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그랑주 부분 다양체
"오늘의AI위키" 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 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보기/숨기기
2. 정의
심플렉틱 다양체 (M,\omega) 안에는 특별한 성질을 만족하는 부분 다양체들을 정의할 수 있다. 부분 다양체 N 위에서 심플렉틱 형식 \omega 가 사라질 때, 즉 \omega 를 N 으로 제한했을 때 0이 될 경우, 이를 '''등방성 부분 다양체'''(isotropic submanifold영어 )라고 부른다. 만약 M 의 차원이 2n 일 때, 차원이 n 인 등방성 부분 다양체를 특별히 '''라그랑주 부분 다양체'''(Lagrangian submanifold영어 )라고 한다. 이는 가능한 등방성 부분 다양체 중에서 가장 큰 차원을 가지는 경우에 해당한다. 이러한 정의는 부분 다양체가 매끄러운 매장 이 아닌 매끄러운 몰입인 경우에도 확장될 수 있으며, 이때는 각각 '''등방성 몰입'''(isotropic immersion영어 )과 '''라그랑주 몰입'''(Lagrangian immersion영어 )이라고 부른다.
2. 1. 라그랑주 부분 다양체
2n 차원 심플렉틱 다양체 (M,\omega) 속의 매끄러운 부분 다양체 \iota\colon N\hookrightarrow M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등방성 부분 다양체'''(isotropic submanifold영어 )라고 한다. :\iota^*\omega=0 이는 심플렉틱 형식 \omega 를 부분 다양체 N 으로 가져왔을 때 0이 된다는 의미이다.2n 차원 심플렉틱 다양체에서 차원이 n 인 등방성 부분 다양체를 '''라그랑주 부분 다양체'''(Lagrangian submanifold영어 )라고 부른다. 즉, 라그랑주 부분 다양체는 가능한 등방성 부분 다양체 중에서 가장 큰 차원을 가진다. 만약 \iota 가 매끄러운 매장 이 아니라 매끄러운 몰입일 경우에도 유사하게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등방성 몰입'''(isotropic immersion영어 ) 및 '''라그랑주 몰입'''(Lagrangian immersion영어 )이라고 한다.
2. 2. 라그랑주 올뭉치
'''라그랑주 올뭉치'''(Lagrangian fibrationeng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L\stackrel\iota\hookrightarrow M\stackrel\pi\twoheadrightarrow B 위 식은 일반적인 올 L 이 전체 공간 (M,\omega) 의 라그랑주 부분 다양체를 이루는 올뭉치 를 나타낸다. 이 경우, 합성 함수 \pi\circ\iota\colon L\to B 를 생각할 수 있다. 이때, 함수 \pi 가 국소 미분 동형이 되지 않는 점, 즉 n\times n 행렬 D(\pi\circ\iota) 의 계수 가 n 보다 작은 점들의 집합 :\{b\in B\colon \operatorname{rank}D(\pi\circ\iota)|_b 을 라그랑주 올뭉치의 '''초점면'''(焦點面, causticeng )이라고 한다.
2. 3. 특수 라그랑주 부분 다양체
차원이 2n 인 켈러 다양체 M 이 주어졌다고 하자. 이 다양체 위의 부피 형식 이 \omega^n/n! 라고 가정한다. 또한, (n,0) 형태의 복소수 미분 형식 \Omega 가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고 하자: :\Omega\wedge\bar\Omega=\omega^n/n! 이 복소수 미분 형식 \Omega 를 실수 성분 \Omega_1 과 허수 성분 \Omega_2 로 다음과 같이 분해할 수 있다: :\Omega=\Omega_1+i\Omega_2,\qquad\Omega_1,\Omega_2\in H^n(M;\mathbb R) 여기서 \Omega_1 과 \Omega_2 는 실수 계수를 가지는 n 차 코호몰로지 원소이다. 이러한 설정에서, (M,\Omega) 안의 '''특수 라그랑주 부분 다양체'''(special Lagrangian submanifold영어 )는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라그랑주 부분 다양체 \iota\colon L\hookrightarrow M 를 말한다: :\iota^*\Omega_2=0 즉, 부분 다양체 L 위에서 복소수 미분 형식 \Omega 의 허수 성분이 0이 되어야 한다.칼라비-야우 다양체 안의 특수 라그랑주 부분 다양체라는 개념은 끈 이론 , 특히 거울 대칭 이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3. 성질
임의의 두 심플렉틱 다양체 (M_1, \omega_1) 와 (M_2, \omega_2) 사이의 미분 동형 사상 f \colon M_1 \to M_2 가 주어졌을 때, 다음 두 조건은 서로 동치 이다. [1]
f 는 심플렉틱 사상이다. 즉, f^* \omega_2 = \omega_1 을 만족한다.f 의 그래프 \{(x, f(x)) \colon x \in M_1\} \subset M_1 \times M_2 는 곱공간 (M_1 \times M_2, \omega_1 \oplus (-\omega_2)) 의 라그랑주 부분 다양체이다.
4. 예
라그랑주 부분 다양체는 다양한 수학적, 물리적 맥락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표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
심플렉틱 벡터 공간 에서의 '''라그랑주 부분 벡터 공간'''과 그 모듈라이 공간인 '''라그랑주 그라스만 다양체'''가 있다.2차원 심플렉틱 다양체 에서는 모든 매끄러운 곡선이 라그랑주 부분 다양체가 된다. 예를 들어, 표준적인 심플렉틱 구조를 가진 2차원 유클리드 공간 \mathbb R^2 에서 해밀토니언 의 준위 집합으로 정의되는 타원 은 라그랑주 부분 다양체의 구체적인 예시이다. 임의의 매끄러운 다양체 M 의 공변접다발 T^*M 은 자연스러운 심플렉틱 구조를 가지는데, 여기서 특정 함수 S 의 미분 으로 정의되는 부분 다양체는 라그랑주 부분 다양체가 된다. 특히, M 의 0-단면은 중요한 라그랑주 부분 다양체의 예시이다. 이러한 예시들은 라그랑주 부분 다양체의 기하학적, 위상학적 특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4. 1. 심플렉틱 벡터 공간의 라그랑주 부분 벡터 공간
2n 차원 심플렉틱 벡터 공간 의 부분 벡터 공간 가운데 라그랑주 부분 다양체를 이루는 것을 '''라그랑주 부분 벡터 공간'''(Lagrangian linear subspace영어 )이라고 하며, 그 모듈라이 공간 을 '''라그랑주 그라스만 다양체'''(Lagrangian Grassmannian영어 )라고 한다. 심플렉틱 벡터 공간에 심플렉틱 구조와 호환되는 내적 을 주면 (이는 표준적이지 않다), 내적의 선택에 따라 라그랑주 그라스만 다양체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operatorname{LagGrass}(n)\cong\operatorname U(n)/\operatorname O(n) 그러나 이 동형은 내적의 선택에 의존하므로 표준적이지 않다. 라그랑주 그라스만 다양체는 단일 연결 공간 이 아니며, 그 기본군 은 무한 순환군이다. :\pi_1\left(\operatorname{LagGrass}(n)\right)\cong\mathbb Z 이로부터 '''마슬로프 지표 '''를 정의할 수 있다.
4. 2. 2차원 심플렉틱 다양체의 라그랑주 부분 다양체
2차원 심플렉틱 다양체 (\Sigma,\omega) 안의 매끄러운 곡선 \gamma\subset\Sigma 은 항상 라그랑주 부분 다양체를 이룬다. 이는 곡선 위에는 0이 아닌 2차 미분 형식 이 존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표준적인 심플렉틱 구조를 가진 2차원 유클리드 공간 \mathbb R^2=T^*\mathbb R 을 생각해 보자. 이 공간에서 임의의 곡선 \gamma\subset\mathbb R^2 은 라그랑주 부분 다양체가 된다. 이때, x 축으로의 사영(projection) :\pi\colon\mathbb R^2\to\mathbb R :\pi\colon(x,p)\mapsto x 을 정의할 수 있다. 이 사영에 대한 곡선의 초점면(focal surface)은 곡선의 기울기 가 무한대가 되는 점, 즉 접선이 p 축과 평행한 점들을 의미한다. 구체적인 예로 타원 :\frac12kx^2+\frac1{2m}p^2=E 을 들 수 있다. 이 타원은 해밀토니언 H(x,p)=kx^2/2+p^2/2m 의 값이 E 로 일정한 점들의 집합, 즉 준위 부분 집합 \{(x,p)\colon H(x,p)=E\} 이며, 라그랑주 부분 다양체이다. 이 타원의 초점면은 운동량 p 가 0이 되는 두 점 :\{\sqrt{2E/k},-\sqrt{2E/k}\} 이다.
4. 3. 공변접다발
매끄러운 다양체 M 위의 공변접다발 T^*M 은 자연스럽게 심플렉틱 다양체 의 구조를 가진다. 임의의 매끄러운 함수 S 가 M 에서 실수 \mathbb R 로 가는 함수라고 할 때 (S\colon M\to\mathbb R ), 공변접다발 T^*M 안에 다음과 같은 부분 다양체를 생각할 수 있다. :\left\{(x,\partial_\mu S(x))\colon x\in M\right\}\subset T^*M 여기서 \partial_\mu S(x) 는 점 x 에서 함수 S 의 미분 (또는 기울기 )을 나타낸다. 이렇게 정의된 부분 다양체는 T^*M 의 라그랑주 부분 다양체가 된다. 특히, 함수 S 가 상수 함수 S=0 인 경우를 생각해보자. 이때 미분은 \partial_\mu S(x) = 0 이 되므로, 위에서 정의한 부분 다양체는 M 의 0-단면(zero section), 즉 :\left\{(x, 0)\colon x\in M\right\}\subset T^*M 이 된다. 이 0-단면 역시 라그랑주 부분 다양체를 이룬다. 이는 종종 원래의 다양체 M 자체를 공변접다발 T^*M 안의 라그랑주 부분 다양체로 간주하는 것과 같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