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믈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믈라는 716년 우마이야 왕조의 칼리프 술라이만 이븐 압드 알 말릭이 로다를 대체하여 건설한 도시이다. 이집트와 시리아를 연결하는 주요 도로와 예루살렘과 지중해 해안을 연결하는 교차점에 위치하여 전략적 요충지로 발전했다. 아바스 왕조 시대에는 예루살렘을 제치고 무역 중심지로 번성했고, 파티마 왕조 시대에도 팔레스타인의 수도로 남았다. 1099년 제1차 십자군에 점령되어 예루살렘 왕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이후 맘루크 왕조와 오스만 제국 시대를 거치며 여러 차례 인구 변동을 겪었다.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이후 이스라엘에 편입되었으며, 유대인과 아랍인이 혼합된 도시가 되었다. 라믈라에는 백색 모스크, 아치 풀 등 다양한 랜드마크와 고고학 유적이 존재하며, 여러 자매 도시를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8세기 설립 - 지혜의 집
지혜의 집은 8세기 후반부터 13세기까지 바그다드에 존재하며 이슬람 세계의 지적 중심지 역할을 한 기관으로, 그리스 학술 문헌 번역과 다양한 학문 연구를 지원하며 이슬람 황금기 과학 발전에 기여했으나 몽골군의 침략으로 파괴되었고 그 중요성은 유럽 르네상스에도 영향을 미쳤다. - 8세기 설립 - 코밀라
코밀라는 방글라데시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국가의 지배를 받았으며, 영국령 인도 제국 시기 군사 기지, 방글라데시 독립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현재는 교통, 교육, 문화 중심지이자 역사적 명소와 프로 크리켓 팀의 연고지이다. - 이스라엘의 민족 집단거주지구 - 예루살렘
예루살렘은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의 성지이며, 5,0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중 하나로, 현재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의 핵심 쟁점 지역이다. - 이스라엘의 민족 집단거주지구 - 하이파
하이파는 이스라엘 북부 지중해 연안의 항구 도시로, 오랜 역사를 거쳐 18세기 이후 성장하여 시오니즘 운동과 이스라엘 건국 후 유대인 이민으로 크게 발전, 현재는 이스라엘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이자 산업 및 문화 중심지이며, 바하이교의 세계 중심지로서 다문화 도시의 특징을 갖는다. - 중부구 (이스라엘) - 리숀레지온
리숀레지온은 이스라엘 중부 지중해 연안에 위치한 도시로, 1882년 시온주의 개척자들에 의해 세워졌으며, 농업 정착지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로스차일드 남작의 지원과 빌루임의 합류, 이스라엘 독립 기여를 통해 경제, 문화, 교육 중심지로 성장했다. - 중부구 (이스라엘) - 레호보트
레호보트는 이스라엘 중부 해안 평야에 위치한 도시로, 폴란드 유대인 이민자들이 설립한 모샤바에서 시작하여 감귤류 과수원 조성으로 성장했으며, 현재는 교육 및 과학 기술의 중심지로서 경제가 발전하고 있다.
라믈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리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히브리어: 아랍어: |
기타 표기 | 람레, 람레흐 (비공식) |
지위 | 도시 |
위치 | 이스라엘 중부 구 |
설립 | 기원후 705년~715년 경 |
시장 | 미하엘 비달 |
면적 | 9993 dunam |
웹사이트 | 람라 시 공식 웹사이트 |
행정 구역 | |
국가 | 이스라엘 |
구 | 중부 구 |
하위 구역 | 람라 하위 구 |
인구 통계 | |
총 인구 | 76,246 명 (2019년 기준)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됨 |
2. 역사
716년 우마이야 왕조의 칼리프 술라이만 이븐 압드 알 말릭이 라믈라를 건설했으며,[4] 이후 제1차 십자군에 점령되어 예루살렘 왕국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1947년 유엔의 팔레스타인 분할안에 따라 아랍 연맹의 영토로 편입되었으나, 예루살렘으로 가는 보급로라는 지리적 및 전략적 위치로 인해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당시 이스라엘군에 의해 점령되어 다수의 아랍인들이 추방당했다.[40] 2001년 당시 유대인은 시 전체 인구의 80%를 차지했고 아랍인은 시 전체 인구의 20%를 차지했다.
8세기 전반, 우마이야 왕조의 왕자 술라이만이 이 도시를 건설했다. 당시 팔레스타인 지역은 7세기부터 이슬람교도의 정복으로 사회 변화를 겪고 있었다. 7세기 전반 칼리프 우마르 이븐 알-하타브는 역사적 시리아를 "힘스", "디마슈크", "우르둔", "피라스틴"으로 행정적으로 분할했다. 팔레스타인 지역에 해당하는 것은 "우르둔"과 "피라스틴"이며, 전자가 팔레스타인 지역의 북부, 후자가 남부에 해당한다. 우마이야 왕조 (660-750년)는 수도를 다마스쿠스에 두고 시리아를 번영시켰다. 지배자의 종교의 전례 언어에 지나지 않았던 아랍어가 행정 언어가 되어 시리아 전체에서 사용되게 되었다. 시리아의 번영은 나중에 아바스 왕조가 8세기 후반에 정치의 중심을 동쪽으로 옮김으로써 쇠퇴한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 아래, 라믈라의 건설은 우마이야 왕조에 의한 시리아 번영의 절정기에 이루어졌다.
우마이야 왕조의 6대 칼리프 압드 알-말리크 (재위 685-705년)는 아들 술라이만을 팔레스타인 군관구 (준드 피라스틴)의 총독으로 임명했다. 팔레스타인 군관구의 총독부는 리다였지만, 술라이만은 거기에서 신도시 건설을 지휘했다.
2. 1. 초기 이슬람 시대
우마이야 왕조의 왕자이자 팔레스타인의 총독이었던 술라이만 이븐 압드 알-말리크는 716년 행정 중심지로 라믈라를 건설했다.[4] 이는 이슬람교도의 원래 지방 수도였던 로다를 대체하는 것이었다.[4] 술라이만은 705년 그의 아버지인 칼리프 압드 알-말리크 이븐 마르완이 통치하기 전에 총독으로 임명되었으며, 그의 동생인 칼리프 알-왈리드 1세 치세에도 이 직책을 유지했고, 그 뒤를 이었다.[4] 그는 717년에 칼리프로서 사망했다. 라믈라는 파티마 시대(10~11세기)에도 팔레스타인의 수도로 남았다. 제1차 십자군이 1099년에 도착하기 직전까지 주요 도시이자 지방 수도로서의 역할을 수행했다.[4] 도시 이름 '라믈'(모래)은 도시가 위치한 모래 지역에서 유래되었다.술라이만이 라믈라를 건설한 동기는 개인적인 야망과 실용적인 고려 사항이었다. 오랜 역사를 지닌 번영한 도시인 로다 근처에 라믈라가 위치해 있다는 것은 물류 및 경제적으로 유리했다. 이 지역의 경제적 중요성은 이집트와 시리아를 연결하는 두 주요 도로(소위 "비아 마리스")와 예루살렘과 지중해 해안을 연결하는 도로가 교차하는 전략적 위치에 기반을 두었다.[5] 술라이만은 대규모 개발을 위한 공간 부족과 630년대 이슬람 정복과 관련된 계약으로 인해 로다 내의 바람직한 재산을 몰수하는 것을 금지했기 때문에 로다 자체를 피하고 로다 근처에 도시를 건설했다.
역사가 이븐 파들랄라 알-우마리(1347년 사망)가 기록한 전통에 따르면, 지역 기독교 성직자는 술라이만이 로다 중심부에 부지를 달라는 요청을 거절했다. 격분한 그는 성직자를 처형하려 했지만, 그의 지역 고문 라자 이븐 하이와가 그를 만류하고 대신 더 우수한 인접 부지에 새로운 도시를 건설할 것을 제안했다. 술라이만은 부지를 선택하면서 이미 설립된 도시 중심지의 물리적 제약을 피하면서 로다 인근의 전략적 이점을 활용했다. 역사가 모세 샤론은 로다가 "우마이야 통치자들의 취향에 비해 기독교적 정신이 너무 강했다"고 주장하며, 특히 압드 알-말리크가 시행한 아랍화 및 이슬람화 개혁 이후 더욱 그러했다고 주장한다.
알-자시야리(942년 사망)에 따르면 술라이만은 아버지와 예루살렘의 바위 돔과 다마스쿠스의 대 모스크를 각각 건설한 알-왈리드의 전례를 따라 위대한 건축가로서의 지속적인 명성을 얻고자 했다. 라믈라 건설은 술라이만의 "불멸을 향한 길"이었으며 "팔레스타인 풍경에 대한 그의 개인적인 흔적"이었다고 한다.
술라이만이 라믈라에 세운 첫 번째 구조물은 팔레스타인 행정의 중심지 역할을 하는 그의 호화로운 저택이었다. 다음 구조물은 다르 알-사바긴(염색공의 집)이었다. 새로운 도시의 중심에는 나중에 백색 모스크로 알려진 집회 모스크가 있었다. 이는 술라이만의 후계자인 칼리프 우마르 2세 치세까지 완성되지 않았다. 술라이만의 건설 작업은 로다 출신의 기독교인 비트리크 이븐 알-나카가 재정적으로 관리했다. 나중에 추가된 첨탑이 있는 백색 모스크의 잔해는 현재 볼 수 있다. 안뜰에는 우마이야 시대의 지하 물 저장고가 있다.[6] 라믈라는 초창기부터 주변 지역의 농산물 시장 도시로, 그리고 염색, 직조, 도자기의 중심지로 경제적으로 발전했다. 또한 많은 무슬림 종교 학자들의 고향이기도 했다.
술라이만은 라믈라에 알-바라다라는 수도교를 건설하여 10km 떨어진 남동쪽의 텔 게제르에서 라믈라로 물을 수송했다. 라믈라는 팔레스타인의 상업 중심지로서 로다를 대체했다. 로다의 많은 기독교인, 사마리아인, 유대인 주민들이 새로운 도시로 이주했다. 전통적인 기록은 라믈라가 건설된 후 로다가 거의 즉시 잊혀졌다는 데 동의하지만, 술라이만이 로다 주민을 라믈라로 이주시키려는 노력의 정도에 대해서는 이야기가 다르며, 일부는 로다의 교회를 파괴했을 뿐이라고 주장하고 다른 사람들은 도시 전체를 파괴했다고 주장한다. 알-야쿠비(839년 사망)는 술라이만이 로다 주민들이 라믈라로 이주하도록 강요하기 위해 그들의 집을 파괴했고, 저항하는 사람들을 처벌했다고 언급했다. 알-자시야리의 말에 따르면, 술라이만은 "알-라믈라와 그 모스크의 마을을 건설하여 로드[로다]를 파멸시켰다."
2. 2. 아바스 왕조와 파티마 왕조 시대

우마이야 왕조가 716년 라믈라를 건설한 이후, 아바스 왕조 시대에도 라믈라는 계속해서 번영했다. 그러나 10세기 후반부터 정치적 불안정과 전쟁으로 인해 점차 쇠퇴하기 시작했다.[4]
969년 파티마 왕조는 라믈라를 정복했다. 파티마 왕조의 통치 기간 동안 라믈라는 팔레스타인의 수도로 남아 있었지만, 잦은 분쟁과 자연재해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4] 11세기 초, 자라히드(Jarrahids) 부족이 라믈라를 공격하여 도시를 파괴하고 주민들을 학살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2. 3. 십자군 시대
1099년 제1차 십자군이 라믈라를 점령했다.[4] 십자군 시대에 라믈라는 예루살렘 왕국의 영지가 되었으며, 예루살렘으로 가는 순례자들의 중요한 경유지였다.2. 4. 맘루크 왕조와 오스만 제국 시대
맘루크 왕조는 13세기 후반 람라를 정복하고 백색 모스크를 개조했다. 1489년에는 나블루스 근처에서 지진이 발생하여 람라가 파괴되었고, 11년 후 또 다른 지진이 발생했다.[6] 오스만 제국 시대에 람라는 다시 번영했으나, 19세기 말에는 쇠퇴했다.2. 5. 영국 위임통치 시대
1922년 영국 위임통치령의 인구 조사에서 람라의 인구는 7,312명이었다. 이들은 5,837명의 무슬림, 1,440명의 기독교인, 35명의 유대인으로 구성되었다.[36]1947년 UN 분할안에 따라 람라는 아랍 국가 영토로 지정되었으나,[36] 예루살렘으로 가는 주요 보급로에 위치한 전략적 요충지였기 때문에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당시 분쟁의 대상이 되었다. 1948년 2월 18일, 유대 민병대 단체 이르군이 라믈라 시장에서 폭탄을 터뜨려 주민 7명이 사망하고 45명이 부상당했다.[37][38]
이스라엘군은 다니 작전을 통해 1948년 7월 12일 라믈라를 점령했다. 아랍 저항군은 같은 날 항복했으며,[39] 대부분의 주민들은 추방되었다.[40] 일란 파페와 같은 학자들은 이를 인종 청소로 규정하기도 한다.[41]
2. 6.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과 그 이후
1947년 유엔의 팔레스타인 분할안에 따라 아랍 연맹의 영토로 편입되었으나,[36] 예루살렘으로 가는 보급로라는 지리적 및 전략적 위치로 인해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당시 이스라엘군에 의해 점령되어 다수의 아랍인들이 추방당했다.[40]라믈라는 지리적 위치와 예루살렘으로 가는 주요 보급로에 위치한 전략적 요충지 때문에 1947-1948년 내전과 국제화된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동안 분쟁의 대상이 되었다.[36] 1948년 2월 18일, 유대 민병대 단체 이르군이 라믈라 시장에서 폭탄을 터뜨려 주민 7명이 사망하고 45명이 부상했다.[37][38]
이스라엘군은 라믈라에 대한 여러 차례의 실패한 습격 이후, 다니 작전을 시작하여 리다를 점령한 지 며칠 후인 1948년 7월 12일에 라믈라를 점령했다. 아랍 저항군은 7월 12일에 항복했고,[39] 나머지 주민 대부분은 추방되었다.[40] 일란 파페를 포함한 학자들은 이를 인종 청소로 특징짓는 논쟁적인 주장을 제기한다.[41] 1949년 11월까지 라믈라와 로드에는 약 2,000명의 아랍인이 있었다.[42]
라믈라는 이스라엘 내에서 유대인과 아랍인이 혼합된 도시가 되었다. 이스라엘 정부는 라믈라를 떠난 아랍인들의 집을 유대인들에게 주었는데, 처음에는 유럽에서 온 홀로코스트 난민들에게, 그 다음에는 아랍 및 무슬림 국가에서 온 이민자들에게 주었다.[43]
2001년 당시 유대인은 시 전체 인구의 80%를 차지했고 아랍인은 시 전체 인구의 20%를 차지했다.
3. 인구
2014년 기준 람라의 인구는 72,293명이다.[69] 2001년 기준 람라의 민족 구성은 유대인 80%, 아랍인 20%(무슬림 16%, 기독교인 4%)였다.[69] 람라는 이스라엘 카라이트 유대교의 중심지 중 하나이다.[70]
파키스탄 카라치 출신의 유대인들 다수가 이스라엘로 이주하여 라믈라에 정착했으며, 그곳에서 카라치의 마가인 샬롬 회당을 본떠 마겐 샬롬 회당을 지었다.[71]
4. 지리
라믈라는 이집트와 시리아를 연결하는 주요 도로와 예루살렘과 지중해 해안을 연결하는 도로가 교차하는 전략적 위치에 있다.[7][8] 10세기의 예루살렘 지리학자 알-무카다시(al-Muqaddasi)는 라믈라를 "훌륭하고 잘 지어진 도시이며, 물이 좋고 풍부하며, 과일이 풍부하다"고 묘사했다. 그는 "아름다운 마을과 훌륭한 도시, 성지 및 쾌적한 마을과 가까이 위치해 있어 다양한 이점을 결합"할 뿐만 아니라 풍부한 들판, 성벽이 있는 도시, 병원을 갖추고 있다고 언급했다.[7][8]
하지만, 도시의 단점으로는 우기인 겨울철에 심하게 진흙이 많다는 점과 자연 수원과의 거리로 인해 땅이 단단하고 모래가 많다는 점이 있었다. 도시의 저수지에 모인 제한적인 식수는 일반적으로 가난한 주민들에게는 쉽게 접근하기 어려웠다.
1047년에 이 곳을 방문한 페르시아 지리학자 나시르-이-코스로우(Nasir-i-Khusrau)는 라믈라가 돌로 지어진 튼튼한 벽과 철문을 갖춘 크고 강력한 도시이며, 벽의 높이와 두께가 매우 크다고 언급했다. 그는 주민들이 강우로부터 물을 얻으며, 각 집에는 항상 물을 공급하기 위해 물을 저장하는 탱크가 있다고 기록했다. 또한 금요 모스크 (백색 사원)의 중앙에도 큰 탱크가 있어 물이 채워지면 누구나 가져갈 수 있었다고 한다.[12][13]
5. 경제
람라는 초기 이슬람 시대부터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다. 10세기 예루살렘 지리학자 알-무카다시(al-Muqaddasi)는 라믈라를 "훌륭하고 잘 지어진 도시"로 묘사하며, 풍부한 들판, 성벽, 병원을 갖추고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또한 도시의 상업과 "훌륭한 시장"을 언급하며 과일과 빵의 품질이 최고라고 칭찬했다.[7][8] 이 시기 라믈라는 요리와 의학에 사용되는, 덜 익은 올리브에서 추출한 기름인 '안파 키논'의 생산 및 수출 중심지 중 하나였다.[9][10]
십자군 통치 시기에도 라믈라는 경제적 중요성을 가진 도시였으며 예루살렘으로 가는 순례자들의 중요한 경유지였다.
2000년 CBS 자료에 따르면, 당시 라믈라의 경제 상황은 다음과 같았다.
구분 | 수 (명) | 평균 월급/소득 (NIS) | 비고 |
---|---|---|---|
봉급 생활자 | 21,000 | 4,300 | 2000년 한 해 동안 실질 4.4% 증가 |
남성 봉급 생활자 | 5,200 | 실질 3.3% 증가 | |
여성 봉급 생활자 | 3,300 | 실질 6.3% 증가 | |
자영업자 | 1,700 | 4,900 | |
실업 수당 수급자 | 1,100 | ||
소득 보조금 수급자 | 5,600 |
현재 이스라엘 유일의 시멘트 생산 업체인 네셔 이스라엘 시멘트 엔터프라이즈는 라믈라에 주력 공장을 두고 있다.[72]
6. 문화
라믈라는 오랜 역사를 지닌 도시로, 다양한 문화 유적과 랜드마크를 보유하고 있다.
8세기 칼리프 술레이만이 세운 백색 모스크(al-Masjid al-Abyad)의 미나레트 역할을 했던 백색 탑(White Tower)은 13세기에 건설되었으며, 오늘날에는 그 잔해만 남아 있다.[47] 6층 높이의 탑에는 119개의 계단으로 이루어진 나선형 계단이 있다.[48]
789년 아바스 왕조의 하룬 알 라시드 칼리프 통치 하에 건설된 지하 물 저장고인 아치 풀(Pool of Arches)은 성 헬렌 풀(St. Helen's Pool) 또는 비르 알-아네지야(Bīr al-Anezīya)로도 알려져 있으며, 라믈라에 꾸준한 물 공급을 제공했다.[49] 10세기 초 파티마 왕조 시대에 주요 수로가 사용 중단되면서 물 저장고의 사용도 중단된 것으로 보인다.[50]
라믈라 대모스크는 엘-오마리 모스크로도 불리며, 12세기 전반 십자군이 건설한 대성당을 맘루크가 13세기 후반에 모스크로 개조한 것이다. 맘루크는 둥근 미나렛, 북쪽 입구, 미흐라브를 추가했으며, 건축학적으로 이스라엘에서 가장 크고 보존이 잘 된 십자군 교회이다.[51]
성 니고데모와 아리마태아 요셉의 호스피스는 시계가 달린 사각형 탑으로, 프란치스코회 교회에 속해 있다. 나폴레옹은 1799년 팔레스타인 원정 당시 이 호스피스를 본부로 사용했다.
라믈라 박물관은 영국 위임 통치 당국의 이전 시청 건물에 자리 잡고 있으며, 1922년에 지어졌다. 아랍 건축 요소를 통합하고 있으며, 2001년에 라믈라의 역사를 기록하는 박물관이 되었다.
영국 연방 전쟁 묘지는 이스라엘에서 가장 큰 규모의 묘지로, 양차 세계 대전과 영국 위임 통치령 시대에 전사한 군인들의 묘가 안치되어 있다.
1992년부터 2010년까지 이스라엘 고대 유물 관리국(IAA) 주도로 백색 사원 근처 등 라믈라 곳곳에서 염색 산업 유적, 수력 시설, 도자기 유물 등 다양한 고고학적 발굴이 이루어졌다.[61][62] 2021년 1월에는 네셰르 람라 유적에서 12만 년 된 오록스 뼈에 새겨진 6개의 조각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레반트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확실시된다.[63][64][65]
6. 1. 랜드마크
라믈라의 탑(Tower of Ramla)은 백색 탑(White Tower)이라고도 불리며, 13세기에 건설되었다. 8세기에 칼리프 술레이만이 세운 백색 모스크(al-Masjid al-Abyad)의 미나레트 역할을 했으며, 오늘날에는 그 잔해만 남아 있다.[47] 탑은 6층 높이이며, 119개의 계단으로 이루어진 나선형 계단을 가지고 있다.[48]
아치 풀(Pool of Arches)은 성 헬렌 풀(St. Helen's Pool)과 비르 알-아네지야(Bīr al-Anezīya)로도 알려져 있으며, 789년 CE (초기 이슬람 시대) 아바스 왕조의 하룬 알 라시드 칼리프 통치 하에 라믈라에 꾸준한 물 공급을 제공하기 위해 건설된 지하 물 저장고이다.[49] 이 물 저장고의 사용은 10세기 초 (파티마 왕조 시대 시작)에 중단된 것으로 보이는데, 당시 도시로 향하는 주요 수로가 사용 중단되었기 때문일 수 있다.[50]
라믈라 대모스크는 엘-오마리 모스크로도 알려져 있다. 십자군이 12세기 전반에 대성당을 건설했으며, 맘루크가 13세기 후반 라믈라를 정복했을 때 모스크로 개조되었다. 맘루크는 둥근 미나렛, 북쪽 입구 및 미흐라브를 추가했다. 건축학적으로 이스라엘에서 가장 크고 보존이 잘 된 십자군 교회이다.[51]
라믈라의 중심 대로인 헤르츨 거리에 위치한 성 니고데모와 아리마태아 요셉의 호스피스는 시계가 달린 사각형 탑으로 쉽게 알아볼 수 있다. 이 호스피스는 프란치스코회 교회에 속해 있다. 나폴레옹은 1799년 팔레스타인 원정 당시 이 호스피스를 본부로 사용했다.
라믈라 박물관은 영국 위임 통치 당국의 이전 시청에 자리 잡고 있다. 1922년에 지어진 이 건물은 아치형 창문과 패턴 타일 바닥과 같은 아랍 건축 요소를 통합하고 있다. 1948년 이후, 이곳은 이스라엘 재무부(Ministry of Finance)의 중앙 지구 사무소였다. 2001년에 이 건물은 라믈라의 역사를 기록하는 박물관이 되었다.
영국 연방 전쟁 묘지는 이스라엘에서 가장 큰 규모의 묘지로, 양차 세계 대전과 영국 위임 통치령 시대에 전사한 군인들의 묘가 안치되어 있다.
6. 2. 고고학
1992년부터 1995년까지 백색 사원 근처에서 염색 산업 유적(다르 알-사바긴, 염색업자의 집)이 발견되었다. 이 외에도 수영장, 지하 저수지, 물탱크와 같은 수력 시설, 유리, 동전, 아랍어 비문이 새겨진 항아리 손잡이를 포함한 풍부한 도자기 유물이 출토되었다.[61] 람라에서 진행된 발굴은 2010년까지 이어졌으며, 이스라엘 고대 유물 관리국(IAA) 소속의 엘리 하다드, 오리트 세갈, 베레드 에셰드, 론 투에그가 이끌었다.[62]2021년 1월, 예루살렘 히브리 대학교와 하이파 대학교 고고학자들은 람라시 인근 야외 중기 구석기 시대 유적인 네셰르 람라에서 12만 년 된 오록스 뼈에 새겨진 6개의 조각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고고학자 요시 자이드너에 따르면, 이 발견은 레반트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확실하다. 뼈를 조사하기 위해 3차원 영상 및 현미경 분석이 사용되었다. 6개의 선은 길이가 38mm에서 42mm에 달했다.[63][64][65]
7. 자매 도시
라믈라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참조
[1]
간행물
University of Haifa
http://excavations.h[...]
2016-03-03
[2]
서적
194
https://books.google[...]
2011
[3]
웹사이트
עיריית רמלה – אתר האינטרנט
http://www.ramla.mun[...]
Ramla.muni.il
2009-05-06
[4]
문서
1890
[5]
문서
Encyclopedia of Islam, article "al-Ramla"
1890
[6]
문서
Encyclopedia of Islam, article "al-Ramla"; Myriam Rosen-Ayalon, The first century of Ramla, Arabica, vol 43, 1996, pp. 250–263.
[7]
문서
https://archive.org/[...]
1886
[8]
문서
https://archive.org/[...]
1890
[9]
문서
1906
[10]
문서
2004
[11]
문서
https://archive.org/[...]
[12]
문서
https://archive.org/[...]
1997
[13]
문서
https://archive.org/[...]
[14]
문서
Encyclopedia of Islam, article "al-Ramla".
[15]
서적
https://books.google[...]
1998
[16]
서적
The Itinerary of Benjamin of Tudela
Oxford University Press
[17]
문서
https://archive.org/[...]
1896
[18]
문서
1978
[19]
문서
[20]
문서
https://archive.org/[...]
2005
[21]
웹사이트
INS Scholarship 1998: Jaffa, 1799
http://www.napoleon-[...]
Napoleon-series.org
2009-05-06
[22]
간행물
http://www.jchp.ucla[...]
1960
[23]
문서
https://archive.org/[...]
1841
[24]
문서
https://archive.org/[...]
1868
[25]
문서
https://archive.org/[...]
1882
[26]
문서
https://archive.org/[...]
1882
[27]
문서
"The Population of the Large Towns in Palestine During the First Eighty Years of the Nineteenth Century, According to Western Sources", in Studies on Palestine during the Ottoman Period, ed. Moshe Ma'oz (Jerusalem, 1975), pp. 49–69.
[28]
웹사이트
a באה"ק. המולוניא החדשה רמלה. המליץ 26 נובמבר 1889 אוסף העיתונות הספרייה הלאומית
https://www.nli.org.[...]
2022-11-01
[29]
문서
https://archive.org/[...]
1923
[30]
문서
https://archive.org/[...]
1923
[31]
문서
https://archive.org/[...]
1932
[32]
서적
Electric Power in Syria and Palestine
American University of Beirut Press
1936
[33]
웹사이트
Sheikh Mustafa Yousef Ahmad Abdelrazzaq El-Khairi (El-Khayri) The Mayor of Ramla (1920–1947)
http://www.palestine[...]
Palestineremembered.com
2009-05-06
[34]
서적
Village Statistics
https://users.cecs.a[...]
[35]
문서
http://users.cecs.an[...]
1945
[36]
웹사이트
UN map
http://domino.un.org[...]
[37]
문서
Embassy of Israel, London, website. 2002. Quoting Zeez Vilani – 'Ramla past and present'.
[38]
뉴스
"'Jerusalem (Monday) – The 'High Command' of the Arab military organisation issued a communiqué to the newspapers here to-day claiming full responsibility for the [[Ben Yehuda Street bombings#1948|explosion in Ben Yehuda Street]] on Sunday. It was said to be in reprisal for an attack by Irgun at Ramleh several days ago.'"
Scotsman
1948-02-24
[39]
서적
Morris, 2004, p. 427
https://books.google[...]
[40]
문서
Many of the refugees including a large number of children died (at least 400+ according to the Arab historian '[[Aref al-Aref]]) from thirst, hunger, and heat exhaustion after being stripped of their valuables on the way out by Israeli soldiers. Morris, "Operation Dani and the Palestinian Exodus from Lydda and Ramle in 1948", The Middle East Journal, 40 (1986) 82–109; Morris, 2004, pp. 429–430, who quotes the orders; [[The Rabin Memoirs]] (censored section, [[The New York Times]]'', 23 October 1979).
[41]
서적
For the use of the term "ethnic cleansing", see, for example, Pappé 2006. *On whether what occurred in Lydda and Ramle constituted ethnic cleansing: * Morris 2008, p. 408]: "although an atmosphere of what would later be called ethnic cleansing prevailed during critical months, transfer never became a general or declared Zionist policy. Thus, by war's end, even though much of the country had been 'cleansed' of Arabs, other parts of the country—notably central Galilee—were left with substantial Muslim Arab populations, and towns in the heart of the Jewish coastal strip, Haifa and Jaffa, were left with an Arab minority." * Spangler 2015, p. 156]: "During the Nakba, the 1947 [''sic''] displacement of Palestinians, Rabin had been second in command over Operation Dani, the ethnic cleansing of the Palestinian towns of towns of Lydda and Ramle." * Schwartzwald 2012, p. 63]: "The facts do not bear out this contention [of ethnic cleansing]. To be sure, some refugees were forced to flee: fifty thousand were expelled from the strategically located towns of Lydda and Ramle ... But these were the exceptions, not the rule, and ethnic cleansing had nothing to do with it." * Golani and Manna 2011, p. 107]: "The expulsion of some 50,000 Palestinians from their homes ... was one of the most visible atrocities stemming from Israel's policy of ethnic cleansing."
[42]
서적
The Birth of the Palestinian Refugee Problem, 1947–1949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43]
간행물
A. Golan, Lydda and Ramle: "From Palestinian-Arab to Israeli Towns", 1948–1967, Middle Eastern Studies 39,4 (2003), pp. 121–139.
[44]
웹사이트
Zachary J. Foster, "Are Lod and Ramla the Drug Capitals of Israel and Palestine?" (Palestine Square Blog)
http://blog.palestin[...]
2015-12-30
[45]
뉴스
There's only one women's prison in Israel — and a photographer documented the inmates in harrowing detail
http://www.businessi[...]
2018-06-17
[46]
웹사이트
Police study: Tel Aviv-Jaffa, Haifa, Ramle and Eilat Israel's most violent cities
http://www.haaretz.c[...]
Ha'aretz
2015-02-01
[47]
백과사전
Ramla
http://www.antiquiti[...]
Carta for the Israel Exploration Society
2020-08-23
[48]
문서
The Guide to Israel, Zeev Vilnai, Hamakor Press, Jerusalem, 1972, p. 208.
[49]
웹사이트
Ramla Pool of Arches
http://www.iaa-conse[...]
Iaa-conservation.org.il
2014-02-04
[50]
문서
Toueg, Ron, 'Ramla, Pool of the Arches: Final Report (09/07/2020)', Hadashot Arkheologiyot, Volume 132, Year 2020, Israel Antiquities Authority. Accessed 27 July 2020.
http://www.hadashot-[...]
[51]
웹사이트
Ramla Tourism Sites
http://www.ramla.mun[...]
[52]
웹사이트
In Israel and Palestinian Territories, British Still Tend Memory of 16,000 War Dead
https://www.tabletma[...]
[53]
문서
Ishtori Haparchi, Kaphtor u'ferach, vol. II, chapter 11, s.v. ויבנה בארץ פלשתים, (3rd edition) Jerusalem 2007, p. 78 (Hebrew)
[54]
논문
Gath and Gittaim
[55]
논문
The Construction of an Islamic City in Palestine. The Case of Umayyad al-Ramla
[56]
웹사이트
Volume 121 Year 2009 Ramla (South)
http://www.hadashot-[...]
[57]
논문
Gath and Gittaim
1954
[58]
서적
Encyclopedia Judaica
[59]
논문
Review by: Anson F. Rainey
1998
[60]
논문
The Identification of Philistine Gath
1975
[61]
웹사이트
Vincenz : Ramla | The Shelby White – Leon Levy Program for Archaeological Publications
http://www.fas.harva[...]
Fas.harvard.edu
2009-05-06
[62]
문서
[[Israel Antiquities Authority]], Excavators and Excavations Permit for Year 2010, Survey Permit # A-5947, Survey Permit # A-6029, Survey Permit # A-6052, and Survey Permit # A-6057
[63]
웹사이트
Scientists: Bone carving found in Israel could be earliest human use of symbols
https://www.timesofi[...]
2021-07-08
[64]
웹사이트
120,000-Year-Old Cattle Bone Carvings May Be World's Oldest Surviving Symbols
https://www.smithson[...]
2021-07-08
[65]
논문
Early evidence for symbolic behavior in the Levantine Middle Paleolithic: A 120 ka old engraved aurochs bone shaft from the open-air site of Nesher Ramla, Israel
https://www.scienced[...]
2021-01-20
[66]
논문
Location Index for Earthquakes in Israel since 100 B.C.E.
[67]
뉴스
Underground world found at quarry – Israel Culture, Ynetnews
http://www.ynetnews.[...]
Ynetnews.com
2009-05-06
[68]
웹사이트
One year later, 'Noah's Ark' cave is no longer a safe haven
http://www.haaretz.c[...]
Haaretz
2009-05-06
[69]
웹사이트
Ramla, Israel
http://www.kcsisterc[...]
Kansas City Sister Cities
[70]
웹사이트
Karaite Center
http://www.ramla.mun[...]
Ramla Tourism Site
[71]
웹사이트
Pakistan Jewish Virtual History Tour
https://www.jewishvi[...]
[72]
웹사이트
Nesher Israel Cement Enterprises Ltd
http://www.nesher.co[...]
Nesher.co.il
2014-02-04
[73]
뉴스
The True History of Ancient Jewish Underground Hiding Places in Israel
https://www.haaretz.[...]
2024-02-21
[74]
웹사이트
Jaffa Station History
http://www.jaffastat[...]
2009-11-06
[75]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betheverg[...]
2007-09-05
[76]
웹사이트
Tennis – 2002 – WIMBLEDON – July 1 – Aisam-Ul-Haq Qureshi
http://www.asapsport[...]
ASAP Sports
2002-07-01
[77]
간행물
The Construction of an Islamic City in Palestine. The Case of Umayyad al-Ramla
1997-04
[78]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