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내무부 치안본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내무부 치안본부는 1974년 12월 31일 내무부 치안국을 폐지하고 설치되어 1991년 7월 30일 폐지될 때까지 존속한 기관이다. 치안본부는 치안총감이 본부장을 맡았으며, 여러 부서로 구성되어 경찰 업무를 수행했다. 1986년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미근동으로 청사를 이전했으며, 1991년 경찰청으로 개편되었다. 역대 본부장으로는 박현식, 장일훈, 김성주, 안응모, 이해구, 강민창, 조종석 등이 있다.
대한민국 내무부 치안본부는 내무부 직제 [대통령령 제7505호, 1974.12.31 전부개정]에 의거하여 설치되었다.
1974년 12월 31일 - 내무부 산하 치안국을 폐지하고 치안본부를 설치하였다.
대한민국 내무부 치안본부는 여러 부서로 구성되어 있었다.
치안본부장은 치안총감으로 보하였으며, 정무직 차관급이었다.
2. 설치 근거 및 소관 업무
3. 연혁
1986년 8월 1일 - 미근동 신축 청사(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미근동 209번지 / 현 통일로 97)로 이전하였다.
1991년 7월 30일 - 치안본부를 폐지하고 내무부의 외청으로 경찰청을 설치하였다.
4. 조직
1974년 12월부터 1986년 1월까지 대한민국 내무부 치안본부에는 제1부, 제2부, 제3부가 있었다. 1981년 7월에는 제4부가 신설되었다.
1986년 1월부터 1991년 7월까지 대한민국 내무부 치안본부에는 경무부, 경비부, 교통지도부, 대공부(1986년 6월 대공1부, 대공2부, 대공3부로 개편), 보안부, 보안부 소년과, 수사부, 인사교육부, 정보1부, 정보2부가 있었다. 1986년 1월부터 제1조정관, 제2조정관, 제3조정관, 제4조정관이 있었고, 1986년 6월 제5조정관이 신설되었다. 같은 기간 동안 치안감사관과 치안기획관이 존재했다. 1989년 8월부터 1990년 4월까지는 형사부가, 1990년 4월부터 1991년 7월까지는 강력부가 있었다.
4. 1. 1974년~1986년 조직
1974년 12월부터 1986년 1월까지 대한민국 내무부 치안본부에는 제1부, 제2부, 제3부가 있었다. 1981년 7월에는 제4부가 신설되었다.
4. 2. 1986년~1991년 조직
1986년 1월부터 1991년 7월까지 대한민국 내무부 치안본부에는 경무부, 경비부, 교통지도부, 대공부(1986년 6월 대공1부, 대공2부, 대공3부로 개편), 보안부, 보안부 소년과, 수사부, 인사교육부, 정보1부, 정보2부가 있었다. 1986년 1월부터 제1조정관, 제2조정관, 제3조정관, 제4조정관이 있었고, 1986년 6월 제5조정관이 신설되었다. 같은 기간 동안 치안감사관과 치안기획관이 존재했다. 1989년 8월부터 1990년 4월까지는 형사부가, 1990년 4월부터 1991년 7월까지는 강력부가 있었다.
5. 역대 본부장
공화국 대수 이름 임기 출신지 출신학교 비고 제 4 공화국 초대 박현식 1974년 12월 31일 ~ 1975년 5월 26일 황해 신천 육사 align="center" | 2대 장일훈 1975년 5월 26일 ~ 1976년 1월 12일 전남 강진 서울대학교&육군종합학교 제주도지사&산림청장&해양경찰대장 3대 김성주 1976년 1월 12일 ~ 1978년 12월 26일 부산 일본 메이지대 경남도지사&제9대 국회의원 4대 손달용 1978년 12월 26일 ~ 1980년 5월 2일 강원 삼척 조선대학교 align="center" | 5대 염보현 1980년 5월 28일 ~ 1980년 9월 9일 강원 철원 고려대학교 경찰대학 학장&경기도지사&서울특별시장&해양경찰대장 6대 유흥수 1980년 9월 10일 ~ 1982년 1월 5일 경남 합천 서울대학교 충남도지사&교통부 차관&제12·14·15·16대 국회의원 제 5 공화국 7대 안응모 1982년 1월 5일 ~ 1983년 4월 6일 황해 벽성 단국대학교 충남도지사&청와대 정무수석비서관&조달청장&국가안전기획부 차장&내무부 장관&한국자유총연맹 총재 8대 이해구 1983년 4월 6일 ~ 1984년 10월 10일 경기 안성 고려대학교 경기도지사&내무부 장관&제13·14·15·16대 국회의원 9대 박배근 1984년 10월 10일 ~ 1986년 1월 9일 경북 군위 서울대학교 대구직할시장&인천직할시장 10대 강민창 1986년 1월 9일 ~ 1987년 1월 21일 경북 안동 건국대학교 해양경찰대장,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으로 경질. 11대 이영창 1987년 1월 21일 ~ 1987년 5월 27일 경북 청도 동국대학교 제14대 국회의원&한국주택공사 이사장,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은폐 사실이 밝혀지며 경질. 12대 권복경 1987년 5월 27일 ~ 1988년 5월 20일 경남 합천 동아대학교 해양경찰대장 제 6 공화국 13대 조종석 1988년 5월 20일 ~ 1989년 5월 3일 충남 예산 건국대학교 제15대 국회의원 14대 김우현 1989년 5월 3일 ~ 1990년 6월 20일 경북 고령 영남대학교 경북도지사 15대 이종국 1990년 6월 20일 ~ 1991년 7월 31일 충남 공주 동국대학교 충남도지사
5. 1. 제4공화국
1974년 12월 31일부터 1982년 1월 5일까지 대한민국 내무부 치안본부장은 다음과 같다.5. 2. 제5공화국
제5공화국 시기 대한민국 내무부 치안본부장은 다음과 같다.5. 3. 제6공화국
대한민국 내무부 치안본부 제6공화국 시절, 13대 본부장 조종석(趙鍾奭)은 1988년 5월 20일부터 1989년 5월 3일까지 재임하였다. 충남 예산 출신으로 건국대를 졸업하고 제15대 국회의원을 역임하였다. 14대 본부장 김우현(金又鉉)은 1989년 5월 3일부터 1990년 6월 20일까지 재임하였다. 경북 고령 출신으로 영남대를 졸업하고 경북도지사를 역임하였다. 15대 본부장 이종국(李鍾國)은 1990년 6월 20일부터 1991년 7월 31일까지 재임하였으며, 충남 공주 출신으로 동국대를 졸업하고 충남도지사를 역임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