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적질하지 말지니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둑질하지 말지니라"는 십계명 중 하나로, 고대 사회부터 현대 사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교 및 윤리적 관점에서 해석되고 논의되는 주제이다. 히브리 성경에서는 납치와 노예 매매를 금지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사유 재산권 보호와 관련된 다양한 규율과 처벌을 제시한다. 유대교는 도둑질 금지 외에도 재산 보호와 관련된 여러 계율을 포함하며, 기독교는 훔치지 말라는 계명을 강조하며 물질적인 소유보다 하나님을 믿는 것을 중요하게 여긴다. 종교 개혁가들은 이 계명을 사유 재산 보호와 정직한 거래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해석했다. 현대 사회에서는 법률적, 사회적, 윤리적인 측면에서 도둑질의 문제점을 다루며, 정의, 공정성, 경제적 불평등, 재산권 보호와 사회적 책임 등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가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절도 - 도굴
    도굴은 문화재의 기원을 알 수 없게 만드는 범죄 행위로, 유적과 유물을 파괴하고 고고학적 정보를 훼손하며, 기술적, 법적, 사회적 노력을 통해 막으려 하지만 발굴과의 경계, 소유권 문제 등과 관련된 논쟁이 존재한다.
  • 절도 - 도벽
    도벽은 개인적 사용이나 금전적 이득 없이 물건을 훔치려는 충동을 억제하지 못하는 충동 조절 장애로, 절도 직전 긴장감 고조와 행위 후 만족감을 느끼며, 다른 정신 질환과 동반되는 경우가 많고,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약물 및 인지 행동 치료가 활용된다.
  • 십계명 - 십계 (1923년 영화)
    1923년 세실 B. 드밀이 감독한 무성 영화 《십계》는 모세의 십계명에 대한 고대 이야기와 십계명을 어기는 현대 이야기로 구성되어 웅장한 스케일과 시각 효과로 화제를 모으며 흥행에 성공했으며, 이후 1956년 드밀에 의해 리메이크되었다.
  • 십계명 - 더 텐
    《더 텐》은 십계명에서 영감을 받아 인간의 욕망과 도덕적 선택, 사회 문제 등을 코믹하게 풍자하는 2007년 미국의 코미디 영화이며, 여러 배우들이 출연했으나 비평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 성경의 어구 - 노아의 방주
    노아의 방주는 창세기에 기록된 대홍수로부터 노아의 가족과 동물들을 구원하기 위해 신의 명령으로 노아가 만든 배로, '테바'라고도 불리며 크기와 구조에 대한 논쟁과 아브라함계 종교에서 중요한 의미, 기원 및 상징적 의미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 성경의 어구 - 하느님의 나라
    하느님의 나라는 구약성서에서 기원하여 예수와 바울을 거쳐 기독교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다루어지며, 개혁주의는 이를 권능, 은총, 영광의 왕국으로 해석한다.
도적질하지 말지니라
성경 구절
성경출애굽기 20:15
개요
내용"도둑질하지 말라"는 십계명 중 하나이다.
기독교 관점
의미타인의 소유물을 존중하고 정당한 방법으로 재물을 얻어야 함을 의미한다.
적용 범위절도뿐 아니라 사기, 횡령, 불로소득 등 모든 형태의 부당한 이익 추구를 금지한다.
유대교 관점
의미개인의 재산권을 보호하고 사회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계명이다.
해석단순히 물건을 훔치는 것뿐만 아니라, 사람을 납치하는 것도 도둑질에 해당한다고 본다.

2. 고대 사회의 도둑질

고대 사회에서 도둑질은 생존을 위한 절박한 행위로 여겨지기도 했지만, 공동체의 질서를 위협하는 중대한 범죄로 간주되었다.

'훔치다'로 번역된 히브리어 ''그네바''는[10] 물질적인 소유물에 더 흔하게 적용되었다. 고대 히브리인들은 사유 재산권을 존중했으며, 다른 사람의 밭이나 포도원에서 가축이 풀을 뜯는 것과 같이 우발적인 경우에도 배상을 요구했다.[14] 배상은 요구될 수 있지만, 사형이라는 사법적 처벌은 없었다. 그러나 밤에 침입하여 거주자들이 더 큰 피해를 두려워할 합리적인 상황이 발생하면 도둑을 죽일 수도 있었다.

잠언에서 아굴은 주님께 가난하게도 부유하게도 하지 말아 달라고 요청하며, 가난이나 탐욕이 도둑질로 유혹할 수 있다고 두려워했다.[19] 잠언 9장 16절은 훔친 것은 달콤하고 은밀히 먹는 빵(음식)은 즐겁다는 생각은 어리석음으로 꾸짖는다.[20] 도둑의 동업자가 되는 것조차 자신의 생명을 미워하는 것으로 묘사된다.[21] 로마서에서 뇌물을 탐하는 소돔과 고모라의 통치자들은 혐오스럽고 그들의 국가 전체를 부패시키는 것으로 묘사된다.[22]

잠언은 배고픔을 채우기 위해 훔치는 도둑에 대한 피해자의 반응과 간통에 대한 질투심 많은 남편의 반응을 대조한다. 도둑은 비록 집의 모든 재산을 지불해야 할지라도 피해자에게 멸시받지 않지만, 질투심 많은 남편은 어떤 보상도 받아들이지 않고 간통자에게 상처와 불명예로 갚는다.[23] 스가랴서는 하나님이 도둑의 집과 거짓 맹세를 하는 자들의 집을 저주하신다고 묘사하고,[24] 예레미야는 도둑들이 붙잡히면 부끄러움을 당한다고 묘사한다.[25]

2. 1. 히브리 성경

학계 신학자들의 주된 의견에 따르면, "도둑질하지 말라"는 계명은 원래 사람을 납치하고 노예로 매매하는 행위를 금지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는 탈무드적 해석과도 일치한다.[10]

'훔치다'로 번역된 히브리어 ''그네바''는[10] 물질적인 소유물에 대한 도둑질뿐만 아니라, 납치에도 적용된다. 출애굽기 21장 16절과 신명기 24장 7절에서는 납치에 대해 사형을 요구한다.[12][13] 반면, 재산에 대한 도둑질은 배상을 통해 해결될 수 있었다.[14] 그러나 밤에 도둑이 침입했을 때 거주자들이 더 큰 피해를 두려워할 합리적인 상황이 발생하면 도둑을 죽일 수도 있었다.

레위기에서는 도둑질과 강탈에 대한 금지를 이웃 사랑의 맥락에서 반복하며, 무역, 고용, 법정 등 다양한 영역에서 정직과 정의를 요구한다.[15]

율법은 도둑에게 훔친 것에 대해 일곱 배를 갚도록 했다.[16] 만약 도둑이 배상할 능력이 없으면 노예로 팔렸다.[17] 도둑이 자신의 죄를 고백하면, 훔친 물건을 돌려주고 그 가격의 5분의 1을 더하여 제사장에게 속죄제수양을 바쳐 속죄를 받고 용서받을 수 있었다.[18]

잠언에서는 가난이나 탐욕이 도둑질로 이어질 수 있음을 경고한다.[19] 마이모니데스는 훔치는 행위를 탐욕스러운 욕망에서 살인으로 이어지는 과정의 한 단계로 보았다.

613개의 미츠보트에는 도둑질 금지뿐만 아니라 사유 재산 보호 및 관련 사건의 정의 집행과 관련된 여러 계율이 포함되어 있다.

번호내용성경 구절
467몰래 돈을 훔치지 말라레위기 19:11
468법원은 도둑에게 처벌 조치를 시행해야 한다.출애굽기 21:37
469각 개인은 자신의 저울과 추의 정확성을 보장해야 한다.레위기 19:36
470저울과 추로 부정행위를 하지 말라레위기 19:35
471사용하지 않더라도 부정확한 저울과 추를 소유하지 말라신명기 25:13
472다른 사람의 재산을 훔치기 위해 경계 표지를 옮기지 말라신명기 19:14
473납치하지 말라출애굽기 20:13
474공개적으로 강탈하지 말라레위기 19:13
475임금을 보류하거나 빚을 갚지 못하지 말라레위기 19:13
476다른 사람의 소유물을 탐내고 획득하려 획책하지 말라출애굽기 20:14
477다른 사람의 소유물을 탐내지 말라신명기 5:18
478훔친 물건 또는 그 가치를 반환하라레위기 5:23
479잃어버린 물건을 무시하지 말라신명기 22:3
480잃어버린 물건을 반환하라신명기 22:1
481법원은 다른 사람을 공격하거나 다른 사람의 재산을 손상시키는 자에 대한 법률을 시행해야 한다출애굽기 21:8


3. 유대교의 가르침

유대교 율법은 613개의 미츠보트라는 계율을 통해 도둑질을 금지할 뿐만 아니라, 사유 재산을 보호하고 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여러 계율을 포함한다.

마이모니데스는 훔치는 행위가 탐욕에서 시작되어 살인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즉, 탐나는 물건의 소유자가 저항할 경우, 도둑은 폭력을 사용하게 되고 결국 살인까지 저지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열왕기상 21장에 나오는 아합 왕과 나봇의 이야기를 예시로 들었다.[26]

아합 왕은 자신의 궁궐 옆에 있는 나봇의 포도원을 갖고 싶어 했다. 아합은 나봇에게 포도원을 팔라고 했지만, 나봇은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땅이라며 거절했다.[27] 그러자 아합의 아내 이세벨은 나봇에게 누명을 씌워 죽게 하고, 아합이 포도원을 차지하도록 음모를 꾸몄다. 이 일로 인해 하느님은 아합에게 크게 분노했고, 예언자 엘리야를 통해 아합과 이세벨에게 심판을 선언했다.[28]

마이모니데스가 제시한 613개의 미츠보트 중 도둑질 및 재산권과 관련된 계율은 다음과 같다.

번호내용출처
467몰래 돈을 훔치지 말라레위기 19:11
468법원은 도둑에게 처벌을 시행해야 한다.출애굽기 21:37
469각 개인은 저울과 추의 정확성을 보장해야 한다.레위기 19:36
470저울과 추로 부정행위를 하지 말라레위기 19:35
471사용하지 않더라도 부정확한 저울과 추를 소유하지 말라신명기 25:13
472다른 사람의 재산을 훔치기 위해 경계 표지를 옮기지 말라신명기 19:14
473납치하지 말라출애굽기 20:13
474공개적으로 강탈하지 말라레위기 19:13
475임금을 보류하거나 빚을 갚지 못하지 말라레위기 19:13
476다른 사람의 소유물을 탐내고 획득하려 획책하지 말라출애굽기 20:14
477다른 사람의 소유물을 탐내지 말라신명기 5:18
478훔친 물건 또는 그 가치를 반환하라레위기 5:23
479잃어버린 물건을 무시하지 말라신명기 22:3
480잃어버린 물건을 반환하라신명기 22:1
481법원은 다른 사람을 공격하거나 다른 사람의 재산을 손상시키는 자에 대한 법률을 시행해야 한다출애굽기 21:8


4. 기독교의 가르침

신약성경은 "훔치지 말라"는 계명을 반복하며,[29][30][31] 도둑질에 대한 영적인 결과에 대해 무서운 경고를 담고 있다.[32] 또한 사유 재산권과 도둑을 처벌하는 정부의 역할에 대한 기본적인 아이디어를 지지한다.[33][34] 도둑들에게는 더 이상 훔치지 말고, 가난한 사람들과 나눌 수 있도록 자신의 손으로 열심히 일하라고 권고한다.[35] 토마스 아퀴나스는 훔치는 행위를 은밀한 절도, 폭력에 의한 절도, 임금 체불, 사기, 특혜를 얻기 위한 매수 등 다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한다.[36]

위선적인 도둑은 유다로 대표된다. 그는 예수와 사도들이 가난한 사람들을 돕기 위해 모금한 돈에서 자신의 몫을 몰래 챙겼다. 그는 마리아가 순수한 나드로 예수께 기름을 부었을 때, 나드를 팔아 그 돈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주는 것이 더 유용했을 것이라고 위선적으로 주장하며 반대했다.[37] 유다와 같이 훔치지 말라고 설교하면서도 훔친 바리새인들이 있었다.[38]

신약성경의 가장 중요한 주제는 자신의 물질적인 소유보다는 하나님을 믿고 희망해야 한다는 것이며, 하나님을 사랑하는 것과 돈을 사랑하는 것 사이의 마음속 갈등을 인정한다. "돈을 사랑하는 것은 모든 악의 근원이다"(디모데전서 6:6-10)라고 한다.[39]

고린도전서는 도둑, 사기꾼, 탐욕스러운 자들은 간음하는 자, 우상 숭배자, 성적으로 부도덕한 자들처럼 하나님의 왕국에서 배제될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이러한 죄를 버리는 자들은 주 예수의 이름으로 거룩하게 되고 의롭게 될 수 있다고 말한다(고린도전서 6:9-11).[41]

훔치지 말라는 명령은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는 명령의 자연스러운 결과로 여겨진다.[42] 금지된 것을 탐내지 말라는 금지는 개인 마음의 생각과 욕망을 통제해야 하는 도덕적 명령으로 여겨진다.[26]

토마스 아퀴나스는 "살인하지 말라"는 것이 이웃의 몸에 해를 끼치는 것을 금하고, "간음하지 말라"는 것이 결혼으로 맺어진 사람에게 해를 끼치는 것을 금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훔치지 말라는 계명은 이웃의 재산에 해를 끼치는 것을 금한다고 지적한다.[43]

4. 1. 가톨릭 교회의 가르침

가톨릭 교회는 "도둑질하지 말라"는 계명을 이웃 사랑의 표현으로 여기며, 이 계명이 이웃의 재산을 부당하게 빼앗거나 보관하는 것, 그리고 이웃의 재산에 해를 끼치는 것을 금지한다고 가르친다.[42] 또한 정의와 자선을 명하며, 재화의 보편적 목적지와 사유 재산권 존중을 요구한다.[42]

가톨릭 가르침은 경제 문제에서 인간의 존엄성을 존중하기 위해 절제, 정의, 황금률에 따른 연대를 실천해야 한다고 강조한다.[42] 타인의 재산을 부당하게 취하거나 보관하는 행위, 예를 들어 빌린 물건이나 분실물을 고의로 보류하는 것, 상업적 사기, 부당한 임금 지불, 타인의 무지나 어려움을 이용해 가격을 올리는 것은 일곱째 계명에 위배된다.[42]

또한, 다음과 같은 행위도 도덕적으로 금지된다:[42]

  • 투기: 다른 사람에게 손해를 끼치면서 이익을 얻기 위해 인위적으로 재화 가격을 조작하는 행위
  • 부패: 법에 따라 결정을 내려야 하는 사람들의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
  • 공유 재산의 사적 전용 및 사용: 기업의 공유 재산을 사적인 목적으로 사용
  • 일을 제대로 하지 않는 행위, 탈세, 수표 및 송장 위조, 과도한 지출 및 낭비


고의로 사유 재산이나 공공 재산을 훼손하는 것은 도덕률에 위배되며 복구가 요구된다. 계약과 약속은 엄격히 준수해야 하며, 부당함은 소유자에게 보상해야 한다.[42]

토마스 아퀴나스에 따르면, "만약 필요가 매우 명백하고 긴급하여, 당면한 필요가 당장의 수단으로 해결되어야 함이 분명하다면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임박한 위험에 처해 있고 다른 가능한 해결책이 없다면), 사람은 다른 사람의 재산을 사용하여, 그것을 공개적으로 또는 은밀하게 취함으로써 자신의 필요를 채우는 것이 합법적이다. 이것은 엄밀히 말하면 절도나 강도가 아니다"라고 주장한다.[44] 가톨릭 가르침은 또한 은밀한 보상의 교리를 지지한다.[45]

가톨릭 가르침은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모든 것보다 그분을 우선시하고, "모든 것을 버리라"고 명하셨음을 상기시킨다.[46] 가난 때문에 자신이 가진 모든 것을 바친 예루살렘 과부의 예를 보여주며,[47] 부에서 떠나는 것은 천국에 들어가기 위한 의무로 묘사된다.[48] "마음이 가난한 자는 복이 있나니"[49]라는 말씀은, 모든 육체적인 갈망을 충족받지 못하는 사람들이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영적인 갈망을 채우려는 경향이 더 강하다는 기대를 나타낸다. "주님께서는 부자들을 슬퍼하신다. 그들은 풍족한 재물에서 위안을 찾기 때문이다."[48]

"나는 하느님을 뵙고 싶다"는 인간의 진정한 열망을 표현하며, 영원한 생명의 물은 하느님에 대한 갈증을 해소한다.[48][50] 세상 재물에 대한 애착은 속박이며, 성경적 해결책은 하느님을 찾고 발견하는 데서 발견되는 진정한 행복에 대한 열망이다. 거룩한 사람들은 하느님께서 약속하신 좋은 것들을 얻기 위해 투쟁해야 하며, 충실한 그리스도인들은 욕망을 죽이고 하느님의 은총으로 쾌락과 권력의 유혹을 이겨낸다.[48] 사람이 온 세상을 얻고도 자기 영혼을 잃으면 아무 소용이 없다.[51]

4. 2. 종교개혁과 그 이후의 가르침

마르틴 루터는 이 계명을 사유 재산권 보호와 관련된 것으로 해석했다. 그는 시장 등 거래가 이루어지는 곳에서 부당하고 사기적인 거래를 금지하는 것으로 보았다. 또한, 고용주에게 손실을 입히는 과실과 직무 유기는 이 계명을 위반하는 것이라고 했다. 루터는 젊은이들에게 하나님의 계명을 따르도록 강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52]

존 칼빈은 모든 사람에게 정당한 몫을 돌려주는 것이 이 계명의 의도라고 설명하며, 이웃의 재물을 탐내는 것을 금지했다. 그는 각 개인의 소유가 우연이 아닌 하나님의 섭리에 의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따라서 누구도 하나님의 경륜에 대한 사기를 저지르지 않고서는 자신의 수단을 나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고 했다. 칼빈에게 이 계명 위반은 돈, 상품, 토지뿐 아니라 모든 종류의 권리까지 포함된다. 이웃에게 해야 할 의무를 거부하는 것도 이웃을 해치는 것이라고 보았다. 고용주의 재산을 낭비하거나 관리에 소홀한 대리인이나 청지기, 주인을 조롱하거나 비밀을 누설하는 종, 가족을 잔인하게 고문하는 주인 모두 하나님 앞에서 절도죄를 범한 것이라고 했다.[53]

칼빈은 또한 자신의 운명에 만족하고, 정직하고 합법적인 이득만을 추구해야 한다고 가르쳤다. 이웃의 재산을 약탈하거나, 다른 사람의 피를 짜내 부를 쌓는 것은 옳지 않다고 했다. 그는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을 돕고, 모든 사람에게 성실하게 조언과 도움을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53]

매튜 헨리는 훔치는 것을 부당하게 취하고, 죄스럽게 소비하고, 죄스럽게 아끼는 모든 것에 적용된다고 보았다. 다른 사람의 재물을 빼앗거나 경계를 침범하는 것, 잃어버린 것을 돌려주지 않는 것, 빚, 임대료, 임금, 세금, 십일조 등을 갚지 않는 것 모두를 금지했다.[54]

5. 현대 사회의 도둑질

현대 사회에서 도둑질은 법적으로 처벌되는 범죄 행위이며, 절도, 강도, 사기, 횡령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6. 도둑질에 대한 윤리적, 사회적 논의

도둑질은 단순한 재산 범죄를 넘어, 사회 구성원 간의 신뢰를 무너뜨리고 윤리적 가치를 훼손하는 행위이다. 이는 법적인 처벌뿐만 아니라, 사회적 비난과 도덕적 죄책감을 동반한다.

참조

[1] Bibleverse Exodus 20:1-21
[2] Bibleverse Deuteronomy 5:1-23
[3] 서적 New Bible Dictionary Onter-varsity Press
[4] 서적 How Judges Think Harvard University Press
[5] 서적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CrossAmerica Books 1997-07
[6] 서적 Renewal theology: systematic theology from a charismatic perspective Zondervan Academic
[7] 서적 Making moral decisions: a Christian approach to personal and social ethics Fortress Press
[8] Talmud Sanhedrin 86a
[9] 서적 The Jewish Study Bible Oxford University Press
[10] 서적 The Niv Complete Concordance Zondervan 1981-05-01
[11] Bibleverse Genesis 31
[12] Bibleverse Exodus 21:15
[13] Bibleverse Deuteronomy 24:7
[14] Bibleverse Exodus 22:1-9
[15] Bibleverse Leviticus 19:9-17
[16] 웹사이트 Proverbs6.30-31 http://www.biblegate[...] Bible Gateway 2022-08-29
[17] 웹사이트 Exodus22.2-3 ESV;NIVUK;ASV;RMNN http://www.biblegate[...] Bible Gateway 2022-08-29
[18] 웹사이트 Lev6.1-7, Num5.5-8 ESV;NIVUK;ASV http://www.biblegate[...] Bible Gateway 2022-08-29
[19] 웹사이트 Proverbs30.1-9, Prov 1.10-19 ESV;NIVUK;ASV http://www.biblegate[...] Bible Gateway 2022-08-29
[20] 웹사이트 Proverbs9.16-17 ESV;NIVUK;ASV http://www.biblegate[...] Bible Gateway 2022-08-29
[21] 웹사이트 Proverbs29.24 ESV;NIVUK;ASV http://www.biblegate[...] Bible Gateway 2022-08-29
[22] 웹사이트 Isaiah1.23, Jeremiah7.8-11, Romans2.21-22 ESV;NIVUK;ASV http://www.biblegate[...] Bible Gateway 2022-08-30
[23] Bibleverse Proverbs 6:29-35
[24] Bibleverse Zechariah 5:1-4
[25] Bibleverse Jeremiah 2:26
[26] 웹사이트 PARASHAT YITRO The Tenth Commandment: "You Shall Not Covet" http://www.vbm-torah[...] The Israel Koschitzky Virtual Beit Midrash 2022-08-30
[27] Bibleverse 1 Kings 21:4
[28] Bibleverse 1 Kings 21:20-23
[29] Bibleverse Matthew 19:18
[30] Bibleverse Mark 10:19
[31] Bibleverse Luke 18:20
[32] Bibleverse 1 Corinthians 6:10
[33] Bibleverse 1 Peter 4:15
[34] Bibleverse Romans 13
[35] Bibleverse Ephesians 4:28
[36] 웹사이트 Explanation of the Ten Commandments https://www.ewtn.com[...] Eternal Word Television Network 2022-08-30
[37] 웹사이트 Ioan 12.3-8 ESV;NIVUK;ASV http://www.biblegate[...] Bible Gateway 2022-08-30
[38] 웹사이트 Rom2.17-21 ESV;NIVUK;ASV http://www.biblegate[...] Bible Gateway 2022-08-30
[39] Bibleverse 1 Timothy 6:6-10
[40] Bibleverse Matthew 6:19-24
[41] Bibleverse 1 Corinthians 6:9-11
[42] 웹사이트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The seventh commandment https://www.vatican.[...] Vatican.va 2022-08-30
[43] 웹사이트 Question 122. The precepts of justice - II-II, Q. cxxii, Art. 6 https://www.newadven[...] New Advent 2022-08-30
[44] 웹사이트 SUMMA THEOLOGIAE: Theft and robbery (Secunda Secundae Partis, Q. 66) http://www.newadvent[...] New Advent 2022-08-30
[45]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Occult Compensation http://www.newadvent[...] New Advent 2022-08-30
[46] Bibleverse Luke 14:33
[47] Bibleverse Luke 21:4
[48] 웹사이트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 Part 3: Life in Christ, Section 2: The Ten Commandments, Chapter 2: "You Shall Love Your Neighbor As Yourself, Article 9: The Ninth Commandment http://www.va/archiv[...] Vatican 2022-08-30
[49] Bibleverse Matthew 5:3
[50] Bibleverse John 14:14
[51] Bibleverse Mark 8:36
[52] 서적 The Large Catechism (VII) http://www.iclnet.or[...] Concordia Publishing House 2015-02-25
[53] 웹사이트 8. EXPOSITION OF THE MORAL LAW http://www.spurgeon.[...] Spurgeon.org 2015-02-25
[54] 웹사이트 Matthew Henry-Commandment 8 (VIII) http://godstenlaws.c[...] Gods Ten Laws 2009-06-08
[55] 웹사이트 Bible - Catholic Online http://www.catholic.[...] Catholic.org 2015-02-25
[56] 웹사이트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 The fourth commandment https://www.vatican.[...] Vatican.va 2015-0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