에서 중요한 기지 역할을 했다. 이후 네팔-티베트/중국 전쟁과 네팔-티베트 전쟁을 치렀다.

네팔 통일 전쟁 시기에는 다음과 같은 전투들이 있었다.



그 외 청나라-네팔 전쟁, 영국-네팔 전쟁, 네팔-티베트 전쟁이 있었다.

세포이 항쟁 (인도의 1857년 항쟁)에서 영국군을 지원했고,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연합국군으로 참전 (1914년-1918년)했다. 와지리스탄 전쟁(영국령 인도)에서 영국군을 지원 (1910년대)했고, 제3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영국군을 지원 (1919년)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연합국군으로 참전했고, 인도 하이데라바드 藩王国 평정에서 인도 정부를 지원 (1948년)했다. 1974년, 국내·캠퍼스 무장 해제 (중국-티베트 분쟁의 영향)를 했다.

네팔 내전 (1996년-2006년)에서 마오쩌둥 사상을 따른 세력과 내전을 벌였다. 국제연합의 정전 감시에는 일본자위관 6명을 파병(2007년~2011년)했다.[13]

2011년 11월 주요 정당 간의 합의에 따라 네팔군은 과거 적대 관계였던 마오이스트 게릴라 조직인 네팔 인민해방군과의 통합을 시작했다. 1차 분류 작업에는 약 17,000명이 참가했지만, 최종적으로 1,442명이 네팔 국군에 통합되었다. 이들은 비전투원으로서 인프라 건설, 산림 보호, 재난 구호 등의 분야에서 일하게 되었다.[11]

4. 1. 네팔 통일 전쟁

18세기 네팔 통일 전쟁에서 네팔군은 여러 전투를 치렀다. 이러한 네팔 통일 전투는 왕실 네팔군이 더 많은 경험을 쌓고 네팔 통일을 돕는 데 기여했다.

  • '''미르 카심과의 전투''' - 1763년


마카완푸르 요새는 네팔인들에게 역사적, 군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1763년 네팔군이 이곳에서 미르 카심의 우세한 병력을 격파하고 500정의 소총과 대포 2문을 빼앗았다.[4] 이후 이 무기들은 네팔군에 사용되었고, 스리나트(Srinath), 칼리복스(Kalibox), 바르다 바하두르(Barda Bahadur)(바르다바히니(Bardabahini)), 사부즈(Sabuj)라는 4개의 정규 부대가 창설되었다. 몇 달 후에는 (푸라노) 고락(Gorakh) 부대가 창설되었다. 이는 네팔 왕립군의 체계적인 조직 역사의 시작을 알리는 최초의 병영 시스템이었다. 미르 카심 군대와의 전투는 네팔 왕립군이 외세와 벌인 최초의 전투였다.[4]

난두 샤(Nandu Shah) 사르다르는 400명의 병력, 몇 정의 소총, 다누(Dhanu), 쿠크리(Khukuri), 탈워르(Talwar), 구야트로(Ghuyatro) 등의 전통적인 자체 제작 무기를 가지고 마카완푸르 요새 사령관을 맡았다. 그들은 적을 기습하기 위해 여러 가지 게릴라 전술을 고안했다. 야간 작전을 위한 기습 공격 기지가 타플라카르(Taplakhar) 산등성이에 설치되었다.[4]

반면 미르 카심의 유명한 전사인 구르긴 칸(Gurgin Khan)은 대포, 소총, 탄약과 매우 우수한 물류 지원을 받는 약 2,500명의 병력을 이끌고 사령관을 맡았다. 그들의 공격 기지는 마카완푸르 가디(Makawanpur Gadhi) 언덕 아래에 있었다. 그들은 야간 공격을 계획했다. 1762년 12월 적의 대규모 병력이 행군하여 1763년 1월 하르나마디(Harnamadi)에 도착했을 때, 그들은 모든 지역 주택이 이미 비어 있고 식량이 부족한 것을 발견했다. 마카완푸르 가디는 하르나마디 지역에서 약 9km 산 위에 있는 산꼭대기에 위치해 있었다. 네팔군이 도중의 모든 요새를 점령했음에도 불구하고 적은 처음에 그들을 마카완푸르 가디 지역으로 밀어붙였다.[4]

약 300명의 적군이 1763년 1월 20일 강력한 공격을 가하여 네팔군을 더욱 수세로 몰아넣었다. 그러나 그들이 타플라카르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을 때, 카지 밤샤라즈 판데(Vamsharaj Pande)가 하강 공격을 이끌고, 카주 나하르시그 바스냐트(Kaju Naharsigh Basnyat)가 아래에서 상승 공격을 이끌고, 난두 샤가 정면 공격을 이끌면서 그들은 완전히 기습을 당했다. 이 세 명의 원활한 조정은 이미 전투 경험이 풍부한 병력을 이끌고 밤의 어둠 속에서 혼란에 빠진 적을 흩어지게 만들었다. 약 1,700명의 적군이 사망했고, 네팔군은 30명의 사상자를 냈다. 네팔군은 500정의 소총과 대포 2문, 그리고 다른 군사 장비들을 노획했다. 더 중요한 것은 이 전투가 네팔 왕립군의 체계적인 조직의 시작을 가져왔다는 점이다.[4]

  • 파우와 가디 전투 - 1767년
  • 카트만두 전투 - 1768년
  • 파탄 전투 - 1768년
  • 박타푸르 전투 - 1769년

  • 제1차 네팔-티베트 전쟁


말라 왕조가 멸망 직전 불순한 은화를 주조하기 시작하면서 네팔과 티베트의 관계가 악화되기 시작했다. 티베트는 순은화로 교체할 것을 요구했다. 프리트비 나라얀 샤가 권력을 잡자 티베트의 요구를 받아들이면 큰 손실을 보게 될 것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의 조기 사망으로 인해 이 문제는 해결되지 못한 채 남았다. 미성년 왕 라나 바하두르 샤의 섭정이었던 왕대비 라젠드라 락슈미는 1888년 정점에 달한 화폐 문제를 상속받았다. 네팔-티베트 관계의 또 다른 불화는 네팔이 시야마르파 라마와 그의 티베트 추종자 14명에게 피난처를 제공하기로 한 결정이었다. 그는 종교적, 정치적 이유로 티베트에서 네팔로 도망쳤다. 또 다른 갈등의 원인은 티베트가 네팔에 제공한 품질이 낮은 소금이었다. 당시 모든 소금은 티베트에서 수입되었다. 티베트는 네팔의 최후통첩을 무시했고, 이는 전쟁 준비를 촉진시켰다. 네팔은 곧 다방향 공격을 시작할 준비를 하고 있었다.[4]

'''케룽 축선:''' 카지 발바드라 샤는 케룽 축선에서 공세 공격의 주요 사령관이었다. 카지 키르티만 싱 바스냐트, 사르다르 아마르 싱 타파, 그리고 카파르다르 보투 판데는 그의 부하 사령관들이었다. 이 작전에는 약 6,000명의 병력과 3,200명의 짐꾼이 파견되었다. 그들의 주요 목표는 케룽을 통해 디르가차를 점령하는 것이었다. 발바드라 샤가 중병에 걸리면서 병력의 행군이 지연되었다. 그들은 1788년 7월 20일 케룽을 통과하여 1788년 8월 3일 슝가를 점령했다. 카파르다르 보투 판데는 티베트인들에게 사로잡혔다. 네팔군은 2,000명의 병력으로 증원되었고, 카파르다르 보투 판데는 1788년 10월 14일 티베트인들로부터 풀려났다.[4]

'''쿠티 축선 (I):''' 슈리 크리슈나 샤가 사령관이었고, 카지 라나지트 판데, 사르다르 파라스 반다리, 대위 하르사 판타, 대위 나하르싱 바스냐트, 대위 시바 나라얀 카트리가 그의 부하 사령관들이었다. 공세 작전에는 약 5,800명의 병사와 3,000명의 짐꾼이 배치되었다. 나중에 카지 아빔만싱 바스냐트와 라나지트 쿤와르도 이 공세에 합류했다. 달라이 라마는 기습을 당했고, 그의 주권을 보호하기 위해 서네팔 줌라의 왕 소반 샤히에게 군사적 지원을 요청하여 줌라와 그 주변에서 네팔군에 대한 게릴라 활동과 반란을 일으키도록 요청하는 병렬적인 접근 방식을 시작했다. 소반 샤히는 훔라에서 반란을 일으켜 일부 요새를 점령했다. 달라이 라마는 청나라 황제에게도 군사적 지원을 요청했다. 또한 그 자신과 디르가차의 판첸 라마는 동인도 회사에 군사 지원을 요청하는 비밀 편지를 썼다. 티베트인들은 또한 티그리 계곡을 통과하는 새로운 도로를 건설하고 전선에 주둔지를 설치했다는 선전을 시작했다. 그들은 또한 12만 5천 명의 군대를 소집했다는 소문을 퍼뜨렸다. 그러나 티베트인들은 줌라, 중국 또는 동인도 회사로부터 아무것도 얻지 못했다.[4]

'''쿠티 축선 (II):''' 카지 다모다르 판데는 봄 샤, 데브 닷타 타파 등의 부하 사령관들과 함께 그의 병력을 이끌었다. 그는 약 4,000명의 병력을 받았고 그의 목표는 쿠티 축선을 통해 디르가차를 점령하는 것이었다. 네팔군은 히말라야를 넘어 1788년 6월 초창과 쿠티를, 1788년 8월 3일 시카르종을 많은 어려운 물류적 제약에도 불구하고 점령했다. 나중에 바하두르 샤는 일부 증원군을 제공하고 일부 물류 체계를 개선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것은 충분하지 않았고 진전이 느렸다. 네팔군이 쿠티와 케룽 양쪽을 통해 디르가차를 점령하려고 할 때, 티베트인들은 네팔 사령관들과 타협하기 시작했다. 바하두르 샤는 협상을 시작하여 궁극적으로 해결책에 도달했다. 포로들은 티베트인들에게 인도되었다. 티베트는 네팔에 매년 5만인도 루피의 은화를 공물로 지불할 준비가 되었고, 1789년 6월 2일 케룽에서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 조약은 역사가들에 의해 ‘케룽 조약’으로 불린다. 라수와 가디와 티무레는 제1차 네팔-티베트 전쟁에서 확고한 기지였다. 샤브루 베시와 라수와 가디는 이 전쟁에서 전략적 요충지였다. 마찬가지로 리스티와 두구나 마을은 티베트에 대한 공세 작전의 주요 기지였다. 그들은 네팔 왕실군의 최전방 보급 장소였다. 라수와 가디와 두구나 가디 요새가 당시 건설되지는 않았지만, 그 장소 자체는 군사적 중요성 때문에 중요했다.[4]

4. 2. 주요 전투

1763년 미르 카심과의 전투에서 네팔군은 500정의 소총과 대포 2문을 노획하고, 이를 바탕으로 스리나트, 칼리복스, 바르다 바하두르, 사부즈의 4개 정규 부대를 창설했다. 이는 네팔 왕립군의 체계적인 조직 역사의 시작이었다.[4] 네팔군은 게릴라 전술을 활용하여 수적으로 우세한 미르 카심의 군대를 격파하고, 1,700명의 적군을 사살하는 전과를 올렸다.[4]

1767년 파우와 가디 전투가 있었다.

1814년부터 1816년까지 영국과의 전쟁을 치렀다.

제1차 네팔-티베트 전쟁에서 네팔은 티베트와의 화폐 문제, 시야마르파 라마의 망명 문제, 소금 무역 문제 등으로 갈등을 겪었다. 네팔은 케룽과 쿠티 두 축선을 통해 티베트를 공격했다.

  • '''케룽 축선:''' 발바드라 샤가 지휘하는 네팔군은 케룽을 거쳐 슝가를 점령했다.
  • '''쿠티 축선:''' 슈리 크리슈나 샤와 다모다르 판데가 각각 지휘하는 네팔군은 쿠티를 거쳐 시카르종을 점령했다.


티베트는 네팔에 매년 5만 루피의 은화를 공물로 바치기로 하는 케룽 조약을 체결했다. 라수와 가디와 티무레는 이 전쟁에서 중요한 기지 역할을 했다.

이후 네팔-티베트/중국 전쟁과 네팔-티베트 전쟁을 치렀다.

네팔 통일 전쟁 시기에는 다음과 같은 전투들이 있었다.

그 외 청나라-네팔 전쟁, 영국-네팔 전쟁, 네팔-티베트 전쟁이 있었다.

세포이 항쟁 (인도의 1857년 항쟁)에서 영국군을 지원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연합국군으로 참전 (1914년-1918년)했다.

와지리스탄 전쟁(영국령 인도)에서 영국군을 지원 (1910년대)했다.

제3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영국군을 지원 (1919년)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연합국군으로 참전했다.

인도 하이데라바드 藩王国 평정에서 인도 정부를 지원 (1948년)했다.

1974년, 국내·캠퍼스 무장 해제 (중국-티베트 분쟁의 영향)를 했다.

네팔 내전 (1996년-2006년)에서 마오쩌둥 사상을 따른 세력과 내전을 벌였다. 국제연합의 정전 감시에는 일본자위관 6명을 파병(2007년~2011년)했다.[13]

4. 3. 외세와의 관계

네팔군은 국경을 접한 인도, 중국 및 국제 사회와의 관계를 중시하고 있으며, 2017년 4월 수도 카트만두에서 최초의 합동 군사 훈련을 실시했다. 인도미국과는 이미 합동 훈련을 실시한 바 있다.[12]

네팔군은 다음과 같이 외세와 관계를 맺어왔다.

4. 4. 국내 작전

1974년, 왕립 네팔 육군(RNA)은 네팔 영토를 이용하여 중국군에 대한 게릴라전을 벌이던 티베트 캄파들을 무장해제하기 위해 동원되었다. 캄파들은 네팔 북서부 무스탕에 비밀 기지를 설립하고 그곳에서 중국을 공격하고 있었다. 중국과 국제 사회의 엄청난 외교적 압력을 받은 네팔 정부는 무스탕에 있는 캄파 기지로 9개의 왕립 네팔 육군 보병 부대를 이동시켜 무장 해제하고 항복하거나 그에 따른 결과를 감수하라는 최후통첩을 보냈다. 항복 조건은 네팔 시민권, 토지, 그리고 일정 금액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캄파 지휘관 왕 디는 항복에 동의했지만 결국 캠프에서 도망쳤다. 그는 나중에 네팔 경찰서를 약탈하려다가 네팔 서부 도티에서 왕립 네팔 육군 부대에 의해 사살되었다. 이는 왕립 네팔 육군이 국내에서 이처럼 대규모로 동원된 최초의 사례였다.[13]

5. 국제 평화 유지 활동

네팔 UN 평화유지군


2021년 MONUSCO의 네팔 대대 소속 여성 평화유지군 (콩고민주공화국, 두구)


IMI 갈릴 계열 소총을 들고 대기 중인 네팔 신속대응부대(QRF) 대원


네팔군은 국제연합 평화유지활동(PKO)에 활발히 참여하고 있다. 1958년 유엔 레바논 관측단에 군사 감시단을 파견한 것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42개 임무에 참여했으며, 60,652명이 넘는 군인을 파병했다.[1] 특히 아프리카 지역의 평화와 안정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현재 유엔에 두 번째로 많은 병력을 제공하는 국가이다.[1] 네팔군은 유엔 평화유지 임무 중 사망 54명, 중상 57명등 어려운 작전에도 참여하며 희생도 겪었다.[1]

5. 1. 주요 참여 활동



네팔 육군은 1958년 유엔 레바논 관측단 소속으로 중동 레바논에 군사관측원 5명을 파병하면서 유엔 평화유지 활동을 시작했다.[1] 1974년에는 최초의 네팔 부대인 푸라노 고라크 대대가 이집트에 파병되었다.[1] 이후 50년 동안 네팔군은 42개의 네팔 육군 참여 유엔 평화유지 활동에 참여했으며, 최근에는 리비아의 UN스밀(UNSMIL)에 60,652명이 넘는 군인들이 파병되었다.[1] 네팔군은 사령관, 군사 부대, 군사 관측원, 참모 장교 등 다양한 형태로 유엔 평화유지 활동에 기여해왔다.[1]

네팔군은 어려운 작전에도 참여하며 희생도 겪었다. 현재까지 유엔 평화유지 임무 중 사망한 네팔 육군 병력은 54명이며, 57명이 중상을 입었다.[1]

네팔 육군은 특히 아프리카의 평화와 안정을 보장하는데 크게 공헌했다. 장기간 대규모 병력을 파병할 수 있는 역량을 보여주었으며, 현재 유엔에 두 번째로 많은 병력을 제공하는 국가(TCC)로 평가받고 있다.[1]

주요 공헌은 다음과 같다.

  • 레바논 임시 유엔군(UNIFIL)[1]
  • 유엔 보호군(UNPROFOR), UNOSOMII, 유엔 소말리아 작전 2[1]
  • 유엔 아이티 지원단(UNMIH), UNMIH[1]
  • UNAMSIL – 현재 네팔은 시에라리온(UNAMSIL)에 800명 규모의 대대를 파병하고 있다.[1]
  • UNMIS – 네팔 육군은 유엔 수단 임무에 200명 규모의 보호 중대를 파병했다.[1]
  • RCHQ – 카사라(KASSALA)의 RCHQ는 네팔군이 운영하고 있다.[1]
  • UNMISET – 동티모르(티모르-레슈테)의 유엔 임무[1]
  • MINUSTAH – 유엔 아이티 임무[1]
  • UNDOF[1]

6. 대외 군사 관계

네팔군은 미국, 인도, 중국 등 여러 국가와 군사적 관계를 맺고 협력하고 있다.

6. 1. 미국과의 관계

미국과 네팔의 군사 관계는 민주적 제도에 대한 지원, 군의 민간 통제 및 인권 존중을 포함한 전문적인 군 윤리에 중점을 두고 있다. 두 국가는 수년 동안 광범위한 접촉을 해왔다. 네팔 육군 부대와 네팔 육군 항공대 부대는 아이티, 이라크, 소말리아 등지에서 미군과 함께 훌륭하게 복무했다.[1]

미국과 네팔의 군사 협력은 오늘날에도 IMET, 국제 평화유지 능력 강화(EIPC) 및 다양한 회의와 세미나를 통해 계속되고 있다. 미군은 많은 네팔 육군 장교를 미국으로 보내 지휘참모대학과 미 육군 사관학교와 같은 군사 교육을 받도록 한다. 2001 회계연도 IMET 예산은 22만달러였다.[1]

EPIC 프로그램은 국제 평화유지군의 규모를 늘리고 상호 운용성을 증진하기 위한 국방부와 국무부 간의 기관 간 프로그램이다. 네팔은 EPIC 기금으로 약 190만달러를 받았다.[1]

미국 태평양 사령부 사령관(CDRUSPACOM)은 방위협력처(ODC)를 통해 네팔과의 군사 협력을 조정한다. ODC 네팔은 카트만두에 있는 미국 대사관에 있다.[1]

6. 2. 중국 및 인도와의 관계

인도는 2005년 2월 갸넨드라 국왕이 권력을 장악한 후 군사 원조를 중단했으나, 이후 네팔에 대한 군사 원조를 재개하기로 합의했다.[5] 2009년, 중화인민공화국은 네팔에 1억네팔 루피 상당의 군사 원조를 약속했다.[5]

1950년 이후로 네팔 육군참모총장은 양국 군대 간의 상호 우호적인 관계를 반영하여 인도 육군참모총장 명예직을 수여받고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6][7]

네팔은 국경을 접하고 있는 인도, 중국 및 국제 사회와의 관계를 중요하게 여기고 있으며, 2017년 4월 카트만두에서 최초의 합동 군사 훈련을 실시했다. 인도와 미국과는 이미 합동 훈련을 실시한 경험이 있다.[12]

7. 조직

네팔군은 징병제이며 해군공군이 없다. 네팔 육군과 네팔 무장 경찰대 둘 뿐이다. 네팔 육군 항공대가 육군의 지원에 필요한 항공 임무를 수행한다. 2011년 네팔의 국방예산은 2.07억달러이다.

내륙국이기 때문에 해군을 보유하지 않으며, 독립된 공군도 없다(en:Nepalese Army Air Service 참조). 왕정 시대에는 '''네팔 왕립 육군'''(Royal Nepal Army)이라고 불렸다. 한편, 육군과 독립적으로 무장경찰대가 있으며 치안을 담당하고 있다.

2008년 현재, 네팔 육군은 약 95,000명의 병력을 보유하고 있다. 각 지역에 배치된 6개 사단, 항공여단, 공수여단, 치안여단의 독립 3개 여단으로 구성된다.

모병제이며, 군 등록은 18세부터 가능하다. 2017년 통계에 따르면 네팔의 군사 예산은 4.16억달러이며, GDP 대비 1.55%이다.[9][10] 무기와 장비의 대부분은 인도에서 수입하고 있다. 1990년 헌법에서는 지휘권이 국왕에게 있다고 명시되었으나, 현재는 총리, 국방장관, 육군참모총장으로 구성된 군사평의회가 설치되어 군 최고 지휘권은 대통령에게 있다.

네팔 육군은 6개의 사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육군항공대를 포함한 부대로 구성된다. 네팔 육군의 지휘 체계는 다음 8개 사단으로 나뉜다.

사단 명칭설명
원거리 서부 사단"Bhakti Nai Sakti Ho"라는 모토를 가진 원거리 서부 사단 사령부는 2004년 7월 5일(2061년 아샤드 21일) 디파얄의 아름다운 지역에 설립되었다. 이 사단의 기는 2005년 5월 1일(2062년 바이삭 18일)에 게양되었다.
북서부 사단"Sadaiba Samarpit Desh Prati"라는 모토를 가진 북서부 사단 사령부는 2001년 11월 29일(2058년 망시르 14일) 반케 네팔군즈에 서부 사단이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다. 서부 사단은 2005년 10월 23일(2062년 카르틱 6일) 중서부 사단으로 이름이 바뀌고 수르케트 트리부반 사이닉 시비르로 이전되었다. 중서부 사단은 2017년 7월 16일(2074년 샤라완 1일) 수르케트 니마레 병영에서 다시 조직되어 북서부 사단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서부 사단"Rakshya Nai Dharma Ho"라는 모토를 가진 서부 사단 사령부는 2003년 2월 13일(2059년 팔군 1일) 카스키 포카라에 중앙 사단으로 설립되었다. 중앙 사단은 2004년 9월 17일 현재의 서부 사단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중동부 사단"............."라는 모토를 가진 중동부 사단은 ........... (...........)에 다나샤 다라파니에 중동부 사단이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다. ................
중부 사단"Atal Bhakti Desh Prati"라는 모토를 가진 중부 사단 사령부는 2004년 11월 16일(2061년 마르가 1일) 헤타우다에 설립되었다.
계곡 사단"Shanti Surakshya Sarbada"라는 모토를 가진 계곡 사령부는 2003년 5월 19일(2060년 제스타 5일)에 설립되었다. 나중에 2003년 12월 13일(2060년 포슈 15일) "계곡 사단 사령부"로 이름이 바뀌었다. 처음에는 사단 사령부가 카트만두 싱하 두르바르에 있었고 나중에 나라야니티 궁전으로 이전되었다.
동부 사단"Rastra Rakshya Param Kartabya"라는 모토를 가진 동부 사단 사령부는 2003년 1월 29일(2059년 마그 15일 B.S) 이타하리에 설립되었다.



네팔 육군 항공대는 6대의 수송기, 18대의 헬기를 보유하고 있다. 공군의 전투기, 해군의 잠수함, 구축함 등은 보유하지 않았다.

과거 국군과 적대 관계였던 마오이스트 게릴라 조직인 네팔 인민해방군과 통합할지 여부가 헌법회의에서 어려운 과제로 논의되었다. 2011년 11월 주요 정당 간에 군 통합 문제를 포함한 "7개 항의 합의"가 체결됨에 따라 군 통합 작업이 시작되었다. 당초 합의에서는 6,500명의 전투원을 네팔 국군에 통합하기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통합 방식이 "모욕적이다"라는 이유로 퇴역을 희망하는 사람이 많았고, 학력과 연령이 네팔 국군 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선발에서 제외된 사람이 있었기 때문에, 1차 분류 작업에는 약 17,000명(그중 통합 희망자 약 9,500명)의 전투원이 참가했지만, 2차례의 분류 작업을 통해 최종적으로 장교 후보생 71명을 포함한 1,442명(여성 105명 포함)이 네팔 국군에 통합되었다.

이들 전투원들은 통합 후 계급이 결정되지 않은 채 2012년 11월 25일부터 네팔 국군 시설에서 9개월간의 훈련을 받았다. 전투원들은 네팔 국군에 새로 설치된 General Directorate of National Development, Forest Protection and Calamity Management(이 부대는 마오이스트 출신 전투원 35%, 정부 치안 부대원 65%로 구성됨)에 배속되어 비전투원으로서 인프라 건설, 산림 보호, 재난 구호 등의 분야에서 일하게 되었다. 계급 문제에 대해서는 2013년 3월 13일 주요 정당 간 합의에 따라 1명에게 대령, 2명에게 중령의 직책이 주어지게 되었다.[11]

국경을 접한 인도, 중국 및 국제 사회와의 관계를 중시하고 있으며, 2017년 4월 수도 카트만두에서 최초의 합동 군사 훈련을 실시했다. 인도와 미국과는 이미 합동 훈련을 실시한 바 있다.[12] 국제연합 평화유지활동(PKO)에도 많이 참가하고 있다.

8. 병력 및 장비

네팔군은 징병제이며, 2011년 기준 국방 예산은 2.07억달러였다. 네팔 육군은 해군공군이 없으며, 네팔 무장 경찰대와 함께 네팔의 군사력을 구성한다. 네팔 육군 항공대는 육군 지원에 필요한 항공 임무를 수행한다.[14]

무기와 장비는 대부분 인도에서 수입한다. 1990년 헌법에는 지휘권이 국왕에게 있다고 명시되었으나, 현재는 총리, 국방장관, 육군참모총장으로 구성된 군사평의회가 설치되어 군 최고 지휘권은 대통령에게 있다.

국경을 접한 인도, 중국 및 국제 사회와의 관계를 중시하며, 2017년 4월 수도 카트만두에서 최초의 합동 군사 훈련을 실시했다. 인도와 미국과는 이미 합동 훈련을 실시한 바 있다.[12] 국제연합 평화유지활동(PKO)에도 많이 참가하고 있다.

8. 1. 병력

네팔 육군은 2008년 기준 약 95,000명의 병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각 지역에 배치된 6개 사단과 항공여단, 공수여단, 치안여단의 독립 3개 여단으로 구성된다.[9] 모병제이며, 군 등록은 18세부터 가능하다.[9] 2017년 통계에 따르면 네팔의 군사 예산은 444억 루피(약 4.16억달러)이며, GDP 대비 1.55%이다.[10]

과거 국군과 적대 관계였던 마오이스트 게릴라 조직인 네팔 인민해방군과의 통합 문제는 헌법회의에서 어려운 과제로 논의되었다. 2011년 11월 주요 정당 간의 "7개 항의 합의"에 따라 군 통합 작업이 시작되었고, 당초 6,500명의 전투원을 네팔 국군에 통합하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통합 방식에 대한 불만과 학력, 연령 기준 미달 등의 이유로, 최종적으로는 장교 후보생 71명을 포함한 1,442명(여성 105명 포함)만이 네팔 국군에 통합되었다.[11]

통합된 전투원들은 2012년 11월 25일부터 9개월간의 훈련을 받고, 네팔 국군에 신설된 부서에 배속되어 비전투원으로서 인프라 건설, 산림 보호, 재난 구호 등의 분야에서 일하게 되었다.[11] 2013년 3월 13일 주요 정당 간 합의에 따라 이들 중 1명에게 대령, 2명에게 중령 직책이 주어졌다.[11]

8. 2. 장비

네팔군은 해군공군이 없으며, 네팔 육군과 네팔 무장 경찰대로 구성되어 있다. 네팔 육군 항공대는 육군 지원 항공 임무를 수행한다.[14] 네팔군은 징병제이며 95,000명 규모이고, 2011년 국방예산은 2.07억달러이다.[14]

네팔 육군은 6개 사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네팔 육군 항공대는 6대의 수송기와 18대의 헬기를 보유하고 있다. 전투기나 잠수함, 구축함 등은 보유하지 않았다.[14]

종류모델명수량
장갑정찰차페렛40대[14]
장갑병원수송차OT-64C8대[14]
장갑병원수송차WZ-5515대[14]
경장갑차캐스퍼90대[14]
경장갑차MPV150대[14]
경장갑차동풍 맹사?[14]
경장갑차CS/VN3C mod2?[14]
곡사포L118 105mm8문[14]
산포14문[14]
박격포M-43 120mm70문[14]
대공기관총56식(ZPU-4) 14.5mm30문[14]
대공기관포37mm?[14]
대공기관포보포스 L/60 40mm2문[14]
경수송기BN-2T 아이랜더1대[14]
경수송기CN235M-2201대[14]
경수송기M-28 스카이트럭3대[14]
훈련기PA-28 체로키2대[14]
다목적 헬기AW1391대[14]
VIP 수송 헬기벨 407GXP1대[14]
다목적 헬기드루브2대[14]
다목적 헬기랜서2대[14]
다목적 헬기Mi-17-1V 힙H3대[14]
다목적 헬기Mi-17V-5 힙2대[14]
다목적 헬기SA315B 라마1대[14]
다목적 헬기SA316B 알루엣 III2대[14]
수송 헬기SA330J 푸마1대[14]
수송 헬기AS350B2 에큐리얼2대[14]


9. 네팔 공산당 (마오이스트)과의 통합

과거 국군과 적대 관계였던 마오이스트 게릴라 조직인 네팔 인민해방군과의 통합 문제는 헌법회의에서 어려운 과제로 논의되었다.[11] 2011년 11월 주요 정당 간에 군 통합 문제를 포함한 "7개 항의 합의"가 체결됨에 따라 군 통합 작업이 시작되었다.[11] 당초 합의에서는 6,500명의 전투원을 네팔 국군에 통합하기로 되어 있었다.[11] 그러나 통합 방식이 "모욕적이다"라는 이유로 퇴역을 희망하는 사람이 많았고, 학력과 연령이 네팔 국군 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선발에서 제외된 사람이 있었기 때문에, 1차 분류 작업에는 약 17,000명(그중 통합 희망자 약 9,500명)의 전투원이 참가했지만, 2차례의 분류 작업을 통해 최종적으로 장교 후보생 71명을 포함한 1,442명(여성 105명 포함)이 네팔 국군에 통합되었다.[11]

이들 전투원들은 통합 후 계급이 결정되지 않은 채 2012년 11월 25일부터 네팔 국군 시설에서 9개월간의 훈련을 받았다.[11] 전투원들은 네팔 국군에 새로 설치된 General Directorate of National Development, Forest Protection and Calamity Management(이 부대는 마오이스트 출신 전투원 35%, 정부 치안 부대원 65%로 구성됨)에 배속되어 비전투원으로서 인프라 건설, 산림 보호, 재난 구호 등의 분야에서 일하게 되었다.[11] 계급 문제에 대해서는 2013년 3월 13일 주요 정당 간 합의에 따라 1명에게 대령, 2명에게 중령의 직책이 주어지게 되었다.[11]

10. 여성 군인

네팔 육군은 1961년부터 여성을 기술직으로, 2004년부터는 일반직으로 모집하기 시작했다. 2019년 기준으로 일반직에는 여성 준위, 부사관 및 기타 계급이 3,758명, 기술직에는 907명이 있었다. 일반직에는 여성 장교 183명, 기술직에는 여성 장교 214명이 있었다.[8]

11. 고르카 용병

네팔은 고르카 용사로 유명하다. 영국 육군인도 육군의 상당수는 네팔에서 모병된다. 이러한 관행은 영국 동인도 회사인도를 지배하던 시절, 회사 군대가 네팔을 침략하려다 패퇴한 데서 유래한다. 양측은 서로에게 깊은 인상을 받았고, 고르카 용사들은 동인도회사 군대에 모병되었다. 고르카 용사들은 1857년 세포이 항쟁 당시에도 충성을 지켰고, 그 후 인도 육군에 남았다. 1947년 인도 독립 후 일부 부대는 영국군으로, 일부는 인도군으로 배속되었으며, 세 나라 사이에 영국-인도-네팔 3자 협정이 체결되었다. 고르카 용사들은 정예 병력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들의 대표적인 무기는 쿠크리이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14-10-23
[2] 문서 IISS 2019
[3] 웹사이트 http://www.nepalnews[...] 2008-10-12
[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07-10-27
[5] 웹사이트 China pledges military assistance worth Rs100 million to Nepal http://www.phayul.co[...]
[6] 뉴스 Indian Army chief Gen. Manoj Pande conferred honorary title by Nepal's President Bhandari https://www.thehindu[...] 2023-07-25
[7] 뉴스 India confers honorary rank of General on Nepal Army Chief https://www.thehindu[...] 2023-07-25
[8] 웹사이트 WOMEN IN NEPALI ARMY https://www.nepalarm[...]
[9] 웹사이트 ネパール連邦民主共和国(Federal Democratic Republic of Nepal) 基礎データ 外交・国防 https://www.mofa.go.[...] 2019-03-28
[10] 보고서 CIA World Fact Book Military expenditures https://www.cia.gov/[...] 2017
[11] 저널 武装勢力から議会政党へ:ネパールにおけるマオイストの変貌 https://hdl.handle.n[...] 京都大学地域研究統合情報センター
[12] 뉴스 ネパールと中国、初の軍事演習…インドは反発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17-04-18
[13] 웹사이트 国際平和協力本部事務局(PKO) http://www.pko.go.jp[...] 内閣府ホームページ
[14] 서적 The Military Balance 2023: The International Institute for Strategic Studies Routledge 2023-02-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