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인란트 진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인란트 진주는 1936년 3월 7일, 독일이 베르사유 조약과 로카르노 조약을 위반하고 라인란트 지역에 군대를 진주시킨 사건이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라인란트는 비무장 지대로 설정되었으나, 아돌프 히틀러는 프랑스-소련 상호 원조 조약을 명분으로 삼아 재무장을 결정했다. 프랑스는 경제적 어려움과 영국의 소극적인 태도로 인해 군사적 대응을 하지 못했고, 영국은 유화 정책을 통해 독일과의 관계 개선을 모색했다. 이탈리아, 소련, 벨기에 등 각국의 외교 정책도 복잡하게 얽혀, 라인란트 재무장은 유럽의 세력 균형을 독일에게 유리하게 변화시켰다.

2. 배경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1919년 6월 28일 독일과 연합국베르사유 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 제42조와 제44조는 독일이 라인강 좌안 서쪽 및 우안 50km 지역에 요새 등 군사 시설을 건축·유지할 수 없다고 규정했다. 조항 위반은 "연합국에 대한 적대적 행위, ... 그리고 세계 평화를 위협하는 행위"[137]로 간주되었다.

1925년 로카르노 조약에서 독일, 프랑스, 영국은 라인란트 비무장을 재확인했다. 베르사유 조약은 연합군이 1935년까지 라인란트에서 철수하도록 규정했다.

1929년 독일 배상금 관련 헤이그 회의에서 영국 대표 필립 스노든 재무 장관과 아서 헨더슨 외무 장관은 배상금 감액, 영국 및 프랑스 군대의 라인란트 철수를 제안했다. 헨더슨은 아리스티드 브리앙 프랑스 총리를 설득해 1930년 6월까지 모든 연합군이 철수하도록 했다. 영국군은 1929년 말, 프랑스군은 1930년 6월 철수했다.

2. 1. 베르사유 조약과 로카르노 조약

베르사유 조약 제42조, 제43조, 제44조는 라인강 좌안 및 라인강에서 동쪽으로 50km 떨어진 선의 서쪽 우안에 독일이 요새를 유지하거나 건설하는 것을 금지했다.[3] 이 조항을 위반하는 것은 "적대 행위"이자 "세계 평화 교란"으로 간주되었다.[3]

1925년 로카르노 조약에서 독일, 프랑스, 영국은 라인란트의 비무장을 확인했다. 로카르노 조약은 독일이 라인란트 비무장을 자발적으로 수용한 것처럼 보였지만, 실제로는 독일에게 불리했다.[4][5][6][7] 영국과 이탈리아는 프랑스-독일 및 벨기에-독일 국경과 라인란트의 비무장 상태를 "명백히 위반"할 경우 보장해야 했다.[8]

베르사유 조약은 연합군이 1935년까지 라인란트에서 철수하도록 규정했다. 헤이그 독일 전쟁 배상금 회의에서 영국 대표단은 독일의 배상금 지불액을 줄이는 대신 영국과 프랑스군이 라인란트에서 철수할 것을 제안했다.[10] 마지막 영국군은 1929년 말, 마지막 프랑스군은 1930년 6월에 철수했다.[11]

2. 2. 각국의 외교 정책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독일라인강 좌안 및 우안 50km 지역에 요새를 건설하거나 군대를 주둔시키는 것이 금지되었다.[3] 로카르노 조약에서 독일은 라인란트의 영구 비무장 지위를 자발적으로 수용하였다.[4] 게르하르트 와인버그는 라인란트의 비무장 지대가 독일이 서쪽의 이웃 국가를 공격하는 것을 막고, 동유럽의 프랑스 동맹국(위생선)을 침략할 경우 프랑스의 공격에 노출되게 하여 유럽 평화를 보장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평가했다.[9] 1933년 이전 독일 군부와 외교 지도자들은 라인란트 재무장을 목표로 했다.[19]

프랑스는 독일을 견제하기 위해 동유럽 국가들과 위생선을 구축하여 폴란드(1921년), 체코슬로바키아(1924년), 루마니아(1926년), 유고슬라비아(1927년)와 동맹을 맺었다.[17] 이들 국가는 독일의 공격 시 프랑스가 서부 독일로 공세를 시작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영국유럽 대륙 문제에 대한 직접적인 개입을 꺼리고, 유화 정책을 통해 독일과의 관계 개선을 추구했다.[24] 영국은 10년 규칙에 따라 국방비를 감축하여 군사력이 약화되었다.[23] 1925년 오스틴 체임벌린 영국 외무 장관은 폴란드 회랑이 "영국 척탄병 한 명의 뼈에도 가치가 없다"고 발언했다.[25][26] 영국은 독일의 동유럽 영토 확장을 용인할 의사를 보였다.[28]

이탈리아는 주요 열강으로부터 "등거리"를 유지하며, 유럽 및 아프리카에서의 영향력 확대를 추구했다.[15]

소련은 초기에는 독일의 베르사유 조약 개정 시도를 지원했으나,[16] 나치 정권의 반공주의와 레벤스라움 주장에 위협을 느꼈다. 막심 리트비노프 소련 외무 인민 위원은 국제 연맹에서 집단 안보를 주장하며 히틀러에 반대했지만, 실제로는 독일과의 관계 개선을 모색했다.[121]

3. 라인란트 재무장

1919년 베르사유 조약제1차 세계 대전 패전국인 독일라인강 좌안과 라인강 동쪽 50km 지역에 요새를 건설하거나 군대를 주둔시키는 것을 금지했다.[3] 1925년 로카르노 조약에서 독일, 프랑스, 벨기에, 영국, 이탈리아는 라인란트의 비무장 지위를 영구적으로 유지하기로 합의했다.[4] 로카르노 조약은 독일이 자발적으로 라인란트 비무장에 동의했다는 점에서 중요하게 여겨졌다.[4][5][6][7]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와 독일의 국경 (1919–1926).


베르사유 조약은 연합군이 1935년까지 라인란트에서 철수하도록 규정했지만, 헤이그 회의에서 영국과 프랑스 군대는 조기에 철수했다. 마지막 영국군은 1929년 말, 프랑스군은 1930년 6월에 라인란트를 떠났다.[11] 프랑스군 철수 이후, 프랑스는 마지노 선 건설을 통해 독일의 재무장 가능성에 대비했다.[12][13]

1933년 아돌프 히틀러 집권 이후, 독일은 비밀리에 재무장을 추진했다. 1934년 영국의 국방 요구 위원회는 독일을 "궁극적인 잠재적 적"으로 규정했지만,[33] 영국은 "대륙 개입"에 소극적이었다.[34] 1934년 프랑스는 독일을 견제하기 위해 소련, 이탈리아와 동맹을 추진했다. 1935년 프랑스-소련 상호 원조 조약이 체결되자, 독일은 이를 로카르노 조약 위반이라고 비난하며 라인란트 재무장의 명분으로 삼았다.[38]

1935년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침공으로 아비시니아 위기가 발생하자, 영국은 국제 연맹을 통한 대이탈리아 제재를 주도했다. 그러나 프랑스는 독일 견제를 위해 이탈리아와의 관계 유지를 우선시하여 영국과 갈등을 빚었다. 이러한 국제 정세 변화는 독일에게 라인란트 재무장의 기회를 제공했다.[41]

1936년 3월 7일, 독일군은 라인란트에 진주하여 베르사유 조약과 로카르노 조약을 위반했다. 히틀러는 프랑스-소련 상호 원조 조약을 빌미로 삼았지만, 실제로는 독일의 경제적 어려움과 국내 정치적 지지 확보, 유럽에서의 영향력 확대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했다.

3. 1. 독일의 결정 과정

1936년 1월, 아돌프 히틀러라인란트 재무장 계획을 결정하고 군부에 준비를 지시했다. 군부 내에서는 프랑스의 군사적 대응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었으나, 히틀러는 프랑스영국이 개입하지 않을 것이라고 확신했다. 외무부 장관 콘스탄틴 폰 노이라트는 프랑스-소련 조약을 재무장의 명분으로 활용하는 전략을 제시했다.[38]

3. 2. 독일군의 진주

1936년 3월 7일 새벽, 독일군 19개 보병 대대와 소수의 항공기라인란트에 진입했다. 작전명은 '동계 훈련'이었으며, 프랑스 정부 부처가 휴무에 들어가는 시점을 노려 기습적으로 이루어졌다.[140] 독일군은 라인강에 도달했으며, 일부 부대는 라인강 서안으로 진격했다.[140]

4. 각국의 반응

독일의 라인란트 재무장 강행에 대해 각국은 서로 다른 반응을 보였다.

1919년 베르사유 조약라인강 좌안과 우안 50km 지역을 비무장 지대로 설정했고, 1925년 로카르노 조약에서 독일은 이를 자발적으로 수용했다. 그러나 1936년 독일은 이를 위반하고 라인란트를 재무장했다.
각국의 반응

국가반응
프랑스1차 대전 이후 독일의 재무장에 대한 대비를 해왔으나, 경제 위기와 정치적 불안정으로 인해 군사적 대응을 하지 못했다. 모리스 가믈랭 장군은 전면 동원이 필요하며, 이는 막대한 비용과 전면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알베르 사로 총리는 로카르노 조약 보증 의지를 표명했지만, 결국 프랑스군을 동원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영국유화 정책을 유지하며 독일의 재무장을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았다. 제1차 세계 대전 피해로 대규모 군대 파병을 꺼렸고, 특히 동유럽 문제에는 소극적이었다. 스탠리 볼드윈 총리는 조약 보장 시행 자원 부족과 여론의 군사력 미지지를 주장했다.
벨기에1920년 프랑스와 군사 동맹을 맺었으나, 라인란트 재무장 이후 레오폴 3세 국왕은 중립 노선을 선언했다.
폴란드프랑스-폴란드 군사 동맹 존중을 발표했지만, 국제 연맹 총회에서 독일군의 라인란트 진주에 대한 투표에서는 기권했다.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침공으로 국제 사회의 제재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독일의 재무장에 대해 묵인했다. 파시스트 이탈리아는 강대국 사이에서 "등거리" 외교를 추구했다.
소련표면적으로는 독일의 재무장을 비난했지만, 실제로는 독일과의 관계 개선을 희망했다.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수상은 독일과의 관계 개선을 희망한다고 밝혔고, 1936년 4월에는 독일과 무역 조약을 체결했다.
미국고립주의 정책을 고수하며 유럽 문제에 개입하지 않았다.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은 유럽 위기 관련 질문을 피하기 위해 플로리다로 장기 낚시 여행을 떠났다.
국제 연맹런던에서 회의를 열고 독일의 라인란트 재무장이 조약 위반이라고 선언했지만, 소비에트 연방을 제외한 대부분 국가는 경제적 이유로 제재에 반대했다.


4. 1. 독일

독일 국민들은 라인란트 재무장을 열렬히 환영했다. 쾰른에서는 환호하는 군중이 독일군을 맞이하며 꽃을 던졌고, 가톨릭 사제들은 병사들에게 축복을 해주었다.[76] 전국적으로 열광적인 축하 분위기가 이어졌으며, 바이마르 공화국 시절 나치에 반대했던 사람들조차 재무장을 지지하기 시작했다.[77]

아돌프 히틀러는 이러한 국민적 지지를 바탕으로 1936년 3월 29일 국민투표를 실시했다. 압도적인 다수의 독일 유권자들이 재무장에 찬성표를 던졌는데, 이언 커쇼는 99%라는 수치는 믿기 어렵지만, 대다수가 찬성한 것은 분명하다고 평가했다.[78] 선거 유세 기간 동안 히틀러는 베르사유 조약에 대한 불복종에 환호하는 거대한 군중의 환영을 받았다.[77]

재무장 이후, 국가 사회주의 정권의 인기를 크게 떨어뜨렸던 경제 위기는 거의 잊혀졌다.[79] 라인란트에서의 승리는 히틀러의 자신감을 크게 높여, 그를 잘 아는 사람들은 1936년 3월 이후 그가 이전에는 없었던 방식으로 자신의 무오류성을 확신하게 되었다고 말했다.[79]

4. 2. 프랑스

프랑스는 당시 독일보다 군사적으로 우위에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라인란트 재무장에 대해 군사적 대응을 하지 못했다. 1936년 당시 프랑스는 100개 사단을 보유한 반면, 독일은 19개 대대만을 라인란트에 투입했다.[80] 그러나 프랑스는 1935년 말부터 1936년 초까지 심각한 경제 위기를 겪고 있었고, 프랑화 평가절하는 정치적으로 용납될 수 없었다.[84] 독일의 재무장은 이러한 위기를 더욱 악화시켰고, 투자자들은 독일과의 전쟁 가능성을 우려하여 프랑스에서 대규모 자금을 유출시켰다.[84]

모리스 가믈랭 장군은 프랑스 정부에 라인란트에서 독일군과 대결하려면 전면적인 동원이 필요하며, 이는 하루에 의 비용이 소요되고 전면전으로 확대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83] 또한, 프랑스 정보국인 제2국은 라인란트의 독일군 병력을 실제보다 과대평가하여 상황 판단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59] 프랑스 공군의 상황도 좋지 않았다. 독일 공군에 비해 열세로 평가되었고, 프랑스 항공기 산업의 생산성 문제로 인해 전쟁 발발 시 손실을 대체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었다.[85]

피에르 에티엔 플랑댕 외무장관은 독일의 재무장에 맞서기 위해 영국의 지원을 확보하고자 했다. 그는 런던을 방문하여 스탠리 볼드윈 영국 총리와 회담했지만, 영국은 구체적인 안보 조치를 약속하지 않았다.[91] 영국은 영국의 안보를 프랑스의 안보와 연결하는 모호한 성명을 발표하고 제한적인 앵글로-프랑스 참모 회담에 동의하는 데 그쳤다.[92]

알베르 사로 총리는 로카르노 조약의 보증을 유지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지만, 프랑스 정부는 결국 재정 위기와 다가오는 선거를 우려하여 프랑스군을 동원하지 않기로 결정했다.[93] 프랑스 정부는 국제 연맹에 제소하고 외교적 해결을 모색했으나,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조르주 망델은 독일군을 라인란트에서 즉시 몰아내기 위한 군사 행동을 옹호한 유일한 프랑스 장관이었다.[89]

4. 3. 영국

영국은 독일의 재무장을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았고, 유화 정책을 유지했다. 제1차 세계 대전의 막대한 피해로 인해 영국은 대규모 군대를 유럽 대륙에 배치하는 것을 꺼렸다. 특히 동유럽의 안보 문제에는 더욱 소극적이었다.

1925년, 영국 외무 장관 오스틴 체임벌린 경은 로카르노 조약에서 폴란드 회랑이 "영국 척탄병 한 명의 뼈에도 가치가 없다"고 말했다.[25][26] 이는 영국이 독일-폴란드 국경 문제에 개입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1920년대와 1930년대 영국의 외교 정책은 유화 정책을 통해 베르사유 조약을 독일에게 유리하게 조정하여 평화를 유지하려는 것이었다. 영국은 프랑스-독일 관계 개선을 통해 독일이 동유럽에서 평화적으로 영토를 확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28]

영국은 프랑스의 힘을 과장하는 경향이 있었다. 1931년, 외무부 차관 로버트 "반" 반시타트 경은 영국이 유럽에서 프랑스의 "견딜 수 없는" 지배에 직면해 있으며, 독일의 부활이 프랑스의 힘에 균형을 맞추는 데 필요하다고 주장했다.[29]

1936년 1월, 프랑스 총리 피에르 라발이 프랑스-소련 조약 비준을 추진하자, 독일은 로카르노 조약에 대한 입장을 재고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영국 외무장관 앤서니 이든은 독일에게 라인란트 재무장이 발생할 경우 영국이 프랑스에 대항하여 독일을 지지할 수도 있다는 인상을 주었다.[48]

로시언 경은 독일이 자기 뒷마당으로 들어가는 것과 다름없다고 말했고, 조지 버나드 쇼는 영국이 포츠머스를 재점령한 것과 다르지 않다고 주장했다.[94] 해럴드 니콜슨 하원 의원은 3월 23일 일기에서 "하원[하원]의 분위기는 끔찍할 정도로 친독일적이며, 이는 전쟁을 두려워한다는 의미이다"라고 적었다.[94]

스탠리 볼드윈 총리는 영국은 조약 보장을 시행할 자원이 부족하며 여론이 군사력을 지지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97] 영국 참모총장은 독일과의 전쟁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전쟁이 발생할 경우 영국이 할 수 있는 최선은 3주간의 준비를 거쳐 구식 장비를 갖춘 2개 사단을 프랑스로 보내는 것뿐이라고 경고했다.[98]

영국 외무 장관 앤서니 이든은 프랑스의 군사 행동에 반대하고, 독일과의 협상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 했다.[100] 그는 독일이 라인란트에 상징적인 병력만 유지하고 재협상에 참여하는 것을 선호했다.[101]

남아프리카 공화국캐나다 등 자치령들은 군사 행동을 지지하지 않았다.[1] 특히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독일의 입장을 지지했다.[102]

3월 12일 하원 외무 위원회 회의에서 윈스턴 처칠은 후위 의원 보수당 하원 의원으로서 국제 연맹 하에서 영불 협력을 통해 프랑스가 라인란트 재무장에 대처하도록 돕자고 주장했지만,[112] 이는 실현되지 않았다.

4. 4. 벨기에

1920년 벨기에는 프랑스와 군사 동맹을 맺었으나, 라인란트 재무장 이후 레오폴 3세 국왕은 중립 노선을 선언했다. 1936년 10월 14일, 레오폴 3세는 다음과 같이 연설했다.

독일은 영국과 프랑스가 벨기에의 중립을 존중할 것이라고 판단하여, 서부 전선에서 연합군의 공세 가능성을 낮게 보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독일은 지크프리트 선 구축에 집중할 수 있었다.[114]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 이전과 마찬가지로, 독일은 벨기에의 중립을 침해할 의도가 있었다.[114] 벨기에의 중립 선언으로 인해 벨기에군은 다른 국가 군대와 참모 회담을 가질 수 없었고, 이는 1940년 독일의 벨기에 침공 당시 연합군 간의 협력 부재로 이어져 독일군에게 유리하게 작용했다.[114]

4. 5. 폴란드

폴란드1921년에 체결된 프랑스-폴란드 군사 동맹을 존중하겠다고 발표했다. 해당 협정은 폴란드가 프랑스가 침공당했을 경우에만 프랑스를 지원한다고 규정하고 있었지만, 폴란드는 프랑스가 먼저 독일을 공격할 경우에도 자국의 군대를 동원하겠다고 선언했다.[115] 그러나 국제 연맹 총회에서 독일군의 라인란트 진주에 대한 투표에서는 기권했다.

4. 6. 이탈리아

이탈리아는 에티오피아 침공으로 국제 사회의 제재를 받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탈리아는 독일의 라인란트 재무장에 대해 묵인하는 태도를 보였다.[15] 파시스트 이탈리아의 외교 정책은 모든 주요 강대국으로부터 "등거리"를 유지하고, 이탈리아가 동맹을 맺기로 선택한 강대국의 "결정적 영향력"을 행사하여 유럽의 세력 균형을 변화시키는 것이었다.

4. 7. 소련

소련 정부는 표면적으로 독일의 라인란트 재무장을 평화에 대한 위협으로 규정하며 강경한 입장을 취했다.[120] 소련 외무 인민 위원 막심 리트비노프는 국제 연맹 총회에서 집단 안전 보장을 칭찬하고 히틀러의 행동에 반대할 것을 촉구했지만, 베를린의 소련 외교관들은 독일 외무부에 더 나은 상업 관계를 원하며, 이는 더 나은 정치적 관계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121]

재무장 직후, 소련 수상 뱌체슬라프 몰로토프는 스위스 신문 르 탕과의 인터뷰에서 독일과의 관계 개선을 희망한다고 밝혔다.[120] 1936년 4월, 소련은 독일과 무역 확대를 위한 상업 조약을 체결했다.[120]

그러나 소련이 독일과 전쟁을 벌이는 데 있어 가장 큰 문제는 양국 간 국경이 없다는 점이었다. 이는 폴란드와 루마니아가 붉은 군대에게 자국 영토 통과 권한을 부여해야 함을 의미했다.[122] 국방 인민 위원부는 독일 국방군과 교전할 의사를 표명했지만, 폴란드 및 루마니아와의 통과 권한 협상에서 실패를 바라는 듯한 태도를 보였다. 이는 소련의 강경 노선이 실제로는 허세였음을 시사한다.[123] 루마니아와 폴란드는 붉은 군대가 독일과 싸우기 위해 자국 영토를 통과한 후 전쟁이 끝나도 떠나지 않을 것을 우려했고, 소련은 이에 대한 설득력 있는 보장을 제공하지 못했다.[123]

4. 8. 미국

미국은 고립주의 정책을 고수하여 유럽 문제에 개입하지 않았다.[119]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은 유럽의 위기에 대한 질문을 피하기 위해 플로리다로 장기간 낚시 여행을 떠났다.[119] 미국 정부 내에서는 히틀러가 프랑스를 파괴하려는 것이 아니라 단지 프랑스의 유럽 지배를 종식시키려 한다는 인식이 있었다.[119] 베를린 주재 미국 무관 트루먼 스미스는 "베르사유 조약은 죽었다"라고 결론 내렸다.[119]

4. 9. 국제 연맹

국제 연맹 평의회는 런던에서 회의를 열고 독일의 라인란트 재무장이 베르사유 조약로카르노 조약을 위반했다고 선언했다. 그러나 소비에트 연방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는 경제적 이유로 제재에 반대했다.[124] 특히 대공황으로 경제가 어려웠던 동유럽, 스칸디나비아,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은 독일과의 무역에 의존하고 있었기 때문에 독일을 적으로 돌리고 싶어하지 않았다.[125] 아르헨티나미국이 참여할 경우에만 제재에 찬성하겠다고 밝혔고,[126] 에콰도르 대통령 페데리코 파에스는 제재가 "무의미하다"고 선언했다.[126] 이탈리아에 대한 제재에 분노한 베니토 무솔리니는 독일에 대한 제재에 반대했다.[129]

국제 연맹은 독일에 유럽 안보를 위한 새로운 계획을 제안했고, 아돌프 히틀러는 "유럽에 영토적 주장이 없다"며 영국 및 프랑스와 25년 불가침 조약을 맺겠다고 답했지만, 영국 정부의 추가 문의에는 응답하지 않았다.[131]

5. 결과 및 영향

라인란트 재무장은 유럽의 세력 균형을 독일에 유리하게 변화시켰다.[132] 독일은 서부 국경에 지크프리트 선을 건설하여 프랑스의 군사적 위협을 감소시켰다.[134] 이는 프랑스의 대독 억지력을 약화시켰고, 동유럽 국가들은 프랑스와의 동맹에 대한 신뢰를 잃게 되었다.[134]

프랑스의 군사 전략은 방어적이었고, 마지노 선 방어에 집중했다. 프랑스가 라인란트에 군대를 파견하지 않으면서, 이러한 전략은 유럽에 공개되었다.[132] 벨기에는 프랑스와의 방어 동맹을 파기하고 중립을 선언했으며,[132] 베니토 무솔리니는 독일 쪽으로 기울기 시작했다.[133]

체코슬로바키아의 에드바르트 베네시 대통령은 프랑스와의 동맹을 포기하고 독일과의 화해를 고려하기도 했다.[134] 루마니아의 카롤 2세 국왕도 비슷한 결론을 내렸다.[134] 1936년 6월, 체코슬로바키아, 루마니아, 유고슬라비아의 소협상국 참모총장들은 독일과의 전쟁 시 프랑스의 효과적인 행동에 대한 희망이 거의 없다고 결론지었다.[136]

윈스턴 처칠은 1936년 4월 6일, 독일이 프랑스 국경에 요새를 건설하면 주력 부대가 벨기에와 네덜란드를 통해 진격할 수 있다고 경고하며 프랑스 전투를 정확히 예측했다.

윌리엄 크리스천 불리트 주니어 미국 대사는 1936년 5월 독일을 방문, 폰 노이라트 남작은 독일의 요새가 건설되면 중부 유럽 국가들이 프랑스가 독일 영토에 들어갈 수 없다는 것을 깨닫고 외교 정책에 대해 다르게 느낄 것이라고 말했다.[135]

6. 역사적 평가 및 교훈

로시언 경은 독일의 재무장을 "자기 뒷마당으로 들어가는 것"에 비유했고, 조지 버나드 쇼는 영국이 포츠머스를 재점령하는 것에 비유하는 등, 영국의 여론은 대체로 독일의 재무장을 용인하는 분위기였다.[94] 해럴드 니콜슨 하원 의원은 당시 하원의 분위기가 전쟁을 두려워하여 친독일적이었다고 기록했다.[94] 대중들은 라인란트 재무장에 항의하기보다는, 영국이 전쟁을 피하기를 요구하는 평화 집회를 열었다.[95]

존 메이너드 케인스의 저서 《평화의 경제적 결과》의 영향으로, 영국 여론은 베르사유 조약이 독일에 대해 부당하다는 인식이 강해졌다.[96] 따라서 독일의 라인란트 재진입은 베르사유 조약 위반으로 여겨졌지만, 이를 위해 영국이 전쟁을 하는 것은 도덕적으로 잘못되었다고 생각했다.[96] 알프레드 더프 쿠퍼 영국 전쟁 장관은 독일 대사에게 영국 국민은 프랑스 영토 침범에는 반대하지만, 라인란트 점령에는 무력을 사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96]

스탠리 볼드윈 총리는 여론의 지지 부족과 군사력 부족을 이유로 군사적 대응을 망설였다.[97] 영국 참모총장은 독일과의 전쟁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경고했고, 일본의 영토 확장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었다.[98][99]

앤서니 이든 외무 장관은 프랑스의 군사 행동과 독일 제재에 반대하며, 독일과의 재협상을 선호했다.[100][101] 남아프리카 공화국캐나다자치령들도 전쟁을 지지하지 않았다.[1] 특히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독일을 지지하는 입장을 보였다.[102]

영국 외무성은 히틀러의 일방적인 행동에 좌절감을 표시했다.[103] 이든과 밴시타트는 히틀러의 협상 의지에 대한 의견 차이를 보였다.[104] 밴시타트는 프랑스와의 군사 동맹을 주장했지만, 이든은 서유럽에만 영국의 이익이 국한된다고 보았다.[105][106]

영국은 프랑스와의 참모 회담에 동의했지만, 일부 장관들은 이에 불만을 품었다.[107]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와 언론은 군사적 약속에 대해 비판했고,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는 독일과의 해결을 어렵게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108][109]

윈스턴 처칠은 국제 연맹 하에서 영불 협력을 주장했지만, 실현되지 않았다.[112] 그는 훗날 독일군의 프랑스 전투를 정확히 예측했다.[112]

참조

[1] 논문 The preventive war that never happened: Britain, France, and the rise of Germany in the 1930s 2007
[2] 서적 The Third Reich in Power, 1933 – 1939: How the Nazis Won Over the Hearts and Minds of a Nation Penguin Books Limited 2012-07-26
[3] 서적 The Appeasers Phoenix Press 2000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970
[10] 학술지 The Hague Conference, 1929 https://www.jstor.or[...] Royal Institute of International Affairs 1929-08-29
[11] 웹사이트 Rheinlandbesetzung https://www.wiesbade[...] 2023-10-30
[12] 서적
[13] 서적 1996
[14] 서적 1996
[15] 서적
[16] 서적 Hitler's War in the East, 1941–1945: A Critical Assessment Berghahn Books 2002
[17] 서적 1996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The Army, Politics and Society in Germany, 1933–1945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87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The Soldiers' Strikes of 1919 https://books.google[...] Macmillan Publishing 1980
[26] 문서 Arthur Harris echoed this in 1945, reminiscent of Otto von Bismarck's statement about the Balkans.
[27] 서적
[28] 서적 1999
[29] 서적 German Rearmament and the West, 1932–1933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5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The British Way in Warfare: Power and the International System, 1856–1956 : Essays in Honour of David French https://books.google[...] Ashgate 2010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Bond
[37] 서적 More than meets the eye: the Ethiopian War and the Origins of the Second World War Routledge
[38] 서적 Emmerson
[39] 서적 Heinemann
[40] 서적 Weinberg
[41] 서적 Weinberg
[42] 서적 Hitler and Appeasement: The British Attempt to Prevent the Second World War A&C Black
[43] 서적 Emmerson
[44] 서적 Appeasement and Germany's Last Bid for Colonies Macmillan Press
[45] 서적 Emmerson
[46] 서적 Appeasement and Germany's Last Bid for Colonies Press
[47] 서적 Weinberg
[48] 서적 Heinemann
[49] 학술지 The Locarno Treaties https://www.jstor.or[...] Sage Publications 1925-12
[50] 서적 Weinberg
[51] 서적 Shore
[52] 서적 Shore
[53] 서적 Shore
[54] 서적 Shore
[55] 서적 Shore
[56] 서적 Shore
[57] 서적 Parker
[58] 서적 Shirer
[59] 서적 Kallis
[60] 서적 Hitler: Military Commander Arcturus
[61] 서적 Heinemann
[62] 서적 Shirer
[63] 서적 Is Tomorrow Hitler's? 200 Questions On the Battle of Mankind https://books.google[...] Reynal & Hitchcock
[64] 서적 Petain et de Gaulle Plon
[65] 서적 Strange Victory Hill & Wang
[66] 서적 Strange Victory Hill & Wang
[67] 서적 Emmerson
[68] 서적 Soldiers, Nazis and War in the Third Reich Blackwell
[69] 서적 Soldiers, Nazis and War in the Third Reich Blackwell
[70] 서적 Black Marks: Hitler's Bribery of his Senior Officers During World War II Hushion House
[71] 서적
[72] 서적
[73] 서적 Berlin Diary RosettaBooks 1936-03-07
[74] 서적 Berlin Diary RosettaBooks 1936-03-07
[75] 웹사이트 House of Commons Debate https://www.theywork[...] 1936-07-27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79] 서적
[80] 서적
[81] 서적
[82] 서적
[83] 서적
[84] 서적
[85] 서적
[86] 서적
[87] 서적
[88] 서적
[89] 서적
[90] 서적
[91] 서적
[92] 서적
[93] 서적 The Origins of the Second World War Penguin
[94] 서적 The Harold Nicolson Diaries: 1919–1964 Weidenfeld & Nicolson
[95] 서적
[96] 서적
[97] 서적 The Origins of the Second World War Penguin
[98] 서적
[99] 서적
[100] 서적
[101] 웹사이트 The German Occupation of The Rhineland, 1936 http://www.learningc[...] The National Archives null
[102] 서적
[103] 서적 Britain and Germany Athlone Press
[104] 서적
[105] 서적
[106] 서적 Roi
[107] 서적 Parker
[108] 서적 Emmerson
[109] 서적 Emmerson
[110] 서적 The Origins of the Second World War Penguin
[111] 서적 The Road To War Macmillan
[112] 서적 Churchill: A Life Pimlico
[113] 간행물 Belgium and Neutrality
[114] 서적 Weinberg
[115] 서적 Weinberg
[116] 서적 Emmerson
[117] 서적 Emmerson
[118] 서적 Weinberg
[119] 서적 Offner
[120] 서적 The Soviet Union and the Failure of Collective Security 1934–1938
[121] 서적 Hochman
[122] 서적 Hochman
[123] 서적 Hochman
[124] 서적 Emmerson
[125] 서적 Emmerson
[126] 서적 Emmerson
[127] 서적 Emmerson
[128] 서적 Emmerson
[129] 서적 Kallis
[130] 서적 Emmerson
[131] 서적 Taylor
[132] 서적 Weinberg
[133] 서적 The Specter of Munich: Reconsidering the Lessons of Appeasing Hitler https://books.google[...] Potomac Books
[134] 서적 Weinberg
[135] 서적 Shirer
[136] 서적 Weinberg
[137] 서적 The Appeasers Phoenix Press
[138] 서적 Hitler: Military Commander Arcturus
[139] 서적 Ibid
[140] 서적 Ibid
[141] 서적 Petain et de Gaulle Plon 1964
[142] 서적 Hitler: A Study in Tyranny Odhams 1952
[143] 문서 Shirer quotes the figure of France having 100 divisions compared to Germany's four battlions.
[144] 서적 誤算の論理 文春文庫 1990
[145] 서적 The Origins of the Second World War Penguin 1991
[146] 서적 Ibid
[147] 서적 The Collapse of British Power Pan 2002
[148] 서적 The Harold Nicolson Diaries: 1919-1964 Weidenfeld & Nicholson 2004
[149] 간행물 Belgium and Neutrality 1937-01
[150] 서적
[151] 간행물 The preventive war that never happened: Britain, France, and the rise of Germany in the 1930s 2007
[152] 서적 The Third Reich in Power, 1933 – 1939: How the Nazis Won Over the Hearts and Minds of a Nation Penguin Books Limited 2012-07-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