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Х는 키릴 문자의 한 글자이며, 그리스 문자 키(Χ χ)에서 파생되었다. 무성 연구개 마찰음 /x/를 나타내며,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벨라루스어, 오세트어,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 키르기스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사용된다. 이 문자는 600의 키릴 숫자 값을 가지며, 컴퓨터 코드와 유니코드에서도 표현된다. 또한, 이 문자의 이름인 "хѣръ"는 비유적인 의미로 사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키릴 문자 - 초기 키릴 문자
    초기 키릴 문자는 9세기 말 프레슬라프 문학 학교에서 글라골 문자를 기반으로 창작되어 그리스 문자를 참고하여 교회 서적에 더 적합하게 만들어졌으며, 슬라브족 국가로 전파된 후 지역적 변형과 문자 개혁을 거쳐 동유럽과 아시아 전역의 언어 표기에 사용되고 있다.
  • 키릴 문자 - 루마니아어 키릴 문자
    루마니아어 키릴 문자는 루마니아어의 초기 표기에 사용된 문자 체계로, 몰도바어 키릴 문자와 함께 초기 키릴 문자와 유사하며 교회 슬라브어의 전례 언어에 사용되었고, 1830년대 라틴 문자 채택 이전에는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가 혼용되었다.
Х
키릴 문자 'Х' 또는 'х'
키릴 문자 'Х' - 대문자와 소문자
키릴 문자 'Х' - 대문자와 소문자
음성[], [], []
유래그리스 문자 Chi (Χ χ)
숫자 값600
명칭 및 표기
영어ch
kh
다른 문자라틴 문자 X
Χ (키)

2. 역사

키릴 문자 카는 그리스 문자 키 (Χ χ)에서 파생되었다.

초기 키릴 문자에서 카의 이름은 хѣръ (''xěrŭ'')였다.

키릴 숫자에서 카는 600의 값을 갖는다.

3. 언어별 용법

Х는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벨라루스어, 불가리아어, 세르비아어, 마케도니아어 등 여러 슬라브어파 언어와 오세트어, 키르기스어 등에서 사용되는 키릴 문자이다. 언어에 따라 알파벳에서의 순서나 발음, 명칭이 다르다.

언어별 Х의 위치 및 명칭
언어알파벳 순서대표 명칭/발음비고
러시아어23번째무성 연구개 마찰음을 나타낸다. 구개음화 모음 앞에서는 다른 소리로 변하기도 한다.
벨라루스어24번째
우크라이나어26번째
세르비아어26번째
불가리아어22번째
마케도니아어27번째
키르기스어해당 없음
오세트어해당 없음무성 연구개 마찰음 /χ/ 소리를 나타내며, 이중 자음 ⟨хъ⟩는 무성 구개수 파열음 /q/를 나타낸다.


3. 1. 러시아어

Х는 러시아어 알파벳의 스물세 번째 글자이다.[1] 기본적으로 무성 연구개 마찰음 /x/ 발음을 나타낸다.[1] 이 소리는 목구멍 안쪽에서 호흡을 마찰시켜 내는 소리로, 손에 숨을 '하-' 하고 불 때 나는 소리와 비슷하다.[2] 독일어의 Na'''ch'''tde에서 'ch' 발음과 유사하게 들릴 수 있다.[2] 예를 들어 러시아어 단어 ха|하ru에서 이 발음을 들을 수 있다.[1]

구개음화를 일으키는 모음 앞에서는 /xʲ/로 소리가 변한다.[1]

다른 키릴 문자를 사용하는 언어에서도 쓰이는데, 벨라루스어에서는 24번째, 우크라이나어세르비아어에서는 26번째, 불가리아어에서는 22번째, 마케도니아어에서는 27번째 문자이다.[3]

3. 2. 우크라이나어

Х는 우크라이나어 알파벳의 스물 여섯 번째 글자이다. 이 글자는 무성 연구개 마찰음 /x/를 나타내며, 우크라이나어에서는 '하'라고 발음한다. 이 소리는 목구멍 안쪽에서 호흡을 마찰시켜 내는 소리로, 손에 숨을 '하-'하고 불 때의 소리와 비슷하다. 독일어의 Nacht|나흐트de에서 'ch' 발음과 유사하다.

3. 3. 벨라루스어

Х는 벨라루스어 알파벳의 24번째 문자이다. 또한 아랍 문자의 خ|하ara(Ḫāʼ)를 대체하는 표기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는 벨라루스 아랍 문자에서 해당 키릴 문자 대신 사용되었다.

3. 4. 오세트어

오세트어에서 '''Х'''는 무성 연구개 마찰음 /χ/를 나타낸다. 이중 자음 ⟨хъ⟩는 무성 구개수 파열음 /q/를 나타낸다.

3. 5. 불가리아어

불가리아어에서는 '푸'라고 발음하며, 불가리아어 알파벳의 22번째 문자이다.

3. 6. 마케도니아어

마케도니아어 알파벳의 27번째 문자이다.

3. 7. 키르기스어

키르기스어에서는 '하'라고 부른다.

4. "хѣръ"의 비유적 의미

문자 Х의 모양 때문에, 그 이름인 хѣръ|헤르sla는 종종 십자 모양의 무언가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다. 달(Dahl)은 가위바위보와 유사한 게임인 '헤리키-오니키'(херики-оникиru)와 '헤르 같은 다리'(곧게 뻗은 다리를 의미하며, 'O자 다리' 등과 대비됨)라는 표현을 언급했다.[2] 여기서 파생된 단어 похерить|포헤리치ru는 원래 십자 모양으로 지우거나 취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N. S. 레스코프(N. S. Leskov)의 작품에는 주교 владыка|블라디카ru가 조사 임명에 관한 공의회의 결정을 '헤르'로 지웠다는 예시가 나온다.[3]

또한 хѣръ|헤르sla는 남성 생식기를 가리키는 저속한 단어의 첫 글자이기 때문에, 19세기부터 해당 단어의 완곡한 표현으로 활발하게 사용되었다.[4] 그 결과, 1990년대 소련에서는 키릴 문자의 원래 이름이 대중에게 잊히면서 많은 사람이 '헤르'라는 단어와 그 파생어(예: похерить|포헤리치ru)를 금기시하게 되었다. 이러한 인식은 외설적인 어휘에 대한 사회적 태도가 변화한 탈소련 시대에도 '헤르'라는 단어의 사용에 영향을 미쳤다.[5] 하지만 러시아어 정보 포털 Gramota.ru는 '헤르'라는 단어와 그 모든 파생어가 외설적인 표현에 해당하지는 않는다고 밝히고 있다.[6]

5. 컴퓨팅 코드

키릴 문자 Х(대문자)와 х(소문자)는 다양한 문자 인코딩 체계와 유니코드 표준에서 고유한 코드값을 가지고 정의되어 사용된다.

5. 1. 코드 페이지

키릴 문자 Х(Ха)는 다양한 문자 인코딩에서 사용되며, 각 인코딩에서의 코드값은 아래와 같다.

문자 인코딩대문자 (Х)소문자 (х)
KOI8-R 및 KOI8-UE8C8
코드 페이지 855B6B5
코드 페이지 86695E5
윈도우 1251D5F5
ISO-8859-5C5E5
매킨토시 키릴95F5



또한 유니코드 및 JIS X 0213에서의 코드 정보는 다음과 같다.

문자유니코드JIS X 0213문자 참조
Х (대문자)U+04251-7-23Х
х (소문자)U+04451-7-71х


5. 2. 유니코드

ХхU+04451-7-71х
х


6. 관련 문자

7. 일본어의 키릴 문자 표기 (참고)

참조

[1] 서적 Aleksandr Chayanov and Russian Berlin https://books.google[...]
[2] 웹사이트 "Хер" http://slovardalja.n[...] 2024-07-10
[3] 웹사이트 "Хер" https://ushakovdicti[...] 2024-07-10
[4] 문서 "Левин Ю. И. Об обсценных выражениях русского языка // Левин Ю. И. Избранные труды. Поэтика. Семиотика. — М., 1998. — С. 809—819"
[5] 웹사이트 Русская бранная лексика: цензурное и нецензурное http://www.philology[...] 2024-07-12
[6] 웹사이트 "Хер" https://gramota.ru/p[...] 2024-07-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