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란 시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란 시대는 1598년부터 1613년까지 러시아에서 일어난 정치적 혼란과 사회적 동요의 시기를 일컫는다. 류리크 왕조의 단절, 보리스 고두노프의 통치, 가짜 드미트리들의 등장,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과 스웨덴의 개입, 대기근과 질병으로 인한 사회 불안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했다. 이 시기 러시아는 극심한 혼란을 겪었으나, 쿠즈마 미닌과 드미트리 포자르스키가 이끄는 국민 의용군의 활약으로 폴란드군을 몰아내고 미하일 로마노프를 새 차르로 선출하면서 로마노프 왕조가 시작되었다. 동란 시대는 러시아의 애국심과 단결력을 보여주는 동시에, 로마노프 왕조의 성립과 중앙집권 국가로의 발전을 가져왔으며,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기도 했다.

2. 배경

1598년, 표도르 1세가 후사 없이 사망하면서 류리크 왕조가 단절되었다. 그의 처남이자 섭정이었던 보리스 고두노프가 젬스키 소보르(전국 회의)에서 차르로 선출되었다.

고두노프의 통치 기간 동안, 러시아는 1601년부터 1603년까지의 대기근과 전염병으로 인해 극심한 사회적, 경제적 혼란을 겪었다. 이 시기 남미 와이나푸티나 화산의 대분화는 전 세계적인 이상 기후를 초래했고, 러시아에서는 여름철 야간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는 등 극심한 흉작이 발생했다.[18] 정부의 구호 노력에도 불구하고, 모스크바로 난민이 유입되면서 경제는 더욱 악화되었다. 과두제의 한 축이었던 로마노프 왕조를 비롯한 여러 귀족 세력들은 고두노프에 대한 불만을 품게 되었다.

이러한 혼란 속에서, 이미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던 표도르 1세의 동생 드미트리가 살아있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왕위 계승 분쟁이 시작되었다.

2. 1. 표트르 1세의 즉위와 고두노프의 섭정

표도르 1세는 이반 뇌제의 아들이었으나, 병약하여 정치에 거의 관심을 두지 않았다. 그의 처남이자 가장 가까운 조언자였던 보리스 고두노프가 섭정으로서 실질적인 통치를 하였다.[18] 고두노프는 보야르이자 말류타 스쿠라토프의 사위였다.

표트르 1세는 1584년 3월 28일 이반 뇌제의 사망 이후 3일 뒤에 차르로 즉위했다. 그는 딸 표도시아를 두었으나, 두 살에 사망했다.[18]

이반 뇌제가 부상당한 아들 차레비치 이반을 보며 우는 그림
일리아 레핀의 ''이반 뇌제와 그의 아들 이반''(1885), 이반 뇌제가 아들 차레비치 이반 이바노비치를 실수로 죽인 사건을 묘사했으며, 이로 인해 표트르 1세가 러시아 왕위 계승자가 되었다.


체스터 더닝에 따르면, 이반 차르는 표트르가 혼자서는 통치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1584년 사망하기 전에 섭정 회의를 구성했다. 표트르의 삼촌인 니키타 로마노비치 자하린-유리에프와 이반 F. 므스티슬라프스키 공작 등이 임명되었다. 고두노프는 대관식 날 ''코뉴시 보야린'' (집사 또는 마부)으로 임명되어 귀족 회의의 가장 강력한 인물이 되었다. 1585년 므스티슬라프스키 공작은 권력을 잡으려다 저지당하고 수도사가 되어야 했다. 이 사건에서 고두노프 가문과 로마노프 가문은 가족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암묵적인 동맹을 맺었다. 1586년, 고두노프 반대 폭동 이후, 이반 슈이스키 공작은 수도사가 되도록 강요당했고, 고두노프는 표트르 차르의 유일한 섭정이자 러시아에서 가장 강력한 사람이 되었다.

1598년 1월, 표트르가 사망하면서 상속자 없이 차르가 사망하여 모스크바가 알고 있는 유일한 통치 왕조가 종말을 고했다. 보야르 회의에 왕위를 양위하고 수녀원에 들어간 이리나 대신 보야르는 새로운 차르를 선택하기 위해 젬스키 소보르를 소집했다. 고두노프는 곧 왕위를 위한 그의 주요 경쟁자 표도르 로마노프를 물리쳤다. 고두노프는 1598년 9월에 대관식을 치렀다.[18]

고두노프는 1592년에 사실상 수백만 명을 농노화했고, 백성들에게 무거운 세금을 부과했으며, 자유 코사크를 괴롭혔고, 1597년에는 계약 노예를 평생 노예로 전환하는 노예법을 도입했다.

2. 2. 1601-1603년 대기근

1598년 표도르 1세가 사망하면서 류리크 왕조가 단절되자, 그의 처남이자 섭정이었던 보리스 고두노프가 젬스키 소보르(전국 회의)에 의해 후계자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류리크 왕조 혈통이 아닌 고두노프의 통치(1598년 - 1605년)는 순탄치 않았다.

이 시기 남미 와이나푸티나 화산의 대분화로 인해 전 세계적인 이상 기후가 발생했다. 러시아에서는 1601년부터 1603년까지 Russian famine of 1601–1603|러시아 대기근영어으로 알려진 극심한 흉작이 발생했다. 여름 밤에도 기온이 영하로 떨어져 농작물이 전멸했고,[18] 기아가 확산되어 대기근으로 이어졌다. 정부는 모스크바의 빈민에게 금전과 식량을 배급했지만, 오히려 난민 유입을 초래하여 경제적 혼란을 가중시켰다. 과두제의 한 축이었던 로마노프 왕조는 더 이상 대귀족에게 복종하는 것을 치욕으로 여겼다. 음모가 횡행하고, 지방은 기근과 페스트로 황폐해졌다. 무장한 무법자들이 전국을 휩쓸며 잔학 행위를 벌였고, 돈 코사크군은 끊임없이 동원되었으며, 정부는 질서 유지에 실패했다.

이런 상황에서 고두노프를 황위 찬탈자로 여기는 불만이 커지면서, 죽은 것으로 알려진 드미트리가 살아있다는 소문이 퍼지기 시작했다.

3. 가짜 드미트리의 등장과 혼란의 심화

가짜 드미트리 1세의 공식 초상화


표도르의 죽음 이후, 그의 동생 드미트리가 살아있다는 소문이 돌면서 러시아는 정치적 불안정에 휩싸였다. 이러한 상황은 차르비치(차르국의 상속자)를 자칭하는 여러 가짜 드미트리들에 의해 악용되었다. 1603년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 나타난 가짜 드미트리 1세는 자신이 러시아 왕위의 상속자라고 주장했다.[4]

가짜 드미트리 1세는 아담 비시네베츠키 공작에게 자신의 신분을 밝혔고, 그는 가짜 드미트리가 자포로제와 돈 코사크의 지원을 얻도록 도왔다. 예지 므니셰크는 드미트리를 숙소에 머물게 했고, 그가 차르비치 드미트리임을 증언하는 몇몇 증인을 확보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4]

지그문트 3세, 폴란드 가톨릭 지도자, 그리고 예수회는 드미트리가 가톨릭으로 개종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는 보고에 큰 관심을 보였다. 그들은 러시아 전체를 가톨릭으로 개종시키고, 스웨덴에 대항하여 러시아인을 이용하려는 꿈을 꿨다.[4]

1604년 10월, 가짜 드미트리 1세의 군대는 폴란드-리투아니아 국경을 넘어 러시아로 진격했다. 이는 러시아 최초의 내전의 첫 번째 단계를 촉발시켰으며, 남서부와 남부 변방 지방, 도시, 수비대 및 코사크의 대규모 반란으로 이어져 고두노프 왕조를 무너뜨리는 더 광범위한 갈등으로 발전했다.[4]

1605년 보리스 고두노프가 죽은 후, 가짜 드미트리 1세는 모스크바에 입성하여 7월 21일에 차르로 즉위했다. 그는 이반 뇌제의 무덤과 이반의 미망인 마리아 나기야의 수도원을 방문하여 권력을 공고히 했는데, 마리아 나기야는 드미트리를 자신의 아들로 받아들였다. 가짜 드미트리 1세는 마리나 므니셰크와 ''대리 결혼''을 하고 가톨릭으로 개종하여 폴란드 예수회와 폴란드 귀족, 므니셰크의 사병에 의존했다.[6]

3. 1.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개입

1603년, 거짓 드미트리 1세가 자신이 러시아 황위의 정당한 계승자라고 주장하며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 나타났다. 많은 사람들이 그를 황위의 정당한 계승자로 여겼다. 거짓 드미트리는 러시아 국내뿐만 아니라 폴란드와 교황령에서 지지를 받았다.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여러 세력은 그를 러시아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는 도구로 삼으려 했다. 교황동방 정교회의 러시아에 대해 로마 가톨릭교회의 세력을 확대할 기회로 생각했다.[9]

같은 해, 몇 달 후, 폴란드 세력은 4,000명이라는 소규모 병력으로 국경을 넘었다. 이 군대에는 폴란드인, 리투아니아인, 러시아 망명자, 독일인 용병 외에 드네프르강과 돈강 유역의 코사크가 합류했다. 이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러시아 개입, 일련의 거짓 드미트리를 둘러싼 전쟁의 시작이었다. 이 시점에서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은 국왕 지그문트 3세가 개입에 반대했기 때문에 러시아에 정식으로 선전포고를 하지 않았지만, 일부 유력 귀족(마그나트)이 거짓 드미트리를 지지하며 병력과 자금을 제공했다. 거짓 드미트리는 폴란드 귀족 여성 마리나 므니셰크와 대리 결혼식을 올렸다.[9]

1605년보리스 고두노프가 사망하자 표도르 2세는 거짓 드미트리가 모스크바에 입성할 때 어머니와 함께 살해되었다.[9]

그러나 지그문트 3세가 러시아를 정복하고 직접 통치하려는 진정한 의도는 그가 왕위 계승 가능성이 있는 사람들을 체포하고, 스몰렌스크 포위를 계속했으며, 폴란드가 러시아 마을을 습격하도록 허용하고, 그 후 알렉산데르 고시에프스키의 지휘 하에 주로 독일 용병 800명으로 구성된 폴란드 수비대를 설립한 후에 알려졌다.[4] 반가톨릭과 반폴란드 감정이 러시아에서 일어났고, 이는 친폴란드 보야르들을 격분시켰다.[9]

4. 바실리 슈이스키의 통치와 외세의 개입

차르스키 티툴랴르니크(1672)에 수록된 차르 바실리 4세 슈이스키의 초상화


바실리 슈이스키는 루리크 왕조의 후손으로, 수즈달 공작 가문 출신의 명망 있는 보야르(귀족) 중 한 명이었다.[4] 그는 가짜 드미트리 1세모스크바에 입성한 직후, 그가 가짜 수도승이라는 소문을 퍼뜨렸으나 추방되었다가 복귀했다.[4] 1606년 봄, 슈이스키는 궁정, 교회, 상인 엘리트들의 지지를 얻어 드미트리 암살 음모를 꾸몄다.[4]

가짜 드미트리 1세는 폴란드인의 도구로 여겨져 인기가 없었다. 1606년 5월 17일, 그는 결혼 열흘 만에 크렘린에서 쫓겨나 모스크바 봉기 중 무장 폭도들에게 살해되었다. 많은 폴란드 고문들도 살해되거나 투옥되었다.[6][7]

슈이스키의 공모자들은 그의 친족들과 노브고로드, 프스코프, 스몰렌스크 등 여러 도시 출신 귀족, 성직자, 상인 등을 포함했다.[4] 1606년 5월 17일 아침, 슈이스키는 모스크바인들에게 폴란드인들이 차르를 암살하려 한다고 경고하며 크렘린 공격을 이끌었다. 6~7시간 동안의 폭동으로 420명의 폴란드인과 수백 명의 러시아인이 사망했고, 이 틈을 타 암살자들이 차르를 살해했다.[4] 슈이스키는 암살을 정당화하기 위해 차르를 악마화하고 그의 시신을 불태웠다.[4]

니콜라이 네브레프의 그림(1886)에 묘사된, 자하리 랴푸노프가 크렘린에서 차르 바실리 슈이스키와 싸우는 모습


1606년 5월 19일, 슈이스키는 붉은 광장에서 차르로 선포되었다. 그러나 그의 협소한 지지 기반, 거짓말쟁이라는 평판, 왕위 찬탈, 젬스키 소보르의 승인 없는 즉위, 대중의 지지 부족 등으로 인해 그의 통치는 처음부터 불안정했다.[4] 그는 필라레트 로마노프의 직위를 박탈했다.[4]

요셉 하인츠 더 엘더의 그림(1605)에 묘사된 폴란드 지그문트 3세의 초상


얼마 지나지 않아 가짜 드미트리 2세가 나타나 자신이 이반 4세의 아들이자 정당한 계승자라고 주장하며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지원을 받았다.[19] 한편, 볼로트니코프의 봉기가 일어났다.[4] 1607년 7월, 가짜 드미트리 2세가 상속자로 나섰고,[4] 10월에는 그의 군대가 코젤스크를 점령했다.[4] 같은 해, 툴라가 함락되었다.[4]

1607년 10월 29일, "두 번째 가짜 드미트리"는 폴란드 영주 그룹과 합류했고,[4] 1608년 4월에는 로만 로진스키가 4000명의 외국 용병과 합류했다.[4] 가짜 드미트리 2세는 투시노에 궁정을 세우고 모스크바를 포위했다.[4]

바실리 베레시차긴의 그림(1891)에 묘사된 성 삼위일체-성 세르기우스 수도원의 방어


1609년 2월, 차르 바실리는 스웨덴 칼 9세와 비보르크에서 조약을 체결했다.[4] 같은 해 9월, 폴란드의 지그문트 3세 바사 왕이 러시아를 침공하여 스몰렌스크 포위전을 시작했다.[4]

클루시노 전투 (1620), 의 그림


1610년 2월 4일, 투시노 궁정에 있던 러시아 영주들은 지그문트 3세와 조약을 체결하고 그의 아들 블라디슬라프를 차르로 지지하기로 했다.[4]

파벨 치스탸코프 (1860)의 ''폴란드인에게 축복을 거부하는 헤르모게네스 총대주교''


1610년 7월, 바실리 슈이스키는 체포되어 수도사가 되었고, 일곱 보야르 위원회가 통치하게 되었다.[4] 러시아에서는 반가톨릭 및 반폴란드 감정이 일어났다.[9]

4. 1. 스웨덴의 개입과 잉그리아 전쟁

바실리 4세는 실권을 잡은 후, 스웨덴과 동맹을 맺고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 대항하려 했다. 그러나 이는 야코브 데 라 가르디가 이끄는 스웨덴 군의 러시아 국내 개입(데 라 가르디 원정)을 초래했다.[19]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국왕 지그문트 3세는 러시아와 스웨덴의 동맹을 위협으로 간주하고 러시아에 개입하여 러시아-폴란드 전쟁을 일으켰다.

스웨덴은 발트 해안에서 폴란드-스웨덴 전쟁을 계속하며 러시아와의 군사 동맹을 종료하고 잉그리아 전쟁을 시작했다.[9] 1611년 7월 17일, 스웨덴의 라 가르디가 노브고로드를 점령했고, 1612년 초에는 많은 국경 마을과 요새를 합병하여 러시아를 발트해에서 차단했다.[4]

5. 모스크바 점령과 러시아의 위기

1610년,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군이 모스크바를 점령하면서 러시아는 심각한 위기에 빠졌다. 스타니스와프 젤키에프스키는 폴란드 왕 지그문트 3세의 아들 블라디슬라프를 러시아 차르로 옹립하려 했고, 일부 모스크바 사람들은 러시아 정교회의 지위 유지와 특권 부여를 조건으로 이에 동의했다. 폴란드군은 모스크바에 입성하여 크렘린을 점령했다.[4]

그러나 지그문트 3세는 이 타협에 반대하고 자신이 직접 차르가 되어 러시아를 로마 가톨릭으로 개종시키려 했다.

스웨덴발트 해안에서 폴란드-스웨덴 전쟁을 계속하며 러시아와의 군사 동맹을 종료하고 잉그리아 전쟁을 시작했다. 스웨덴은 가짜 드미트리 3세를 옹립하고, 카를 필립을 노브고로드 시민들이 차르로 추대하기도 했다.

당시 러시아는 국가 기능을 상실했고, 왕위는 공석이었으며, 귀족들은 서로 다투었다. 헤르모게네스 총대주교는 투옥되었고, 가톨릭 폴란드인들은 크렘린을, 프로테스탄트 스웨덴인들은 노브고로드를 점령했다. 크림 타타르족의 습격으로 러시아 남부 변경 지역은 황폐해졌고, 수많은 사람들이 전투와 폭동으로 사망했다.[9]

5. 1. 반폴란드, 반가톨릭 정서의 확산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점령과 로마 가톨릭 강요 정책은 러시아인들의 반폴란드, 반가톨릭 정서를 불러일으켰다.[9] 지그문트 3세는 스스로 황제가 되어 러시아를 가톨릭으로 개종시키려 했다.[21] 1611년 3월 17일부터 19일까지 폴란드군과 독일인 용병은 모스크바 반란을 진압하며 주민 7,000명을 학살하고 도시에 불을 질렀으며[22], 9월 22일에는 볼로그다의 주민과 성직자를 몰살했다.[22] 이 외에도 수많은 도시가 파괴되어 러시아는 더욱 약화되었다.

6. 국민 의용군과 로마노프 왕조의 등장

1612년 1월, 폴란드 군대의 일부가 임금 체불로 인해 반란을 일으켜 러시아에서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으로 후퇴했다. 제2 자원군은 모스크바에서 다른 반폴란드 러시아군과 합류하여 크렘린에 남아 있는 폴란드 주둔군을 포위했다. 무장과 조직이 잘 갖춰진 제2 자원군은 1612년 3월 야로슬라블을 점령하고 여러 도시의 지원을 받아 러시아 임시 정부를 세웠다. 쿠즈마 미닌과 드미트리 포자르스키는 1612년 8월, 얀 카롤 호드키에비치 휘하의 9,000명 규모의 폴란드 군대가 포위를 풀기 위해 오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모스크바에 진입했다. 9월 1일, 모스크바 전투가 시작되었다. 호드키에비치의 군대는 도시로 진입하여 기병 공격과 이동식 타보르 요새와 같은 새로운 전술을 사용했으나, 초반의 성공 이후 러시아 동맹 돈 코사크의 증원에 의해 모스크바에서 몰려났다. 9월 3일, 그는 또 다른 공격을 시작하여 크렘린의 성벽에 도달했지만, 모스크바의 좁은 거리가 그의 군대의 이동을 막았고, 그는 러시아의 반격 이후 퇴각했다.[10][11] 1612년 9월 22일, 폴란드인과 리투아니아인은 볼로그다를 점령하고 불태워 많은 주민들을 죽이거나 사로잡았다.[12]

10월 27일, 폴란드 주둔군은 무조건 항복했고, 국민 민병대 군대가 수도에 진입했다.[4] 1613년 2월 21일, 젬스키 소보르는 모스크바 총대주교 필라레트의 16세 아들인 미하일 로마노프를 러시아의 차르로 선출했으며, 그는 7월 21일에 대관식을 올렸다. 이로써 로마노프 왕조가 시작되었다.

젬스키 소보르의 대표단이 미하일 표도로비치에게 왕으로 선출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이파티예프 수도원으로 행진한다(17세기)


1613년 이파티예프 수도원에서 미하일 로마노프의 어머니에게 그가 모스크바로 가서 차르가 되도록 간청하는 군중 (17세기)


미하일 로마노프의 대관식(이파티예프 수도원)


로마노프는 류리크 왕조와 혼인으로 연결되었으며, 영웅적인 농민 이반 수사닌에 의해 적들로부터 구출되었다고 전해진다. 권력을 잡은 후, 로마노프는 거짓 드미트리 2세의 세 살 된 아들을 교수형에 처하도록 명령했으며, 마리나 므니셰크를 감옥에서 교살했다고 한다.

6. 1. 국민 단결의 날 제정

쿠즈마 미닌과 드미트리 포자르스키 공이 이끄는 러시아 민중은 1612년 11월 1일(구력10월 22일[22]) 모스크바 전투에서 승리하여 침략자들을 크렘린으로 몰아넣었다. 이후 11월 3일부터 11월 6일 (구력10월 24일-27일[23])사이에 폴란드군도 철수하면서 크렘린에 남은 군대는 포자르스키에게 항복했다. 러시아에서는 이 날을 기념하여 11월 4일을 국민 단결의 날로 지정하여 공휴일로 지키고 있다.

7. 동란 시대의 유산과 영향

동란 시대는 러시아 역사에서 혼란스러웠지만 중요한 시기였다. 이 시기를 통해 러시아 민중들은 애국심과 단결력을 보여주었다.[4] 외세의 침략을 이겨내고, 로마노프 왕조를 중심으로 중앙집권 국가로 나아가는 발판을 마련했기 때문이다.

1613년 젬스키 소보르는 미하일 로마노프를 새 차르로 선출했다. 이는 류리크 왕조와의 혼인 관계와 영웅적인 농민 이반 수사닌의 전설적인 도움으로 정당화되었다.[4] 로마노프 왕조는 혼란을 종식시키고 국가를 구했지만, 그 과정에서 애국적인 코사크들을 진압해야 했다는 아이러니가 있다.[4]

스톨보보 조약(1617년)과 데울리노 휴전(1619년)으로 동란 시대는 끝이 났다. 러시아는 평화와 독립을 얻었지만, 스웨덴과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게 영토를 할양해야 했다. 잉그리아는 스웨덴에게, 세베리아와 스몰렌스크는 폴란드에게 넘어갔다. 그러나 이후 러시아는 대부분의 영토를 회복했다.

동란 시대는 러시아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인구 감소로 농민들의 임금이 개선되었고, 농노제가 약화되었다.[1] 또한 로마노프 차르를 중심으로 러시아 계급이 통합되어, 표트르 대제의 개혁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동란 시대의 총 사망자 수는 100만에서 120만 명으로 추산되며, 일부 지역에서는 인구가 50% 이상 감소했다.[13][14] 러시아 중부의 경작지는 크게 줄어들었다.[15]

7. 1. 동란 시대에 대한 문화적 묘사

동란 시대는 러시아와 해외의 많은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어, 오페라, 희곡, 영화 등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특히 인기 있었던 세 가지 주제는 포자르스키-미닌의 모스크바 해방, 보리스 고두노프와 가짜 드미트리 1세 사이의 갈등, 그리고 이반 수사닌이었다. 이반 수사닌은 미하일 로마노프를 폴란드 군대로부터 멀리 떨어뜨리기 위해 희생한 농부였다고 전해진다.

오페라 『이반 수사닌』에서 주인공 이반 수사닌을 연기하는 표도르 샬랴핀.


성 바실리 대성당 앞의 쿠즈마 미닌과 드미트리 포자르스키의 동상 (1804년 - 1816년)


러시아와 폴란드 예술가들은 이 시대를 바탕으로 많은 작품을 그렸다. 체스터 더닝은 2001년 저서 "러시아의 첫 번째 내전: 혼란의 시대와 로마노프 왕조의 건국"에서 현대 러시아는 1613년 로마노프 왕조가 건국되면서 시작되었다고 썼다.[17]

참조

[1] 서적 Orthodox Russia in Crisis: Church and Nation in the Time of Troubles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Britannica – Fyodor I https://www.britanni[...] 2020-04-24
[3] 서적 Russland – Herzschlag einer Weltmacht Pforte-Verlag 2009
[4] 서적 A Short History of Russia's First Civil War: The Time of Troubles and the Founding of the Romanov Dynasty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2004
[5] 서적 The Thousand-Year Annals of the Extreme Meteorological Phenomena
[6] 서적 The Polish-Lithuanian State, 1386–1795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7] 서적 The Origins of the Modern European State System, 1494–1618 Routledge
[8] 서적 Russian Rebels; 1600–1800 Schocken Books 1972
[9] 웹사이트 The Tatar Khanate of Crimea http://www.allempire[...] 2017-11-08
[10] 웹사이트 History of Russia from the Earliest Times http://lib.ru/HISTOR[...] 2016-03-04
[11] 웹사이트 Russian History in Biographies of its main figures http://www.kulichki.[...] 2021-10-20
[12] 서적 Полное собрание русских летописей https://search.rsl.r[...] Наука 2023-01-26
[13] 서적 Secular Cycl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9
[14] 서적 Военная история допетровской России https://www.ozon.ru/[...] Издательство Олега Абышко 2021-11-05
[15] 서적 Secular Cycl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9
[16] 뉴스 The Moscow Times https://themoscowtim[...] 2017-08-30
[17] 서적 Russia's First Civil War: The Time of Troubles and the Founding of the Romanov Dynasty https://books.googl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2010-10-16
[18] 서적 The thousand-year annals of the extreme meteorological phenomena
[19] 문서 The Empire of Russia http://www.gutenberg[...]
[20] 문서 The Empire of Russia http://www.gutenberg[...]
[21] 웹사이트 The Tatar Khanate of Crimea http://www.allempire[...]
[22] 문서 History of Russia from the Earliest Times http://lib.ru/HISTOR[...]
[23] 문서 Russian History in Biographies of its main figures http://www.kulichki.[...]
[24] 서적 Russia's first civil war: the Time of Troubles and the founding of the Romanov dynasty Penn State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