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산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논산역은 충청남도 논산시에 있는 철도역이다. 1911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며, 한국 전쟁 중 역사가 소실되었다가 1965년에 재건되었다. 1988년 현재의 역사가 준공되었으며, 2004년 KTX 운행이 시작되었다. 현재 섬식 승강장 2면 4선으로 운영되며, KTX,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열차가 정차한다. 주변에는 논산시외버스터미널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논산시의 건축물 - 연산역 (논산)
충청남도 논산시에 있는 호남선 연산역은 1911년 영업을 시작한 보통역으로, 쌍섬식 승강장에서 무궁화호가 정차하며, 등록문화재인 급수탑과 철도문화체험장을 운영한다. - 논산시의 건축물 - 개태사역
개태사역은 호남선에 있는 역으로, 계룡역과 연산역 사이에 위치하며, 과거 광석신호장에서 개태사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고, 현재는 간이역으로 운영된다. - 충청남도의 철도역 - 웅천역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에 위치한 웅천역은 1931년 영업을 시작해 2021년 장항선 직선화로 고가역이 되었으며, 현재 무궁화호, ITX-새마을이 정차하는 2면 4선의 철도역이다. - 충청남도의 철도역 - 홍성역
충청남도 홍성군에 위치한 홍성역은 1923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2008년 역사 이전, 2024년 서해선 개통으로 서해선 주요 거점 역할을 수행하며, 장항선과 서해선 등 다양한 노선의 열차가 운행될 예정이다. - 논산시의 교통 - 연산역 (논산)
충청남도 논산시에 있는 호남선 연산역은 1911년 영업을 시작한 보통역으로, 쌍섬식 승강장에서 무궁화호가 정차하며, 등록문화재인 급수탑과 철도문화체험장을 운영한다. - 논산시의 교통 - 국도 제1호선
국도 제1호선은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연결되는 일반 국도로, 조선 시대부터 주요 도로로 이용되었으며, 여러 차례의 변화를 거쳐 현재 광주광역시,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서울특별시 등을 경유하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논산역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논산역 |
로마자 표기 | Nonsannyeok |
한자 표기 | 論山驛 |
위치 | 충청남도 논산시 반월동 |
주소 | 충청남도 논산시 해월로 236-12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역 등급 | 2급 |
노선 정보 | |
노선 | 호남선 |
구조 | 지상역 |
승강장 | 2면 |
선로 | 6선 |
영업 거리 | 대전조차장 기점 50.8 km |
연혁 | |
개업일 | 1911년 11월 10일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 비치역 |
인접 역 | |
이전 역 | 부황역 |
이전 역 거리 | 5.2 km |
다음 역 | 채운역 |
다음 역 거리 | 6.7 km |
기타 | |
관리역 | 서대전관리역 |
2. 역사
1911년 11월 15일 호남선의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한 논산역은 한국 전쟁으로 소실되었다가 1965년 5월 5일 재건되었다.[2] 1971년 9월 10일 무연탄 화물 도착역으로 지정되었고,[2] 1988년 12월 6일 현재 역사가 준공되었다. 2004년 4월 1일 KTX가 운행을 시작하였으나, 2015년 4월 2일 호남고속철도 개통으로 정차 횟수가 크게 줄었다. 2009년 4월 22일 강경역에서 철도이동관리반(TMO)이 이전되었고, 2009년 10월 31일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3] 2016년 12월 9일 누리로 운행을 시작하였으나 2020년 3월 1일 종료되었고, 2023년 9월 1일 ITX-마음이 운행을 시작하였다.
2. 1. 연혁
- 1911년 11월 15일 : 보통역으로 영업 개시
- 1950년 7월 25일 : 역사 소실[2]
- 1965년 5월 5일 : 역사 준공
- 1971년 9월 10일 : 무연탄 화물 도착역 지정[2]
- 1988년 12월 6일 : 현 역사 준공
- 2004년 4월 1일 : KTX 운행 개시
- 2009년 4월 22일 : 강경역으로부터 철도이동관리반(TMO) 이전
- 2009년 10월 31일 : 화물 취급 중지[3]
- 2015년 4월 2일 : 호남고속철도 개통으로 KTX 정차 횟수 대폭 감소
- 2016년 12월 9일 : 누리로 운행 개시
- 2020년 3월 1일 : 누리로 운행 종료
- 2020년 3월 2일 : 태백선 누리로 운행으로 호남선 1421, 1424, 1425, 1426열차는 무궁화호로 변경 운행 개시
- 2023년 9월 1일 : ITX-마음 운행 개시
2. 2. 한국전쟁과 논산역
1950년 7월 25일 한국 전쟁으로 인해 논산역이 소실되었다.[2]3. 역 구조
논산역은 2면 4선의 상대식 승강장 구조를 갖는 지상역이다.
3. 1. 승강장
논산역 승강장은 2면 4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운용된다.승강장 번호 | 운행 노선 | 열차 종류 | 행선지 |
---|---|---|---|
1 | 사용하지 않음 | ||
2 | 호남선 상행 | KTX | 행신, 서울, 용산, 천안아산, 오송, 서대전 방면 |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 용산, 영등포, 안양, 수원, 평택, 천안, 조치원, 서대전 방면 | ||
3 | 호남선, 전라선 하행 | KTX | 목포, 광주송정, 여수EXPO, 익산 방면 |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 목포, 광주 (서광주), 여수EXPO, 익산 방면 | ||
4 | 사용하지 않음 |
3. 2. 운행 열차
논산역은 2면 4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운용된다.승강장 번호 | 운행 노선 | 열차 종류 | 목적지 |
---|---|---|---|
1 | 사용하지 않음 | ||
2 | 상행 | KTX | 행신, 서울, 용산, 천안아산, 오송, 서대전 방면 |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 용산, 영등포, 안양, 수원, 평택, 천안, 조치원, 서대전 방면 | ||
3 | 호남선 전라선 하행 | KTX | 목포, 광주송정, 여수EXPO, 익산 방면 |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 목포, 광주 (서광주), 여수EXPO, 익산 방면 | ||
4 | 사용하지 않음 |
4. 역 주변
5. 인접한 역
한국철도공사 호남고속철도 KTX (서대전 경유)는 계룡과 익산 사이에 있다. 일반열차인 호남선은 연산역과 강경 사이에 있으며, 중간에 부황역과 채운신호장이 있다.
5. 1. KTX
호남선 KTX는 계룡에서 행신 방면 또는 용산 방면으로 운행되며, 익산에서는 전주 방면 또는 목포 방면으로 운행된다. 서대전과 김제 경유 KTX는 익산에서, 전라선 KTX는 여수엑스포 방면으로 운행된다.5. 2. 일반 열차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전라선전라선
전라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