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러시아어 문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시아어 문자는 10세기 불가리아에서 그리스 문자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키릴 문자를 사용하며, 33개의 문자로 구성된다. 1708년과 1918년 두 차례의 개혁을 거쳐 현대적인 형태를 갖추었으며, 모음 10개, 자음 21개, 기호 2개로 이루어져 있다. 러시아어는 경음과 연음의 구분이 있으며, 자음과 모음의 조합에 따라 발음이 달라진다. 1918년 개혁으로 몇몇 문자가 폐지되었고, 현재는 '요'를 표기하는 문자를 포함하여 다양한 문자들이 사용된다. 러시아어 키보드는 표준 자판 배열을 따르며, 비러시아인을 위한 음성 자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어 - 러시아어 점자
    러시아어 점자는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러시아어를 표기하기 위해 사용되며, 구두점, 숫자, 기호 등을 포함하고, 주변 언어의 점자 체계에도 영향을 미쳤다.
  • 러시아어 - 러시아어 로마자 표기법
    러시아어 로마자 표기법은 러시아어 키릴 문자를 로마자로 변환하는 다양한 체계를 의미하며, 널리 사용되는 단일 표준 없이 여러 표준이 특정 목적에 따라 경쟁적으로 사용된다.
  • 키릴 문자 - 초기 키릴 문자
    초기 키릴 문자는 9세기 말 프레슬라프 문학 학교에서 글라골 문자를 기반으로 창작되어 그리스 문자를 참고하여 교회 서적에 더 적합하게 만들어졌으며, 슬라브족 국가로 전파된 후 지역적 변형과 문자 개혁을 거쳐 동유럽과 아시아 전역의 언어 표기에 사용되고 있다.
  • 키릴 문자 - 루마니아어 키릴 문자
    루마니아어 키릴 문자는 루마니아어의 초기 표기에 사용된 문자 체계로, 몰도바어 키릴 문자와 함께 초기 키릴 문자와 유사하며 교회 슬라브어의 전례 언어에 사용되었고, 1830년대 라틴 문자 채택 이전에는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가 혼용되었다.
러시아어 문자
기본 정보
러시아어 키릴 문자 알파벳
러시아어 키릴 문자 알파벳
이름러시아어: ру́сский алфави́т (루스키 알파비트)
러시아어: ру́сская а́збука (루스카야 아즈부카)
일반 정보
유형알파벳
사용 언어러시아어
사용 시기10세기 (고대 동슬라브어) ~ 현재; 현대 철자법: 1918년 ~ 현재
어족이집트 상형 문자
페니키아 문자
그리스 문자 (일부 글라골 문자)
초기 키릴 문자
자식 문자몽골 키릴 문자
유니코드키릴 문자 (U+0400...U+04FF) 부분 집합
ISO 15924Cyrl

2. 역사

10세기 불가리아에서 그리스 문자를 본따 처음 만들어진 키릴 문자는 곧 교회 슬라브어 문학과 함께 루스에 유입되었다. 이후 사용이 이어지다가 1708년 표트르 1세에 의해 문자 개혁이 이루어졌고, 1918년 10월에 또 다른 대대적인 철자법 개정이 이루어지면서 현대 러시아어 문자의 형태가 확립되었다.[5]

19세기까지의 러시아 키릴 문자 역사


1900년경까지는 교회 슬라브어에서 유래한 이름이 사용되었고, 1708년에 제정된 이름은 1918년 이전의 정서법에서 볼 수 있다. 러시아 시인 알렉산드르 푸시킨은 알파벳 문자 명칭이 아무것도 창출하지 않았으며, Аз, буки, веди, глаголь, добро|아즈, 부키, 베디, 글라골, 도브로ru 등은 독립적인 단어에 해당 문자를 사용한 단어명을 붙인 것뿐이라고 기록했다. 그러나 알파벳 첫 글자 이름을 나열하면 문장 형식을 띠고 있어, 초학자들이 가나처럼 알파벳을 쉽게 외울 수 있도록 문자에 이름을 부여한 것으로 추정된다.

다음은 문자 배열에 대한 디코딩 시도 예시이다.

аз буки веди|아즈 부키 베디ru나는 문자를 알고 있다
глаголь добро есть|글라골 도브로 예스티ru"단어는 재산"
живете зело, земля, и иже и како люди|지베테 젤로, 제믈랴, 이 이졔 이 카코 류디ru"살아있고, 성심성의껏 일하면, 주변 사람들이 따라줄 것이다"
мыслете наш он покой|미슬레테 나쉬 온 포코이ru"주변 세계를 이해하려고 노력하라"
рцы слово твердо|르치 슬로보 트베르도ru"확실하게 지식을 활용하라("단어"는 여기에서 "지식"을 의미한다)"
ук ферт хер|우크 페르트 헤르ru"지식은 창조주에 의해 조성된 것이고, 지식은 신의 선물이다"
цы червь ша ер ять ю|치 체르비 샤 예르 야티 유ru"학문에 힘쓰라, 창조주의 빛을 이해하기 위해"



이 문자 배열의 첫 두 행은 문자 명칭에 적용된 단어의 의미와 대응되지만, 그 이후의 행은 위작이거나 처음에는 만들어지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покой|포코이ru"("평화" 또는 "고요함")는 "주변 세계"를 의미하지 않으며, "ферт|페르트ru"는 러시아어나 다른 슬라브어파에서 의미를 갖지 않는다. 마지막 행에서 의미를 갖는 문자열은 "червь|체르비ru" (벌레)뿐이지만, 이는 실제 의미와 일치하지 않는다.

1750년대 중반까지 폐지된 문자를 포함하여 문자 이름을 정하고 "가나"와 같은 것을 구성한 또 다른 배열은 다음과 같다.

원어 표기로마자 전사번역
А(в)се буквы ведая глаголить – добро есть. Живет зло (на) земле вечно и каждому людину мыслить надо о покаянии, речью (и) словом твердить учение веры Христовой (в) Царствие Божие, чаще шептать, щтоб (все буквы) (вз)ятием этим усвоить и по законам божьим стремиться писать слова и жить|아(프)세 부크비 베다야 글라고리티 – 도브로 예스티. 지뵤트 즐로 (나) 제믈례 베치노 이 카즈도무 류디누 미슬리티 나도 오 포카야니이, 레치유 (이) 슬로봄 트베르디티 우체니예 베리 흐리스토보이 (프) 차르스트비예 보지예, 차셰 솁타티, 시토브 (프세 부크비) (브즈)야티옘 에팀 우스보이티 이 포 자코남 보지임 스트레미탸 피사티 슬로바 이 지티ru'A(v)sye bukvy vyedaya glagolit – dobro yest. Zhivyet zlo (na) zyemlye vyechno i kazhdomu lyudinu myslit nado o pokayaniyi, ryechyu (i) slovom tverdit uchyeniye vyery Khristovoy (v) Tsarstviye Bozhiye, chashchye sheptat, shchtob (vsye bukvy) (vz)yatiyem etim usvoyit i po zakonam bozhim stremitsya pisatlova i zhit'이 문자들을 모두 아는 것은 대화에 미덕을 부여한다. 악덕은 지구상에 영원히 만연하며, 각자는 그리스도와 하나님의 나라에 대한 믿음을 마음속으로 굳게 맹세하고 참회해야 한다. 신의 법에 따라 문자를 기록하고 생활하기 위해 이 문장을 반복해서 암송하고 유창하게 발음할 수 있도록 하라.


2. 1. 키릴 문자의 기원과 초기 발전

10세기 불가리아에서 그리스 문자를 본따 처음 만들어진 키릴 문자는 곧 교회 슬라브어 문학과 함께 루스에 유입되었다. 이후 사용이 이어지다가 1708년에 표트르 1세에 의해 문자 개혁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1918년 10월에 또다른 대대적인 철자법 개정이 있었고, 현대에 사용되는 형태는 여기에 기반한다.[5]

1900년경까지는 교회 슬라브어에서 유래한 이름이 사용되었다. 1708년에 제정된 이름으로, 1918년 이전의 정서법에서 볼 수 있다.

러시아 시인 알렉산드르 푸시킨은 "알파벳을 구성하는 문자 명칭은 아무것도 창출하지 않았다. Аз, буки, веди, глаголь, добро|아즈, 부키, 베디, 글라골, 도브로ru 등은 독립적인 단어이며, 단어 앞에 해당 문자가 사용된 단어명을 선택하여 문자 명칭에 적용했을 뿐이다."라고 기록했다. 그러나 알파벳의 첫 글자 이름을 나열하면 문장의 형식을 띠고 있어, 초학자들이 가나처럼 알파벳을 쉽게 외울 수 있도록 구성하여 문자에 이름을 부여한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은 문자 배열에 대한 디코딩을 시도한 예시이다.

аз буки веди|아즈 부키 베디ru나는 문자를 알고 있다
глаголь добро есть|글라골 도브로 예스티ru"단어는 재산"
живете зело, земля, и иже и како люди|지베테 젤로, 제믈랴, 이 이졔 이 카코 류디ru"살아있고, 성심성의껏 일하면, 주변 사람들이 따라줄 것이다"
мыслете наш он покой|미슬레테 나쉬 온 포코이ru"주변 세계를 이해하려고 노력하라"
рцы слово твердо|르치 슬로보 트베르도ru"확실하게 지식을 활용하라("단어"는 여기에서 "지식"을 의미한다)"
ук ферт хер|우크 페르트 헤르ru"지식은 창조주에 의해 조성된 것이고, 지식은 신의 선물이다"
цы червь ша ер ять ю|치 체르비 샤 예르 야티 유ru"학문에 힘쓰라, 창조주의 빛을 이해하기 위해"



이 문자 배열의 첫 두 행은 문자 명칭에 적용된 단어의 의미와 어떻게든 대응되지만, 그 이후의 행은 위작이거나, 처음에는 만들어지지 않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예를 들어, "покой|포코이ru" ("평화" 또는 "고요함"을 나타냄)이라는 단어는 "주변 세계"를 의미하지 않으며, "ферт|페르트ru"는 러시아어 또는 다른 슬라브어파에서 의미를 갖지 않는다(슬라브어파의 근원이 된 언어에는 ф|프ru로 시작하는 단어가 없었다). 마지막 행에서 의미를 갖는 문자열은 "червь|체르비ru" (벌레)뿐이지만, 이는 실제 의미와 일치하지 않는다.

문자 이름을 정하고 "가나"와 같은 것을 구성한 이 배열에는 또 다른 표현이 있으며, 여기에는 1750년대 중반까지 폐지된 문자도 포함되어 있다.

원어 표기로마자 전사번역
А(в)се буквы ведая глаголить – добро есть. Живет зло (на) земле вечно и каждому людину мыслить надо о покаянии, речью (и) словом твердить учение веры Христовой (в) Царствие Божие, чаще шептать, щтоб (все буквы) (вз)ятием этим усвоить и по законам божьим стремиться писать слова и жить|아(프)세 부크비 베다야 글라고리티 – 도브로 예스티. 지뵤트 즐로 (나) 제믈례 베치노 이 카즈도무 류디누 미슬리티 나도 오 포카야니이, 레치유 (이) 슬로봄 트베르디티 우체니예 베리 흐리스토보이 (프) 차르스트비예 보지예, 차셰 솁타티, 시토브 (프세 부크비) (브즈)야티옘 에팀 우스보이티 이 포 자코남 보지임 스트레미탸 피사티 슬로바 이 지티ru'A(v)sye bukvy vyedaya glagolit – dobro yest. Zhivyet zlo (na) zyemlye vyechno i kazhdomu lyudinu myslit nado o pokayaniyi, ryechyu (i) slovom tverdit uchyeniye vyery Khristovoy (v) Tsarstviye Bozhiye, chashchye sheptat, shchtob (vsye bukvy) (vz)yatiyem etim usvoyit i po zakonam bozhim stremitsya pisatlova i zhit)이 문자들을 모두 아는 것은 대화에 미덕을 부여한다. 악덕은 지구상에 영원히 만연하며, 각자는 그리스도와 하나님의 나라에 대한 믿음을 마음속으로 굳게 맹세하고 참회해야 한다. 신의 법에 따라 문자를 기록하고 생활하기 위해 이 문장을 반복해서 암송하고 유창하게 발음할 수 있도록 하라.



1708년 표트르 대제의 문자 개혁과 관련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 발음이 и|이ru와 동일하며, 다른 모음과 й|이ru("짧은 I") 바로 앞에만 사용되었다(예: {{lang|ru-petr1708|патріархъ|파트리

아르흐}} '총대주교'). 그리고 단어 ('세계')와 그 파생어에서, 단어 ('평화')와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 ѣ — 원래는 다른 소리를 가지고 있었지만, 18세기 중반까지 표준어에서 е|예ru와 동일한 발음이 되었다.
  • ѳ — 그리스어 세타에서 유래되었으며, 발음은 ф|프ru와 동일했지만, 어원적으로 사용되었다(예: "테오도르"가 "표도르"가 되었다).
  • ѵ — 그리스어 웁실론에서 유래되었으며, 일반적으로 발음이 비잔틴 그리스어처럼 и|이ru와 동일했지만, 라틴어 Y와 같이 그리스어 차용어에 어원적으로 사용되었다. 18세기의 철자법에서는 일부 모음 다음에 사용되었으며, 이후 또는 (드물게) 로 대체되었다. 예를 들어, 원래 로 표기된 그리스어 접두사(영어 에 해당)는 대부분의 경우 로, 일부 복합어에서는 로 표기된다.
  • ѕ|제ru는 18세기까지 세속적인 글쓰기에서 전통적으로 유지되었고, 교회 슬라브어마케도니아어에서는 오늘날까지 사용되는, 더 오래된 발음에 해당한다.
  • ѯ|크시ru와 ѱ|프시ru는 그리스 문자 크시와 프시에서 파생되었다. 이는 18세기까지 세속적인 글쓰기에서 일관성 없이, 그리고 교회 슬라브어에서는 오늘날까지 일관성 있게 어원적으로 사용되었다.
  • ѡ|오ru는 그리스 문자 오메가로, о|오ru와 발음이 동일하다. 이는 18세기까지 세속적인 글쓰기에서 사용되었지만, 오늘날의 교회 슬라브어에서는, 그렇지 않으면 동일하게 쓰이는 굴절 형태를 구별하는 데 주로 사용되었다.
  • "유스" 두 개, "큰" ѫ|온ru와 "작은" ѧ|얀ru는 비음화된 모음 와 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다. 언어학적 재구성에 따르면, 두 모음 모두 역사 시대 초기에 동슬라브어의 음운론과 관련이 없어졌지만, 나머지 키릴 문자와 함께 도입되었다. 이오타화된 유스, ѭ|욘ru와 ѩ|옌ru는 12세기까지 대부분 사라졌다. 비이오타화된 ѫ|온ru는 16세기까지 어원적으로 계속 사용되었다. 그 후에는 파스칼 표에서 도미니칼 레터로 제한되었다.
  • 문자 ѧ|얀ru는 단어의 중간 또는 끝에서 이오타화된 я|야ru를 나타내도록 적용되었다. 현대 문자 я|야ru는 1708년의 타이포그래피 개혁에 의해 정해진 17세기의 필기체 형태를 적용한 것이다.
  • 1708년까지, 이오타화된 는 단어의 시작 부분에서 ꙗ로 쓰였다. ѧ|얀ru와 ꙗ|이야ru 사이의 이러한 구분은 교회 슬라브어에서 살아 있다.


위에 있는 표의 문자들이 1708년의 타이포그래피 개혁에서 삭제되었다고 일반적으로 언급되지만, 현실은 다소 복잡하다. 이 문자들은 실제로 표트르의 칙령에 제시된 서양식 세리프체로 인쇄된 샘플 알파벳에서 삭제되었으며, 문자 з|제ru (ѕ|제ru로 대체됨), и|이ru 및 ф|에프ru가 함께 제공되었지만 (변형된 문자 й|이 코로트코예ru도 삭제됨) 현대 서체의 후기 변형(1710년)에서 러시아 정교회의 압력에 따라 ѱ|프시ru와 ѡ|오ru를 제외하고 복원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735년부터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는 ѕ|제ru, ѯ|크시ru 및 ѵ|이쥐차ru가 없는 글꼴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ѵ|이쥐차ru는 1758년부터 때때로 다시 사용되었다.

서구 학자들과 철학자들에게 칭찬을 받았지만, 새로운 표준은 "러시아화"되었다고 생각하는 성직자들과 많은 보수적인 학자들의 비판을 받았다. 어떤 사람들은 표트르를 적그리스도라고 부르기까지 했다.[7]

로모노소프는 또한 러시아어 표준 언어에 기여하여, 종교 텍스트와 같은 공식적인 상황에서 사용될 교회 슬라브어의 영향을 많이 받은 "높은 스타일"을 개발했다. "중간 스타일"과 "낮은 스타일"은 덜 공식적인 행사와 캐주얼한 글쓰기에 적합하다고 여겨졌다. 로모노소프는 나중에 현대 러시아어 표준 언어의 기초가 된 "중간 스타일"을 옹호했다.[8]

2. 2. 표트르 1세의 문자 개혁 (1708년)

1708년 표트르 1세에 의해 문자 개혁이 이루어졌다.[6]

표트르 1세의 문자 개혁 이전의 문자는 다음과 같다.

글자이탤릭체옛 이름IPA일반적인 음역비슷한 러시아 문자예시
Ѕ|ѕruЅ|ѕruѕѣлѡ|젤로ru또는zз|зrusѣлѡ|sѣлѡru (구식 어간, 현재 очень|оченьru)
"매우"
Ѯ|ѯruѮ|ѯruѯи|ксиru또는x, ksкс|ксruАлеѯандръ|Алеѯандръru (현재 Александр|Александрru)
"알렉산더"
Ѱ|ѱruѰ|ѱruѱи|псиru또는psпс|псruѰаломъ|Ѱаломъru (현재 псалом|псаломru)
"시편"
Ѡ|ѡruѠ|ѡruѡмега|오메가ruo, wо|оruѡбразъ|ѡбразъru (현재 образ|образru)
"이미지, 아이콘"
Ѫ|ѫruѪ|ѫruюсъ большой|유스 볼쇼이ru또는ąу|уru 또는 ю|юruпѫть|пѫтьru (현재 путь|путьru)
"길"
Ѧ|ѧruѦ|ѧruюсъ малый|유스 말르이ruęя|яruпѧть|пѧтьru (현재 пять|пятьru)
"다섯"
Ѭ|ѭruѬ|ѭruюсъ большой іотированный|유스 볼쇼이 요티로반느이ruю|юruзнаѭ|знаѭru (현재 знаю|знаюru)
"(나는) 안다"
Ѩ|ѩruѨ|ѩruюсъ малый іотированный|유스 말르이 요티로반느이ruя|яruѩзыкъ|ѩзыкъru (현재 язык|языкru)
"혀, 언어"


  • ѕ|ѕru는 18세기까지 세속적인 글쓰기에서 전통적으로 유지되었고, 교회 슬라브어마케도니아어에서는 오늘날까지 사용되는, 더 오래된 발음에 해당한다.
  • ѯ|ѯru와 ѱ|ѱru는 그리스 문자 크시와 프시에서 파생되었다. 이는 18세기까지 세속적인 글쓰기에서 일관성 없이, 그리고 교회 슬라브어에서는 오늘날까지 일관성 있게 어원적으로 사용되었다.
  • ѡ|ѡru는 그리스 문자 오메가로, о|оru와 발음이 동일하다. 이는 18세기까지 세속적인 글쓰기에서 사용되었지만, 오늘날의 교회 슬라브어에서는, 그렇지 않으면 동일하게 쓰이는 굴절 형태를 구별하는 데 주로 사용되었다.
  • "유스" 두 개, "큰" ѫ|ѫru와 "작은" ѧ|ѧru는 비음화된 모음 와 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다. 언어학적 재구성에 따르면, 두 모음 모두 역사 시대 초기에 동슬라브어의 음운론과 관련이 없어졌지만, 나머지 키릴 문자와 함께 도입되었다. 이오타화된 유스, ѭ|ѭru와 Ѩ|ѩru는 12세기까지 대부분 사라졌다. 비이오타화된 ѫ|ѫru는 16세기까지 어원적으로 계속 사용되었다. 그 후에는 파스칼 표에서 도미니칼 레터로 제한되었다. ѫ|ѫru와 ѧ|ѧru의 17세기 사용법은 현대의 교회 슬라브어에서 살아 있으며, 소리(문자가 아님)는 폴란드어에서 살아있다.
  • 문자 ѧ|ѧru는 단어의 중간 또는 끝에서 이오타화된 я|яru를 나타내도록 적용되었다. 현대 문자 я|яru는 1708년의 타이포그래피 개혁에 의해 정해진 17세기의 필기체 형태를 적용한 것이다.
  • 1708년까지, 이오타화된 는 단어의 시작 부분에서 ꙗ로 쓰였다. ѧ|ѧru와 ꙗ|ꙗru 사이의 이러한 구분은 교회 슬라브어에서 살아 있다.


위에 있는 표의 문자들이 1708년의 타이포그래피 개혁에서 삭제되었다고 일반적으로 언급되지만, 현실은 다소 복잡하다. 이 문자들은 실제로 표트르의 칙령에 제시된 서양식 세리프체로 인쇄된 샘플 알파벳에서 삭제되었으며, 문자 з|зru (ѕ|ѕru로 대체됨), и|иru 및 ф|фru가 함께 제공되었지만 (변형된 문자 й|йru도 삭제됨) 현대 서체의 후기 변형(1710년)에서 러시아 정교회의 압력에 따라 ѱ|ѱru와 ѡ|ѡru를 제외하고 복원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735년부터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는 ѕ|ѕru, ѯ|ѯru 및 ѵ|ѵru가 없는 글꼴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ѵ|ѵru는 1758년부터 때때로 다시 사용되었다.

새로운 문자 표준은 서구 학자들과 철학자들에게 칭찬을 받았지만, "러시아화"되었다고 생각하는 성직자들과 많은 보수적인 학자들의 비판을 받았다. 어떤 사람들은 표트르를 적그리스도라고 부르기까지 했다.[7]

로모노소프는 또한 러시아어 표준 언어에 기여하여, 종교 텍스트와 같은 공식적인 상황에서 사용될 교회 슬라브어의 영향을 많이 받은 "높은 스타일"을 개발했다. "중간 스타일"과 "낮은 스타일"은 덜 공식적인 행사와 캐주얼한 글쓰기에 적합하다고 여겨졌다. 로모노소프는 나중에 현대 러시아어 표준 언어의 기초가 된 "중간 스타일"을 옹호했다.[8]

2. 3. 1918년 철자법 개정

1708년 표트르 1세에 의해 문자 개혁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1918년 10월에 또 다른 대대적인 철자법 개정이 있었고, 현대에 사용되는 형태는 여기에 기반한다.

1900년경까지는 교회 슬라브어에서 유래한 이름이 사용되었다. 1708년에 제정된 이름으로, 1918년 이전의 정서법에서 볼 수 있다.

러시아 시인 알렉산드르 푸시킨은 "알파벳을 구성하는 문자 명칭은 아무것도 창출하지 않았다. Аз, буки, веди, глаголь, добро|아즈, 부키, 베디, 글라골, 도브로ru 등은 독립적인 단어이며, 단어 앞에 해당 문자가 사용된 단어를 선택하여 문자 명칭에 적용했을 뿐이다."라고 기록했다. 그러나 알파벳의 첫 글자 이름을 나열하면 문장의 형식을 띠고 있어, 초학자들이 가나처럼 알파벳을 쉽게 외울 수 있도록 구성하여 문자에 이름을 부여한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은 문자 배열에 대한 디코딩을 시도한 예시이다.

аз буки веди|아즈 부키 베디ru나는 문자를 알고 있다
глаголь добро есть|글라골 도브로 예스티ru"단어는 재산"
живете зело, земля, и иже и како люди|지베테 젤로, 제믈랴, 이 이졔 이 카코 류디ru"살아있고, 성심성의껏 일하면, 주변 사람들이 따라줄 것이다"
мыслете наш он покой|미슬레테 나쉬 온 포코이ru"주변 세계를 이해하려고 노력하라"
рцы слово твердо|르치 슬로보 트베르도ru"확실하게 지식을 활용하라("단어"는 여기에서 "지식"을 의미한다)"
ук ферт хер|우크 페르트 헤르ru"지식은 창조주에 의해 조성된 것이고, 지식은 신의 선물이다"
цы червь ша ер ять ю|치 체르비 샤 예르 야티 유ru"학문에 힘쓰라, 창조주의 빛을 이해하기 위해"



이 문자 배열의 첫 두 행은 문자 명칭에 적용된 단어의 의미와 어떻게든 대응되지만, 그 이후의 행은 위작이거나, 처음에는 만들어지지 않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예를 들어, "покой|포코이ru" ("평화" 또는 "고요함"을 나타냄)이라는 단어는 "주변 세계"를 의미하지 않으며, "ферт|페르트ru"는 러시아어 또는 다른 슬라브어파에서 의미를 갖지 않는다(슬라브어파의 근원이 된 언어에는 ф|프ru로 시작하는 단어가 없었다). 마지막 행에서 의미를 갖는 문자열은 "червь|체르비ru" (벌레)뿐이지만, 이는 실제 의미와 일치하지 않는다.

문자 이름을 정하고 "가나"와 같은 것을 구성한 이 배열에는 또 다른 표현이 있으며, 여기에는 1750년대 중반까지 폐지된 문자도 포함되어 있다.

원어 표기로마자 전사번역
А(в)се буквы ведая глаголить – добро есть. Живет зло (на) земле вечно и каждому людину мыслить надо о покаянии, речью (и) словом твердить учение веры Христовой (в) Царствие Божие, чаще шептать, щтоб (все буквы) (вз)ятием этим усвоить и по законам божьим стремиться писать слова и жить|아(프)세 부크비 베다야 글라고리티 – 도브로 예스티. 지뵤트 즐로 (나) 제믈레 베치노 이 카즈도무 류디누 미슬리티 나도 오 포카야니이, 레치유 (이) 슬로봄 트베르디티 우체니예 베리 흐리스토보이 (프) 차르스트비예 보지예, 차셰 솁타티, 시토브 (프세 부크비) (브즈)야티옘 에팀 우스보이티 이 포 자코남 보지임 스트레미탸 피사티 슬로바 이 지티ru'A(v)sye bukvy vyedaya glagolit – dobro yest. Zhivyet zlo (na) zyemlye vyechno i kazhdomu lyudinu myslit nado o pokayaniyi, ryechyu (i) slovom tverdit uchyeniye vyery Khristovoy (v) Tsarstviye Bozhiye, chashchye sheptat, shchtob (vsye bukvy) (vz)yatiyem etim usvoyit i po zakonam bozhim stremitsya pisatlova i zhit'이 문자들을 모두 아는 것은 대화에 미덕을 부여한다. 악덕은 지구상에 영원히 만연하며, 각자는 그리스도와 하나님의 나라에 대한 믿음을 마음속으로 굳게 맹세하고 참회해야 한다. 신의 법에 따라 문자를 기록하고 생활하기 위해 이 문장을 반복해서 암송하고 유창하게 발음할 수 있도록 하라.


3. 문자 구성

러시아어 문자는 다른 키릴 문자에는 없는 '요'(Ё) 발음을 나타내는 문자를 포함한다. 기본적인 문자는 다른 키릴 문자와 유사하며, 현재 알파벳은 모음 10개, 자음 21개, 기호 2개로 구성되어 총 33개이다.

3. 1. 문자 목록 및 발음

일반적으로 다른 키릴 문자에는 없는 '요'(Ё) 발음을 낼 수 있는 문자가 만들어졌다. 기본적인 문자는 다른 키릴 문자와 유사하다. 현재 러시아어 알파벳은 모음 10개, 자음 21개, 기호 2개로 구성되어 모두 33개이다.

문자IPA일반적인 음역대략적인 영어 대응예시유니코드 (16진수)
Ааafatherдваru dva (둘)U+0410 / U+0430
Бб또는bbadобаru óba (둘 다)U+0411 / U+0431
Вв또는vvineводаru vodá (물)U+0412 / U+0432
Гг또는ggoгодru god (년)U+0413 / U+0433
Дд또는ddoдаru da (예)U+0414 / U+0434
Ее, 또는ye, je, eyesнеru ne (아니)U+0415 / U+0435
Ёё또는yo, jo, ëyourёжru yozh (고슴도치)U+0401 / U+0451
Жжzh, žmeasureжукru zhuk (딱정벌레)U+0416 / U+0436
Зз또는zzooзнойru znoy (열)U+0417 / U+0437
Ии, 또는ipoliceилиru íli (또는)U+0418 / U+0438
Ййy, i, jtoyмойru moy (나의)U+0419 / U+0439
Кк또는kkeptктоru kto (누구)U+041A / U+043A
Лл또는lfeel 또는 lampлучru luch (광선)U+041B / U+043B
Мм또는mmapмечru mech (칼)U+041C / U+043C
Нн또는nnotноru no (그러나)U+041D / U+043D
Ооomoreонru on (그)U+041E / U+043E
Пп또는ppetподru pod (아래)U+041F / U+043F
Рр또는rrolled rрекаru reká (강)U+0420 / U+0440
Сс또는ssetеслиru yésli (만약)U+0421 / U+0441
Тт또는ttopтотru tot (그)U+0422 / U+0442
Ууutoolкустru kust (덤불)U+0423 / U+0443
Фф또는ffaceфеяru féya (요정)U+0424 / U+0444
Хх또는kh, h스코틀랜드의 "loch", ugh처럼 발음духru dukh (영혼)U+0425 / U+0445
Ццts, csitsконецru konéts (끝)U+0426 / U+0446
Ччch, čcheckчасru chas (시간)U+0427 / U+0447
Шшsh, šhush에서 "sh"와 유사вашru vash (당신의)U+0428 / U+0448
Щщ,shch, sch, ščpush ships와 같이 이중 "sh"와 유사щекаru shcheká (볼)U+0429 / U+0449
Ъъʺ무음, 앞의 구개음화를 막음объектru obyékt (객체)U+042A / U+044A
Ыыy일반 미국식 roses (대략적인 동등어)тыru ty (너)U+042B / U+044B
Ььʹ무음, 앞의 자음을 구개음화함 (음운론적으로 가능할 경우)гусьru 'gus '' (거위)U+042C / U+044C
Ээ또는e, èmetэтоru èto (이것)U+042D / U+044D
Юю또는yu, juuseюгru yug (남쪽)U+042E / U+044E
Яя또는ya, jayardрядru ryad (줄)U+042F / U+044F



1918년에 폐지된 문자
문자문자 명칭설명
Іі이 스 토치코이иru와 발음이 동일하며, 다른 모음이나 йru(Й) 앞에 사용되었다 (예: патріархъru , 가부장). 또한, міръru , 세계) 와 그 동음이의어인[25][26] миръru (평화)를 구분하기 위해서도 사용되었다.
피타그리스 문자테타에서 유래했다. 발음은 фru와 동일하지만, 그리스어 기원의 외래어 등에 사용되었다 (예: Ѳёдорru "테오도르").
야치원래는 다른 발음이었지만, 18세기 중반까지 еru와 같은 발음이 되었다. 1918년에 폐지된 이후, 이 문자는 구 정자법의 정치적인 상징이 되었다.
이지차그리스 문자입실론에서 유래했으며, 일반적인 발음은 иru와 같다. 비잔틴 제국 시대에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외래어에 사용되었다. 1918년, 사용 예가 매우 드물어졌기 때문에 폐지되었다. 18세기 철자법에서는 모음 뒤에서 вru 대신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그리스어 기원의 접두사 αѵτοgrc는 현재 автоru로 표기한다.



키릴 문자의 필기체는 라틴 문자와 마찬가지로 인쇄 서체와는 다르다. 게다가 이탤릭체 소문자도 종종 필기체에 따른 모양을 취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일부 문자에서는 필기체가 이탤릭체와도 다른 글자 모양을 취한다.

자음을 나타내는 문자의 발음에는 약하게 발음하는 문자와 강하게 발음하는 문자가 있다. 자음 뒤에 모음이 오는 경우, 자음 음성의 강약은 이어지는 모음이 강하게 발음하는 문자 а, о, э, у, ыru인지, 약하게 발음하는 문자 я, ё, е, ю, иru인지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일부 자음 발음에는 약형과 강형을 구별하는 것이 존재한다.

ыru는 고대 슬라브어에서 긴장 중간 모음이었으며, 다른 슬라브어파 언어보다 현대 러시아어에서 발음의 원형이 더 잘 남아있다고 여겨진다. 이 문자는 원래 특정 위치에서 발음을 비음화하는 역할을 했다. 이 문자는 다음과 같은 합자로 표기되게 되었다. ъ + і → ъı → ыru

эru는 경구개화되지 않은 와 경구개화된 것을 구분하기 위해 1708년에 도입되었다. 러시아어에서는 эru는 단순히 어두에서만 나타나는 문자이지만, 외국인의 이름이나 아에로플로트(Aeroflot, Аэрофлотru) 등 외래어를 기원으로 하는 브랜드명을 표기할 때는 예외이다.

ёru는 1797년에 니콜라이 카람진에 의해 도입되었으며, 1943년 소련 교육부에 의해 공식 문자가 되었다.[23] 발음을 나타내며, 역사적으로는 발음에 강세가 오는 경우의 문자로 생겨났다. ёru는 문자로 표기할 때는 "옵션" 문자이다. 공식적으로는 еru가 와 소리를 모두 나타낸다. 20세기에는 ёru의 역할을 еru에 포함시키려는 시도가 몇 차례 있었지만 모두 실패했다.

3. 2. 모음

러시아어 알파벳은 10개의 모음 문자를 포함하며, 이들은 경모음과 연모음으로 나뉜다.[10] 연모음 (е|예ru, ё|요ru, и|이ru, ю|유ru, я|야ru)는 앞의 자음을 구개음화시키거나 (и|이ru 제외), 다른 경우에는 반모음 /j/를 앞에 붙여 발음한다. 제시된 IPA 모음은 참고용이며, 특히 강세가 없을 때는 다르게 발음될 수 있다. е|예ru는 구개음화 없이 외래어에서 로 발음될 수 있고, я|야ru는 연자음 사이에서 로 발음되기도 한다 (예: мяч|먀치ru '장난감 공').

모음
경모음АЭЫОУ
연모음ЯЕИЁЮ
각 행은 대략 라틴 문자 A, E, I, O, U와 유사합니다.



ы|으ru는 고대 원슬라브어의 폐쇄 중설 모음으로, 다른 슬라브어보다 현대 러시아어에서 더 잘 보존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래 특정 위치에서 비음화되었으며 (예: 고대 러시아어 камы|카믜ru , 현대 러시아어 камень|카멘ru '돌'), 문자 형태는 ъ|트보르드이 즈나크ru + і|이ru → ꙑ|ru → ы|으ru로 발전했다.

э|에ru는 비 요타화/비 구개음화 와 요타화/구개음화를 구분하기 위해 1708년에 도입되었다. 원래는 비 요타화 에 е|예ru를, 요타화에는 ѥ|ru 또는 ѣ|얘티ru를 사용했지만, ѥ|ru는 16세기까지 사용되지 않았다. 러시아어 단어에서 э|에ru는 일부 단어의 시작 부분 (э́тот|에토트ru/э́та|에타ru/э́то|에토ru '이 (남성/여성/중성)', э́ти|에티ru '이들' 등)이나 감탄사, 복합어에서만 발견된다.

외국어에서 온 단어에서는 э|에ru가 단어 시작과 모음 뒤에 쓰이는 경우가 많지만 (и|이ru 제외), и|이ru와 자음 뒤에는 е|예ru를 사용한다. 그러나 발음은 일관되지 않아, 많은 단어에서 구개음화나 요타화 없이 로 발음되지만 (예: секс|섹스ru '성', моде́ль|모델ru '모델'), 다른 단어에서는 로 발음된다 (예: се́кта|섹타ru '종파').

고유명사에서는 자음 뒤에 э|에ru가 쓰이기도 한다 (예: Сэм|셈ru '샘', Мэ́ри|메리ru '메리'). 동아시아 이름이나 , 소리가 나는 영어 이름에서 흔하며, 몇 가지 예외도 있다. же|제ru, ше|셰ru, це|체ru의 경우, 항상 경음인 자음을 따르지만 е|예ru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ё|요ru니콜라이 카람진이 1797년에 도입하고 1943년 소련 교육부가 공식화한 문자로,[23] 역사적으로 강세 에서 발전한 소리를 나타낸다. ё|요ru는 선택 사항이며, 와 모두에 е|예ru를 쓰는 것이 형식적으로 정확하다. 20세기에 ё|요ru 사용을 의무화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현행 정자법에는 모음과 관련된 몇 가지 규칙이 있다.[24]


  • к|크ru, г|그ru, х|흐ru, ч|치ru, ж|쥐ru, ш|슈ru, щ|시ru 뒤에는 ы|으ru가 오지 않고, и|이ru로 쓴다.
  • к|크ru, г|그ru, х|흐ru, ч|치ru, ж|쥐ru, ш|슈ru, щ|시ru, ц|츠ru 뒤에는 ю|유ru와 я|야ru가 오지 않고, у|우ru와 а|아ru로 쓴다.
  • ч|치ru, ж|쥐ru, ш|슈ru, щ|시ru, ц|츠ru 뒤에 강세 없는 o|오ru가 오면 e|예ru로 쓴다.
  • -ь|-이ru, -й|-이ru, -я|-이야ru 어미 변화는 모두 -и|-이ru가 된다.

3. 3. 자음

러시아어 자음은 21개이다. 대부분의 자음은 "연음"(연구개음화)과 "경음" 자음 음소를 모두 나타낼 수 있으며, IPA에서는 로 표시된다.[9]

자음
경/연음Б, В, Г,
Д, З, К,
Л, М, Н,
П, Р, С,
Т, Ф, Х
항상 경음Ж, Ш, Ц
항상 연음Й, Ч, Щ



자음 뒤에 모음이 오는 경우 자음의 경/연 여부는 모음이 "경음" 또는 "연음" 을 따르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연자음 부호는 모음을 추가하지 않고 앞의 자음의 연음화를 나타낸다.

현대 러시아어에서 6개의 자음 음소는 음소적으로 구별되는 "연음"과 "경음" 변이를 가지지 않는다(외래 고유명사 제외). 는 항상 경음이고, 는 항상 연음이다.

경자음 기호 ()는 뒤따르는 "연성 모음"(, )을 앞선 자음으로부터 분리하여, 모음의 묵시적인 요타화를 유발한다. 오늘날에는 주로 경자음으로 끝나는 접두사를 뒤따르는 어근으로부터 분리하는 데 사용된다. 1400년까지는 또는 로 발음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연성 모음이지만, 경자음 뒤에 오는 어근 첫머리 는 일반적으로 로 발음된다.

러시아어는 역사적으로 다른 언어에서 소리를 차용해 온 경우가 있었기 때문에, 현재 러시아어에서 사용되지 않는 소리를 다루는 다양한 관습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러시아어 알파벳에는 소리가 없지만, 영어 및 독일어에서 차용된 단어에는 이 소리가 포함되어 있으며 (특히 고유 명사에 많음),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단어에 이 소리가 포함되어 있다. 표기는 연대에 따라 다르며, 비교적 일찍 도입된 галлюцинацияru (환각)과 같은 단어에서는 h 소리에 ⟨гru⟩를 적용하여 로 발음하지만, 최근에 사용되기 시작한 단어, 예를 들어 хоббиru (취미)에서는 ⟨хru⟩를 사용하여 로 발음한다[27]

비슷한 예로, 원래 언어에서 로 발음하던 단어를 차용어로 도입할 때, '''Т'''ельмаru (Thelma)처럼 )로 발음하지만, '''Ф'''ёдорru (Theodore) 나 Мат'''в'''е́йru (Matthew)처럼 초기에 들어온 단어에 대해서는 나 소리로 발음한다.

3. 4. 기호

러시아어 문자에서 기호는 2개가 있다.

  • 연성 기호(ь)는 앞의 자음이 구개음화되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брат' ([brat], '형제')와 'брать' ([bratʲ]], '가져가다')를 구별한다. 1400년경까지는 매우 짧은 전설 감소 모음으로 발음되었지만, 현대 러시아어에서는 발음되지 않고 문법적 기능만 한다.[11]
  • 여성형 명사 표시 (예: тушь '인디아 잉크', 여성형 vs. туш '건배 후의 묘기', 남성형)[12]
  • 일부 동사의 명령법, 부정사, 비과거 동사의 2인칭, 일부 부사와 입자에 사용된다.[12]


과거에는 고대 그리스의 수기법과 유사하게 숫자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었으나, 1708년에 폐지되었다.

3. 5. 폐지된 문자

1918년에 폐지된 문자는 다음과 같다.[5]

문자필기체이탤릭체옛 이름IPA일반적인 음역유사한 러시아 문자예시번호유니코드
І|іru]] || || і десятеричное|i 데샤테리치노예ru || /i/, /ʲi/, /j/ || i || и|이ru 또는 й|이ru와 같음 || стихотворенія|스티호트보레니야ru (현재 стихотворения|스티호트보레니야ru) "시, (의) 시" || 10 || U+0406 / U+0456
Ѣ|ѣru]] || || ять|야티ru || /e/ 또는 /ʲe/ || ě || е|예ru와 같음 || Алексѣй|알렉세이ru (현재 Алексей|알렉세이ru) "알렉세이" || || U+0462 / U+0463
Ѳ|ѳru]] || || ѳита|피타ru || /f/ 또는 /fʲ/ || f || ф|에프ru와 같음 || орѳографія|오르포그라피야ru (현재 орфография|오르포그라피야ru) "정자법, 철자법" || 9 || U+0472 / U+0473
Ѵ|ѵru]] || || ижица|이지차ru || /i/ 또는 /ʲi/ || í || 일반적으로 и|이ru와 같음 || мѵро|미로ru (현재 миро|미로ru) "성유" || 400 || U+0474 / U+0475


  • — 발음이 и|이ru와 동일하며, 다른 모음과 й|이ru ("짧은 I") 바로 앞에만 사용되었다. (예: '총대주교') 그리고 단어 ('세계')와 그 파생어에서, 단어 ('평화')와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 ѣ|얘티ru — 원래는 다른 소리를 가지고 있었지만, 18세기 중반까지 표준어에서 е|예ru와 동일한 발음이 되었다. 1918년에 제거된 이후, 오래된 철자법의 정치적 상징으로 남아있다.
  • ѳ|피타ru그리스어 세타에서 유래되었으며, 발음은 ф|에프ru와 동일했지만, 어원적으로 사용되었다. (예: "테오도르"가 Фёдор|표도르ru가 되었다).
  • ѵ|이지차ru그리스어 웁실론에서 유래되었으며, 일반적으로 발음이 비잔틴 그리스어처럼 и|이ru와 동일했지만, 라틴어 Y와 같이 그리스어 차용어에 어원적으로 사용되었다. (예: ''synod, myrrh''); 1918년까지 매우 드물게 사용되었다. 18세기의 철자법에서는 일부 모음 다음에 사용되었으며, 이후 в|베ru 또는 (드물게) у|우ru로 대체되었다. 예를 들어, 원래 로 표기된 그리스어 접두사(영어 에 해당)는 대부분의 경우 авто|아프토ru로, 일부 복합어에서는 ауто-|아우토ru로 표기된다.


1708년 표트르 대제의 문자 개혁으로 폐지된 문자는 다음과 같다.

문자필기체이탤릭체옛 이름IPA일반적인 음역유사한 러시아 문자No.유니코드
Ѕ|ѕruѕѣлѡ|젤로ru/z/ 또는 /zʲ/zз|제ru6U+0405, U+0455
Ѯ|ѯruѯи|크시ru/ks/ 또는 /ksʲ/x, ksкс|크스ru60U+046e, U+046f
Ѱ|ѱruѱи|프시ru/ps/ 또는 /psʲ/psпс|프스ru700U+0470, U+0471
Ѡ|ѡruѡмега|오메가ru/o/o, wо|오ru800U+0460, U+0461
Ѫ|ѫru]] || || юсъ большой|유스 볼쇼이ru || /u/ 또는 /ʲu/ || ą || у|우ru 또는 ю|유ru || || U+046a, U+046b
Ѧ|ѧru]] || || юсъ малый|유스 말리ru || /ja/ 또는 /ʲa/ || ę || я|야ru || 900 || U+0466, U+0467
Ѭ|ѭruюсъ большой іотированный|유스 볼쇼이 요티로반니ru/ju/ 또는 /ʲu/ю|유ruU+046c, U+046d
Ѩ|ѩruюсъ малый іотированный|유스 말리 요티로반니ru/ja/ 또는 /ʲa/я|야ruU+0468, U+0469


  • Ѕ|ѕru는 18세기까지 세속적인 글쓰기에서 전통적으로 유지되었고, 교회 슬라브어마케도니아어에서는 오늘날까지 사용되는, 더 오래된 /dz/ 발음에 해당한다.
  • Ѯ|ѯru와 Ѱ|ѱru는 그리스 문자 크시와 프시에서 파생되었다. 18세기까지 세속적인 글쓰기에서 일관성 없이, 그리고 교회 슬라브어에서는 오늘날까지 일관성 있게 어원적으로 사용되었다.
  • Ѡ|ѡru는 그리스 문자 오메가로, о|오ru와 발음이 동일하다. 18세기까지 세속적인 글쓰기에서 사용되었지만, 오늘날의 교회 슬라브어에서는, 그렇지 않으면 동일하게 쓰이는 굴절 형태를 구별하는 데 주로 사용되었다.
  • "유스" 두 개, "큰" ѫ|유스 볼쇼이ru와 "작은" ѧ|유스 말리ru는 비음화된 모음 /õ/와 /ẽ/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다. 언어학적 재구성에 따르면, 두 모음 모두 역사 시대 초기에 동슬라브어의 음운론과 관련이 없어졌지만, 나머지 키릴 문자와 함께 도입되었다. 이오타화된 유스, ѭ|유스 볼쇼이 요티로반니ru와 ѩ|유스 말리 요티로반니ru는 12세기까지 대부분 사라졌다. 비이오타화된 ѫ|유스 볼쇼이ru는 16세기까지 어원적으로 계속 사용되었다. 그 후에는 파스칼 표에서 도미니칼 레터로 제한되었다. ѫ|유스 볼쇼이ru와 ѧ|유스 말리ru의 17세기 사용법은 현대의 교회 슬라브어에서 살아 있으며, 소리(문자가 아님)는 폴란드어에서 살아있다.
  • 문자 ѧ|유스 말리ru는 단어의 중간 또는 끝에서 이오타화된 /ja/ я|야ru를 나타내도록 적용되었다. 현대 문자 я|야ru는 1708년의 타이포그래피 개혁에 의해 정해진 17세기의 필기체 형태를 적용한 것이다.
  • 1708년까지, 이오타화된 /ja/는 어두에서는 ꙗ로 표기되었다. ѧ|유스 말리ru와 ꙗ|야ru의 구분은 현재도 교회 슬라브어에서 남아있다.


표트르 대제의 개혁 당시 삭제된 문자와 관련하여, 처음에는 й|이ru도 폐지 대상에 포함되었으나, 러시아 정교회의 압력으로 복원되었다. 그러나 1750년까지는 이 문자들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4. 러시아어 키보드

개인용 컴퓨터를 위한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자판 배열은 다음과 같다.

러시아어 자판 배열


그러나 비러시아인들이 자주 사용하는 소위 "음성 자판"의 여러 변형이 있는데, 여기서 영어 문자 키를 누르면 비슷한 소리의 러시아 문자가 입력된다(A → А, S → С, D → Д, F → Ф 등).

참조

[1] 간행물 First Alphabet Found in Egypt 2000-01-01
[2] 서적 A Short History of Modern Bulgaria https://books.google[...] CUP Archive 1987-03-12
[3] Citation Толковый словарь русского языка Ушакова https://archive.toda[...] Yandex
[4] Citation Толковый словарь русского языка Ушакова https://archive.toda[...] Yandex
[5] Citation Dictionary http://starling.rine[...] 2005-10-16
[6] Citation ФЭБ http://feb-web.ru/fe[...] feb-web.ru
[7] 웹사이트 The Russian Spelling Reform of 1917/18 - Part I (History) https://www.youtube.[...] 2019-10-01
[8] 웹사이트 The Russian Language https://www.youtube.[...] 2016-06-25
[9] 문서 Russian language course Russo Sem Mestre
[10] 문서 Russian language course Russo Sem Mestre
[11] 문서 See Polish Maria as a given name but Maryja in context of the Virgin Mary
[12] 웹사이트 Буквы Ъ и Ь - "Грамота.ру" – справочно-информационный Интернет-портал "Русский язык" http://new.gramota.r[...] gramota.ru 2017-05-27
[13] 웹사이트 Alphabet and Character Frequency: Russian (Русский) https://www.sttmedia[...] 2024-10-05
[14] 서적 История древней русской словесности https://books.google[...] Киев: Университетская типография
[15] 서적 Филологическия наблюдения над составом русскаго языка: О буквах и слогах. Первое разсуждение https://books.google[...]
[16] 웹사이트 Как появилась письменность у древних славян http://www.nkj.ru/ar[...] Наука и Жизнь 2002
[17] 서적 О древнейшей истории северных славян до времён Рюрика https://books.google[...] Главный штаб Его Императорского Величества по военно-учебным заведениям
[18] 서적 Толковый словарь живого великорусского языка https://books.google[...] ОЛМА Медиа Групп
[19] 웹사이트 北緯五十度 No. 3 日露国境標の北面 https://rmda.kulib.k[...] 京都大学貴重資料デジタルアーカイブ 2022-01-14
[20] 문서 живете http://slovari.yande[...]
[21] 문서 мыслете http://slovari.yande[...]
[22] 문서 ФЭБ http://feb-web.ru/fe[...]
[23] 문서
[24] 웹사이트 Spelling rules http://webhome.aubur[...] 2021-08-19
[25] 문서 http://starling.rine[...]
[26] 문서
[27] 문서
[28]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