덱스트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덱스트란은 젖산균에 의해 수크로스에서 생성되는 다당류의 일종으로, 혈액의 점성 감소, 저혈량증 치료, 윤활제 등 다양한 의학적 및 산업적 용도로 사용된다. 1861년 루이 파스퇴르에 의해 미생물 생성물로 처음 발견되었으며, 1874년 쉴러블러에 의해 덱스트린과 유사한 물질로 밝혀졌다. 의학적으로는 항혈전제 및 혈량 증량제로 사용되며, 미세수술 및 안약에도 활용된다. 부작용으로는 아나필락시스, 급성 신부전 등이 있으며, 변형된 덱스트란 중합체 개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탄수화물 대사 경로에 관한 - 젖산 탈수소효소
젖산 탈수소효소(LDH)는 피루브산을 젖산으로 또는 그 역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로, 해당 과정과 코리 회로에서 작용하며, 5가지 동질효소 형태로 존재하고, 혈청 내 수치는 조직 손상 지표로 사용되며, 암세포 에너지 대사 및 유전 질환과도 관련되어 그 기능과 관련 질환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 탄수화물 대사 경로에 관한 - 당단백질
당단백질은 탄수화물이 단백질에 공유결합된 복합체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세포의 생물학적 과정에서 구조 유지, 물질 수송, 면역 반응, 세포 부착 및 인식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생체 분자이다. - 다당류 - 키틴
키틴은 절지동물의 외골격, 버섯류의 세포벽 등을 구성하는 질소를 함유한 다당류이며, 키토산으로 변환되어 생의학, 식품, 제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다당류 - 지모산
- 생화학에 관한 - 미토콘드리아 DNA
미토콘드리아 DNA(mtDNA)는 세포 호흡에 필수적인 유전 정보를 담고 있는 미토콘드리아 내의 이중 가닥 환상 DNA로서, 동물의 경우 약 16,000개의 염기쌍과 37개의 유전자로 구성되며, 모계 유전, 높은 돌연변이율, 질병 및 노화와의 연관성 등의 특징을 가진다. - 생화학에 관한 - 단백질
단백질은 아미노산 중합체로 생체 구조 유지와 기능에 필수적이며, 아미노산 서열에 따라 고유한 3차원 구조를 형성하여 효소, 구조, 수송, 저장, 수축, 방어, 조절 단백질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인체 내에서 건강 유지와 질병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필수 영양소이다.
덱스트란 | |
---|---|
일반 정보 | |
![]() | |
CAS 등록번호 | 9004-54-0 |
KEGG | C00372 |
UNII | 05Q25F6XJ3 |
특성 | |
화학식 | H(C6H10O5)xOH |
분자량 | 가변적 |
약리학 | |
ATC 코드 | B05AA05 |
위험성 |
2. 역사
1820년대부터 제당 공장의 시럽에서 점착성 물질이 알려져 있었다. 1861년 루이 파스퇴르는 이 물질이 미생물의 작용으로 생성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1874년 쉴러블러(Schiebler)는 이 물질이 포도당의 무수 중합체이며 덱스트린이나 녹말과 유사하다는 것을 밝혀내고 "덱스트란(dextran)"이라는 이름을 붙였다.[19]
제2차 세계 대전 중 스웨덴의 아르네 빌헬름 카우만 티셀리우스 연구팀은 혈장 동결건조 연구를 진행했다. 당시 대용 혈장으로 아라비아 고무 등이 사용되었지만 면역 반응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20] 티셀리우스는 제당 회사로부터 사탕무 추출물의 점성 불순물 때문에 정제용 여과기가 막힌다는 문제를 의뢰받았다. 조사 결과 불순물은 세균에 의해 생성된 덱스트란이었고, 생체 친화성이 뛰어나 대용 혈장으로 유망했다.[20] 1951년 파르마시아 사(Pharmacia AB)에서 대용 혈장제 Macrodex로 상품화했다.[20]
2. 1. 발견
루이 파스퇴르는 1861년에 포도주에서 미생물의 작용으로 생성되는 점액 물질을 발견했다. 1874년 쉴러블러는 이 물질이 포도당의 무수 중합체이며, 덱스트린이나 녹말과 유사하다는 것을 밝혀내고 "덱스트란(dextran)"이라는 이름을 붙였다.[19] 덱스트란은 치태에 많이 존재하며,[25] 수크로스(설탕) 정제 과정에서 수크로스 용액의 점도를 높이고 배관을 오염시키는 불순물로 작용한다.[26]2. 2. 대량 생산
알렌 진스가 세균을 이용한 공정을 개발한 이후에야 덱스트란의 대량 생산이 가능해졌다.[9] 현재 덱스트란은 유산균과(Lactobacillus)에 속하는 특정 유산균을 이용하여 자당으로부터 생산된다. 여기에는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와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 등의 종이 포함된다. 생성되는 덱스트란의 구조는 세균의 과, 종뿐만 아니라 균주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덱스트란은 에탄올을 사용해 단백질이 없는 추출물에서 분별 침전법으로 분리된다. 일부 세균은 프룩탄을 함께 생성하는데, 이는 덱스트란 분리를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5]3. 생성 방법
덱스트란은 현재 락토바실러스속의 특정 젖산균에 의해 수크로스로부터 생성된다.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및 충치균(''Streptococcus mutans'') 등이 사용된다.[26] 생성된 덱스트란의 구조는 세균의 종류와 균주에 따라 달라진다. 덱스트란은 단백질이 없는 추출물로부터 에탄올을 사용한 분별 침전에 의해 분리된다. 일부 세균은 프럭탄을 함께 생성하는데, 이는 덱스트란 분리를 복잡하게 할 수 있다.[26]
3. 1. 산업적 생산
산업적으로 유용한 덱스트란은 ''L. 메센테로이데스''가 생산하는 고분자 덱스트란을 부분적으로 가수분해하여 정제한 것이다.[18][19] 가지 구조가 적고, 전분이나 셀룰로스와 달리 냉수에 대한 용해도가 높다.4. 의학적 용도
덱스트란은 의학적으로 혈액의 점성을 낮추기 위한 항혈전제로 사용되며, 저혈량증에서 혈액량을 늘리는 증량제로 사용된다.[27] 덱스트란 70은 WHO 필수 의약품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28]
분자량이 큰 덱스트란은 혈관 밖으로 잘 빠져나가지 않는 강력한 삼투제이므로 저혈량증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 덱스트란 사용으로 혈액량이 증가하면 혈류가 개선되어 미세봉합기술의 개방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혈전증을 감소시킨다. 덱스트란은 3,000 Da ~ 2,000,000 Da 범위의 다양한 분자량으로 이용 가능하다. 큰 덱스트란(60,000 Da 이상)은 콩팥에서 제대로 배설되지 않으므로 대사될 때까지 몇 주 동안 혈액에 남아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덱스트란은 항혈전 및 콜로이드 효과를 연장시킨다. 덱스트란 40(분자량: 40,000 Da)은 항응고 요법에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정맥 내 주입 후 24시간 이내에 덱스트란 40의 70% 가까이가 소변으로 배설되고 나머지 30%는 몇 일 더 체내에 잔류한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스웨덴의 아르네 빌헬름 카우만 티셀리우스 연구팀은 혈장의 동결건조 연구를 진행했다. 당시 대용 혈장으로는 아라비아 고무 등이 사용되었지만 면역 반응을 유발하는 등 문제가 있었다.[20] 같은 시기 티셀리우스는 제당 회사로부터 사탕무 추출물에 포함된 점성 불순물 때문에 정제용 여과기가 막힌다는 의뢰를 받았다. 조사 결과 불순물은 혼입된 세균에 의해 생성된 덱스트란이라는 것이 밝혀졌고, 연구 목적으로 토끼에게 주사하여 항혈청을 만들려 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20] 덱스트란은 생체 친화성이 뛰어나 면역 반응을 유발하지 않았으므로 대용 혈장으로서 유망했다.[20] 1951년에 파르마시아 사(Pharmacia AB)에서 대용 혈장제 Macrodex로서 상품화되었다.[20]
4. 1. 미세수술
덱스트란 제제는 미세수술에서 혈관 혈전증을 줄이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덱스트란의 항혈전 효과는 적혈구, 혈소판 및 혈관 내피의 결합을 통해 매개되어 전기 음성도를 증가시켜 적혈구 응집 및 혈소판 접착성을 감소시킨다. 덱스트란은 또한 제8인자 폰 빌레브란트 인자를 감소시켜서 혈소판 기능을 감소시킨다.[20] 덱스트란 투여 후 형성된 혈병은 변경된 혈전 구조(피브린으로 보다 고르게 분포된 혈소판)로 인해 보다 쉽게 용해된다. α-2 항플라스민을 억제함으로써 덱스트란은 플라스미노젠 활성인자로 기능을 하므로 혈전용해 특성을 가지고 있다.4. 2. 기타 의학적 용도
덱스트란은 일부 안약에서 윤활제로 사용된다.[29] 또한 특정 정맥 내 유체에서 철(철 덱스트란으로 알려진 용액에서)과 같은 다른 인자를 용해시키기 위해 사용된다.덱스트란을 함유한 정맥 주사는 혈량 증량제 및 비경구 영양 수단으로 기능한다. 이러한 용액은 일단 체내에서 세포에 의해 포도당과 물로 소화되는 삼투성 중성 용액을 제공한다. 수혈할 수 없는 응급 상황에서 손실된 혈액을 대체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도 있지만,[30][31] 필요한 전해질을 공급할 수 없고 저나트륨혈증 또는 다른 전해질 이상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서 사용해야 한다.
덱스트란은 또한 혈당량을 증가시킨다.
5. 실험실적 용도
- 덱스트란은 생물학적 분자에 삼투압을 가하는 삼투 스트레스 기술에 사용된다.[32]
- 세파덱스와 같이 일부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매트릭스에도 사용된다.[32]
- 바이오리엑터 활용을 돕기 위해 비드 형태로 사용되어 왔다.[32]
- 바이오센서 고정에 사용된다.[32]
- 초기 엔도솜에 우선적으로 결합하며, 형광 표지된 덱스트란을 사용하여 형광 현미경으로 이들 엔도솜을 시각화할 수 있다.[32]
- 산화로부터 금속 나노입자를 보호하고 생체 접합성을 개선하기 위한 안정화 코팅으로 사용될 수 있다.[32]
- 플루오레세인 아이소싸이오사이아네이트와 같은 형광 분자와 결합한 덱스트란은 영상화를 위한 확산성 분자의 농도 기울기를 형성하고, 농도 기울기의 특성화를 허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32]
- 형광 표지된 덱스트란 용액은 혈관 투과성을 분석하기 위해 조작된 혈관을 통해 관류될 수 있다.[32][11]
- 산업적 세포 배양을 위한 마이크로캐리어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32]
- 경구 투여되는 덱스트란 황산나트륨은 염증성 장 질환 동물 모델에서 대장염을 유도하는 데 사용된다.[12]
- 세포 간 경로를 통해 장 흡수를 용이하게 하는 약물 제제의 잠재력을 시험하는 일반적인 모델 화합물이다.[13]
6. 부작용
덱스트란 사용과 관련된 부작용은 비교적 적지만, 부작용이 일어나면 매우 심각할 수 있다. 이러한 부작용으로는 아나필락시스[33], 혈액량 과부하, 폐부종, 뇌부종, 혈소판 기능 이상 등이 있다.
덱스트란 삼투 효과의 드물지만 중요한 합병증은 급성 신부전이다.[34] 이러한 신부전의 발병 기전은 사구체에 대한 직접적인 독성 효과가 제안된 메커니즘의 일부로서 많은 논쟁의 주제이다. 당뇨병, 만성 신부전, 혈관 장애 병력이 있는 환자가 가장 위험하다. 브룩스(Brooks) 및 다른 이들은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덱스트란 요법을 피할 것을 권장한다.
7. 연구 동향
변형된 덱스트란 중합체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 중 하나는 변형된 하이드록시기를 가진 아세탈을 가지고 있는데, 물에는 녹지 않지만 유기 용매에는 녹는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용매 증발 및 유화액과 같은 공정을 통해 PLGA와 같은 여러 폴리에스터와 동일한 방식으로 가공할 수 있다. 아세탈화 덱스트란은 아세틸화 덱스트란과는 구조적으로 다르다. 2017년을 기준으로 약물 전달을 위한 여러 용도가 시험관 내에서 연구되었으며, 일부는 동물 모델에서도 테스트되었다.[35][16]
8. 기타 용도
덱스트린과 유사한 물질이다. 치아에 생기는 치태(플라크)에도 포함되어 있으며, 의약품, 화장품, 사진 필름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21]
8. 1. 덱스트란 종류 (일본 자료 기반)
덱스트란은 의약품, 화장품, 사진 필름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21]다음은 주요 4가지 덱스트란이다.
참조
[1]
서적
The IUPAC Compendium of Chemical Terminology
[2]
논문
Functional Polymers Based on Dextran
[3]
논문
On the viscous fermentation and the butyrous fermentation
[4]
논문
Detection and preliminary studies on dextranase-producing microorganisms from human dental plaque
[5]
논문
Dextrans
[6]
웹사이트
19th WHO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April 2015)
https://www.who.int/[...]
WHO
2015-04-00
[7]
서적
Medical Surgical Nursing
Elsevier - Health Sciences Division
[8]
웹사이트
Tears Naturale - Summary of Product Characteristics (SmPC) - (eMC)
http://www.medicines[...]
[9]
웹사이트
Allene Rosalind Jeanes
http://humantouchofc[...]
Human Touch of Chemistry
2014-05-13
[10]
서적
The biographical dictionary of women in science
https://archive.org/[...]
Routledge
2000
[11]
논문
Engineering anastomosis between living capillary networks and endothelial cell-lined microfluidic channels
http://pubs.rsc.org/[...]
[12]
논문
Treatment of dextran sulfate sodium-induced murine colitis by intracolonic cyclosporin
https://link.springe[...]
[13]
논문
Improved paracellular uptake by the combination of different types of permeation enhancers
https://www.scienced[...]
2005-01-00
[14]
웹사이트
CosmoFer - Summary of Product Characteristics (SmPC) - (eMC)
http://www.medicines[...]
[15]
논문
Low molecular weight dextran: A continuing cause of acute renal failure
[16]
논문
Acetalated Dextran: A Tunable and Acid-Labile Biopolymer with Facile Synthesis and a Range of Applications
2017-02-00
[17]
서적
広辞苑第七版
岩波書店
2018-01-12
[18]
웹사이트
デキストラン
https://www.meito-sa[...]
[19]
논문
デキストラン
https://doi.org/10.1[...]
高分子学会
[20]
웹사이트
余談:製糖工場の夾雑物が代用血漿に化けました~デキストラン物語
https://www.cytivali[...]
Cytiva
[21]
웹사이트
医療用医薬品 : デキストラン
https://www.kegg.jp/[...]
[22]
웹인용
dextrans
https://goldbook.iup[...]
[23]
논문
Functional Polymers Based on Dextran
[24]
논문
On the viscous fermentation and the butyrous fermentation
[25]
논문
Detection and preliminary studies on dextranase-producing microorganisms from human dental plaque
[26]
논문
Dextrans
[27]
서적
Medical Surgical Nursing
[28]
웹인용
19th WHO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April 2015)
http://www.who.int/m[...]
WHO
2015-04-00
[29]
웹인용
Tears Naturale - Summary of Product Characteristics (SmPC) - (eMC)
http://www.medicines[...]
[30]
웹인용
Allene Rosalind Jeanes
http://humantouchofc[...]
Human Touch of Chemistry
[31]
서적
The biographical dictionary of women in science
https://archive.org/[...]
Routledge
2000
[32]
논문
Engineering anastomosis between living capillary networks and endothelial cell-lined microfluidic channels
http://pubs.rsc.org/[...]
[33]
웹인용
CosmoFer - Summary of Product Characteristics (SmPC) - (eMC)
http://www.medicines[...]
[34]
논문
Low molecular weight dextran: A continuing cause of acute renal failure
[35]
논문
Acetalated Dextran: A Tunable and Acid-Labile Biopolymer with Facile Synthesis and a Range of Applications
2017-02-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